KR102448205B1 -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205B1
KR102448205B1 KR1020220027593A KR20220027593A KR102448205B1 KR 102448205 B1 KR102448205 B1 KR 102448205B1 KR 1020220027593 A KR1020220027593 A KR 1020220027593A KR 20220027593 A KR20220027593 A KR 20220027593A KR 102448205 B1 KR102448205 B1 KR 10244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wire connection
waterproof groove
curable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욱
서형숙
Original Assignee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01J5/0018Flames, plasma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 사고의 염려없이 전선을 간단히 연결하고 전선의 연결 후 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누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아랫덮개; 상기 아랫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수납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 형성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윗덮개; 상기 윗덮개의 상기 제2 안착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부재; 상기 제1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고정하는 경화성 젤을 포함하는 경화성 젤 주머니; 및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누름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아랫덮개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화성 젤을 수용하는 제1 방수홈을 포함하고, 상기 윗덮개는 상기 제1 방수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 안착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안착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화성 젤을 수용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방수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Device for connecting wire with enhanced safety}
본 발명은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 사고의 염려없이 전선을 간단히 연결하고 전선의 연결 후 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누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이나 일반 가정, 그리고 기타 전선이 사용되는 장소에 있어서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외부적 요인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심지어 단선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단선이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피복이 벗겨지거나 단선된 부분을 자른 후 전선을 재연결 한 후 절연 테이프를 사용해 연결 부분을 감아서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을 손으로 접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전원 스위치를 모르고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건설 현장 등에 있어서는 전선이 연결된 이후에도 절연 테이프의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되어 방수가 되지 않는 경우 빗물 등으로 인한 누전 및 그에 따른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래에 명기된 특허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술 내용이 제안되었다.
하기 특허문헌의 핵심 내용은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고 구리선을 연결한 후 테이프 처리를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누수에 의한 누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서, 해당 문헌의 도 1을 참조하면,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에 있어서 윗덮개, 윗고무판 및 전선연결판으로 이루어진 상단자를 아래고무판과 아랫덮개로 이루어진 하단자 위에 놓인 전선에 강한 힘으로 눌러줌으로써, 전선연결판의 연결핀이 전선을 뚫고 아랫덮개의 핀구멍에 고정되며 위아래의 고무판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특허문헌들의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의 경우에 있어서는 윗덮개와 아랫덮개의 틈으로 빗물 등의 수분이 스며들어 누전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99484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 사고의 염려없이 전선을 간단히 연결하고 전선의 연결 후 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누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는,
일단에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아랫덮개;
상기 아랫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수납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 형성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윗덮개;
상기 윗덮개의 상기 제2 안착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부재;
상기 제1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고정하는 경화성 젤을 포함하는 경화성 젤 주머니; 및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누름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아랫덮개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화성 젤을 수용하는 제1 방수홈을 포함하고,
상기 윗덮개는 상기 제1 방수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 안착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안착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화성 젤을 수용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방수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방수홈은 상기 전선연결부재의 일단과 타단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홈과 상기 제2 방수홈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젤은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부피가 클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상기 제1 방수홈 사이의 부분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수홈과 외부를 연결하는 유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선, 상기 제2 전선 및 상기 전선연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지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전선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선연결부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광센서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하는 전력변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는 전선연결부재를 통해 전선간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의 피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화성 재료를 통해 상기 전선을 보호하는 구성을 통해, 전선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여 안전성 높은 전선연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 연결부분을 밀봉하여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300)는 윗덮개(310), 아랫덮개(320), 전선연결부재(340)를 포함하고, 누름장치(330), 탄성부재(335), 경화성 젤 주머니(360), 힌지(370) 및 결착부(3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랫덮개(320)는 일단에 제1 전선(350)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는 제2 전선(351)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선(350)과 상기 제2 전선(351)은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윗덮개(310)는 상기 아랫덮개(320)와 결합하여 상기 제1 전선(350)과 상기 제2 전선(351)을 수납한다. 상기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는 힌지(370)를 이용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결착부(375)는 상기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를 결착할 수 있다.
윗덮개(310)의 제2 안착부(311)에는 착탈가능한 전선연결부재(3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윗덮개(310)에는 누름장치(3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안착부(311)는 제1 안착부(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윗덮개(310)에 부착되는 상기 전선연결부재(34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된 첨단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연결부재(340)는 표면이 날카로운 톱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장치(330)를 누를 경우 압력에 의해 전선연결부재(340)가 전선(350)의 피복을 쉽게 뚫고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전선연결부재(340)가 피복안의 전선(예를 들어, 구리선 등)과 접촉함으로써 2개의 전선(350, 351)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윗덮개(310)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장치(330)는 외부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선연결부재(340)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장치(330)는 상기 전달받은 압력에 의해 상기 전선연결부재(340)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전선(350)과 상기 제2 전선(351)를 상기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장치(330)는 복원력을 위해 탄성부재(335)가 내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35)로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윗덮개(310)의 아래부분에 장착되는 전선연결부재(340)를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를 결합한 후, 누름장치(330)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눌려 해당 연결부재(340)가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2개의 전선(350)을 상호 연결한다.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에는 경화성 젤 주머니(360)가 배치되며, 전선(350, 351)은 상기 경화성 젤 주머니(3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경화성 젤 주머니(360)는 전선(350, 351)의 피복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질의 경화성 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 상에는 전선(350, 351)을 고정 또는 가이드(guide) 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전선(350, 351)을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가이드 할 수 있다.
경화성 젤 주머니(360)는 윗덮개(310)를 덮으면, 윗덮개(310)에 장착된 전선연결부재(34)의 돌출된 첨단부에 의해 경화성 젤 주머니(360)의 내부의 경화성 젤이 터져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선(350)과 제2 전선(351)은 상기 전선연결부재(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경화성 젤 주머니(360)에서 유출된 경화성 젤이 상기 전선연결부재(340)와 전선(350, 351)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와 상기 윗덮개(310)의 제2 안착부(311)는 배치되는 전선(350, 351)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80)는 경화설 젤을 가열하여 보다 용이하게 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연결부재(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재료의 탄성부재(335)와 연결되거나, 또는 전선연결부재(340)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380)는 편의를 위해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380)의 전원 공급은 상기 윗덮개(310)가 상기 아랫덮개(320)가 전선(350, 351)을 덮거나 또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상기 전선연결장치(300)를 이용해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전선(350, 351)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두 전선(350, 351)을 아랫덮개(320) 위에 나란히 놓는다.
이때, 전선(350, 351)은 아랫덮개(320)의 제2 안착부(321) 상의 경화성 젤 주머니(3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에, 전선연결부재(340)가 장착된 윗덮개(310)를 상기 아랫덮개(320) 상에 덮는다.
이후 상기 윗덮개(310)에 형성된 누름장치(330)를 누르면, 압력에 의해 위덮개(310)의 하단부에 장착된 전선연결부재(340)가 아랫덮개(320)에 덮혀있는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두 전선(350, 351)을 연결함과 동시에 전선(350) 아래에 놓인 경화성 젤 주머니(360)가 터진다.
그에 따라, 경화성 젤 주머니(360)의 내부에 포함된 경화성 젤이 유출되어,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전선연결부재(340)와 전선(350, 351) 주위를 둘러싸게 된다.
이 경우,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가 결합되어 상호간의 공간이 전선의 모양과 유사한 원형 튜브의 모양이므로, 경화된 젤이 전선(350, 351)의 외관과 유사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는 전선연결부재를 통해 전선간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의 피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화성 재료를 통해 상기 전선을 보호하는 구성을 통해, 전선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여 안전성 높은 전선연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방지하고, 전선간의 접속부분을 전선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하여 외관을 보다 향상시키며, 외부 요인에 의해 전선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아랫덮개(320)와 윗덮개(310)는 분리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전선연결부재(34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어 누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랫덮개(320)와 윗덮개(310)가 형성하는 공간을 경화성 젤로 밀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아랫덮개(320)는 제1 안착부(321)에 형성되는 제1 방수홈(32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제1 방수홈(322)는 제1 안착부(321)에 형성되되 제1 안착부(321)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방수홈(322)은 제1 안착부(321)보다 그 깊이가 깊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방수홈(322)은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1 방수홈(322)은 대략 반원 형상의 오목한 홈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방수홈(322)의 형상은 제1 전선 및 제2 전선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수홈(322)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화성 젤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제1 방수홈(322)은 경화성 젤이 내부를 채운 다음 굳어져,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윗덮개(310)는 제1 방수홈(322)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2 안착부(311)에 형성된 제2 방수홈(312)을 포함한다. 제2 방수홈(312)은 제1 방수홈(322)과 마찬가지로 길기 형성된 제2 안착홈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방수홈(312)은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되,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제2 방수홈(312)은 대략 반원 형상의 오목한 홈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방수홈(312)의 형상은 제1 전선 및 제2 전선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방수홈(312)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화성 젤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가 닫힘에 따라, 제2 방수홈(312)은 경화성 젤이 내부를 채운 다음 굳어져,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이 연결되는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수홈(322)과 제2 방수홈(312)은 경화성 젤을 수용하기 위하여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제1 방수홈(322)과 제2 방수홈(312)은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을 둘러싸는 하나의 고리 형상의 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경화성 젤은 제1방수홈 및 제2 방수홈(312)을 채운 다음 굳어진다.
한편, 제2 방수홈(312)은 전선연결부재(340)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전선연결부재(340)의 일단과 타단 외측에 형성된다. 즉, 제1 전선, 제2 전선 및 전선연결부재(340)의 전기가 흐르는 부분은 경화성 젤에 의해 밀봉되므로, 외부에서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경화성 젤은 제1 안착부(321), 제2 안착부(311)가 형성하는 공간을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양이며, 특히, 제1 방수홈(322) 및 제2 방수홈(312)이 형성하는 공간을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양으로 준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안착부(321)는 양단부보다 제1 방수홈(322) 사이에 있는 부분이 아랫덮개(320)의 상면에서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제1 안착부(321)의 깊이는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두께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은 경화성 젤에 의해 커버(410)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안착부(321)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제1 방수홈(322) 사이 부분의 깊이가 깊을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부(321)의 양단부의 깊이는 대략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두께의 절반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안착부(321)의 중앙부(제1 방수홈(322) 사이의 부분)는 전선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분을 보다 완벽하게 커버(410)할 수 있다.
한편, 도 3 (c)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안착부(321)는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유출홈(324)을 포함한다. 유출홈(324)은 아랫덮개(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제1 방수홈(322)과 아랫덮개(320)의 외부를 연결한다. 즉, 유출홈(324)의 일단은 제1 방수홈(322)과 연결되고, 타단은 아랫덮개(320)의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경화성 젤이 제1 안착부(321)와 제2 안착부(311)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큰 부피를 가지더라도, 경화성 젤은 유출홈(324)을 통해 아랫덮개(320) 외부로 유출되어 아랫덮개(320)와 윗덮개(310)가 닫히게 된다. 이러한 것은 내부 공간을 보다 완벽히 밀봉하기 위하여, 경화성 젤의 부피를 제1 안착부(321)와 제2 안착부(311)가 형성하는 공간의 부피보다 많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경화성 젤을 외부로 유출하여 아랫덮개(320)와 윗덮개(310)를 닫을 수 있다.
이때 유출홈(324)은 제1 방수홈(322)과 연결된 부분의 깊이가, 외부와 연결된 부분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경화성 젤의 외부 유출량을 최소화시켜, 경화성 젤의 방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안정성이 강화된 전선연결장치는 제2 안착부(311)에 구비되어 제1 전선, 제2 전선 및 전선연결부재(340)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지하는 광센서(420)와, 상기 광센서(420)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412)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센서(420)와 통신부(4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연결부재(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선연결부재(34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광센서(420) 및 통신부(412)에 공급하는 전력변환부(411)를 포함한다.
광센서(420)는 제2 안착부(311)에 전선연결부재(340)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 전선, 제2 전선 및 전선연결부재(340)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선연결부재(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313)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센서(420)는 이 개구(313)에 위치하거나 개구(313)를 통하여 스파크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안착부(311)는 광센서(420)를 수용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통신부(412) 및 전력변환부(411)는 윗덮개(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센서(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먼저 전력변환부(411)를 설명하면, 전력변환부(411)는 윗덮개(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전선에 의해 전선연결부재(340)와 연결된다. 전력변환부(411)는 두 개의 전선연결부재(340)와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전선은 윗덮개(310)를 관통하여 전력변환부(411)와 전선연결부재(3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력변환부(411)는 전선연결부재(3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광센서(420)와 통신부(412)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통신부(412)는 윗덮개(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광을 감지하였다는 신호를 광센서(420)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외부로 전달한다. 통신부(412)는 WiFi,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사용자 등은 스마트폰 또는 관리단말기 등을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면, 전선연결장치를 점검하는 등 화재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력변환부(411)와 통신부(412)는 하나의 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력변환부(411)와 통신부(412)를 덮는 커버(410)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410)부는 윗덮개(310) 상에 위치한다.
한편, 전선커버(410)장치는 천장 등 어두운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광센서(420)가 광을 감지하면, 사용자에게 노티스를 주는 발광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430)는 윗덮개(310)에 구비된다. 그리고 전선연결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광센서(4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발광부(4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발광하는 전선연결장치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300 전선연결장치
310 윗덮개
311 제2 안착부
312 제2 방수홈
313 개구
320 아랫덮개
321 제1 안착부
322 제1 방수홈
324 유출홈
340 전선연결부재
350 제1 전선
351 제2 전선
410 커버
411 전력변환부
412 통신부
420 광센서
430 발광부

Claims (7)

  1. 일단에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아랫덮개;
    상기 아랫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수납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대응하는 위치 형성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윗덮개;
    상기 윗덮개의 상기 제2 안착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부재;
    상기 제1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고정하는 경화성 젤을 포함하는 경화성 젤 주머니; 및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누름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아랫덮개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착부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며,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화성 젤을 수용하는 제1 방수홈을 포함하고,
    상기 윗덮개는 상기 제1 방수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 안착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안착부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화성 젤을 수용하여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방수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부는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수홈과 외부를 연결하며, 상기 경화성 젤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홈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홈은 상기 제1 방수홈과 연결된 부분의 깊이가 외부와 연결된 부분의 깊이보다 깊으며,
    상기 아랫덮개와 윗덮개는 결합되어 사용되는, 안전성이 강화된 전선연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홈은 상기 전선연결부재의 일단과 타단 외측에 형성되는,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홈과 상기 제2 방수홈은 연결되는,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젤은 상기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부가 형성하는 공간보다 부피가 큰,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는 양단부의 깊이보다 상기 제1 방수홈 사이의 부분의 깊이가 깊은,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연결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선, 상기 제2 전선 및 상기 전선연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지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전선연결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선연결부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광센서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하는 전력변환부;
    를 더 포함하는, 안전성이 강화된 전선연결장치.
KR1020220027593A 2022-03-03 2022-03-03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KR10244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93A KR102448205B1 (ko) 2022-03-03 2022-03-03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593A KR102448205B1 (ko) 2022-03-03 2022-03-03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205B1 true KR102448205B1 (ko) 2022-09-28

Family

ID=8346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593A KR102448205B1 (ko) 2022-03-03 2022-03-03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7963A (zh) * 2023-11-30 2023-12-29 湖南工程学院 一种电梯电缆安装组件及安装方法
KR102661788B1 (ko) * 2023-10-19 2024-04-30 주식회사 이지건축 공동주택용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987A (ja) * 1998-07-03 2002-07-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レイケム・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密封装置
KR100994843B1 (ko) 2007-11-30 2010-11-16 최청희 전선 연결 및 분기 장치
KR20120009976A (ko) * 2010-07-23 2012-02-02 홍형기 전선 연결부의 밀봉 커버
KR20150102295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조우스 방수 케이스
KR101571051B1 (ko) * 2015-06-08 2015-11-23 (주)마인엔지니어링 전선연결장치
KR101915041B1 (ko) * 2018-03-29 2018-11-06 주식회사 엘에스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 커넥터
KR20210149643A (ko) * 2020-06-02 2021-12-09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변압기 부싱커버 및 이를 갖는 변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0987A (ja) * 1998-07-03 2002-07-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レイケム・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密封装置
KR100994843B1 (ko) 2007-11-30 2010-11-16 최청희 전선 연결 및 분기 장치
KR20120009976A (ko) * 2010-07-23 2012-02-02 홍형기 전선 연결부의 밀봉 커버
KR20150102295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조우스 방수 케이스
KR101571051B1 (ko) * 2015-06-08 2015-11-23 (주)마인엔지니어링 전선연결장치
KR101915041B1 (ko) * 2018-03-29 2018-11-06 주식회사 엘에스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 커넥터
KR20210149643A (ko) * 2020-06-02 2021-12-09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변압기 부싱커버 및 이를 갖는 변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788B1 (ko) * 2023-10-19 2024-04-30 주식회사 이지건축 공동주택용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커넥터
CN117317963A (zh) * 2023-11-30 2023-12-29 湖南工程学院 一种电梯电缆安装组件及安装方法
CN117317963B (zh) * 2023-11-30 2024-02-20 湖南工程学院 一种电梯电缆安装组件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8205B1 (ko)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US7713081B2 (en) Communication jack
KR20140070335A (ko) 모듈기기와 외부의 전기접속구조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0857213B1 (ko) 배전선로의 지중전선 연결용 배전커넥터
TW200504399A (en) Electro-optical composite connector, electro-optical composite cable, and network devices using the same
TW200638648A (en) Cable connector having fluid reservoir
CN102832469A (zh) 电缆连接端子与具有该电缆连接端子的线束
WO2005009096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US9484664B1 (en) Water and ingress resistant audio port
KR101571051B1 (ko) 전선연결장치
ITMI981195A1 (it) Gruppo di alimentazione e ricarica per apparecchi telefonici portatili in particolare per telefoni cellulari
WO2012051896A1 (zh) 一种电源线缆组件
CN102760600A (zh) 一种侧压式按键组件及移动通讯设备
WO2005052645A3 (en) Electrical insulating ring located between an end cap and a tension sleeve of an undersea pressure vessel
KR100994843B1 (ko) 전선 연결 및 분기 장치
KR101448031B1 (ko) 와이어하네스의 커넥터 체결구조
KR101920203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DE602005013308D1 (de) Abgedichteter verbinder mit sequenzieller schliessung
CN203085863U (zh) 矿用扣压式专用电缆
KR101152806B1 (ko) Usb 커넥터 플러그
CN109155510B (zh) 作为分线盒备件的布置结构以及用于安装该布置结构的方法
CN205016763U (zh) 防水电连接器结构
CA2488174C (en) Arrangement of an element in a circular connector
KR200479319Y1 (ko) 케이블의 방수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