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051B1 - 전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051B1
KR101571051B1 KR1020150080701A KR20150080701A KR101571051B1 KR 101571051 B1 KR101571051 B1 KR 101571051B1 KR 1020150080701 A KR1020150080701 A KR 1020150080701A KR 20150080701 A KR20150080701 A KR 20150080701A KR 101571051 B1 KR101571051 B1 KR 10157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connecting
wires
connecting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곤
Original Assignee
(주)마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마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8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아랫덮개; 상기 아랫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수납하는 윗덮개; 및 상기 윗덮개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선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WIRE}
본 발명은 전선이 단선이 되거나 피복이 벗겨진 경우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 사고의 염려없이 전선을 간단히 연결하고 전선의 연결 후 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한 누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이나 일반 가정, 그리고 기타 전선이 사용되는 장소에 있어서 외부적 요인에 의해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심지어 단선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단선이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피복이 벗겨지거나 단선된 부분을 자른 후 전선을 재연결 한 후 절연 테이프를 사용해 연결 부분을 감아서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피복이 벗겨진 전선을 손으로 접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전원 스위치를 모르고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작업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건설 현장 등에 있어서는 전선이 연결된 이후에도 절연 테이프의 접착력에 문제가 발생되어 방수가 되지 않는 경우 빗물 등으로 인한 누전 및 그에 따른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래에 명기된 특허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술 내용이 제안되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핵심 내용은 전선의 피복을 벗겨내고 구리선을 연결한 후 테이프 처리를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누수에 의한 누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서, 해당 문헌의 도 1을 참조하면, 전선의 연결 및 분기 작업에 있어서 윗덮개(10), 윗고무판(15) 및 전선연결판(17)으로 이루어진 상단자를 아래고무판(25)과 아랫덮개(20)로 이루어진 하단자 위에 놓인 전선에 강한 힘으로 눌러줌으로써, 전선연결판(17)의 연결핀(18)이 전선을 뚫고 아랫덮개(20)의 핀구멍(28)에 고정되며 위아래의 고무판이 서로 강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의 기술적 문제점, 즉 우천시 윗덮개(1)와 아래 덮개(2)의 틈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누전의 위험이 있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으며, 기술적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2의 도 5를 참조하면, 발명의 요지는 전선이 인입 및 인출되는 양 측면에 반원 형으로 관통 형성되어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구(2)를 각각 구비하는 상부덮개(200)와, 상부덮개(200)에 대응결합되고 상기 전선구(2)가 구비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전선구(2)를 구비하는 하부덮개와, 상부덮개(200) 및 하부덮개의 내측에 전선구(2)를 통해 인입 및 인출되는 전선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연결 및 분기장치를 제공하며, 2개의 금속판이 +자 형상으로 교차배열되어 상부덮개(200)와 하부덮개의 내측면에 결속되는 통전판(7)과, 통전판(7)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삼각 형상의 칼날몸체의 단부에 호 형상의 칼날이 형성되는 다수의 핀(8)과, 내부에 절연 및 누수차단기능을 보유한 젤코팅액을 구비하고 압착에 의해 파열되는 액체 젤코팅 튜브(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특허문헌들의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경우에 있어서는 윗덮개(1)와 아랫덮개(2)의 틈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누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본래의 전선을 윗덮개(1)와 아랫덮개(2)로 감싸게 됨에 따라서 본래의 전선이 갖는 모양과 다른 모양을 갖게되며 전선의 유연성이 상실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전선의 연결 및 분기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의 경우 상부덮개(200)와 하부덮개(100)가 고정되는 형태로서 연결된 부위가 원래의 전선 형태의 모양을 갖지 못하고 단단한 직사각형의 틀에 갇힌 모양이 된다. 결과적으로 본래의 전선이 갖고 있던 전선의 유연성이 해당 연결부위에서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연결장치의 인입부 부분의 전선의 경우 전선연결장치의 모양으로 인해 사용중 인입부의 내외부에 작용하는 요인들, 예를 들어, 인입부 연결부위에서 전선의 꺾임이 반복되어 전선이 다시 단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10-0994843 2. 한국등록특허 10-119904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감전의 위험이 없이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는 전선연결부재를 통해 전선간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의 피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화성 재료를 통해 상기 전선을 보호하는 구성을 통해, 전선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여 안전성 높은 전선연결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방지하고, 전선간의 접속부분을 전선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하여 외관을 보다 향상시키며, 외부 요인에 의해 전선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요소를 최소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는 일단에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아랫덮개; 상기 아랫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수납하는 윗덮개; 및 상기 윗덮개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고정하는 경화성 젤 주머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누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화성 젤 주머니는 상기 누름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의 경화성 젤이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장치는 전달받은 압력에 의해 상기 전선연결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1, 2 전선을 상기 제1 안착부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윗덮개는 상기 제1, 2 전선이 수납되는 제2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연결부재는 상기 제2 안착부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장치에 인가되는 압력을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전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랫덮개와 상기 윗덮개를 상호 회동시키는 힌지; 및 상기 아랫덮개와 상기 윗덮개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연결부재는 돌출된 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는 전선연결부재를 통해 전선간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의 피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화성 재료를 통해 상기 전선을 보호하는 구성을 통해, 전선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여 안전성 높은 전선연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간의 접속부분을 전선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하여 외관을 보다 향상시키고, 외부 요인에 의해 전선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전선연결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장치(300)는 윗덮개(310), 아랫덮개(320), 전선연결부재(340)를 포함하고, 누름장치(330), 탄성부재(335), 경화성 젤 주머니(360), 힌지(370) 및 결착부(3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랫덮개(320)는 일단에 제1 전선(350)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는 제2 전선(351)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선(350)과 상기 제2 전선(351)은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윗덮개(310)는 상기 아랫덮개(320)와 결합하여 상기 제1 전선(350)과 상기 제2 전선(351)을 수납한다.
상기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는 힌지(370)를 이용하여 서로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결착부(375)는 상기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를 결착할 수 있다.
윗덮개(310)의 제2 안착부(311)에는 착탈가능한 전선연결부재(3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윗덮개(310)에는 누름장치(330)가 설치될 수 있다.
윗덮개(310)에 부착되는 상기 전선연결부재(34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돌출된 첨단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연결부재(340)는 표면이 날카로운 톱니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누름장치(330)를 누를 경우 압력에 의해 전선연결부재(340)가 전선(350)의 피복을 쉽게 뚫고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전선연결부재(340)가 피복안의 전선(예를 들어, 구리선 등)과 접촉함으로써 2개의 전선(350, 351)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윗덮개(310)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장치(330)는 외부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전선연결부재(340)에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장치(330)는 상기 전달받은 압력에 의해 상기 전선연결부재(340)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전선(350)과 상기 제2 전선(351)를 상기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 상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장치(330)는 복원력을 위해 탄성부재(335)가 내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35)로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윗덮개(310)의 아래부분에 장착되는 전선연결부재(340)를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를 결합한 후, 누름장치(330)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눌려 해당 연결부재(340)가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2개의 전선(350)을 상호 연결한다.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에는 경화성 젤 주머니(360)가 배치되며, 전선(350, 351)은 상기 경화성 젤 주머니(3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경화성 젤 주머니(360)는 전선(350, 351)의 피복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질의 경화성 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 상에는 전선(350, 351)을 고정 또는 가이드(guide) 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전선(350, 351)을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가이드 할 수 있다.
경화성 젤 주머니(360)는 윗덮개(310)를 덮으면, 윗덮개(310)에 장착된 전선연결부재(34)의 돌출된 첨단부에 의해 경화성 젤 주머니(360)의 내부의 경화성 젤이 터져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선(350)과 제2 전선(351)은 상기 전선연결부재(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경화성 젤 주머니(360)에서 유출된 경화성 젤이 상기 전선연결부재(340)와 전선(350, 351)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랫덮개(320)의 제1 안착부(321)와 상기 윗덮개(310)의 제2 안착부(311)는 배치되는 전선(350, 351)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80)는 경화설 젤을 가열하여 보다 용이하게 형태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연결부재(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재료의 탄성부재(335)와 연결되거나, 또는 전선연결부재(340)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380)는 편의를 위해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380)의 전원 공급은 상기 윗덮개(310)가 상기 아랫덮개(320)가 전선(350, 351)을 덮거나 또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상기 전선연결장치(300)를 이용해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전선(350, 351)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두 전선(350, 351)을 아랫덮개(320) 위에 나란히 놓는다.
이때, 전선(350, 351)은 아랫덮개(320)의 제2 안착부(321) 상의 경화성 젤 주머니(3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에, 전선연결부재(340)가 장착된 윗덮개(310)를 상기 아랫덮개(320) 상에 덮는다.
이후 상기 윗덮개(310)에 형성된 누름장치(330)를 누르면, 압력에 의해 위덮개(310)의 하단부에 장착된 전선연결부재(340)가 아랫덮개(320)에 덮혀있는 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두 전선(350, 351)을 연결함과 동시에 전선(350) 아래에 놓여진 경화성 젤 주머니(360)가 터진다.
그에 따라, 경화성 젤 주머니(360)의 내부에 포함된 경화성 젤이 유출되어,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짐으로써, 전선연결부재(340)와 전선(350, 351) 주위를 둘러싸게 된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를 분리한다.
이 경우,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가 결합되어 상호간의 공간이 전선의 모양과 유사한 원형 튜브의 모양이므로, 경화된 젤이 전선(350, 351)의 외관과 유사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윗덮개(310)와 아랫덮개(320)각각의 내면은 경화성 젤이 표면에 달라붙지 않고 젤이 경화된 후에 표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장치는 전선연결부재를 통해 전선간을 상호 연결하고, 전선의 피복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경화성 재료를 통해 상기 전선을 보호하는 구성을 통해, 전선간의 연결을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여 안전성 높은 전선연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누전을 방지하고, 전선간의 접속부분을 전선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하여 외관을 보다 향상시키며, 외부 요인에 의해 전선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요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300: 전선연결장치
310: 윗덮개
311: 제2 안착부
320: 아랫덮개
321: 제1 안착부
330: 누름장치
335: 탄성부재
340: 전선연결부재
350: 제1 전선
351: 제2 전선
350: 경화성 젤 주머니
370: 힌지
375: 결착부

Claims (11)

  1. 일단에 제1 전선이 배치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제2 전선이 배치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아랫덮개;
    상기 아랫덮개와 결합하여 상기 제1, 2 전선을 수납하는 윗덮개;
    상기 윗덮개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부재;
    상기 제1 안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전선을 고정하는 경화성 젤 주머니; 및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누름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장치는,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압력을 전달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전선연결부재에 전원을 인가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전선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젤 주머니는,
    상기 누름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내부의 경화성 젤이 유출되는 전선연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전달받은 압력에 의해 상기 전선연결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1, 2 전선을 상기 제1 안착부 상에 고정하는 전선연결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윗덮개는,
    상기 제1, 2 전선이 수납되는 제2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연결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재는,
    상기 제2 안착부내에 배치되는 전선연결장치.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랫덮개와 상기 윗덮개를 상호 회동시키는 힌지; 및
    상기 아랫덮개와 상기 윗덮개를 결착하는 결착부;
    를 더 포함하는 전선연결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연결부재는,
    돌출된 첨단부를 포함하는 전선연결장치.
  11. 삭제
KR1020150080701A 2015-06-08 2015-06-08 전선연결장치 KR10157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01A KR101571051B1 (ko) 2015-06-08 2015-06-08 전선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01A KR101571051B1 (ko) 2015-06-08 2015-06-08 전선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777A Division KR101636054B1 (ko) 2015-11-12 2015-11-12 경화성 젤을 이용한 전선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051B1 true KR101571051B1 (ko) 2015-11-23

Family

ID=5484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01A KR101571051B1 (ko) 2015-06-08 2015-06-08 전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0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622A (ko) * 2017-11-08 2019-05-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WO2019093753A1 (ko) * 2017-11-08 2019-05-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KR102448205B1 (ko) * 2022-03-03 2022-09-28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KR20230109024A (ko) * 2022-01-12 2023-07-19 김민수 화재예방 전선연결용 단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049A (ja) * 2001-11-20 2003-06-06 Shoji Komuro 壁面における線条体の装着具及び撤去具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199042B1 (ko) * 2012-06-05 2012-11-07 최청희 경화성 젤 코팅 튜브가 내장된 전선연결 및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4049A (ja) * 2001-11-20 2003-06-06 Shoji Komuro 壁面における線条体の装着具及び撤去具
KR101083416B1 (ko) * 2011-09-15 2011-11-14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199042B1 (ko) * 2012-06-05 2012-11-07 최청희 경화성 젤 코팅 튜브가 내장된 전선연결 및 분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622A (ko) * 2017-11-08 2019-05-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WO2019093753A1 (ko) * 2017-11-08 2019-05-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KR102131129B1 (ko) * 2017-11-08 2020-07-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접속장치
KR20230109024A (ko) * 2022-01-12 2023-07-19 김민수 화재예방 전선연결용 단자
KR102646143B1 (ko) * 2022-01-12 2024-03-14 김민수 화재예방 전선연결용 단자
KR102448205B1 (ko) * 2022-03-03 2022-09-28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051B1 (ko) 전선연결장치
KR20130127951A (ko) 크림프 단자
KR20150017369A (ko) 코팅된 전선 부착 커넥터 단자 및 코팅된 전선 부착 커넥터 단자의 방수 방법
KR102370175B1 (ko) 차폐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2874B1 (ko) 다중 요철 구조의 연결부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와 일괄형 편조차폐선의 결합방법
US11177056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and waterproofing method for shielded cable
KR102448205B1 (ko) 안전성을 강화한 전선 연결 장치
KR101636054B1 (ko) 경화성 젤을 이용한 전선연결장치
KR102075255B1 (ko) 커넥터 장치
JP2018511154A (ja) 水密プラグコネクタの製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KR102237411B1 (ko) 무본딩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케이블 접속구조
WO2012051896A1 (zh) 一种电源线缆组件
JP6996974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07259623A (ja) 電線用モールドスぺーサ、電線用接続キット、電線の製造方法及び電線
KR101448031B1 (ko) 와이어하네스의 커넥터 체결구조
US2807792A (en) Insulated connector
KR101523329B1 (ko) 커넥터용 터미널, 이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JP2005032621A (ja) ケーブルハーネスの防水構造
US20220043230A1 (en) Plug connector part for an optical and/or electrical plug connection
JPH0685338B2 (ja) プラグ
CN107994393A (zh) 一种线缆连接器
KR101199042B1 (ko) 경화성 젤 코팅 튜브가 내장된 전선연결 및 분기장치
JP6447450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20120024568A1 (en) Cable assembly
KR101252008B1 (ko) 전선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