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951A - 크림프 단자 - Google Patents

크림프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951A
KR20130127951A KR1020130054970A KR20130054970A KR20130127951A KR 20130127951 A KR20130127951 A KR 20130127951A KR 1020130054970 A KR1020130054970 A KR 1020130054970A KR 20130054970 A KR20130054970 A KR 20130054970A KR 20130127951 A KR20130127951 A KR 20130127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rimp
link
positioning
crim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734B1 (ko
Inventor
기요카즈 이이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01R4/72Insulation of connections using a heat shrinking insulating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2Heat shrink material

Abstract

크림프 단자(10)는, 전기 접속 대상에 도전 접속되는 접속부(12)와, 크림핑에 의해 피복 와이어(32)의 코어(34)에 고정되는 코어 크림핑부(22)를 갖는 크림프부(14)와, 상기 접속부(12)와 크림프부(14) 사이에서 연장되는 링크(16)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16)를 관통하고 링크(1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릿(26)에 의해 위치 결정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은 연장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폭 방향으로 슬릿(26)들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영역(28)이 코어 크림핑부(22)가 돌출하는 측에서 돌출 변형된다.

Description

크림프 단자{CRIMP TERMINAL}
본 발명은, 크림핑에 의해 피복 와이어의 단부의 노출 코어에 부착되는 크림프 단자에 관한 것이다.
피복 와이어의 단부의 노출 코어에 크림핑된 크림프 단자는, 차량의 전기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피복 와이어와 함께 널리 채용되고 있다. JP 5-31130A는, 금속 등의 도전성 부재로 형성되고 전기 접속 대상에 도전 접속되는 접속부와, 크림핑에 의해 피복 와이어의 코어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코어 크림핑부를 갖는 크림프부와, 접속부와 크림프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링크를 구비하는 크림프 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피복 와이어에 부착된 크림프 단자 부분의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핫 멜트 접착제를 함유하는 열 수축 튜브를, 크림프부를 포함한 둘레 영역에 걸쳐 삽입하고 가열 수축시킴으로써, 또는 합성수지제의 원통형 성형품을 이용하여 크림프부의 둘레 영역을 밀봉함으로써, 크림프부와 코어를 밀봉 상태로 피복한다.
크림프 단자와 피복 와이어 사이의 확실한 도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코어를 충분한 면적에 걸쳐 크림프부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크림프부의 확실한 방수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크림프부와 코어를 열 수축 튜브 또는 성형품 등의 커버 원통체로 확실하게 피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JP 5-31130A는, 접속부와 크림프부 사이의 링크의 중앙부에 큰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으며, 코어 크림핑부가 돌출하는 측에서 노치 형성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상향 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코어가 상향 돌기와 접촉하여 크림프부와 코어 사이의 충분한 접촉을 확보할 수 있을 때까지, 피복 와이어의 코어를 크림프부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원통체를 상향 돌기를 넘어서는 위치로 삽입 이동시킴으로써, 크림프부와 코어를 확실하게 피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에서는 링크의 불충분한 강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림프 단자를 접속 대상에 접속할 때에, 다른 부재와의 간섭, 진동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외력이, 접속 대상에 대한 고정점인 접속부와 피복 와이어에 대한 고정점인 크림프부 사이의 링크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링크에 큰 굽힘력이 작용한다. 종래의 구조를 갖는 크림프 단자에 있어서는, 그러한 링크에 큰 노치를 마련하여 상향 돌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접속부와 크림프부가 단지 링크의 에지부에 의해서만 접속된다. 이에 따라, 링크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하기가 곤란하여, 링크의 내구성 열화 및 파손 등의 문제가 초래된다.
상향 돌기는 크림프 단자의 판 두께의 사이즈와 거의 동일할 뿐이다. 따라서 상향 돌기의 측면 중 하나가 코어를 위치 결정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가 열 수축 튜브를 위치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경우에, 코어를 열 수축 튜브에 의해 충분한 범위에 걸쳐 커버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차량의 고온 환경에 기인하여 열 수축 튜브가 느슨하게 되어 치우치는 것만으로 코어가 노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향 돌기는, 방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코어 및 열 수축 튜브를 적절하게 위치 결정하는 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링크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코어와 커버 원통체의 안정적인 위치 결정을 구현할 수 있는 크림프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접속 대상에 도전 접속되는 접속부와, 크림핑에 의해 피복 와이어의 코어에 고정되는 코어 크림핑부를 갖는 크림프부와, 접속부와 크림프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링크를 구비하는 크림프 단자를 제공한다. 링크에 2개의 슬릿이 형성되고, 이들 슬릿은 링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슬릿은 연장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링크의 두께 방향으로 링크를 관통한다. 슬릿들 사이에 개재된 폭 방향의 중간 영역이, 코어 크림핑부가 돌출하는 측에서 돌출 변형되어,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크림프 단자의 링크에 큰 노치를 마련하는 대신에, 아울러 절단 및 굽힘 가공을 통하여 코어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상향 돌기를 마련하는 대신에, 링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을 마련하고 이들 슬릿 사이에 개재된 중간 영역을 돌출 변형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에 큰 분리부를 마련하지 않고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 돌기의 양단부가 접속부측 및 크림프부측에서 링크에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에 큰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에 비교하여, 링크의 강성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림프 단자의 링크에 큰 굽힘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파손 등의 문제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슬릿은 링크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절단되어 구부러진 돌출 부재와 비교하여, 돌출 변형된 위치 결정 돌기가 링크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 걸쳐 뻗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 돌기의 크림프부측 표면을 코어 위치 결정부로서 이용하여 코어를 이 표면에 맞닿게 하고, 위치 결정 돌기의 접속부측 표면을 열 수축 튜브 등과 같은 커버 원통체의 위치 결정부로서 이용할 때에도, 양 위치 결정부 사이에 충분한 분리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와 커버 원통체 사이에 안정적인 위치 관계가 확보된다.
슬릿들 사이의 중간 영역을 크림프부가 돌출하는 측에서 돌출 변형시킴으로써, 링크의 중간 영역에 개구가 마련된다. 열 수축 튜브를 가열 압축할 때에 용융되는 핫 멜트 접착제를 개구에 수용할 수 있고, 접속부측으로의 유출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다.
크림프부가 돌출하는 측에서 돌출 변형되는 한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 결정 돌기는, 측면도로 보아, 뾰족한 형상(peaked shape), 곡선 형상, 직사각 형상 또는 정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열 수축 튜브와 같은 커버 원통체의 단부와 코어의 요구되는 위치 관계에 따라, 시각적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크림프 단자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돌기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가장 돌출하는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부 및 크림프부에 접합된 위치 결정 돌기의 양단부가 변형될 때 응력이 바람직하게 분산되어, 크림프 단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의 중앙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중앙 위치에 기초하여 커버 원통체의 단부 부분 및 코어를 유리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작용하는 크림프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림프 단자가 삽입되는 열 수축 튜브를 구비하는 전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크림프 단자가 부착되어 있는 열 수축 튜브를 구비하는 전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열 수축 튜브로 덮여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단자(10)가 도 1에 도면 부호 10으로 병기되어 있다. 크림프 단자(10)는 전기 접속 대상에 도전 접속되는 접속부(12)와, 크림핑에 의해 피복 와이어(32)의 코어(34)에 고정되는 코어 크림핑부(22)를 갖는 크림프부(14)와,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링크(16)를 구비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크림프 단자(10)는 도전성을 갖고, 프레싱 및 펀칭 등의 가공을 행할 수 있는, 예컨대 황동,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한 다양한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림프 단자(10)의 두께 치수는 그 전체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접속부(12)의 평면은 대략 타원형의 평면 형상(planer shape)을 갖고, 그 중앙부를 관통 구멍(18)이 관통한다. 관통 구멍(18)은, 소정의 위치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삽입하는데 이용된다.
크림프부(14)는 대략 사각형의 긴 평면 형상을 갖는 배치 패널(20)을 구비하고, 이 배치 패널(20)의 폭방향의 양측에 2개의 코어 크림핑부(22) 및 2개의 피복 와이어 크림핑부(24)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 크림핑부(22) 및 피복 와이어 크림핑부(24)는, 배치 패널(20)의 폭 방향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돌출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 부재는 배치 패널(20)의 일면측(도 1에 있어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배치 패널(20)의 양측의 벽을 구성한다.
접속부(12)와 크림프부(14) 사이의 링크(16)는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26)을 구비한다. 슬릿(26)은 연장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링크(16)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폭 방향으로 2개의 슬릿(26) 사이에 개재된 중간 영역(28)에 의해 위치 결정 돌기(30)가 형성되고 크림프부(14)의 코어 크림핑부(22)가 돌출하는 측(도 1에 있어서 상면측)에서 돌출 변형된다. 특히, 위치 결정 돌기(30)의 길이 방향의 양단이 링크(16)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상태로 돌출 변형된다. 이로써, 링크(16)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위치 결정 돌기(3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 돌기(30)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가장 돌출되고, 측면도로 보아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 와이어(32)는, 복수의 구리, 알루미늄 및 그 외의 금속 와이어를 다발로 함으로써 형성되고 도체로서 작용하는 코어(34)를 구비한다. 코어(34)는, 에틸렌 수지, 스티렌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성의 절연 시스(36)로 피복되어 있다. 먼저, 피복 와이어(32)의 팁에서 절연 시스(36)를 벗겨 코어(34)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피복 와이어(32)의 외주에 열 수축 튜브(38)를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다.
코어(34)가 노출되어 있는 피복 와이어(32)의 팁 부분이 크림프 단자(10)의 크림프부(14)에 있어서 배치 패널(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 때에, 코어(34)의 팁은 위치 결정 돌기(30)의 크림프부측 표면(42)에 맞닿아, 피복 와이어(32)를 배치 패널(20) 상에 적절하게 위치 결정한다. 이로써, 한 쌍의 코어 크림핑부(22) 사이에 노출된 코어(34)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고, 절연 시스(36)로 덮여 있는 부분을 한 쌍의 피복 와이어 크림핑부(24)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JP 05-23389A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크림핑 장치를 이용하여, 코어 크림핑부(22) 및 피복 와이어 크림핑부(24)에 대한 크림핑을 실시한다. 이로써, 코어 크림핑부(22) 및 피복 와이어 크림핑부(24)를 구비한 크림프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 와이어(32) 및 코어(34)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소성 변형 및 크림핑된다. 이에 의해, 크림프부(14)의 내면은 크림핑 상태에서 피복 와이어(32) 및 코어(34)의 최외주면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코어(34)가 여전히 노출되어 있는 것에 주목한다.
이어서, 열 수축 튜브(38)는 피복 와이어(3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수축 튜브(38)의 팁은 위치 결정 돌기(30)의 접속부측 표면(44)의 단부 부분을 마커로 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 때에, 열 수축 튜브(38)는, 위치 결정 돌기(30)의 길이 방향의 치수 L1 만큼 피복 와이어(32)에 있어서의 코어(34)의 팁 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위치 결정된다(도 4 참조). 이 치수 L1이 코어 크림핑부(22)로부터의 코어(34)의 연장 길이 L2보다 충분히 길면, 예컨대 코어(34)를 충분한 범위(L1)로 열 수축 튜브(38)에 의해 피복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기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열 수축 튜브(38)를 가열할 수 있다.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수축 튜브(38)가 가열 수축되고, 배치 패널(20)뿐 아니라 피복 와이어(32)의 팁 부분 근처를 조인다. 가열의 결과로 용융된 핫 멜트 접착제(40)는, 열 수축 튜브(38)의 수축력에 의해 위치 결정 돌기(30)로부터 코어(34)의 일부, 코어 크림핑부(22) 및 피복 와이어 크림핑부(24), 그리고 배치 패널(20)의 후단부에 접착된다. 또한, 가열에 의해 용융된 핫 멜트 접착제(40)는 점성을 잃고 유동화되기 때문에, 전술한 부재들 사이의 공간은, 큰 갭을 전혀 남기지 않고 완전히 메워질 수 있어, 전술한 부재들이 액밀 상태로 접착될 수 있다.
용융된 핫 멜트 접착제(40)의 일부가 열 수축 튜브(38)의 전단으로부터 접속부(12)측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경우에도, 위치 결정 돌기(30)에 의해 유출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핫 멜트 접착제(40)로 공간을 메울 수 있어, 코어(34)의 외주면 근처뿐 아니라 위치 결정 돌기(30)와 코어(34)의 전단면 사이에도 공극(void)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 돌기(30)의 배치 패널(20)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코어(34)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30)의 바닥면에는 개구(46)가 마련되어 있다. 열 수축 튜브(38)를 가열 압축할 때에 용융되는 핫 멜트 접착제(40)가 상기 개구(46) 내로 흘러서, 접속부(12)측으로의 유출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다.
또한, 핫 멜트 접착제(40)의 일부가 위치 결정 돌기(30)를 넘어서 흐르는 경우에도, 유출량은 최소로 되며, 링크(16)를 넘어 접속부(12)에 도달하지 않고 링크(16) 상에서 냉각되고 경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크림프 단자(10)를 이용함으로써, 배치 패널(20)에 배치된 피복 와이어(32)의 코어(34)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밀봉할 수 있고, 핫 멜트 접착제(40) 및 열 수축 튜브(38)에 의해 피복할 수 있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용융된 핫 멜트 접착제(40)가 접속부(12) 상으로 흐르는 것을 위치 결정 돌기(30)에 의해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접속부(12)에 부착되는 핫 멜트 접착제(40)에 의해 초래되는 접속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림프 단자(10)의 링크(16)에 큰 노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절단 및 굽힘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상향 돌기를 구비하지 않는다. 대신에, 링크(1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26)을 마련하고 이들 슬릿(26) 사이에 개재된 중간 영역(28)을 돌출 변형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돌기(3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돌기(30)의 양단부가 접속부(12)측 및 크림프부(14)측에 일체로 링크된 상태로 있을 경우에는, 링크에 큰 분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에 비교하여, 링크(16)의 강성이 충분하게 확보된다.
또한, 2개의 슬릿(26)이 링크(1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절단되어 구부러진 돌출 부재와 비교하여, 돌출 변형된 위치 결정 돌기(30)가 링크(16)의 연장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에 걸쳐 뻗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 돌기(30)의 크림프부측 표면(42)을 코어 위치 결정부로서 이용하여 코어를 이 표면에 맞닿게 하고, 위치 결정 돌기(30)의 접속부측 표면(44)을 열 수축 튜브(38) 등과 같은 커버 원통체의 위치 결정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양 위치 결정부 사이에 충분한 분리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34)를 커버 원통체에 의해 충분한 범위로 커버할 수 있으므로, 코어의 방수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위치 결정 돌기(30)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가장 돌출하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속부(12) 및 크림프부(14)에 접합된 위치 결정 돌기(30)의 단부가 변형될 때 응력이 분산되어, 크림프 단자(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30)의 중앙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중앙 위치에 기초하여 커버 원통체의 단부 부분 및 코어(34)를 유리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특정의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예컨대, 크림프부(14)가 돌출하는 측에서 돌출 변형되는 한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도로 보아, 뾰족한 형상(peaked shape), 곡선 형상, 직사각 형상 또는 정삼각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원통체의 단부와 코어(34)의 요구되는 위치 관계에 따라, 시각적 검사를 용이하게 하는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복 와이어(32)의 사이즈 및 커버 원통체의 재질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위치 결정 돌기(30)의 길이 방향의 치수 L1을, 코어(34)를 확실하게 덮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원통체로서 열 수축 튜브(38)를 이용하는 대신에, 외측으로부터 크림프부(14)를 에워싸는 합성수지제의 원통형의 성형품에 의해 크림프부(14)를 밀봉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열 수축 튜브(38)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의 성형품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크림프 단자(10)에 의해 구현되는 위치 결정 용이성 등의 효과를 향유할 수 있다.

Claims (12)

  1. 크림프 단자(10)로서,
    전기 접속 대상에 도전 접속되는 접속부(12)와,
    연장 방향을 따라 접속부(12)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크림핑에 의해 피복 와이어(32)의 코어(34)에 고정되는 코어 크림핑부(22)를 구비하는 크림프부(14)와,
    상기 접속부(12)와 크림프부(14) 사이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크(16)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16)를 관통하고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26)에 의해 위치 결정 돌기(30)가 형성되며, 상기 슬릿(26)은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폭 방향으로 2개의 슬릿(26)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영역이 코어 크림핑부(22)가 돌출하는 측에서 돌출 변형되는 것인 크림프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는 연장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가장 돌출하는 뾰족한 형상(peaked shape)을 갖는 것인 크림프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는 연장 방향으로 양 단부에서 링크(16)에 일체로 접합되는 것인 크림프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는 피복 와이어(32)의 코어(34)의 직경과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인 크림프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부(14)와 링크(16)에 걸쳐 위치 결정된 열 수축 튜브를 더 포함하는 크림프 단자.
  6. 전기 접속 대상에 도전 접속되도록 구성된 접속부(12)와, 연장 방향을 따라 접속부(12)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일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하는 코어 크림핑 부재(24)를 갖는 크림프부(14)와, 상기 접속부(12)와 크림프부(14) 사이에서 상기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크(16)를 구비하는 크림프 단자(10)로서, 상기 링크(16)를 관통하고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슬릿(26)에 의해 위치 결정 돌기(30)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26)은 연장 방향에 수직인 폭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폭 방향으로 상기 2개의 슬릿 사이의 중간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 변형되는 것인 크림프 단자(10);
    단부와 이 단부에서 노출된 코어(34)를 갖는 와이어(32)로서, 이 와이어의 단부가 크림프부(14)에 마주하는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의 표면(42)에 맞닿고, 상기 코어(34)가 코어 크림핑 부재(24)에 의해 맞물리는 것인 와이어(32), 그리고
    상기 크림프부(14)와 링크(16)에 걸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열 수축 튜브(38)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32)의 적어도 일부가 코어 크림핑 부재(24)에 의해 맞물리는 것인 방수 터미네이션(termination).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 튜브(38)의 내측에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를 둘러싸는 핫 멜트 접착제(40)를 더 포함하는 방수 터미네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 튜브(38)는 접속부(12)에 대향하는 위치 결정 돌기(30)의 표면(44)에 맞물리는 것인 방수 터미네이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는 연장 방향으로 중앙부에서 가장 돌출하는 뾰족한 형상을 갖는 것인 방수 터미네이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는 연장 방향으로 양단에서 링크(16)에 일체로 접합되는 것인 방수 터미네이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는 피복 와이어(32)의 코어(34)의 직경과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는 것인 방수 터미네이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30)의 연장 방향의 길이는, 위치 결정 돌기(30)와 코어 크림핑 부재(24) 사이의 거리를 초과하는 것인 방수 터미네이션.
KR1020130054970A 2012-05-15 2013-05-15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KR101470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11445A JP5880849B2 (ja) 2012-05-15 2012-05-15 圧着端子
JPJP-P-2012-111445 2012-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951A true KR20130127951A (ko) 2013-11-25
KR101470734B1 KR101470734B1 (ko) 2014-12-08

Family

ID=4862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970A KR101470734B1 (ko) 2012-05-15 2013-05-15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1063B2 (ko)
JP (1) JP5880849B2 (ko)
KR (1) KR101470734B1 (ko)
CN (1) CN103427179A (ko)
GB (1) GB25030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9101A (ja) * 2010-03-04 2011-09-1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防食剤、端子付き被覆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5063750B2 (ja) * 2010-07-23 2012-10-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の端末構造
JP5409545B2 (ja) * 2010-08-06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接続部の防食構造
JP5391173B2 (ja) * 2010-09-30 2014-01-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装置、接続方法、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2252900A (ja) * 2011-06-03 2012-12-20 Yazaki Corp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製造方法
JP5886673B2 (ja) * 2012-03-30 2016-03-16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5884986B2 (ja) * 2012-07-31 2016-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付きアルミ電線
JP6198934B2 (ja) * 2013-05-02 2017-09-20 ジェンサ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耐液加熱エレメント
JP2015008042A (ja) * 2013-06-24 2015-01-15 ニッタ株式会社 線状部材の防水処理構造
JP6601995B2 (ja) * 2013-11-19 2019-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DE102013226183A1 (de) * 2013-12-17 2015-06-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und mechanisch haltenden Verbindung zwischen einem ersten elektrischen isolierten Leiter und einem zweiten elektrischen Leiter
JP2015185283A (ja) * 2014-03-20 2015-10-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CN106663883A (zh) * 2014-07-31 2017-05-10 田渊电机株式会社 端子与电线的接合方法以及电线连接用端子
AT516375B1 (de) * 2014-12-04 2016-05-15 Gebauer & Griller Kabel-Kontaktstück-System und Verfahren zur elektrischen Verbindung eines Kabels mit einem Kontaktstück
JP6354608B2 (ja) * 2015-01-29 2018-07-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被覆電線
CN105990715B (zh) * 2015-02-13 2019-01-0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源连接器
JP6164257B2 (ja) * 2015-07-10 2017-07-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モールド部付電線及びモールド部付電線製造方法
JP2017195137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被覆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9601866B1 (en) 2016-07-11 2017-03-21 Elemental LED, Inc. Strain relief and joint support
ES2699917T3 (es) * 2016-07-13 2019-02-13 Nexans Procedimiento para conectar un elemento de contacto en un conductor eléctrico
US11239639B2 (en) 2016-09-30 2022-02-0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Assembly and method for sealing a bundle of wires
US10103458B2 (en) * 2017-02-07 2018-10-1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electrical terminals
US10483661B2 (en) 2017-02-07 2019-11-1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electrical terminals
US10109947B2 (en) * 2017-02-07 2018-10-2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electrical terminals
DE102017113837B3 (de) * 2017-06-22 2018-03-29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abdichten eines fügebereichs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sanordnung und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JP6927793B2 (ja) * 2017-08-07 2021-09-0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
CN111315289B (zh) * 2017-11-15 2023-08-08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复合配线、信号采集部件及其制造方法
JP7052489B2 (ja) * 2018-03-30 2022-04-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10297946B1 (en) 2018-04-19 2019-05-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ealing electrical connections
US11257612B2 (en) 2018-07-26 2022-02-22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Assembly and method for sealing a bundle of wires
JP6743927B1 (ja) * 2019-02-14 2020-08-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ース端子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7286993B2 (ja) * 2019-02-14 2023-06-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ース端子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7222324B2 (ja) * 2019-07-04 2023-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0819063B1 (en) * 2019-08-28 2020-10-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ealed electric terminal with adhesive flow-out retarder
US11271381B2 (en) * 2019-09-20 2022-03-08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wiring splices
JP2022157330A (ja) * 2021-03-31 2022-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端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611A (en) * 1972-02-14 1973-01-02 Amp Inc Heat shrinkable pre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S5620283U (ko) * 1979-07-26 1981-02-23
JPH0623756B2 (ja) * 1986-01-30 1994-03-30 国際試薬株式会社 ウロビリノ−ゲン組成物
JPS63123062A (ja) * 1986-11-12 1988-05-26 Canon Inc 操作表示装置
US5254022A (en) * 1989-07-28 1993-10-19 Edward W. Burger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r thereof
JPH058871A (ja) 1991-02-05 1993-01-19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JPH0531131A (ja) 1991-07-30 1993-02-09 Hitachi Medical Corp 実験用小動物の収納ケージ
JPH0531130A (ja) * 1991-08-01 1993-02-09 Lion Corp 顎位測定方法
JPH0637574Y2 (ja) * 1991-09-27 1994-09-28 株式会社ニチフ端子工業 密閉型電線接続端子
JP3019285B2 (ja) * 1993-09-20 2000-03-13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及び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方法
JP3214393B2 (ja) 1997-04-16 2001-10-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ース用端子金具
JP3685631B2 (ja) 1998-12-17 2005-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0260504A (ja) * 1999-03-11 2000-09-22 Jst Mfg Co Ltd Fpc圧着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芯線の圧着構造
JP3410706B2 (ja) * 2000-04-05 2003-05-26 株式会社ダイエイ ケーブル用圧着端子及び圧着接続子
US6666732B1 (en) * 2001-05-21 2003-12-23 John E. Endacott Terminal connector
JP2005019188A (ja) * 2003-06-26 2005-01-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機器用コネクタ
EP1796216B1 (de) * 2005-12-09 2008-04-23 Delphi Technologies, Inc. Kabelschuh
TWI302767B (en) * 2006-03-24 2008-11-01 Ks Terminals Inc Terminal connector, manufacturing and wire connecting method thereof
US7722382B2 (en) * 2006-11-02 2010-05-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US7591666B2 (en) * 2006-11-10 2009-09-22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urface mount crimp terminal and method of crimping an insulated conductor therein
JP2008176970A (ja) 2007-01-17 2008-07-31 Komatsu Ltd 圧着端子
JP2009230998A (ja) 2008-03-21 2009-10-08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2010061872A (ja) * 2008-09-01 2010-03-1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
WO2010026824A1 (ja) * 2008-09-02 2010-03-1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0080189A (ja) * 2008-09-25 2010-04-0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2010153187A (ja) * 2008-12-25 2010-07-08 Kuramo Electric Co Ltd 電線における圧着端子の接続方法及び圧着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9903A1 (en) 2013-11-21
KR101470734B1 (ko) 2014-12-08
US8951063B2 (en) 2015-02-10
CN103427179A (zh) 2013-12-04
GB2503093A (en) 2013-12-18
JP5880849B2 (ja) 2016-03-09
GB2503093B (en) 2016-08-31
JP2013239336A (ja) 2013-11-28
GB201307545D0 (en)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734B1 (ko) 크림프 단자 및 방수 터미네이션
US9543689B2 (en) Terminal crimped wire
EP2913895B1 (en) Wire cable assembly having a terminal with an encapsulated wire end
US965382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ble connector assembly
KR20150127550A (ko) 전자소자 거치기구
US9928939B1 (en) Device and method for splicing shielded wire cables
EP2523269B1 (en)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495216B2 (ja) 分岐コネクタ
US20170054225A1 (en) Joint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10249985B2 (en) Waterproof connector
US10431938B2 (en) Shield shell and shield connector
KR101404351B1 (ko) 크림프 단자
KR101598046B1 (ko)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JP5773218B2 (ja) 圧着端子
JP6658367B2 (ja) コネクタ
JP6638583B2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アセンブリ
JP6996974B2 (ja)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401869B1 (ja) コネクタ
KR102216099B1 (ko) 커넥터
CN109478751B (zh) 电气连接组件的制造方法
US20150351270A1 (en) Electric wire pressure-contact structure
JP3123120U (ja) リード線付きヒューズ
CN107732481B (zh) 线缆连接器
JP2018160457A (ja) コネクタ
WO2013057950A1 (en) Terminal-crimped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