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972A - 전선 이음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이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972A
KR20110029972A KR1020090087864A KR20090087864A KR20110029972A KR 20110029972 A KR20110029972 A KR 20110029972A KR 1020090087864 A KR1020090087864 A KR 1020090087864A KR 20090087864 A KR20090087864 A KR 20090087864A KR 20110029972 A KR20110029972 A KR 2011002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fixing
wire joint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503B1 (ko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102009008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503B1/ko
Priority to PCT/KR2010/000297 priority patent/WO2011034265A1/ko
Priority to JP2010074841A priority patent/JP5058286B2/ja
Priority to US12/662,058 priority patent/US8062056B2/en
Priority to DE102010019050A priority patent/DE102010019050A1/de
Priority to GB1009860A priority patent/GB2473690A/en
Priority to CN2010102480984A priority patent/CN102025047B/zh
Publication of KR2011002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503B1/ko
Priority to US13/196,231 priority patent/US851206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1End pieces for multiconductor cables supported by the cable and for facilitating connections to other conductive members, e.g. for liquid cooled welding cable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이음 커넥터에 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복수의 고정 돌기 및 축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하부 커넥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 및 상기 축개구부에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덮는 절연성의 상부 커넥터,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의 내부에 조립되며,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상기 전선의 내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팅 날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 전선 이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선을 동시에 이음하여 경제적이고, 내부의 도전 부재와 외부의 절연 부재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절연 피복을 포함하지 않아 조립이 간단해진다.
전선, 커넥터, 피복, 커팅

Description

전선 이음 커넥터{The connector for electric wire joint}
본 발명은 전선 이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선을 피복을벗기지 않고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은 전선의 피복을 벗긴 뒤 노출된 심선을 서로 이음하고, 이음된 부분을 절연 테이프로 감는 방법이 있다.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은 심선을 비틀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고, 이음 작업이 번거로우며 감전과 같은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공구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복수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복수의 고정 돌기 및 축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하부 커넥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 및 상기 축개구부에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덮는 상부 커넥터,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의 내부에 조립되며,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상기 전선의 내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팅 날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넥터 및 상부 커넥터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전선을 투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면의 안쪽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안내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커팅 날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마주보는 두 개의 커팅면을 가지며, 상기 커팅 날은 2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넥터, 상기 전도성 부재 및 상기 하부 커넥터는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이음 커넥터는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되며,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고정 돌기,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부 커넥터 및 하부 커넥터의 측면에 상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전선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하부 커넥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안쪽면에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선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덮는 상부 커넥터, 상기 상부 커넥터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기 고정공과 고정심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상부 커넥터를 가압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편,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 내부에 조립되며, 상기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상기 전선의 내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팅 날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커넥터의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커팅 날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마주보는 두 개의 커팅면을 가지며, 상기 커팅 날은 2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이음 커넥터의 한쪽의 상기 삽입공으로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 없이 전선 이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선을 동시에 이음하여 경제적이고, 내부의 도전 부재와 외부의 절연 부재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절연 피복을 포함하지 않아 조립이 간단해진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상부 및 하부 커넥터 및 내부의 전도 부재를 조립하여 형성되며, 분리되어 있는 피복된 전선을 별도의 피복 제거 없이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분리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삽입 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삽입 후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하부 커넥터(100), 상부 커넥터(300) 및 전도 부재(200)를 포함한다.
하부 커넥터(100)는 상면이 개방된 수용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전도 부재(200) 및 전선(4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하부 커넥터(100)는 전면 및 후면에 전선(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지지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측면에는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 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고정 돌기(120)는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고, 도 1과 같이 4개의 고정 돌기(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커넥터(100)의 두 개의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축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축개구부(1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이며, 상부 커넥터(300)의 고정축(310)과 조립되어 상부 커넥터(300)와 하부 커넥터(100)를 결합한다.
하부 커넥터(100)의 측면 및 바닥면 상에는 전도 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전도 부재(2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전도 부재(200)는 양 끝부분에 굴곡지어져 있는 굴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굴곡면 상에 이중의 커팅 날(210)을 포함한다. 한편, 전도 부재는 굴곡면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굴곡면에 이중의 커팅 날(210)이 형성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커팅 날(2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각각의 커팅 날(210)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커팅면을 가지고, 두 개의 커팅면이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커팅면의 표면에 커팅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마주보는 두 개의 커팅 면 상의 커팅 돌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도 부재(200)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도전성 재질인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강도가 강하고 변성이 작은 인청동과 같은 구리 합금일 수 잇다.
이때, 전도 부재(200)는 투입되는 전선(400)의 임계 저항에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커넥터(100)의 돌기와 결합되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커넥터(300)는 바닥면이 개방된 수용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전도 부재(200) 및 전선(400)이 수용되어 있는 하부 커넥터(100)를 덮는다.
이러한 상부 커넥터(300)는 전면 및 후면에 전선(4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지지홈(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측면에는 하부 커넥터(100)의 고정 돌기(120)와 정렬되도록 복수의 고정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커넥터(100)의 축개구부(110)와 조립되도록 원형의 고정축(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넥터(300)는 고정축(310)을 기준으로 대칭되며, 도 2와 같이 하부 커넥터(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400)을 주입하기 위해 전선 이음 커넥터가 개방되도록 얇은 두께의 접힘변(점선으로 표시됨)을 가진다.
또한, 상부 커넥터(300)의 상면의 안쪽면에는 복수의 안내공(35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안내공(350)은 전도 부재(200)의 커팅 날(210)과 정렬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축(310)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한 개 이상의 안내공(3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공(350)은 상부 커넥터(300)의 상면에서 하부 커넥터(10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 커넥터(300, 100)의 지지홈(330, 130)을 통과한 전선(400)이 안내공(350) 내부를 통과하도록 전선(400)의 직경보다 큰 직경(A)을 가진다.
이러한 상부 커넥터(300) 및 하부 커넥터(100)는 고정 돌기(120) 및 고정공(320)에 의한 고정 및 고정축(310)과 축개구부(110)에 의한 고정을 위해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 이음 커넥터는 I형으로 두 개의 전선(40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축(310)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양 영역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선 이음 커넥터는 도 2와 같이 하부 커넥터(100)의 내부에 전도 부재(200)를 조립한다.
이때 하부 커넥터(100)와 전도 부재(200)의 조립은 하부 커넥터(100) 및 전도 부재(200)의 양음각된 돌기 및 홈에 의해 결속되며, 전도 부재(200)가 조립된 하부 커넥터(100)에 상부 커넥터(300)를 조립한다.
상부 커넥터(300)와 하부 커넥터(100)의 조립은 상부 커넥터(300)의 고정축(310)이 하부 커넥터(100)의 축개구부(110) 내에 들어가도록 정렬한 후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면, 상부 커넥터(300)의 고정축(310)이 하부 커넥터(100)의 축개구부(110)의 개방된 부분이 벌어지면서 상부 커넥터(300)의 고정축(310)이 하부 커넥터(100)의 축개구부(110) 내로 들어가 결합된다.
이때, 상부 커넥터(300)의 접힘변을 축으로 양 끝을 위쪽 방향으로 접어 올리면 상부 커넥터(300) 상면의 안쪽면이 도 2와 같이 노출된다.
이때, 노출되어 있는 상부 커넥터(300)의 안내홀(350)을 통과하도록 전선(400)을 주입한다.
노출되어 있는 양쪽의 안내홀(350)에 두 개의 전선(400)이 삽입되면, 도 3과 같이 위에서 아래로 압력을 가하여 상부 커넥터(300) 및 하부 커넥터(100)를 조립한다.
이때, 하부 커넥터(100)의 복수의 고정 돌기(120)는 상부 커넥터(300)의 고정공(320)과 결합되어 상부 커넥터(300) 및 하부 커넥터(100)는 결속 상태를 유지한다.
상부 커넥터(300)와 하부 커넥터(100)가 결합된 전선 이음 커넥터는 도 4와 같이, 상부 커넥터(300)의 안내홀(350)이 전도 부재(200)의 커팅 날(210)과 정렬되어 있어 안내홀(350)을 통과한 전선(400)이 커팅 날(210)에 의해 피복(420)이 제거되면서 커팅 날(210)이 심선(410)의 측벽에 소정 깊이만큼 파고 들어 고정된다.
따라서 일측의 전선(400)과 타측의 전선(400)이 커팅 날(2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물리적으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피복되어 있는 전선(400)의 직경은 안내홀(350)의 직경(A) 이하의 소 정 범위 내를 충족한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는 I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로서, 두 개의 전선(400)을 상부 커넥터(300)의 양쪽 안내홀(350)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 커넥터(300)를 하부 커넥터(100)와 가압하여 결합시키면 전선(400)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면서 커팅 날(210)에 의해 피복(420)이 벗겨지면서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는 원리로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분리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결합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T형으로 두 개의 전선(650)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 전선(650)과 제1 전선(650)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 전선(6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T 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는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부 커넥터(500), 전도 부재(550) 및 상부 커넥터(600)를 포함하며, I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와 동일하게 제1 전선(650)이 주입되는 일 측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전선(650)과 수직으로 제2 전선(650)이 주입되는 영역의 하부 커넥터(500)는 도 1과 달리 양쪽 측면에 전면과 같은 지지홈(530)이 형성되어 있고, 전 도 부재(550)는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커팅 날(58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커넥터(600)는 하부 커넥터(500)와 같이 양쪽 측면에 지지홈(6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의 안쪽에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T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는 도 6과 같이 조립되며, 접음선(도 5의 점선으로 표시됨)을 축으로 상부 커넥터(600) 양쪽을 위쪽으로 열어 제1 및 제2 전선(650)을 삽입한다.
이때, 제1 전선(650)을 제1 실시예와 같이 안내공(640)을 통과하도록 삽입하고, 제2 전선(650)을 하부 커넥터(500)의 양 측면의 지지홈(530) 위에 놓은 후, 상부 커넥터(60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면, 커팅 날(570, 580)에 의해 제1 및 제2 전선(650)의 피복(670)이 벗겨지고 커팅 날(570, 580)이 전선(650)의 심선(660)으로 파고들어 전도 부재(550)를 통해 제1 및 제2 전선(6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T형으로 전선(650)을 연결할 때, 전도 부재(550)의 한쪽에 커팅 날(580)을 측면으로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 커넥터(600, 500)의 한쪽 측면에 지지홈(630, 530)을 측면에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분해도이고, 도 8a 및 도8b는 도 7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결합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하부 커 넥터(700), 전도 부재(750), 상부 커넥터(800) 및 2개의 고정편(850)을 포함한다.
하부 커넥터(700)는 상면이 개방된 수용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전도 부재(750) 및 전선(95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하부 커넥터(700)는 전면 및 후면에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공(7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회전심(900)이 삽입되는 회전공(710)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공(710)은 양 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한 측면에 2개의 회전공(710)이 형성된다.
전도 부재(750)는 도 1과 같이 양 끝부분이 굴곡지어져 있으며, 굴곡된 면 상에 이중의 커팅 날(760)을 포함한다. 커팅 날(760)의 형성은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부 커넥터(800)는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전도 부재(750)를 수용하고 있는 하부 커넥터(700)를 덮는다.
상부 커넥터(800)의 안쪽 면으로 복수의 안내공(8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공(820)의 형상은 도 2와 동일하다.
또한, 2개의 고정편(85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고정면(880)으로부터 연장되는 고리(860)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면(880)과 고리(860) 사이에 하부 커넥터(700)의 측면 회전공(710)과 정렬하는 회전공(8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선 이음 커넥터는 도 8a와 같이 하부 커넥터(700) 내부에 도전 부 재(750)를 삽입 고정하고, 상부 커넥터(800)로 덮은 후, 고정편(850)의 회전공(870)과 하부 커넥터(700)의 회전공(710)을 정렬시켜 회전심(900)을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부 커넥터(800) 상의 고정편(850)의 고정면(880)을 위쪽으로 열면, 상부 커넥터(800)와 하부 커넥터(700) 사이의 고정이 느슨해진다.
고정편(850)이 열린 상태에서, 양쪽의 삽입공(720)으로 두 개의 전선(950)을 삽입하면 전선(950)은 삽입공(720)을 통과하고 삽입공(720)과 정렬되어 있는 상부 커넥터(800)의 안내공(820)을 통과한다.
양 쪽의 전선(950)이 모두 삽입되면, 고정편(850)의 고정면(880)을 상부 커넥터(800) 위에 놓이도록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도 8b와 같이 고정면(880)이 상부 커넥터(800) 위에 위치하면 고정편(850)에 의해 상부 커넥터(800)가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고정되며 전선(950)이 커팅 날(760)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면서 커팅 날(76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b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경우, 두 개의 전선(950)을 전기적으로 연결 후, 고정편(850)을 열어 전선을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전선(950)이 분리된 후에 다른 전선과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일측이 전기 기구로부터 연결되어 있는 전선과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구, 전열기구, 통신장비 등과 같은 전기 기구의 전선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전기 기구의 전선 끝단에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기 기구가 배치되는 영역의 전원 전선과 상기 전선 이음 커넥터를 통해 통전시킨 후 전기 기구의 위치를 옮길 때 다시 분리하여 다른 지역의 전원 전선과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상에서는 두 개의 전선을 연결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1:N 또는 N:M의 수효를 가지는 전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분리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삽입 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삽입 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분리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8a 및 도8b는 도 7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결합도이다.

Claims (11)

  1.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복수의 고정 돌기 및 축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하부 커넥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 및 상기 축개구부에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덮는 절연성의 상부 커넥터,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의 내부에 조립되며,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상기 전선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팅 날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 및 상부 커넥터는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전선을 투입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면의 안쪽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선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커팅 날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마주보는 두 개의 커팅면을 가지며, 상기 커팅 날은 2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면 상에 복수의 커팅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 상기 전도성 부재 및 상기 하부 커넥터는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이음 커넥터는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분할되며,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고정 돌기,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안내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 영역에는 상부 커넥터 및 하부 커넥터의 측면에 상기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전선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 이음 커넥터.
  8.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에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의 하부 커넥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고, 안쪽면에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전선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넥터를 덮는 절연성의 상부 커넥터,
    상기 상부 커넥터 상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커넥터의 상기 고정공과 고정심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상부 커넥터를 가압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편,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터 내부에 조립되며, 상기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상기 전선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커팅 날을 포함하는 전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넥터의 전면 및 후면에 상기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의 상기 커팅 날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마주보는 두 개의 커팅면을 가지며, 상기 커팅 날은 2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 이음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이음 커넥터의 한쪽의 상기 삽입공으로 전자 기기와 연결되어 있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이음 커넥터.
KR1020090087864A 2009-09-17 2009-09-17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02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64A KR101026503B1 (ko) 2009-09-17 2009-09-17 전선 이음 커넥터
PCT/KR2010/000297 WO2011034265A1 (ko) 2009-09-17 2010-01-18 전선 이음 커넥터
JP2010074841A JP5058286B2 (ja) 2009-09-17 2010-03-29 電線コネクタ
US12/662,058 US8062056B2 (en) 2009-09-17 2010-03-30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DE102010019050A DE102010019050A1 (de) 2009-09-17 2010-05-03 Verbinder für elektrische Drähte
GB1009860A GB2473690A (en) 2009-09-17 2010-06-11 Electric wire connector
CN2010102480984A CN102025047B (zh) 2009-09-17 2010-08-04 电线连接器
US13/196,231 US8512066B2 (en) 2009-09-17 2011-08-02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64A KR101026503B1 (ko) 2009-09-17 2009-09-17 전선 이음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972A true KR20110029972A (ko) 2011-03-23
KR101026503B1 KR101026503B1 (ko) 2011-04-05

Family

ID=4247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864A KR101026503B1 (ko) 2009-09-17 2009-09-17 전선 이음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62056B2 (ko)
JP (1) JP5058286B2 (ko)
KR (1) KR101026503B1 (ko)
CN (1) CN102025047B (ko)
DE (1) DE102010019050A1 (ko)
GB (1) GB2473690A (ko)
WO (1) WO20110342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44B1 (ko) * 2012-12-20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박스의 전선단말부 절연장치
KR102199979B1 (ko) * 2020-06-30 2021-01-08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2066B2 (en) * 2009-09-17 2013-08-20 Jowoo-Tech Co. Ltd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DE102010047458A1 (de) * 2010-10-06 2012-04-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KR101099002B1 (ko) *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046398B1 (ko) 2011-05-20 2011-07-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전선분기 접속구
CN102723624B (zh) * 2012-03-30 2014-04-16 深圳市拓普联科电子有限公司 市电电线连接组件及连接方法
US8585430B1 (en) * 2012-04-05 2013-11-19 Google Inc. Connector with a severing device and wire taps
WO2014097521A1 (ja) * 2012-12-17 2014-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電線付ハウジングおよび電線付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KR101422082B1 (ko) * 2013-05-08 2014-07-23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523329B1 (ko) * 2013-09-30 2015-05-27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이를 갖는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CN203660180U (zh) * 2013-12-06 2014-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连接器固定件及应用此连接器固定件的连接器模块
CN104748630B (zh) * 2013-12-26 2016-08-31 贵州久联民爆器材发展股份有限公司 电雷管快速接线方法及装置
KR101540602B1 (ko) * 2014-01-29 2015-07-31 주식회사 조우스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CN104092177A (zh) * 2014-06-25 2014-10-08 吴楠 具有自锁性能的导线连接桥
EP3221930A4 (en) 2014-11-21 2018-10-31 Duane K. Smith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CN104617403B (zh) * 2015-02-10 2016-09-28 宁波福尔达智能科技有限公司 电路快速分流连接器
KR20160128508A (ko) 2015-04-28 2016-11-08 주식회사 조우스 고전압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94274B1 (ko) *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KR101625079B1 (ko) * 2015-11-12 2016-05-30 금정엔지니어링(주)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US10566708B2 (en) * 2015-12-01 2020-02-18 Quickwire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6507138B2 (ja) * 2016-10-27 2019-04-24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3324488B1 (en) * 2016-11-16 2021-12-29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ctor arrangement with a conductor press-on member
DE112018002350B4 (de) * 2017-07-07 2021-08-26 Avx Corporation Draht-mit-draht-verbinder mit integriertem drahtstopp
CN107819213A (zh) * 2017-12-06 2018-03-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清远供电局 一种直导线夹
JP2019149335A (ja) 2018-02-28 2019-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端子及びハーネス
CN109193295B (zh) * 2018-10-10 2019-12-1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中山供电局 一种市政用电力电缆的分支连接机构的工作方法
KR102015256B1 (ko) * 2019-05-20 2019-08-27 백용일 와이어하네스용 커넥터
KR102156415B1 (ko) 2019-07-01 2020-09-15 유선아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CN112531358B (zh) * 2019-09-17 2023-01-10 宁波唯尔电器有限公司 电线连接装置及其方法
KR20210120708A (ko) 2020-03-27 2021-10-07 씨피케이 주식회사 다단 접속홀이 형성된 부재를 포함하는 연선 계단형 콘넥터
KR102488315B1 (ko) * 2020-09-14 2023-01-13 ㈜알파오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CN113629412B (zh) * 2021-08-12 2024-02-27 德清盖格电子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及接线端子排
CN115275652B (zh) * 2022-09-26 2022-12-20 国网浙江余姚市供电有限公司 一种自动剥线引流线搭接装置及其控制方法
DE102022004924B3 (de) 2022-12-19 2024-05-23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Kabelverbindungsvorrichtung und Verlängerungskabe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90153A (en) * 1918-03-30 1919-01-07 Joseph Fitzpatrick Wire-tapper.
DE2649098A1 (de) * 1976-10-28 1978-05-03 Siemens Ag Klemmelement zum abisolierfreien anschluss elektrischer leiter
US4472596A (en) * 1982-07-30 1984-09-18 At&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FR2584538B1 (fr) * 1985-07-02 1987-09-25 Alsthom Cgee Agencement de connexion auto-denudant encastre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et outil de connexion pour un tel agencement
US4684195A (en) * 1985-12-19 1987-08-0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Solderless electrical connector
US5195907A (en) * 1990-05-31 1993-03-23 Joseph Urban Tooless electrical connector and conductor cable for use therewith
JPH0689749A (ja) * 1992-06-15 1994-03-29 Whitaker Corp:The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端子
JPH0945386A (ja) * 1995-07-31 1997-02-14 Sumitomo Wiring Syst Ltd 圧接コネクタ
JPH11195441A (ja) * 1998-01-06 1999-07-21 Koji Yokota 導電線の接続装置
US6254421B1 (en) * 1998-06-29 2001-07-03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pivoting wire carrier with position detents
US6152760A (en) * 1999-03-23 2000-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Pivoting wire carrier for aerial drop wire and terminal therefor
JP3685323B2 (ja) * 2000-12-22 2005-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圧接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49948Y1 (ko) * 2001-07-18 2001-11-17 이선미 전선 접속구
JP3889983B2 (ja) * 2002-03-20 2007-03-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24187B2 (ja) * 2002-03-20 2007-06-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5665U1 (de) * 2002-04-12 2002-08-29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zum Anschluß und Abgriff von elektrischen Leitern
US6716055B1 (en) * 2002-11-25 2004-04-06 American Tack & Hardware Co.,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branched circuit to a main power source
US7018230B2 (en) 2004-03-12 2006-03-28 Channell Commercia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2760787Y (zh) * 2004-12-23 2006-02-22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刺破型连接器
US7442067B1 (en) * 2006-07-06 2008-10-28 Amaral Jerry N Ellipsoids shape cord clamp
KR20090061451A (ko) * 2007-12-11 2009-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US7867013B2 (en) * 2008-08-04 2011-0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line splice connector
KR200445086Y1 (ko) * 2008-12-04 2009-06-29 박종경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함
BRPI0924238A2 (pt) * 2009-04-30 2016-01-26 Kirk Andrade dispositivo de fixação de cabo ou cordão e método de manutenção de uma conexão entre cordões e cabo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744B1 (ko) * 2012-12-20 2013-03-06 (주)금정이엔씨 공동주택 배전용 스위치박스의 전선단말부 절연장치
KR102199979B1 (ko) * 2020-06-30 2021-01-08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통신케이블의 접속부 누수방지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19050A1 (de) 2011-03-24
CN102025047A (zh) 2011-04-20
US20110065306A1 (en) 2011-03-17
US8062056B2 (en) 2011-11-22
GB2473690A (en) 2011-03-23
GB201009860D0 (en) 2010-07-21
CN102025047B (zh) 2013-05-01
KR101026503B1 (ko) 2011-04-05
WO2011034265A1 (ko) 2011-03-24
JP2011065978A (ja) 2011-03-31
JP5058286B2 (ja)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03B1 (ko)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143452B1 (ko)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US8753141B2 (en) Adapter for connecting a harness to magnet wires
US8512066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KR200417442Y1 (ko) 조인트 커넥터
AU2011201455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RU2339133C1 (ru)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с прорезанием изоляции для дву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ников
KR880002191B1 (ko) 전기 코넥터
CN101573842A (zh) 连接器
EP3682531B1 (fr) Système de connexion pour machine électrique
US5733139A (en) Snap-together wire splice
US7413465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US5888091A (en) Termination of an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
KR101473688B1 (ko) 무탈피 다접점 캠형 전선접속용 커넥터
JPS6227506B2 (ko)
GB2029650A (en) Electrical connectors
CN219759975U (zh) 剥线完全的快速接线端子及电表不停电作业快速连接装置
KR200308178Y1 (ko)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KR200209880Y1 (ko) 패치 플러그
AU2019219758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425629A (zh) 被复线快速接续器
CN115954685A (zh) 一种快速接线端子及电表不停电作业快速连接装置
JP4678851B2 (ja) 差込プラグ
JP2003023728A (ja) 防水ジョイントコネクタ
RU2016445C1 (ru) Микроразъ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