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78Y1 -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78Y1
KR200308178Y1 KR20-2002-0038730U KR20020038730U KR200308178Y1 KR 200308178 Y1 KR200308178 Y1 KR 200308178Y1 KR 20020038730 U KR20020038730 U KR 20020038730U KR 200308178 Y1 KR200308178 Y1 KR 200308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insulating member
contact
fix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20-2002-0038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Abstract

본 고안은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연결조립되는 소형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의 소형 커넥터는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와 연결접속되고 상대 커넥터의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중앙단자부(10)와, 상기 중앙단자부(10)를 수용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20)와, 상기 절연부재(20)를 수용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중앙단자부(10)와 절연부재(20)를 고정하는 외부도체셀(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단자부(10)는 상기 절연부재(20)의 중앙관통구멍(22)안에 동축으로 수용되어 상대 커넥터단자를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물어잡아서 접촉하고, 각각은 하단에 1쌍의 접촉단자(11)와, 상기 접촉단자(11)를 서로 연결하며 동축케이블(1) 선단의 피복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12)와, 동축케이블(1)이 피복된 상태로 통과할 때 외피(3)를 절개하는 절단날부(15)와, 상기 절단날부(15)에서 피복이 벗겨진 중심도체(2)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홈부(14)를 구비한 중심도체 고정부(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LOW PROFI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
본 고안은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에서 소형 부품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에 구비된 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82580호로 알려진 것이 있다. 상기 종래의 동축케이블용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선단을 피복하여 그 노출된 중심도체를 중앙단자부에 얹고 솔더링으로 접합하여 우선 중앙단자부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가는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워 피복을 제거하고 그 피복이 제거된 중심도체를 중앙단자부에 연결하는데 조립생산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할 때 동축케이블에 과도한 힘을 가하면 내부의 중심도체가 절단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외부도체셀안에 절연부재를 먼저 삽입하고나서 중앙단자부를 절연부재의 중앙구멍에 정확하게 삽입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워 조립생산성이 극히 낮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커넥터 구조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여,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커넥터의 중앙단자부를 서로 연결할 때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벗겨낼 필요가 없고, 조립이 편리하여 불량발생율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연결접속되고 상대 커넥터의 접촉단자와 접촉하는 중앙단자부와, 상기 중앙단자부를 수용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를 수용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중앙단자부와 절연부재를 고정하는 외부도체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단자부는 상기 절연부재의 중앙관통구멍안에 동축으로 수용되어 상대 커넥터단자를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물어잡아서 접촉하고, 각각은 하단에 1쌍의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를 서로 연결하며 동축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동축케이블이 피복된 상태로 통과할 때 외피를 절개하는 절단날부와, 상기 절단날부에서 피복이 벗겨진 중심도체를 끼워 고정하는 고정홈부를 구비한 중심도체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는 중앙단자부와 이 중앙단자부에 연결된 동축케이블을 덮어서 고정하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는 결합돌기가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도체셀의 원통형 몸체부는 상기 절연부재의 결합돌기를 끼워 고정하는 오목홈이 형성되어 절연부재를 고정해주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을 연결할 때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별도로 벗겨내는 작업이 필요없어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절연부재가 외부도체셀과 맞물림결합되어 유동없이 견고히 결합되어 부품들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커넥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 커넥터에 동축케이블을 결합한 결합단면도,
도 3은 중앙단자부의 고정부의 부분확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중앙단자부와 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중앙단자와 동축케이블의 조립체를 절연부재와 조립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중앙단자부-동축케이블 조립체를 절연부재에 삽입한 상태이고, (b)는 (a)상태에서 절연부재의 덮개부를 덮어서 조립한 상태,
도 6은 중앙단자부-동축케이블의 조립체를 조립한 절연부재를 외부도체셀에 넣고 조립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외부도체셀의 몸체부안에 절연부재를 삽입한 상태, (b)는 외부도체셀의 스커트부를 구부려 조립한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동축케이블 2: 중심도체
3: 외피 10: 중앙단자부
11: 접촉단자 11a: 접촉돌기부
12: 지지부 13: 고정부
14: 고정홈부 15: 외피 절단날부
20: 절연부재 21: 원통형 몸체부
22: 중앙관통구멍 23: 수용홈
24: 케이블지지부 25: 커버부재
25a: 결합돌기 30: 외부도체셀
31: 원통형 몸체부 32: 내측공간
33: 연장부 34: 조임날개부
35: 스커트부 36: 덮개부
37: 걸림편 38: 걸림홈
39: 오목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축케이블용 커넥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와 연결접속되고, 상대 커넥터의 숫접촉단자(도시안함)와 접촉하는 중앙단자부(10)와, 상기 중앙단자부(10)를 수용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20)와, 상기 절연부재(20)를 수용하여 절연부재(20)와 동축케이블(1)를 고정하는 외부도체셀(3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단자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20)의 중앙관통구멍(22)안에 삽입되어 상대 커넥터의 숫접촉단자를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물어잡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1쌍의 접촉단자(11)를 구비한다. 상기 각 접촉단자(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서 마주보는 접촉단자(11)쪽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접촉돌기부(11a)를 포함한다. 상기 1쌍의 접촉단자(11)들은 상단에서 지지부(12)로써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2)는 상면에 얹혀지는 동축케이블(1)의 끝단을 지지하고, 한쪽 선단에서 위쪽방향으로 절곡되어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를 고정하는 고정부(1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가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의 직경(d)보다는 약간 작은 폭(W1)으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중심도체(2)의 직경만큼 점차 폭이 확장되는 고정홈부(14)와, 상기 고정홈부(14)의 입구 양쪽 측벽에는 입구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외피 절단날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 절단날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이 피복된 상태로 통과할 때 외피(3)를 입구의 폭(W1)만큼 절개하여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를 동축케이블(1)의 외피(3)로부터 노출시키고, 이 노출된 중심도체(2)는 고정홈부(14)에서 고정부(13)와 접촉함으로써 1쌍의 접촉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부(14)의 앞쪽에 위치한 동축케이블(1)은 상기 지지부(12)에 얹혀져 지지된다.
상기 절연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단자부(10)의 접촉단자(11)를 수용하는 중앙관통구멍(22)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부(21)와, 상기 원통형 몸체부(21)의 상단에 상기 중앙단자부(10)의 지지부(12)를 수용하는 수용홈(23)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3)과 연통되게 상기 원통형 몸체부(21)의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부(24) 및, 상기 원통형 몸체부(21)의 상기 케이블지지부(24)의 반대쪽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23)과 케이블지지부(24)를 위쪽에서 덮어주는 커버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25)가 절곡될 때, 그 커버부재(25)의 저면은 상기 수용홈(23)에 수용된 동축케이블(10)과 케이블지지부(24)에 수용되는 동축케이블(10)을 눌러서 고정해준다. 상기 절연부재(20)는 커버부재(25)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결합돌기(25a)를 구비하여 외부도체셀(30)의 오목홈(39)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외부도체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도체로 성형되고, 상기 절연부재(20)의 원통형 몸체부(21)를 내측공간(32)안에 넣어서 수용하는 원통형 몸체부(31)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31)는, 상단에 상기 중앙단자(10)에서 연장된 동축케이블(1)을 지지하는 연장부(33)가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단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원통형 몸체부(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동축케이블(1)을 덮어서 고정하는 스커트부(35)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부(35)는 원통형 몸체부(31)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상기 원통형 몸체부(31)의 상면을 덮는 덮개부(36)가 구비되고, 이 덮개부(36)의 선단에는 걸림편(37)이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부(32)의 외측벽에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홈(38)에 걸려져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덮개부(36)의 내측벽에는 오목홈(39)이 형성되어 원통형 몸체부(31)안에 수용된 절연부재(20)의 결합돌기(25a)를 수용한다. 따라서 원통형 몸체부(32)의 내부에서 절연부재(20)는 수용된 상태로 덮개부(36)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부(35)에는 선단이 중앙단자부(10)와 연결되어 원통형 몸체부(32) 외부로 연장되는 동축케이블(1)의 외주면을 감아조이는 복수개의 조임날개부(34)들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의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외부도체셀(30)의 외부에서 동축케이블(1)을 피복된 상태로 중앙단자부(10)의 고정부(13)에 형성된 고정홈부(14) 입구안으로 눌러서 동축케이블(1)의 외피를 고정홈부(14)의 입구에 형성된 외피 절단날부(15)에 의해 절개하고 이 절개된 외피사이로 노출된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를 고정홈부(14)에 접촉시켜 중앙단자부(10)와 동축케이블(1)을 연결한다. (도 4 참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축케이블(1)가 연결된 중앙단자부(10)를 절연부재(20)의 중앙관통구멍에 삽입하고, 중앙단자부(1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동축케이블(1)은 절연부재(20)의 케이블지지부(24)에 수용되게 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20)의 커버부재(25)를 구부려 중앙단자부(10) 및 동축케이블(1)을 덮어주면서 눌러서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중앙단자부(10)와 절연부재(20)를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도체셀(30)의 몸체부(31)의 내측공간(32)에 삽입하고나서 외부도체셀(30)의 스커트부(35)를 구부려 중앙단자부(10)와 절연부재(20)를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은 후, 스커트부(35)에 구비된 덮개부(36) 양쪽 선단에 구비된 걸림편(37)을 원통형 몸체부(31)의 외측벽의 걸림홈(38)에 끼워 넣어 고정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36)의 내측벽에 형성된 오목홈(39)안에는 원통형 몸체부(31)안에 수용된 절연부재(20)의 결합돌기(25a)를 수용하여 절연부재(20)가 원통형 몸체부(31)안에 유동없이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나서, 스커트부(35)의 조임날개부(34)들을 동축케이블(1)의 주위로 감아조여서 고정한다.
또 상기 본 고안의 커넥터는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를 중앙단자부(10)에 접속한 후 절연부재(20)에 조립하기 전에 상기 중심도체(2)와 중앙단자부(10)의 고정부(13)가 솔더링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심도체와 중앙단자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케이블과 중앙단자부를 연결하기전에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벗겨내지 않고 중앙단자부의 고정부의 고정홈안에 밀어넣기만 하면 외피절단날부가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절단하여 중심도체를 노출시키는 동시에 고정부에 접속시키게 되므로 조립공정이 단순해져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도체셀 안에 절연부재와 중앙단자부를 조립하기전 절연부재와 중앙단자부를 외부도체셀의 외부에서 먼저 조립하게 되므로 여러부품이 한꺼번에 조립될 때 발생하는 조립불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조립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와 연결접속되고, 상대 커넥터의 숫접촉단자(도시안함)와 접촉하는 중앙단자부(10)와, 상기 중앙단자부(10)를 수용하여 절연시키는 절연부재(20)와, 상기 절연부재(20)를 수용하여 절연부재(20)와 동축케이블(1)를 고정하는 외부도체셀(30)을 포함한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중앙단자부(10)는, 상대 커넥터의 숫접촉단자를 양쪽에서 탄력적으로 물어잡도록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지지부(12)로써 상단이 서로 일체로 연결된 1쌍의 접촉단자(11)의 하단에서 각각 마주보는 접촉단자(11)쪽으로 돌출되게 절곡된 접촉돌기부(11a)와, 상기 지지부(12)의 선단에서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를 고정하는 고정부(13)와, 상기 고정부(13)에 동축케이블(1)의 중심도체(2)의 직경(d)보다는 약간 작은 폭(W1)으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갈수록 중심도체(2)의 직경만큼 점차 폭(W)이 확장되는 고정홈부(14)와, 상기 고정홈부(14)의 입구 양쪽 측벽에는 입구를 향하여 서로 마주보면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외피 절단날부(15)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20)는 상기 중앙단자부(10)의 접촉단자(11)를 수용하는 원통형 몸체부(2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부(21)쪽으로 구부림되어 상기 원통형 몸체부(21)의 상단을 덮어주는 커버부재(25)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20)는 커버부재(25)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결합돌기(25a)를 구비하며, 이 결합돌기(25a)는 상기 외부도체셀(30)에 구비된 오목홈(39)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KR20-2002-0038730U 2002-12-27 2002-12-27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KR200308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30U KR200308178Y1 (ko) 2002-12-27 2002-12-27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30U KR200308178Y1 (ko) 2002-12-27 2002-12-27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411A Division KR100482861B1 (ko) 2002-12-27 2002-12-27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78Y1 true KR200308178Y1 (ko) 2003-03-19

Family

ID=4940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730U KR200308178Y1 (ko) 2002-12-27 2002-12-27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15B1 (ko) * 2003-12-19 2008-02-2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축 전기 커넥터
KR20210149500A (ko) * 2020-06-02 2021-1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WO2022154570A1 (ko) * 2021-01-18 2022-07-21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615B1 (ko) * 2003-12-19 2008-02-2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동축 전기 커넥터
KR20210149500A (ko) * 2020-06-02 2021-1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52948B1 (ko) * 2020-06-02 2022-01-1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WO2022154570A1 (ko) * 2021-01-18 2022-07-21 주식회사 센서뷰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2892B2 (ja) ケーブル接続エレメント
US6280229B1 (en) Plug connector
JPH08339861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JPH0377282A (ja)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JPH11260463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011394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8226736A (ja) 多極同軸コネクタ
US2003022465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8073597A (ja) ピアシング型コンタクト及び同軸コネクタ
KR19990063046A (ko) 접지 시스템을 구비한 차폐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308178Y1 (ko)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JP4380717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482861B1 (ko) 동축케이블용 소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EP1012920B1 (en) Cable connector
US6672913B1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77952A (ja) コネクタ
US6142795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ed contact
JP3703682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307759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5997351A (en) Waterproof press-connecting connector and press-connecting method
JP200317382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接続構造
JP6643064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キャリア付き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H10172681A (ja) コネクタ
JPH10116658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2298970A (ja) ケーブル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の端末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