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82B1 -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82B1
KR101422082B1 KR1020130051911A KR20130051911A KR101422082B1 KR 101422082 B1 KR101422082 B1 KR 101422082B1 KR 1020130051911 A KR1020130051911 A KR 1020130051911A KR 20130051911 A KR20130051911 A KR 20130051911A KR 101422082 B1 KR101422082 B1 KR 101422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ire
wire
terminal
connector
cutting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우테크
Priority to KR102013005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82B1/ko
Priority to TW102137538A priority patent/TW201444207A/zh
Priority to PCT/KR2014/001598 priority patent/WO2014181957A1/ko
Priority to RU2015151333A priority patent/RU2627738C2/ru
Priority to MX2015015418A priority patent/MX2015015418A/es
Priority to EP14794644.6A priority patent/EP2996201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대한 것으로서,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칼날 사이로 전선투입공간이 마련된 한 쌍의 직립편과 상기 한 쌍의 직립편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지고 전선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커팅장착부(31); 상기 커팅장착부의 전선투입공간으로 전선이 투입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커팅장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32,33); 및 상기 커팅장착부가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 양측의 커팅장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중앙연결띠(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상면에 상기 커팅장착부의 전선투입공간으로 투입된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내부 심선과 맞닿아 통전되는 동시에 피복이 길이방향에 대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부(3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 전선 이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선을 동시에 이음하여 경제적이고, 내부의 도전 부재와 외부의 절연 부재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절연 피복을 포함하지 않아 조립이 간단해지는 동시에 걸림돌부를 통해 전선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The terminal for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and electric wire joint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걸림돌기부를 통해 전선과의 접지면적을 증가시키고, 전선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분리되어 있는 두 개 이상의 전선을 연결하는 방법은 전선의 피복을 벗긴 뒤 노출된 심선을 서로 이음하고 이음된 부분을 절연 테이프로 감는 방법이 있다.
절연 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은 심선을 비틀기 위한 공구가 필요하고, 이음 작업이 번거로우며 감전과 같은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되어 있는 전선 간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도 매우 떨어져서 전선간의 접속이 축 방향으로 쉽게 분리 및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특별한 공구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복수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걸림돌기부를 통해 전선과의 접지면적을 증가시키고, 전선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칼날들이 형성된 직립편들 및 상기 직립편들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커팅 장착부; 상기 직립편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부; 및 적어도 2 개의 커팅 장착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중앙 연결띠를 포함한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걸림돌부는 하방이 넓고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걸림돌부는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삼각뿔 형상을 갖는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의 내부에 배치된 심선과 통전된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전선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직립편의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대향하는 하단부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직립편들을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평행하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수직하게 형성된다.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상기 걸림돌부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편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부에 인가된 하중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부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형상 변형 방지부들이 형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전선 이음 커넥터는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칼날들이 형성된 직립편들 및 상기 직립편들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커팅 장착부, 상기 직립편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부 및 적어도 2 개의 커팅 장착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중앙 연결띠를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전선 및 상기 터미널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하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와 결합되며 회동되어 상기 전선을 상기 터미널로 제공하는 상부 커넥터를 포함한다.
전선 이음 커넥터의 상기 걸림돌부는 하방이 넓고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전선 이음 커넥터의 상기 걸림돌부는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삼각뿔 형상을 갖는다.
전선 이음 커넥터의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의 내부에 배치된 심선과 통전된다.
전선 이음 커넥터는 상기 전선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직립편의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대향하는 하단부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직립편들을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전선 이음 커넥터의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다.
전선 이음 커넥터의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공구 없이 전선 이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선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내부의 도전 부재와 외부의 절연 부재를 포함하므로 별도의 절연 피복을 포함하지 않아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한, 걸림돌기부를 통해 전선의 축 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상, 하부커넥터 및 내부의 터미널을 조립하여 형성되며,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피복 전선을 피복 제거 없이 서로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을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는 하부커넥터(10)와, 상부커넥터(20) 및 터미널(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커넥터(10)는 상면이 개방된 수용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터미널(30) 및 전선(4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넥터(10) 중앙의 양 측면에는 서로 마주보고 관통되어 있는 축지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지지부(11)는 상부커넥터(20)의 고정축(21)이 삽입 관통되어 상부커넥터(20)와 하부커넥터(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넥터(10)의 길이방향 양단 바닥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그 상단부에서 다시 외측으로 절곡 돌출된 복수의 고정돌기(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복수의 고정돌기(12)는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고,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양단부에 모두 4개의 고정돌기(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넥터(10)는 길이 방향 전단부 및 후단부에 전선(40)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전선지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커넥터(20)는 바닥면이 개방된 수용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터미널(30) 및 전선(40)이 수용되어 있는 하부커넥터(10)를 덮어 씌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커넥터(20)의 중앙부에는 하부커넥터(10)의 축지지부(11)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축(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넥터(20)의 전, 후단부 양 측면에는 하부커넥터(10)의 고정돌기(12)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고정공(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넥터(20)는 전단부 및 후단부에 전선(40)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전선지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커넥터(20)는 상기 고정축(21)을 기준으로 대칭되며, 하부커넥터(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40)을 주입하기 위해 전선 이음 커넥터가 개방되도록 얇은 두께의 접힘변(점선으로 표시됨)을 가진다.
또한, 상부커넥터(20)의 상면의 안쪽면에는 복수의 안내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공(25)은 고정돌기(12)와 정렬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축(21)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한 개 이상의 안내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공(25)은 상부 및 하부커넥터(20, 10)의 지지홈(23, 13)을 통과한 전선(40)이 안내공(25) 내부를 통과하도록 전선(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커넥터(20)의 중앙부 저면에는 터미널(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된 판재 형상의 고정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은 터미널(3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넥터(20) 및 하부커넥터(10)는 고정돌기(12) 및 고정공(22)에 의한 고정 및 고정축(21)과 축지지부(11)에 의한 고정을 위해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30)은 I형상으로 되어 두 개의 전선(4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축(21)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양 영역이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터미널(30)은 커팅장착부(31)와, 연결부(32,33) 및 중앙연결띠(34)로 이루어진 얇은 철재띠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커팅장착부(31)는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칼날(31a1) 사이로 전선투입공간(31a2)이 마련된 한 쌍의 직립편(31a)과, 상기 한 쌍의 직립편(31a)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31b)으로 이루어지고 전선(40)이 배치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로 마주보는 칼날(31a1)은 상기 직립편(31a)의 상단부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그 폭이 좁아지다가 그 중앙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방의 연결편(31b)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는 영문 와이자(Y)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2,33)는 상기 커팅장착부(31)의 전선투입공간(31a2)으로 전선(40)이 상하 방향을 따라 투입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커팅장착부(31)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커팅장착부(31) 끼리의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장착부(31)가 상기 중앙연결띠(34)를 기준으로 그 양단부에 각각 4개씩 배치되며, 이중 일단부의 커팅장착부(31)에 대해 살펴보면 4개 중 1, 2번째 커팅장착부(31)와 3, 4번째 커팅장착부(31)는 각각 그 상단부가 짧은 막대형상의 연결부(32)에 의해 연결되고, 2, 3번째 커팅장착부(31)는 각각 그 하단부가 넓은 판재 형상의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커팅장착부(31) 전체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 중앙연결띠(34)는 상기 커팅장착부(31)가 양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들 양측의 커팅장착부(31)를 서로 연결하는 길다란 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커팅장착부(31)의 연결편(31b) 상면에는 상기 커팅장착부(31)의 전선투입공간(31a2)으로 투입된 전선(40)의 피복(42) 저면을 관통한 후 내부 심선(41)과 맞닿아 통전되는 동시에 피복(42)이 길이방향에 대해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부(3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부(35)는 하방이 넓고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되는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삼각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터미널(30)은 통전이 가능하도록 도전성 재질인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강도가 강하고 변성이 작은 인청동과 같은 구리 합금일 수 있다.
삭제
이때, 터미널(30)은 투입되는 전선(40)의 임계 저항에 따라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전선 이음 커넥터는 도 1와 같이 하부커넥터(10)의 내부에 터미널(30)을 조립한다.
이때, 터미널(30)은 하부커넥터(10)에 조립되는 상부커넥터(30)의 고정편(미도시)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상부커넥터(20)와 하부커넥터(10)의 조립은 상부커넥터(20)의 고정축(21)이 하부커넥터(10)의 축지지부(11) 내에 삽입 고정되면서 서로가 조립된다.
이때, 상부커넥터(20)의 접힘변을 축으로 양 끝을 위쪽 방향으로 접어 올리면 상부커넥터(20) 상면의 내측부가 노출된다.
이때, 노출되어 있는 상부커넥터(20)의 안내홀(25)을 통과하도록 전선(40)을 관통시킨다.
노출되어 있는 양쪽의 안내홀(25)에 두 개의 전선(40)이 삽입되면, 열려 있던 상부커넥터(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부커넥터(20) 및 하부커넥터(10)를 조립한다.
이때, 하부커넥터(10)의 복수의 고정돌기(12)는 상부커넥터(20)의 고정공(22)과 결합되어 상부커넥터(20) 및 하부커넥터(10)는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커넥터(20)와 하부커넥터(10)가 결합되면 상부커넥터(20)의 안내홀(25)이 하향 가압에 의해 터미널(30)의 칼날(31a1)과 동일 선상에 정렬되는 동시에 안내홀(25)을 통과한 전선(40)이 칼날(31a1)에 의해 그 피복(42)이 커팅되면서 심선(41)이 터미널(30)의 칼날(31a1) 사이에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각각의 연결편(31b) 상의 뾰족한 걸림돌부(35)가 상기 전선(40)의 피복(42) 저면을 관통한 후 그 내부의 심선(41)까지 도달하여 통전 가능하게 되면서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피복(4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걸림이 이루어져서 축 방향으로의 당김력에 대항하는 저항력도 제공하여 전선(40)이 터미널(3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결과적으로 일측의 전선(40)과 타측의 전선(40)이 터미널(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물리적으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I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로서, 두 개의 전선(40)을 상부커넥터(20)의 양쪽 안내홀(25)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커넥터(20)를 하부커넥터(10)로 가압하여 결합시키면 전선(40)이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칼날(31a1)에 의해 피복(42)이 절개되어 걸리는 동시에 복수의 걸림돌부(35)가 피복(42) 저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심선(41)에 맞닿는 동시에 상기 피복(42)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는 원리를 갖는다. 또한 전선과의 접지면적을 증가시켜 고전압 고전류의 기기에도 적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티이자(T) 형으로 두 개의 전선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전선과, 이 제1전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품이다.
이러한 상기 티이자(T) 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50)은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칼날(51a)을 갖는 커팅장착부(51), 상기 커팅장착부(51)의 상,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52,53), 중앙연결띠(54) 및 걸림돌부(55)가 마련되는 구조는 동일하고 단지 그 전체적인 외형상만 영문자 티이자(T) 형상으로 된 것에 차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터미널(5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터미널(30)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60)은 도 1과 직립 구조인 점은 동일하고 다만 커팅장착부(61)의 연결 구조가 상이한 것에서 서로 간의 차이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팅장착부(61)가 상기 중앙연결띠(62)를 기준으로 그 양단부에 각각 3개씩 배치되며, 이중 일단부의 커팅장착부(61)에 대해 살펴보면 3개 중 단부의 1번째 커팅장착부(61)를 제외한 나머지 2, 3번째 커팅장착부(61)는 각각 그 상단부에 짧은 막대형상의 연결부(63)가 연결되고, 1, 2번째 커팅장착부(61)는 각각 그 하단부가 판재 형상의 연결부(6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커팅장착부(61) 전체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미 설명부호 40은 전선, 41은 심선을 나타낸 것이고, 61a는 칼날을 나타낸 것이며, 65는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 구조인 걸림돌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걸림돌부(65)의 양측에 대응하는 연결편의 상면에는 걸림돌부에 인가된 하중에 의하여 걸림돌부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형상 변형 방지부(65a)들이 형성된다. 형상 변형 방지부(65a)들 및 직립편의 내측면은 상호 경사지게 형성되며, 따라서 형상 변형 방지부(65a) 및 직립편의 내측면은 상호 둔각의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선 이음 커넥터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은 티이자(T) 형으로 두 개의 전선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1전선과, 이 제1전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2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품이다.
이러한 상기 티이자(T) 형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70)은 상기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칼날(71a)을 갖는 커팅장착부(71), 중앙연결띠(72), 연결부(73,74) 및 걸림돌부(75)가 마련되는 구조는 동일하고 단지 그 전체적인 외형상만 영문자 티이자(T) 형상으로 된 것에 차이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터미널(70)의 구성은 도 3의 터미널(60)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이 두 개의 전선을 연결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1:N 또는 N:M의 수효를 가지는 전선을 연결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10 : 하부 커넥터 11 : 축지지부
12 : 고정돌기 13 : 전선지지부
20 : 하부커넥터 21 : 고정축
22 : 고정공 23 : 전선지지부
25 : 안내공 30 : 터미널
31 : 커팅장착부 31a : 직립편
31a1 : 칼날 31a2 : 전선투입공간
31b : 연결편 32, 33 : 연결부
34 : 중앙연결띠 35 : 걸림돌부
40 : 전선 41 : 심선
42 : 피복 50 : 터미널
51 : 커팅장착부 51a : 칼날
52, 53 : 연결부 54 : 중앙연결띠
55 : 걸림돌부 60 : 터미널
61 : 커팅장착부 61a : 칼날
62 : 중앙연결띠 63, 64 : 연결부
65 : 걸림돌부 70 : 터미널
71 : 커팅장착부 71a : 칼날
72 : 중앙연결띠 73, 74 : 연결부
75 : 걸림돌부

Claims (15)

  1.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칼날들이 형성된 직립편들 및 상기 직립편들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커팅 장착부;
    상기 직립편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부; 및
    적어도 2 개의 커팅 장착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중앙 연결띠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의 내부에 배치된 심선과 통전되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는 하방이 넓고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는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삼각뿔 형상을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직립편의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대향하는 하단부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직립편들을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평행한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수직한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편의 상기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부에 인가된 하중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부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형상 변형 방지부들이 형성된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9. 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상호 마주보는 칼날들이 형성된 직립편들 및 상기 직립편들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커팅 장착부, 상기 직립편들의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돌부 및 적어도 2 개의 커팅 장착부들을 상호 연결하는 중앙 연결띠를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전선 및 상기 터미널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하부 커넥터; 및
    상기 하부 커넥터와 결합되며 회동되어 상기 전선을 상기 터미널로 제공하는 상부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전선의 피복을 관통하여 상기 전선의 내부에 배치된 심선과 통전되는 전선 이음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는 하방이 넓고 상방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는 폭이 넓고 두께가 좁은 삼각뿔 형상을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각각의 상기 직립편의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와 대향하는 하단부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직립편들을 일체형으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선 이음 커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된 전선 이음 커넥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결띠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 및 상기 중앙연결띠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커팅 장착부의 상기 칼날의 방향은 상호 수직하게 형성된 전선 이음 커넥터.
KR1020130051911A 2013-05-08 2013-05-08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422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911A KR101422082B1 (ko) 2013-05-08 2013-05-08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TW102137538A TW201444207A (zh) 2013-05-08 2013-10-17 用於電線接頭連接器的端子
PCT/KR2014/001598 WO2014181957A1 (ko) 2013-05-08 2014-02-27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RU2015151333A RU2627738C2 (ru) 2013-05-08 2014-02-27 Контактный зажим дл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разъем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а и содержащий его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разъем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а
MX2015015418A MX2015015418A (es) 2013-05-08 2014-02-27 Terminal para conector de union de alambre electrico y conector de union de alambre electrico que tiene la misma.
EP14794644.6A EP2996201A4 (en) 2013-05-08 2014-02-27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ORS OF ELECTRICAL WIRES AND CONNECTORS OF ELECTRICAL WIRES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911A KR101422082B1 (ko) 2013-05-08 2013-05-08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082B1 true KR101422082B1 (ko) 2014-07-23

Family

ID=5174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911A KR101422082B1 (ko) 2013-05-08 2013-05-08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96201A4 (ko)
KR (1) KR101422082B1 (ko)
MX (1) MX2015015418A (ko)
RU (1) RU2627738C2 (ko)
TW (1) TW201444207A (ko)
WO (1) WO20141819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72A (ko) 2015-03-02 2016-09-12 임식 결선용 커넥터
KR101694274B1 (ko)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29863A4 (en) 2016-10-21 2020-05-2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IT201800006139A1 (it) * 2018-06-08 2019-12-08 Connessione per perforazione di isolante longitudinale (LIPC)
EP3739688B1 (en) 2019-05-15 2022-10-12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Electric wire connector
KR102473309B1 (ko) * 2020-07-08 2022-12-05 ㈜알파오 전력계량기용 무정전 루프백장치
CN114243322B (zh) * 2021-12-13 2024-04-19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电力用导电连接件快速连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5756A (ja) * 1994-10-14 1996-05-07 Yazaki Corp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KR20110138558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1099002B1 (ko) *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74478A1 (ru) * 1980-07-09 1982-11-15 Специализирован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е Бюро Строительной Техники Связи Министерства Связи Ссср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телефонных кабелей св зи,монт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лодка
US5147218A (en) * 1991-04-12 1992-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luggable modular splicing connector and bridging adapter
DE102006010279A1 (de) * 2006-03-02 2007-09-06 Mc Technology Gmbh Stecker für geschirmte Datenkabel
KR101026503B1 (ko) * 2009-09-17 2011-04-0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5756A (ja) * 1994-10-14 1996-05-07 Yazaki Corp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KR20110138558A (ko) * 2010-06-21 2011-12-28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KR101099002B1 (ko) *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72A (ko) 2015-03-02 2016-09-12 임식 결선용 커넥터
KR101694274B1 (ko) 2015-09-24 2017-01-23 이영환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이음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6201A1 (en) 2016-03-16
TW201444207A (zh) 2014-11-16
EP2996201A4 (en) 2016-12-07
WO2014181957A1 (ko) 2014-11-13
RU2015151333A (ru) 2017-06-14
RU2627738C2 (ru) 2017-08-11
MX2015015418A (es)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082B1 (ko)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전선 이음 커넥터
US8062056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KR101143452B1 (ko) 전선 이음 커넥터용 터미널
US8753141B2 (en) Adapter for connecting a harness to magnet wires
US8512066B2 (en) Electric wire connector for press connecting electric wires
EP2483969B1 (en) One-piece conductive clip for push-in wire connector
US20170294721A1 (en) Cable connector, carrier module thereof,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060035523A1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KR200417442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130069590A (ko) 전기 커넥터를 위한 케이블 오거나이저
US4793059A (en) Automatic grounding clip
CN111740254A (zh) 电缆组件、制造电缆组件的方法和设备及用于电缆组件的电气端子
US11189944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able junction connector
US7335029B2 (en) Circuit board with shielded connection
US11677169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ssembly for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ions
JP4102295B2 (ja) 同軸ケーブル用ピアシング端子
EP2897228A1 (en) Terminal device and electric outlet using same
CA1285037C (en) Automatic grounding clip
CN112751222B (zh) 配线相对于电连接器的定位定向
US6644994B1 (en) Connector with a function of getting rid of surges
US8770992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plug having detachable connect terminals
US20230016613A1 (en)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JP2016018716A (ja) 電線保持構造
JP5137654B2 (ja) 接続端子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KR910008787Y1 (ko) 연선용 전기 접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