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451A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451A
KR20090061451A KR1020070128467A KR20070128467A KR20090061451A KR 20090061451 A KR20090061451 A KR 20090061451A KR 1020070128467 A KR1020070128467 A KR 1020070128467A KR 20070128467 A KR20070128467 A KR 20070128467A KR 20090061451 A KR20090061451 A KR 2009006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housing
connector
joi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451A/ko
Publication of KR2009006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using a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cable-accommodating recesses or b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케이블이 압입됨으로써 상기 각 수용부 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터미널에는 각 터미널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터미널 연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조인트되는 케이블이 한쪽 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분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입력선으로 다수의 출력선을 가질 수 있게 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조인트 커넥터, 하우징, 터미널, 케이블, 압입, 절단부,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의 양방향 분배가 가능한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를 조인트 하여 여러 가지로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와이어에 직접 연결하는 스플라이스(Splice) 조인트 방법과 조인트 커넥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스플라이스 조인트 방법은 2 ~ 3 회로 정도 조인트 구현이 가능하고, 조인트 커넥터는 24 회로 정도까지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인트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조인트 커넥터는 차량 또는 가전기기 등의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케이블 간이 통전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조인트될 회로들이 집속된 메일 커넥터와, 상기 메일 커넥터에 결합되는 피메일 커넥터로 구분되어 상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의 접속에 따라 집속된 회로가 조인 트된다.
한편, 차량에는 각종 전장품의 사양 증대에 따라 동일 전원단 회로에서 여러 전장품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조인트 커넥터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다수의 조인트 커넥터(100)가 적절한 위치에 분산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별도의 커넥터 고정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와이어의 한쪽 방향으로만 조인트 분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와이어링 굵기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가 동시에 필요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접 방식으로 구성되는 조인트 커넥터에 의해 커넥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조인트된 와이어를 양쪽 방향으로 분배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수용부가 구비된 하우징과; 케이블이 압입됨으로써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수용부 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터미널에는 각 터미널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터미널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 의하면, 전체적인 사이즈 가 축소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 고정을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의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조인트된 케이블이 한쪽 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분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입력선으로 다수의 출력선을 가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분해 도시된 하우징 커버의 하부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A)는 크게 하우징 본체(100)와, 케이블(C)이 압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00) 내에 적절하게 배열 설치되는 다수의 터미널(200) 및,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개방면을 마감하는 하우징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 본체(100)는 대략 직방체로 다수의 터미널(200)이 개별적으로 수용 가능하도록 다수의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10)는 상부와 양측면이 개방되도록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격벽(12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120)의 상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0)가 구 비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터미널(300)의 수용시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격벽(120)의 끝단에는 후술될 터미널 연결부(330)의 삽입을 위한 연결홈(140)이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 본체(100)의 양 측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조립돌기(150)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200)와의 결합 및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상측 개방 면에 대응되는 평판형의 구조로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구비된 조립돌기(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조립돌기(15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편(210)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커버(200)의 하부, 즉 하우징 본체(100)의 개방면과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수용부(110)와 동일한 위치 및 크기를 갖는 다수의 도피홈(220)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터미널(30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도피홈(220) 주변에는 상기 수용부(110) 내에 설치되는 터미널(30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돌기(230)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구비된 각각의 수용부(110)에는 케이블(C)이접속된 터미널(300)이 장착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터미널(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 장착되는 터미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터미널과 케이블과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터미널과 하우징 본체의 결합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회로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A)에 구비되는 터미널(300)은 크게 상기 수용부(110) 내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터미널 몸체(310)와, 상기 터미널 몸체(310)에 삽입되는 케이블(C)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 몸체(310)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한 케이블 고정부(320)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320)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연결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미널 몸체(310)는 일정 두께의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C)의 삽입이 가능함은 물론, 상기 수용부(110) 내에 수용시 유동 없이 견고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부(110)의 내부 형태와 동일한 '
Figure 112007089075044-PAT00001
'의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10) 내에 밀착 조립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 몸체(110)의 내부 양측 벽면에는 삽입되는 케이블(C)이 압접 방식에 의해 터미널(300)과 조인트 가능하도록 절단부(3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C)의 피복 일부가 절단되면서 상기 케이블 내의 심선과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부(311)는 터미널 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절한 위치에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 몸체(310)의 상부 양측에는 돌기 형태의 고정편(312)이 돌출되고, 상기 고정편(312)와 대응되는 위치 하우징 본체(100)의 돌출부(130)에는 상기 고정편(312)이 삽입 가능한 크기로 고정홈(131)이 형성된다.
즉, 터미널(300)을 상기 격벽(120)마다 구비된 돌출부(130) 내에 강제적인 압입을 통해 고정되며, 이때 상기 고정편(312)과 고정홈(131)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터미널(300)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미널 몸체(31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케이블 고정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320)는 터미널 몸체(310)의 양단에 연장되는 연장부(321)와, 상기 연장부(321)의 끝단에서 돌출되는 절곡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블(C)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부(322)를 절곡함으로써, 상기 케이블(C)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절곡부(322)는 상기 연장부(321) 일측에 하나만이 구비되어도 무방하지만,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연장부(321)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 케이블(C)을 압착시킴으로써, 케이블(C)의 고정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21)는 상단이 일정 경사면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대한 하우징 커버(300)의 결합시 하우징 커버(300)에 구비된 밀림방지돌기(230)와 접촉되어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이때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는 부분의 밀림방지돌기(230) 역시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3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 고정 부(320)에 일체로 연장된 터미널 연결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 연결부(330)는 각각의 개별 터미널(30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터미널 연결부(330)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320)의 외측에 연장되는 연결부(331)와 상기 연결부(33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돌출편(332) 및, 상기 돌출편(332)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접촉편(3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돌출편(332)이 상측으로 벌어지는 'V'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편(333)의 끝단이 각각 개별 터미널(300)들의 접촉편(333) 끝단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되기 때문에 각 개별 터미널(300)들의 상호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편(333)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형성된 연결홈(140)에 의해 하우징 본체(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아니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 본체(100)와 하우징 커버(300)의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미널(300)이 하나의 개별 터미널(300)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하우징 본체(100)의 수용부(110) 내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것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각각의 개별 터미널(300)들의 접촉편(333)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수용부(110)에 장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케이블(C)을 각각의 터미널(300)에 넣고 압접하면 절단부(311)에 의 해 케이블(C)의 피복이 절단되면서 케이블(300)의 심선과 터미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시 각각의 터미널(300)들은 터미널 연결부(330)의 접촉편(333)에 의해 옆 라인 터미널(300)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본체(100) 내에 수용된 모든 터미널(300)들은 서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하우징 본체(100)에 수용된 모든 터미널(300)이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다양한 출력 방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C)이 압접된 터미널(300)이 4개소 구비된 것에 대하여만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1개의 입력으로 7개의 출력을 낼 수 있게 되는 등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내장되는 터미널(300)의 갯수에 따라 다양한 조인트 회로의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분해 도시된 하우징 커버의 하부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에 장착되는 터미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터미널과 케이블과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터미널과 하우징 본체의 결합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회로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조인트 커넥터 C - 케이블
100 - 하우징 본체 110 - 수용부
120 - 격벽 130 - 돌출부
200 - 하우징 커버 300 - 터미널
310 - 터미널 몸체 311 - 절단부
320 - 케이블 고정부 330 - 터미널 연결부

Claims (6)

  1. 둘 이상의 수용부(110)가 구비된 하우징(100)과;
    케이블(C)이 압입됨으로써 상기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수용부(110) 내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터미널(300)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터미널(300)에는 각 터미널(30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터미널 연결부(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300)은,
    상기 수용부(110) 내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 양측 벽면에는 삽입되는 케이블(C)의 피복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311)가 형성된 터미널 몸체(310)와,
    상기 케이블 몸체(3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연결부(330)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 고정부(320)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면 및 양 측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내부에는 상기 수용부(110)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격벽(120)이 구비된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개방면을 마감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300)로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300)은 상기 하우징 커버(200)에 의해 상기 수용부(110)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상기 다수의 격벽(120)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300)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0)에는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31)과 대응되는 위치의 터미널(300)에는 상기 고정홈(13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3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200)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와의 결합시 상기 하우징 본체(100) 내에 설치된 터미널(300)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돌기(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070128467A 2007-12-11 2007-12-11 조인트 커넥터 KR20090061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67A KR20090061451A (ko) 2007-12-11 2007-12-11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67A KR20090061451A (ko) 2007-12-11 2007-12-11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51A true KR20090061451A (ko) 2009-06-16

Family

ID=4099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467A KR20090061451A (ko) 2007-12-11 2007-12-11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4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265A1 (ko) * 2009-09-17 2011-03-24 Lee Young Hwan 전선 이음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4265A1 (ko) * 2009-09-17 2011-03-24 Lee Young Hwan 전선 이음 커넥터
KR101026503B1 (ko) * 2009-09-17 2011-04-0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5353B (zh) 直插推入线连接器
JP6774757B2 (ja) 自動車産業用の電気コンタクト手段および電気ケーブル組立体
CN101436742B (zh) 电连接器
TWI524598B (zh) 電連接器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US10525906B2 (en) Branch structure and wire harness
US20090321129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70107312A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CN112242634A (zh) 用于导电型材的连接器以及导电装置
WO1983003717A1 (en) Interface connector
CN100585947C (zh) 端子板部件和无螺钉连接器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CN218386095U (zh) 一种轨道式电源插座
US20110232960A1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KR20090061451A (ko) 조인트 커넥터
JPH11178162A (ja) 分岐接続箱
KR20110062476A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CN107346844B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US9819106B2 (en) Male strip connector
CN115051178A (zh) 电流传输组件与电流传输系统
KR101975935B1 (ko) 다중 조인트 연결 장치
KR200414136Y1 (ko) 삽입형 압착단자
JP2010061840A (ja) 電線接続用薄型コネクタ
JP6307573B1 (ja) ケーブル固定構造
CN204333362U (zh) 具有缆线的探针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