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76B1 -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 Google Patents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76B1
KR102107776B1 KR1020170147407A KR20170147407A KR102107776B1 KR 102107776 B1 KR102107776 B1 KR 102107776B1 KR 1020170147407 A KR1020170147407 A KR 1020170147407A KR 20170147407 A KR20170147407 A KR 20170147407A KR 102107776 B1 KR102107776 B1 KR 10210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eceiving groove
housing
edge lin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580A (ko
Inventor
오형종
Original Assignee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편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며 내부에 전선을 클램핑 하는 인장 클램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및 제2분할 하우징과 제1 및 제2분할하우징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는 록킹부를 구비하고, 제1분할 하우징의 제2분할 하우징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메인 수용홈과 제1분할 하우징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돌출되는 서브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분할 하우징의 제1분할하우징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메인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메인 돌기와, 제2분할 하우징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서브 돌기가 수용되는 서브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 돌기는 메인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수용홈의 바닥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메인 바디부분과, 메인 바디 부분의 종단에서 휘어짐이 가능하게 메인바디보다 두께가 얇게 연장되어 메인 수용홈에 밀착되는 플렉서블 밀착부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cover for wedge type tension clamp}
본 발명은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밀성을 향상시킨 구조로 된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인장 클램프는 애자로 전선을 지지할 때 전선을 파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품이다. 인장 클램프는 설치가 용이하고 전선을 쉽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전선이 고정되는 부분을 쐐기 구조로 하여 구성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압 전력을 보내기 위해 설치되는 송전선로 등에 쐐기형 인장 클램프가 사용시 매우 큰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인장력이 최대 약 4000~4500㎏f정도까지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쐐기형 인장 클램프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2772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한편, 인장 클램프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의 안내 목적과 인장클램프의 절연을 위하여 애자와의 연결부분과 인장클램프를 에워싸는 함체 형태의 커버가 사용된다.
이러한 인장 클램프의 커버는 등록 실용신안 제20-0264116호 등 다양하게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버는 빗물 등이 쉽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는 연결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며 내부에 전선을 클램핑 하는 인장 클램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전선이 입출되는 제1 및 제2 전선 통과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 전선 입출부와, 애자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애자 입출공이 형성된 애자 삽입부를 갖는 제1 및 제2분할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분할하우징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는 록킹부를 구비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 하우징의 상기 제2분할 하우징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메인 수용홈과 상기 제1분할 하우징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돌출되는 서브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분할 하우징의 상기 제1분할하우징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상기 메인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메인 돌기와, 상기 제2분할 하우징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서브 돌기가 수용되는 서브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돌기는 상기 메인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용홈의 바닥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메인 바디부분과, 상기 메인 바디 부분의 종단에서 휘어짐이 가능하게 상기 메인바디보다 두께가 얇게 연장되어 상기 메인 수용홈에 밀착되는 플렉서블 밀착부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렉서블 밀착부분은 상기 메인 수용홈에 수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 부분의 종단에서 상기 메인 수용홈의 바닥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메인 수용홈에 호형으로 휘어져서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의하면, 상호 맞결합될 때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결합대상 표면과 밀착되는 플렉서블 밀착부분에 의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가 애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의 내부공간이 노출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버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커버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버의 절단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분할하우징을 미결합상태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절단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가 애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의 내부공간이 노출되게 펼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커버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커버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100)는 제1분할하우징(110), 제2분할하우징(120), 연결편(130), 록킹부(14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분할하우징(110)(120)은 연결편(1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편(130)을 중심으로 회동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분할하우징(110)(12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전선(10)을 클램핑 하는 쐐기형 인장 클램프(3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02)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 분할하우징(110)(120)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02)과 연통되며 전선(10)이 입출되는 제1 및 제2 전선 통과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 전선 입출부(104)(106)와, 애자(5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간(102)과 연통된 애자 입출공이 형성된 애자 삽입부(108)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분할하우징(110)(120)에서 상호 맞결합되는 부분의 실링구조를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분할 하우징(110)의 제2분할 하우징(120)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메인 수용홈(112)과, 메인 수용홈(112)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제1분할 하우징(110)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돌출되는 서브 돌기(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분할 하우징(120)의 제1분할하우징(110)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메인 수용홈(112)에 진입되어 삽입되도록 돌출된 메인 돌기(122)와, 제2분할 하우징(120)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서브 돌기(114)가 수용되는 서브 수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메인 돌기(112)는 메인 바디부분(122a)과, 플렉서블 밀착부분(122b)으로 되어 있다.
메인 바디 부분(122a)은 메인 수용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수용홈(112)의 바닥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 부분이다.
플렉서블 밀착부분(122b)은 메인 바디 부분(122a)의 종단에서 메인바디부분(122a))보다 두께가 얇게 연장되되 메인 수용홈(112)의 바닥보다 긴 길이를 갖게 길게 연장된 부분이다.
이러한 플렉서블 밀착부분(122b)은 제1분할하우징(110)과 제2분할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수용홈(112)에 호형으로 휘어져서 메인 수용홈(112)의 표면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록킹부(140)는 제1 및 제2분할 하우징(110)(120)을 상호 결합상태에서 록킹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록킹부(140)는 제1분할 하우징(110)에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결합공(141a)이 형성된 제1록킹편(141)과 제1분할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록킹편(141)의 에 가장자리 라인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결합공(141a)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 제2록킹편(143)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의하면, 상호 맞결합될 때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결합대상 표면과 밀착되는 플렉서블 밀착부분(122b)에 의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제1분할하우징 120: 제2분할하우징
130: 연결편 140: 록킹부

Claims (2)

  1. 연결편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을 중심으로 상호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며 내부에 전선을 클램핑 하는 인장 클램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며 전선이 입출되는 제1 및 제2 전선 통과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 전선 입출부와, 애자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게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애자 입출공이 형성된 애자 삽입부를 갖는 제1 및 제2분할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분할하우징을 상호 결합 및 분리하는 록킹부를 구비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 하우징의 상기 제2분할 하우징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내측으로 인입된 메인 수용홈과 상기 제1분할 하우징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돌출되는 서브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분할 하우징의 상기 제1분할하우징과 상호 맞결합되는 가장자리라인에는 상기 메인 수용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메인 돌기와, 상기 제2분할 하우징의 가장자리라인으로부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서브 돌기가 수용되는 서브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돌기는
    상기 메인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수용홈의 바닥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메인 바디부분과, 상기 메인 바디 부분의 종단에서 휘어짐이 가능하게 상기 메인바디보다 두께가 얇게 연장되어 상기 메인 수용홈에 밀착되는 플렉서블 밀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플렉서블 밀착부분은 상기 메인 수용홈에 수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바디 부분의 종단에서 상기 메인 수용홈의 바닥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메인 수용홈에 호형으로 휘어져서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2. 삭제
KR1020170147407A 2017-11-07 2017-11-07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KR10210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07A KR102107776B1 (ko) 2017-11-07 2017-11-07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407A KR102107776B1 (ko) 2017-11-07 2017-11-07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80A KR20190051580A (ko) 2019-05-15
KR102107776B1 true KR102107776B1 (ko) 2020-05-07

Family

ID=6657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407A KR102107776B1 (ko) 2017-11-07 2017-11-07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839B1 (ko) * 2020-07-23 2021-10-12 임정석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351B1 (ko) * 2022-09-15 2023-05-16 신동원 전력선 고정용 클램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127Y1 (ko) * 2001-03-15 2001-10-08 평일산업 주식회사 폴리머 현수애자 데드엔드클램프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165A (ko) * 2007-11-15 2009-05-20 주식회사 만앤휴멜동우 자동차용 에어클리너의 시일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127Y1 (ko) * 2001-03-15 2001-10-08 평일산업 주식회사 폴리머 현수애자 데드엔드클램프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839B1 (ko) * 2020-07-23 2021-10-12 임정석 전선 접속부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80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268B1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CN106463925B (zh) 电气设备
CN111864473B (zh) 电插接连接部的插接连接器以及由其形成的电插接连接部
US20050227530A1 (en) Two wire folder line plugs and connectors
JPH0226348B2 (ko)
US20070141893A1 (en) Terminal box for electrical connections
KR101609860B1 (ko) 배전선로 전선분기 접속구
KR102107776B1 (ko)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커버
WO2019175847A1 (en) Electric connector
US8430697B2 (en) Plug-type connector and mating plug-type connector
CA2393176C (en) Two wire folder line plugs and connectors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JP2017513197A (ja) 多極の電気コネクタ部分
CN106887726A (zh) 夹持装置、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20200350729A1 (en) Plug connector of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set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functional element
WO2015060094A1 (ja) 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US7871287B2 (en) Branching device for an electric line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ES2383171T3 (es) Conector eléctrico con contactos de desplazamiento de aislamiento
KR100948132B1 (ko) 차량용박스
ITMI20110996A1 (it) Dispositivo elettrico per il collegamento multiplo di conduttori discontinui
US9748756B2 (en) Cable combination device
JP201906174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カバー体、及びコネクタ付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90129790A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KR20090022961A (ko) 커넥터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