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2961A - 커넥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2961A
KR20090022961A KR1020070088685A KR20070088685A KR20090022961A KR 20090022961 A KR20090022961 A KR 20090022961A KR 1020070088685 A KR1020070088685 A KR 1020070088685A KR 20070088685 A KR20070088685 A KR 20070088685A KR 20090022961 A KR20090022961 A KR 2009002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or housing
jaw
deformation
coupl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화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2961A/ko
Publication of KR2009002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미널이 삽입되는 장착공간(15)이 형성되고, 상대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레버(2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레버(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외면에는 결합가이드(30)가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우징몸체(11)와, 상기 결합가이드(30)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레버(20)의 변형을 방지하고, 결합채널(52)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변형방지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외면과 상기 변형방지구(50)의 결합채널(52)의 내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방지구(50)와 하우징몸체(11) 사이가 결합되는 면이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변형방지구(50)와 하우징몸체(11) 사이의 결합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져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 변형방지구, CPA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 housing}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구가 구비된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이 접촉함으로써, 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레버에는 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대커넥터의 걸림턱과 대응하여 서로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레버에는 누름부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는 이를 누름으로써, 상기 걸이턱의 위치가 변하도록 하여 상대커넥터와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과 걸어진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두 커넥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결합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구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커넥터와는 별개물로서, 상기 결합레버의 하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삽입되어 결합레버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커넥터의 외면을 타고 미끌어지면서, 상기 결합레버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구와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야 상기 결합레버의 변형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변형방지구와 커넥터 사이의 접촉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변형방지구와 커넥터 사이의 결합면적이 커지기 위해서는 변형방지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고, 이는 커넥터 전체의 부피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가 자동차 등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커져 공간활용률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형방지구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변형방지구와 커넥터하우징 사이의 결합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대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레버의 하방에 해당하는 외면에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결합가이드가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결합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주면이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결합채널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결합채널이 내부에 형성되고, 결합채널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변형슬릿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체결레버의 누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턱에 걸어지도록 상기 결합채널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형방지구의 몸체부와 상기 결합가이드의 횡단면은 서로 대응되는 원 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변형방지구의 결합방향을 따라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구의 결합채널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턱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걸이턱에 상기 제2걸림턱이 걸어지면 상기 변형방지구의 지지부가 상기 체결레버의 누름부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변형방지구의 몸체부의 양측에는 외면이 평면형상으로 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의 선단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의 몸체부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결합가이드의 제2걸이턱은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구의 제2걸림턱은 상기 제2걸이턱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채널의 내주면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하우징의 체결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구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커넥터하우징의 결합가이드의 외면이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가이드와 변형방지구 사이의 결합면적이 충분히 확보됨과 동시에, 변형방지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어, 결과적으로 커넥터 전체의 부피가 줄어들어 커넥터가 설치되는 차량 내부의 공간활용률이 향상되고, 커넥터의 제조원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변형방지구와 결합가이드가 가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커넥터하우징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몸체와 변형방지구 사이가 1차조립된 상태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몸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형방지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형방지구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1의 Ⅰ-Ⅰ'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하우징(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는 장착공간(15)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5)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스페이서삽입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부(18)에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하고,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랜스(도시되지 않음)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스페이서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상대커넥터하우징(도시되지 않음)과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펜스(19)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펜스(19)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쌍을 이루어 형성됨으로써,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펜스(19)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체결레버(20)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부와 체결되어, 두 커넥터하우징 사이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에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레버(20)에는 체결턱(2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2)은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부에 실질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레버(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20)에는 누름부(25)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5)는 상기 체결레버(20)의 자유단부 선단에 상기 하우징몸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작업자가 체결레버(20)를 탄성변형시키도록 외력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에는 결합가이드(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 드(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방지구(50)와 결합되는 것으로, 변형방지구(50)가 하우징몸체(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몸체(31)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길이방향, 즉 상대커넥터하우징이 결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몸체(31)의 횡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외면과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방지구(50)의 결합채널(52)의 내주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결합가이드(30)와 변형방지구(50) 사이가 평면으로 접하는 것에 비해, 둘 사이의 접촉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접촉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결합가이드(30)의 횡단면은 반드시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타원형과 같이 결합가이드(30)의 외면이 곡면을 이룰 수 있으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몸체(31) 외면에는 걸이턱(33,35)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33,35)은 변형방지구(50)의 걸림턱(53,55)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변형방지구(50)가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몸체(31)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이턱(33,35)은 제1걸이턱(33) 및 제2걸이턱(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걸이턱(33)은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방지구(50)의 제1걸림턱(53)과 대응되어 상기 결합가이드(30)와 변형방지구(50) 사이가 1차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걸이턱(35)은 변형방지구(50)의 결합방향으로 상기 제1걸이턱(33)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방지구(50)의 제2걸림턱(55)과 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가이드(30)와 변형방지구(50) 사이는 2차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2걸이턱(35)은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몸체(31) 외면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변형방지구(50)가 상기 결합가이드(3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말단에는 스토퍼(38)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38)는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말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변형방지구(50)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토퍼(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방지구(50)의 몸체부(51)의 선단(51')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변형방지구(50)가 결합된다. 상기 변형방지구(5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와 별개물로서, 상기 하우징몸체(11)와 결합하여 상기 체결레버(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5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1)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결합가이드(30)와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채널(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52)은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결합가이드(30)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결합채널(52)의 내면은 상기 결합가이드(30)의 몸체(31)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채널(52)의 내면과 결합가이 드(30)의 몸체(31)의 외면 사이의 결합면적을 넓게 하여, 상기 결합가이드(30)와 변형방지구(50)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채널(52)의 일측에는 변형슬릿(52')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52')은 상기 결합채널(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상기 몸체부(51)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여유공간에 해당된다. 이는 상기 몸체부(51)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채널(52)의 횡단면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제2걸이턱(35)과 변형방지구(50)의 제2걸림턱(55) 사이가 선택적으로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채널(52)의 내면에는 걸림턱(53,5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3,55)은 상기 결합가이드(30)의 걸이턱(33,35)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상기 걸이턱(33,35)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걸림턱(53,55)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걸림턱(53)은 제1걸이턱(33)에, 그리고 제2걸림턱(55)은 제2걸이턱(35)에 걸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53,55)은 상기 몸체부(51)의 각각 제1 및 제2걸이턱(33,3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1)의 외면에는 지지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7)는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결합가이드(30)에 2차결합되면, 즉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제2걸이턱(35)과 변형방지구(50)의 제2걸림턱(55)이 서로 걸어지면 상기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부(25)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지지부(57)에 지지되어 탄성변형되지 않고, 두 커넥터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 게는 도 2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외면을 향해 외력을 받더라도,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지지부(57)가 누름부(25) 하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체결레버(20)의 탄성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를 향하는 지지부(57)의 외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누름부(25)의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부(57)와 누름부(25)의 저면이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부(51)의 양측에는 손잡이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8)는 작업자가 이를 파지하고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부(51)의 외면 양측에 대칭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58)의 외면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몸체(11)에 변형방지구(50)가 1차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변형방지구(50)의 결합채널(52)이 상기 결합가이드(30)를 향하도록 하여 변형방지구(50)를 하우징몸체(11)의 상면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채널(52)의 내면과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외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변형방지구(50)는 하우징몸체(11)에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변형방지구(50)를 결합가이드(3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제1걸림턱(53)이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제1걸이턱(33)에 걸어진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구(50)는 상기 변형슬릿(52')으로 인해 턴성변형을 통 하여 결합채널(52)의 폭이 커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제1걸림턱(53)과 제1걸이턱(33) 사이의 결합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변형방지구(50)는 결합가이드(30)에 걸어진 상태가 되므로, 변형방지구(50)를 상기 하우징몸체(11)와 동시에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지지부(57)가 상기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가 아니므로 체결레버(20)의 탄성변형은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를 1차결합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1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상대커넥터하우징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체결레버(20)를 탄성변형시키면서 결합되어 두 커넥터하우징 사이가 체결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두 커넥터하우징 내부에 장착된 터미널 사이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 즉 두 커넥터하우징 사이가 결합되고 상기 변형방지구(50)와 하우징몸체(11)가 1차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변형방지구(50)를 계속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제2걸림턱(55)이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제2걸이턱(35)에 걸어진다. 이때, 상기 제2걸림턱(55)과 제2걸이턱(35)은 각각 대칭을 이루면 두 개가 형성되므로, 변형방지구(50)와 하우징몸체(11) 사이에 1차결합에 비해 보다 견고한 2차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선단에는 스토퍼(3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변 형방지구(50)의 과도한 삽입이 제한된다. 즉, 상기 변형방지구(50)의 몸체부(51) 선단(51')이 상기 스토퍼(38)에 걸어지게 되므로, 2차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변형방지구(50)에 외력을 더 가하더라도 변형방지구(50)가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변형방지구(50)의 지지부(57)가 상기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7)가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누름부(25)가 외력을 받더라도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되지 않으므로, 두 커넥터하우징 사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57)는 상기 체결레버(20)의 누름부(25) 저면과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누름부(25)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구(50)의 결합채널(52) 내주면과 상기 결합가이드(30)의 외주면은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방지구(50)와 결합가이드(30) 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둘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변형방지구(50)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변형방지구(50)와 결합가이드(30) 사이의 접촉면적은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몸체와 변형방지구 사이가 1차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형방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변형방지구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5는 도 1의 Ⅰ-Ⅰ'선에 대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하우징몸체와 변형방지구가 2차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Ⅵ-Ⅵ'선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하우징 11: 하우징몸체
20: 체결레버 25: 누름부
30: 결합가이드 33: 제1걸이턱
35: 제2걸이턱 50: 변형방지구
51: 몸체부 52: 결합채널
53: 제1걸림턱 55: 제2걸림턱

Claims (8)

  1. 터미널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대커넥터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레버의 하방에 해당하는 외면에는 외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결합가이드가 상기 상대커넥터하우징의 결합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결합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고, 내주면이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결합채널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결합채널이 내부에 형성되고, 결합채널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변형슬릿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턱에 걸어지도록 상기 결합채널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에는 상기 체결레버의 누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몸체의 외면에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의 몸체부와 상기 결합가이드의 횡단면은 서로 대응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에는 상기 변형방지구의 결합방향을 따라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구의 결합채널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걸이턱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걸이턱에 상기 제2걸림턱이 걸어지면 상기 변형방지구의 지지부가 상기 체결레버의 누름부의 하방에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의 몸체부의 양측에는 외면이 평면형상으로 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의 선단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의 몸체부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의 제2걸이턱은 상기 결합가이드의 외면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구의 제2걸림턱은 상기 제2걸이턱과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채널의 내주면 양측에 대칭을 이루며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KR1020070088685A 2007-08-31 2007-08-31 커넥터하우징 KR20090022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85A KR20090022961A (ko) 2007-08-31 2007-08-31 커넥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85A KR20090022961A (ko) 2007-08-31 2007-08-31 커넥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61A true KR20090022961A (ko) 2009-03-04

Family

ID=4069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685A KR20090022961A (ko) 2007-08-31 2007-08-31 커넥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29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588A (ko) 2022-06-29 2024-0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10943A (ko) 2022-07-18 2024-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588A (ko) 2022-06-29 2024-0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10943A (ko) 2022-07-18 2024-01-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68021B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functions of promoting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CN103201910B (zh) 保持器锁定结构
KR102353444B1 (ko) 커넥터
US905450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90104173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JP5581983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5096305B2 (ja) コネクタ用固定具
JP6011510B2 (ja) 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KR20090022961A (ko) 커넥터하우징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051643A (ko) 커넥터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0823341B1 (ko)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0442528Y1 (ko)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100848693B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KR20090129790A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27993Y1 (ko) 방수용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