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341B1 -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341B1
KR100823341B1 KR1020070020167A KR20070020167A KR100823341B1 KR 100823341 B1 KR100823341 B1 KR 100823341B1 KR 1020070020167 A KR1020070020167 A KR 1020070020167A KR 20070020167 A KR20070020167 A KR 20070020167A KR 100823341 B1 KR100823341 B1 KR 10082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ing
deformation
housing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30)가 구비되는 하우징몸체(11)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1차조립되어 유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에 의해 상기 하우징몸체(11)에 2차조립되어, 상기 결합레버(30)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레버(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방지구(50)에 의해 하우징몸체(11)의 결합레버(30)의 변형이 방지되고, 변형방지구(50)의 고정돌기(55)에 의해 변형방지구(50)가 하우징몸체(11)에 가조립된 상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변형방지구(50)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상대커넥터에 의해 하우징몸체(11)에 체결되므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어셈블리,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A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 및 이에 결합되는 변형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와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몸체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구의 구성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어셈블리에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제1커넥터 10: 커넥터하우징
11: 하우징몸체 20: 덮개부
25: 삽입공 27: 관통공
30: 결합레버 32: 체결부
34: 걸이턱 36: 누름부
40: 스페이서 50: 변형방지구
51: 방지구몸체 52: 스토퍼
53: 변형방지턱 55: 고정돌기
58: 변형슬릿 100: 제2커넥터
112: 걸림턱 113: 체결리브
115: 누름턱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구가 구비되는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이 접촉함으로써, 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레버에는 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대커넥터의 걸림턱과 대응하여 서로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레버에는 누름부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는 이를 누름으로써, 상기 걸이턱의 위치가 변하도록 하여 상대커넥터와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림턱과 걸어진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두 커넥터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누름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불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가 눌려져, 상기 걸이턱과 걸림턱의 결합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외력에 의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상기 커넥터가 차량의 내부와 같이 고온의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주위의 열에 의해 변형을 일으켜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결합레버를 지지하는 별도의 변형방지구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는 상기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와는 별개물로서, 상기 커넥터 및 상대커넥터가 결합될 때까지 별도로 관리되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변형방지구가 구비된다고 하여도, 상기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뒤에 상기 변형방지구를 삽입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된다. 즉, 상기 걸이턱과 걸림턱이 서로 걸어진 뒤에, 작업자는 상기 변형방지구를 삽입하는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레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변형방지구가 구비되는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방지구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는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형방지구의 삽입을 위한 별도의 작업공수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가 구비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되어 유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에 의해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어, 상기 결합레버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레버는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를 변형시켜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용아하게 해제하기 위한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체결부를 둘러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 구는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몸체에 고정된다.
상기 삽입공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 일부가 이를 통과하여 노출된다.
상기 변형방지구의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 및 상기 관통공의 폭은 상기 변형방지구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돌기의 선단 사이의 거리에 비해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의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덮개부 내측에서 1차조립된다.
상기 두 고정돌기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서 각각 상기 삽입공 및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된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면서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기 중에서 상기 변형방지구가 1차조립되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고정돌기는 상기 변형방지구가 2차조립되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의 외측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상기 결합레버를 향하는 상기 변형방지구의 일면에는 변형방지턱이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면서 상기 변형방지턱은 상기 체결부를 눌러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변형방지구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 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공의 외측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결합레버가 구비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결합레버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되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레버에 대응되는 체결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를 밀어주기 위한 누름턱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레버에는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걸이턱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서로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결합레버를 둘러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체결리브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서 상기 결합레버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을 상기 걸이턱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변형방지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부의 타측에는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누름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관통공 외측으로 밀어준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방지구에 의해 하우징몸체 의 결합레버의 변형이 방지되고, 변형방지구의 고정돌기(55)에 의해 변형방지구가 하우징몸체에 가조립된 상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변형방지구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상대커넥터에 의해 하우징몸체에 체결되므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 및 이에 결합되는 변형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이와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몸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구의 구성이 다른 각도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어셈블리는 두 개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이하 상기 두개의 커넥터를 각각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100)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커넥터(1)는 커넥터하우징(10)에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하우징(10)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몸체(11)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삽입공(12)과, 상기 삽입공(12)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13)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일측면에는 스페이서삽입공(17)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4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스페이서(40)의 선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타측면에는 스페이서안착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안착공(18)은 상기 스페이서삽입공(17)이 형성된 하우징몸체(11)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삽입공(17) 및 상기 터미널안착부(13)를 관통한 스페이서(40)의 선단이 걸어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일측에는 덮개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일측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레버(30)의 체결부(32)를 감싸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의 일측면에는 삽입공(2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5)은 아래에서 설명될 변형방지구(5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변형방지구(50)의 선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공(25)의 길이는 변형방지구(50)의 일측단으로부터 타측의 후술할 고정돌기(55)까지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변형방지구(50)가 탄성변형을 통해 일단 삽입되면, 고정돌기(55)에 의해 상기 덮개부(20) 내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삽입공(25)이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관통공(2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7)은 상기 삽입공(25)을 통해 삽입된 변형방지구(50)의 선단이 통과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삽입공(25)과 마찬가지로 변형방지구(50)의 선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7)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변형방지구(50)의 선단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변형방지구(5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턱(54)이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그에 대응되는 부분이 더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일측에는 결합레버(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30)는 제2커넥터(100)와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30)에는 체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32)는 제2커넥터(100)에 형성된 후술할 걸림턱(112)과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32)에는 걸이턱(34)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턱(34)은 그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림턱(112)과 보다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32)는 상기 덮개부(20)에 의해 감싸지는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레버(30)에는 상기 체결부(32)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누름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36)는 상기 체결부(32)와 함께 대략 'T'자 형상의 양단을 형성하여, 상기 누름부(36)를 누르면 상기 체결부(32)의 선단이 들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스페이서(40)가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40)는 상기 스페이서삽입공(17)을 통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13)에 형성된 랜스(도시되지 않음)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변형방지구(50)가 결합된다. 상기 변형방지구(50)는 상기 결합레버(30), 보다 정확하게는 결합레버(30)의 체결부(3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변형방지구(50)는 상기 삽입공(25)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32)를 눌러줌으로써 체결부(32)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방지구(50)의 골격은 방지구몸체(51)가 형성한다. 상기 방지구몸체(51)는 대략 얇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일단에는 스토퍼(5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2차조립된 경우, 변형방지구(50)가 더 이상 상기 삽입공(25)을 통해 삽입되지 않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지구몸체(51)의 저면에는 변형방지턱(5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방지턱(53)은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기 체결부(32)를 하방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체결부(32)가 상방으로 변형되어 상기 걸이턱(34)과 걸림턱(112)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4c 참조)
상기 방지구몸체(51)의 저면에는 체결턱(54)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54)은 상기 변형방지턱(53)과 같은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27)의 더 큰 높이로 개구된 부분으로 통과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체결턱(54)과 변형방지턱(53)은 상기 삽입공(25)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턱(54) 및 변형방지턱(53)에 의해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삽입공(25)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방지구몸체(51)의 양측에는 고정돌기(5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55)는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덮개부(20)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55)는 상기 스토퍼(52)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는 제1돌기(55a)와, 상기 스토퍼(52)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제2돌기(55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돌기(55a)는 상기 제2돌기(55b)에 비해 상기 삽입공(25)을 통해 먼저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변형방지구(50)가 1차조립되면서 상기 관통공(27)의 내측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고정돌기(55), 즉 제1돌기(55a)는 상기 변형방지구(50)가 2차조립되면 상기 관통공(27)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27)의 외측 가장자리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돌기(55a) 및 제2돌기(55b)는 모두 상기 덮개부(2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1차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돌기(55a)는 상기 관통공(27)의 내측 가장자리에, 그리고 상기 제2돌기(55b)는 상기 삽입공(25)의 내측 가장자리에 각각 걸어짐으로써,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고정된 상태로 관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돌기(55a)로부터 상기 방지구몸체(51)의 반대측면 혹은 제2돌 기(55b)로부터 상기 방지구몸체(51)의 반대측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삽입공(25) 및 관통공(27)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이는 상기 두 돌기에 의해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로부터 빠지지 않고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방지구몸체(51)에는 변형슬릿(58)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58)은 상기 방지구몸체(5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두 돌기(55a,55b)와 인접한, 상기 방지구몸체(51)의 내측에 방지구몸체(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58)은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착탈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1)에는 제2커넥터(10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100)의 외관 및 골격은 커넥터하우징(110)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은 상기 제1커넥터(1)의 커넥터하우징(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의 상면에는 걸림턱(11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12)은 상기 제1커넥터(1)의 걸이턱(34)과 대응하는 부분으로, 서로 걸어져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12)을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110)의 상면 양측에는 체결리브(1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113)는 상기 제1커넥터(1)의 상기 덮개부(20)의 내측에서 상기 체결부(32)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112)을 상기 걸이턱(34)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체결리브(113) 중에서, 상기 두 커넥터(1,10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관통공(27)에 대응되는 위치로 삽입되는 체결리브(113a)에는 누름턱(115)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 1차조립된 상태로 상기 두 커넥터(1,1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턱(115)은 상기 제1돌기(55a)를 상기 관통공(27)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누름턱(115)은 상기 체결리브(113)가 상기 제1커넥터(1)의 하우징몸체(11) 상면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돌기(55a)에 닿게 되고, 두 커넥터(1,100)가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변형방지구(50)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1돌기(55a)를 상기 관통공(27)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누름턱(115)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누름턱(115)의 외면이 상기 제1돌기(55a)의 외면과 접촉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를 밀어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커넥터(100)에는 프론트홀더(12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홀더(120)는 상기 제2커넥터(100)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여, 상기 제2커넥터(100) 내부에 고정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부호 140은 방수시일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구가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되는 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4a 내지 도 4c는 하우징몸체(11)의 덮개부(20)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우선, 하우징몸체(11)에 변형방지구(50)를 1차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변형방지구(50)를 상기 삽입공(25)을 통해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스토퍼(52)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방지구몸체(51)의 선단이 상기 삽입공(25)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변형방지구(50)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제1돌기(55a)가 상기 삽입공(25)의 가장자리에 접하게 되는데, 상기 변형슬릿(58)에 의해 상기 방지구몸체(51)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힘을 주어 밀면 상기 제1돌기(55a)는 상기 삽입공(25)을 통과하여 상기 덮개부(2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방지구(50)를 계속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제2돌기(55b)도 상기 삽입공(25)에 닿게 되고, 상기 제1돌기(55a)와 마찬가지로 탄성변형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2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돌기(55a)는 상기 관통공(27)의 내측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되고, 제2돌기(55b)는 상기 삽입공(25)의 내측가장자리에 걸어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커넥터(100)를 상기 제1커넥터(1)와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커넥터(100)의 선단을 상기 제1커넥터(1) 방향으로 접근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리브(113)가 상기 제1커넥터(1)의 체결부(32)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커넥터(100)를 계속하여 밀어넣으면, 상기 걸림턱(112)은 상기 걸이턱(34)에 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턱(115)은 상기 제1돌기(55a)와 접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100)를 상기 제1커넥터(1) 방향으로 더욱 밀어주게 되면, 상기 누름턱(115)의 외면은 상기 제1돌기(55a)의 외면을 상기 관통공(27)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변형방지구(50)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돌기(55a)가 상기 관통공(27)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돌기(55a)가 관통공(27)을 통과한 뒤에는 상기 변형방지구(50)는 원형으로 복원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변형방지구(50)를 눌러 2차조립할 필요 없이, 상기 두 커넥터(1,100)를 서로 결합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변형방지구(50)는 상기 하우징몸체(11)에 2차조립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돌기(55a)는 상기 관통공(27)의 외측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스토퍼(52)는 상기 삽입공(25)의 외측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2)에 의해 상기 변형방지구(50)는 더 입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돌기(55a)가 상기 관통공(27)의 외측 가장자리에 걸어지므로, 상기 변형방지구(50)는 그 반대방향, 즉 상기 변형방지구(50)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 한 커넥터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변형방지구가 구비되므로, 하우징몸체의 결합레버의 변형이 방지되어 외력이나 기타 주변환경에 의해 두 커넥터 사이에 사용자가 원치 않는 분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어셈블리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두 커넥터 사이가 결합되기에 앞서, 변형방지구가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된 상태로 관리될 수 있어, 변형방지구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변형방지구를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하기 위해 작업자가 별도로 작업할 필요 없이, 두 커넥터 사이의 체결과정에서 변형방지구가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5)

  1.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레버가 구비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되어 유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대커넥터에 의해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어, 상기 결합레버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버는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를 변형시켜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용아하게 해제하기 위한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체결부를 둘러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변형방지구는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몸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 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 일부가 이를 통과하여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의 양측에는 고정돌기가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 및 상기 관통공의 폭은 상기 변형방지구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돌기의 선단 사이의 거리에 비해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의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덮개부 내측에서 1차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돌기는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서 각각 상기 삽입공 및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면서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은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 중에서 상기 변형방지구가 1차조립되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지지되는 고정돌기는 상기 변형방지구가 2차조립되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의 외측 가장자리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버를 향하는 상기 변형방지구의 일면에는 변형방지턱이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면서 상기 변형방지턱은 상기 체결부를 눌러 변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구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변형방지구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2차조립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삽입공의 외측 가장자리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11. 결합레버가 구비되는 하우징몸체와, 상기 결합레버의 일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결합레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하우징몸체에 1차조립되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한 고정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변형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레버에 대응되는 체결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제1커넥터와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를 밀어주기 위한 누름턱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레버에는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걸이턱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서로 걸어져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하우징몸체에는 상기 결합레버를 둘러 덮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체결리브는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서 상기 결합레버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을 상기 걸이턱 방향으로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는 상기 변형방지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덮개부의 타측에는 상기 변형방지구의 선단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누름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관통공 외측으로 밀어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KR1020070020167A 2007-02-28 2007-02-28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KR10082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67A KR100823341B1 (ko) 2007-02-28 2007-02-28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167A KR100823341B1 (ko) 2007-02-28 2007-02-28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341B1 true KR100823341B1 (ko) 2008-04-28

Family

ID=3957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167A KR100823341B1 (ko) 2007-02-28 2007-02-28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3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929B1 (ko) 2018-10-08 2019-12-27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200027752A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WO2024094172A1 (zh) * 2022-11-04 2024-05-10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卡接机构的连接器
KR20240136031A (ko) 2023-03-06 2024-09-13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269A (ko) * 1998-07-01 2000-02-07 정진택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장치
JP2002343499A (ja) * 2001-05-14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3017174A (ja) * 2001-07-04 2003-01-17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KR20030020384A (ko) * 2000-08-04 2003-03-0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접속기구
KR20060080087A (ko) * 2005-01-04 2006-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269A (ko) * 1998-07-01 2000-02-07 정진택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하우징의 연결장치
KR20030020384A (ko) * 2000-08-04 2003-03-0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전선 접속기구
JP2002343499A (ja) * 2001-05-14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3017174A (ja) * 2001-07-04 2003-01-17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KR20060080087A (ko) * 2005-01-04 2006-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752A (ko) 2018-09-05 2020-03-13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102059929B1 (ko) 2018-10-08 2019-12-27 주식회사 유라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WO2024094172A1 (zh) * 2022-11-04 2024-05-10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卡接机构的连接器
KR20240136031A (ko) 2023-03-06 2024-09-13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자동 위치 보정 기능을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875B2 (ja) 嵌合検知コネクタ
JP3521772B2 (ja) コネクタ
EP2899813B1 (en) Connector
US9385480B2 (en) Connector
KR100823341B1 (ko) 커넥터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어셈블리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KR20120006307A (ko) 커넥터조립체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EP1146605A2 (en) Connector
US6368165B2 (en) Connector
KR100952436B1 (ko) 커넥터
KR200442528Y1 (ko) 커넥터하우징 변형방지구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20100012414A (ko)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KR101978925B1 (ko) 포크인 커넥터
KR100912950B1 (ko) 커넥터하우징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0518Y1 (ko) 커넥터
KR100918136B1 (ko)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 및 커넥터 결합 고정장치의 고정부재
KR20090022961A (ko) 커넥터하우징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70833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