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43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436B1
KR100952436B1 KR1020070139183A KR20070139183A KR100952436B1 KR 100952436 B1 KR100952436 B1 KR 100952436B1 KR 1020070139183 A KR1020070139183 A KR 1020070139183A KR 20070139183 A KR20070139183 A KR 20070139183A KR 100952436 B1 KR100952436 B1 KR 10095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lder
housing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000A (ko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9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4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이 안착되기 위한 터미널안착부(24)가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22)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2)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24)의 형성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입구(26)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의 측면에는 록킹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슬롯(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입구(26)를 통해 상기 하우징(22)에 1차록킹되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장착되는 홀더(4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40)는 1차록킹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2차록킹되며, 상기 확인슬롯(34)을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1차록킹 작업 중에 홀더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2차록킹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는 홀더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확인슬롯을 통해 육안으로 1차록킹상태인지 2차록킹상태인지를 파악하여 다음 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 홀더, 록킹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홀더가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기기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내부에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커넥터는 하우징과 이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홀더가 커넥터에 1차록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커넥터의 정면에서 결합되는 프론트홀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은 일반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고정하도록 랜스(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통공이 형성되어 터미널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 으로 상대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의 전면에는 홀더(4)가 장착된다. 상기 홀더(4)는 상기 터미널을 상기 하우징(2)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랜스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랜스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터미널이 커넥터(1)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4)는 일반적으로, 1차록킹과 2차록킹에 의해 상기 커넥터(1)와 결합된다. 여기에서, 1차록킹이란 상기 홀더(4)가 상기 하우징(2)에 결합된 상태에서 터미널의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말하고, 2차록킹이란 터미널이 삽입되어 상기 홀더(4)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에 형성된 걸이후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홀더(4)는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1차록킹된다. 이에 의해, 상기 홀더(4)는 커넥터(1)와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고, 홀더(4)의 일부가 하우징(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4)가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상기 터미널을 하우징(2)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홀더(4)를 커넥터(1)를 향해 더 밀게 되면, 상기 홀더(4)와 커넥터(1) 간에 2차록킹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4)는 상기 랜스를 지지하게 되어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2) 내부에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4)와 커넥터(1) 사이의 결합이 1차 및 2차록킹으로 나누어져 이루어진다. 따라서, 1차록킹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을 삽입하는 공정의 작 업자는 따로 홀더(4)를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이미 1차록킹된 상기 홀더(4)를 더 눌러주어 2차록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1)에 상기 홀더(4)를 1차 및 2차 록킹하는 것은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홀더(4)가 1차록킹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4)와 커넥터(1)의 결합물은 다음 공정을 위해 이송된다. 그리고 다음 공정, 다시 말해 커넥터(1)에 터미널을 삽입한 후에 2차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과정이나, 운송과정에서 상기 결합물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외력에 의해 상기 홀더(4)와 커넥터(1) 간에 원치않는 2차록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상기 홀더(4)와 커넥터(1)의 1차록킹과 2차록킹은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1차록킹작업시에 상기 홀더(4)를 적절히 가압하지 못하여 2차록킹까지 발생할 염려가 있다. 결과적으로, 원치않는 2차록킹이 발생하여 다음 공정의 작업자는 상기 홀더(4)를 다시 분리하고 터미널을 삽입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워 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홀더(4)와 커넥터(1) 간의 록킹은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록킹상태가 1차록킹인지 2차록킹인지 구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홀더(4)가 결합되어 있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록킹상태를 구별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1차록킹과 2차록킹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차록킹과 2차록킹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이 안착되기 위한 터미널안착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입구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록킹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1차록킹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1차록킹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2차록킹되며, 상기 확인슬롯을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구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1차록킹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걸어지는 1차록킹턱이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1차록킹될 때 걸어지고, 상기 1차록킹턱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2차록킹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에 형성된 록킹날개가 안착되기 위한 날개안착부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2차록킹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서 일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2차록킹시에 상기 2차록킹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구비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록킹날개와; 상기 홀더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어 1차록킹시에 상기 1차록킹턱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슬롯은,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1확인부와; 상기 홀더의 2차록킹상태에서만 상기 홀더몸체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 2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은 2차록킹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걸이리브에 걸어져 2차록킹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규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홀더를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홀더가 커넥터에 1차록킹과 2차록킹을 통해 고정되고, 1차록킹 방향과 2차록킹 방향은 서로 직교한 방향을 이룬다. 따라서, 1차록킹 작업 중에 홀더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2차록킹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홀더가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측면에 확인슬롯이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홀더와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 에서 확인슬롯을 통해 육안으로 1차록킹상태인지 2차록킹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와 홀더의 록킹상태를 보고 다음 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홀더가 커넥터에 1차록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선 Ⅰ-Ⅰ 및 선 Ⅱ-Ⅱ에 따른 단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2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2)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4)에는 상기 하우징(2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4)는 상기 하우징(2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의 상면 일부는 개구되어 입구(26)를 형성한다. 상기 입구(26)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4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입구(26)는 상기 터미널안착부(24)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2)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날개(46)가 안착되는 날개안착부(28)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안착부(28)는 상기 입구(26)에 인접한 부분에 두 개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에서 상기 입구(26)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각각 1차록킹턱(30)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1차록킹턱(30)은 홀더(40)가 1차록킹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5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1차록킹턱(30)은 홀더(40)의 1차록킹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1차록킹턱(30)은 아래에서 설명될 2차록킹턱(32)과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록킹턱(30)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2')은 걸림돌기(50)의 경사면(5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1차록킹시에 탄성변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안착부(28)에는 2차록킹턱(32)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2차록킹턱(32)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날개(46)의 걸이턱(48)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2차록킹턱(32)은 홀더(40)의 2차록킹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2)의 양측에는 홀더(40)의 록킹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슬롯(34)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확인슬롯(34)은 홀더(40)가 커넥터(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홀더(40)의 록킹상태를 확인하는 부분이다.
상기 확인슬롯(34)에는 홀더(40)의 걸림돌기(5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 1확인부(34a)가 구비된다. 상기 제 1확인부(34a)에서는 걸림돌기(50)의 위치가 외 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걸림돌기(50)의 위치에 따라 홀더(40)의 록킹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확인부(34a)는 홀더(40)의 2차록킹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확인슬롯(34)에는 홀더(40)의 홀더몸체(4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 2확인부(34b)가 구비된다. 상기 제 2확인부(34b)에서는 홀더몸체(42)의 위치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홀더몸체(42)의 위치에 따라 홀더(40)의 록킹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확인부(34b)는 1차록킹상태에서는 홀더몸체(42)가 보이지 않고 2차록킹상태에서만 외부에서 보이도록 형성된다. 결국, 작업자는 상기 제 1확인부(34a) 또는 제 2확인부(34b)를 통해 홀더(40)의 록킹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다음 공정에서 록킹상태에 대해 착오를 일으키는 것이 방지되고, 다음 공정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20)의 하우징(22)에는 홀더(40)가 결합된다. 상기 홀더(40)는 상기 하우징(22)의 입구(26)를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홀더(40)의 외관 및 골격은 홀더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홀더몸체(42)는 상기 하우징(22)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홀더몸체(4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관통하기 위한 다수개의 터미널공(44)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42)에는 상면에는 손잡이부(45)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45)는 상기 홀더(40)를 상기 커넥터(20)에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42)에는 록킹날개(46)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킹날개(46)는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날개안착부(28)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록킹날개(46)는 2차록킹을 위해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록킹날개(46)의 선단에는 상기 2차록킹턱(32)에 걸어지는 걸이턱(48)(도 4 참조)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48)은 상기 록킹날개(46)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48)은 2차록킹될 때 상기 2차록킹턱(32)을 타고 넘어가서 2차록킹턱(32)에 걸어진다. 이때, 상기 록킹날개(46)는 탄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몸체(42)의 양측에는 걸림돌기(50)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50)는 상기 홀더(40)의 1차록킹시에 상기 1차록킹턱(30)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돌기(50)의 구성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50)에는 상기 1차록킹턱(30)의 경사면(32')에 대응되게 경사면(5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40)의 1차록킹시에 상기 경사면(32',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1차록킹턱(30)이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림돌기(50)가 1차록킹턱(30)에 걸어지면서 1차록킹턱(30)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홀더(40)가 커넥터(20)에 1차록킹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40)가 상기 커넥터(20)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홀 더(40)를 입구(26)를 통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홀더(4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더몸체(42)의 걸림돌기(50)는 1차록킹턱(30)을 탄성변형시킨다. 즉, 상기 걸림돌기(50)의 경사면(50')과 상기 1차록킹턱(30)의 경사면(32')이 서로 접촉되면서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림돌기(50)가 상기 1차록킹턱(30)에 걸어지면 1차록킹턱(30)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록킹날개(46)는 상기 하우징(22)에 형성된 날개안착부(28)에 각각 안착된다. 이 상태가 바로 상기 홀더(40)와 커넥터(20)의 1차록킹상태이고, 도 3 내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40)와 커넥터(20)가 1차록킹되면 상기 걸림돌기(50)가 1차록킹턱(30)에 걸어지므로 홀더(40)가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홀더(40)와 커넥터(20)의 결합이 유지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확인슬롯(34)을 통해 록킹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확인부(34a)를 통해 걸림돌기(50)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 2확인부(34b)로 홀더몸체(42)가 보이지 않는 것을 통해 1차록킹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22)의 터미널안착부(24)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기 홀더몸체(42)의 터미널공(44)을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24)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40)를 커넥터(20)에 2차록킹시킨다. 2차록킹은 상기 홀더(40)를 1차록킹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밀어주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45)를 잡고 화살표방향으로 밀어주 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40)의 1차록킹 및 2차록킹의 방향이 서로 같지 않고 수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홀더(40)에 외력이 작용하여 원치않는 2차록킹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록킹날개(46)의 걸이턱(48)은 록킹날개(46)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2차록킹턱(32)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상기 걸이턱(48)이 상기 2차록킹턱(32)을 넘어서 2차록킹턱(32)의 반대편에 걸어지면 2차록킹이 완료된다. 이 상태가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몸체(42)는 상기 2차록킹턱(32)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홀더몸체(42)의 선단이 걸이리브(36)에 걸어짐으로써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것도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42)는 터미널의 일측이 걸어지도록 이동됨으로써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제 1확인부(34a)를 통해 걸림돌기(50)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제 2확인부(34b)로 홀더몸체(42)가 보이는 것을 통해 2차록킹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20)에 결합되는 홀더(40) 중에 사이드홀더를 예 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사이드홀더가 아닌 프론트홀더, 리어홀더 등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홀더가 커넥터에 1차록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홀더가 커넥터에 1차록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 Ⅰ-Ⅰ에 따른 단면사시도.
도 5는 도 3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홀더가 커넥터에 2차록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선 Ⅲ-Ⅲ에 따른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커넥터 22 : 하우징
24 : 터미널안착부 26 : 입구
28 : 날개안착부 30 : 1차록킹턱
32 : 2차록킹턱 34 : 확인슬롯
34a : 제 1확인부 34b : 제 2확인부
40 : 홀더 42 : 홀더몸체
45 : 손잡이부 46 : 록킹날개
48 : 걸이턱 50 : 걸림돌기

Claims (8)

  1. 터미널이 안착되기 위한 터미널안착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입구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록킹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1차록킹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1차록킹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2차록킹되며, 상기 확인슬롯을 통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1차록킹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걸어지는 1차록킹턱이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1차록킹될 때 걸어지고, 상기 1차록킹턱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2차록킹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에 형성된 록킹날개가 안착되기 위한 날개안착부가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안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2차록킹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서 일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선단에는 2차록킹시에 상기 2차록킹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구비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록킹날개와;
    상기 홀더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어 1차록킹시에 상기 1차록킹턱에 걸어지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슬롯은,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제 1확인부와;
    상기 홀더의 2차록킹상태에서만 상기 홀더몸체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 2확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은 2차록킹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걸이리브에 걸어져 2차록킹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규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홀더를 록킹하거나 록킹해제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가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139183A 2007-12-27 2007-12-27 커넥터 KR10095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183A KR100952436B1 (ko) 2007-12-27 2007-12-27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183A KR100952436B1 (ko) 2007-12-27 2007-12-27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000A KR20090071000A (ko) 2009-07-01
KR100952436B1 true KR100952436B1 (ko) 2010-04-14

Family

ID=41322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183A KR100952436B1 (ko) 2007-12-27 2007-12-27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24Y1 (ko) * 2010-11-02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분배유니트의 버스바고정장치
KR101246518B1 (ko) * 2011-09-26 2013-03-26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869538B1 (ko) * 2017-02-08 2018-07-23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102366146B1 (ko) * 2017-09-27 2022-02-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879868B1 (ko) * 2018-05-30 2018-07-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용 터미널 고정장치
KR102166534B1 (ko) * 2019-08-12 2020-10-15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3978A (ja) * 1989-01-10 1990-07-18 Nippon Ee M P Kk 電気コネクタ
KR200417495Y1 (ko) 2006-03-09 2006-06-01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3978A (ja) * 1989-01-10 1990-07-18 Nippon Ee M P Kk 電気コネクタ
KR200417495Y1 (ko) 2006-03-09 2006-06-01 케이유엠 주식회사 차량용 커넥터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000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436B1 (ko) 커넥터
JP4550470B2 (ja) コネクタ
US6390859B2 (en) Connector housing
EP1986284A2 (en)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7588455B2 (en) Connector with aligning plate
US7396246B2 (en) Electrical connector
TWI581522B (zh) Connector
JPH0718378U (ja) 嵌合確認機構付コネクタ
JP6418101B2 (ja)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US7351086B2 (en) Connector
WO2017187962A1 (ja)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US7393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connector housings
JP5970343B2 (ja) 電気コネクタ
US7125292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inclination of the front part
JP2014044825A (ja)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嵌合治具
KR20100022841A (ko) 커넥터
WO2014084025A1 (ja) 端子抜き治具
US7553197B2 (en) Connector with securely lockable front mask
US6994597B2 (en) Connector enabling secure retention of contacts relative to insulator
JP2018037336A (ja) ロック解除機構、及び、このロック解除機構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3123439B2 (ja) コネクタ、ターミナル及びターミナル係止解除治具
KR20150122606A (ko) 자동차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 장착 방법
JP4523403B2 (ja) 電気コネクタ
US7001224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for locking terminal fitings
JP2005183340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