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495Y1 - 차량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495Y1
KR200417495Y1 KR2020060006313U KR20060006313U KR200417495Y1 KR 200417495 Y1 KR200417495 Y1 KR 200417495Y1 KR 2020060006313 U KR2020060006313 U KR 2020060006313U KR 20060006313 U KR20060006313 U KR 20060006313U KR 200417495 Y1 KR200417495 Y1 KR 200417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ont holder
connector
vehic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조석제
최정욱
Original Assignee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유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유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6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4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각종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을 인가하는 암커넥터로 구성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단자를 고정하는 프론트홀더로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 중앙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며 하우징에 1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은 상기 프론트홀더의 가압에 따라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을 지나 타측면에 걸려지며 하우징에 2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커넥터, 단자, 리어홀더, 란스, 제 1, 2상부체결공, 상부걸림턱

Description

차량용 커넥터{connector for vehicl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를 이루는 암, 수커넥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암커넥터의 구성인 프론트홀더와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하우징과 프론트홀더의 1차 체결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하우징과 프론트홀더의 2차 체결상태를 저면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와 도 5b는 하우징과 프론트홀더의 1차 및 2차 체결에 따른 돌기부와 걸림편의 간섭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암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커넥터의 구성인 프론트홀더와 하우징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프론트홀더와 하우징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본 고안인 숫커넥터의 하우징과 프론트홀더의 1차 체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b는 본 고안인 수커넥터의 하우징과 프론트홀더의 2차 체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암커넥터 12: 하우징
16: 돌기부 20: 프론트홀더
24: 걸림편 30: 접속단자
50: 수커넥터 52: 하우징
58: 걸림턱 60: 프론트홀더
62: 탄성편 64: 제 1돌기부
66: 제 2돌기부 68: 공간
70: 탭단자 100: 차량용 커넥터
본 고안은 암, 수커넥터로 이루어진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체결되는 프론트홀더가 1차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등에 의해 밀려들어가며 인위적으로 하우징에 2차 체결되는 것을 방지시켜 단자의 조립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에는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은 차량의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품과 와이어들은 연결시 배선작업의 편리함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 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숫커넥터(M측커넥터)와, 상기 숫커넥터에 결합되며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암커넥터(F측커넥터)로 나뉘어진다. 즉, 상기한 암, 수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암, 수커넥터내에 내장된 단자들이 서로 접속하게 됨으로서 차량의 전원을 전기, 전자부품으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암, 수커넥터의 제작공정은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다.
먼저, 암커넥터를 예로 들 경우, 암커넥터의 구성품인 하우징과 프론트홀더를 각각 사출 성형한 다음, 상기 프론트홀더를 하우징에 1차 체결시킨 상태에서 단자를 삽입하는 라인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프론트홀더의 삽입홀을 통해 단자를 개별적으로 삽입시킨 다음, 프론트홀더를 밀어 하우징에 2차 체결시키게 되면 단자는 하우징에 내장됨과 동시에 프론트홀더를 통해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서 하나의 암커넥터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하지만 프론트홀더와 하우징은 1차 체결된 상태에서 단자 삽입 라인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부충격등으로 프론트홀더가 인위적으로 밀려들어가 하우징에 2차 체결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이 2차 체결된 상태의 프론트홀더로는 단자의 삽입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프론트홀더를 하우징에서 빼내어 1차 체결상태로 되돌린 다음, 단자를 삽입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에 많은 번거로움을 야기시켰고, 이에 따른 작업효율 저하로 생산성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수커넥터 역시 암커넥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됨에 따라 암커넥터와 동일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론트홀더가 하우징에 1차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2차 체결되지 않도록 한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커넥터의 각 구성품간 조립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혀 생산성을 높혀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에 내장된 단자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프론트홀더간의 조립성 및 리워크(Rework)성을 높혀줄 수 있는 차량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각종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을 인가하는 암커넥터로 구성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단자를 고정하는 프론트홀더 로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 중앙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며 하우징에 1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고정시키는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은 상기 프론트홀더의 가압에 따라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을 지나 타측면에 걸려지며 하우징에 2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상기 돌기부와 걸림편은 상기 하우징 및 프론트홀더의 상면에 형성하거나 그 양측면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제 1체결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체결돌기부가 걸려지는 제 1체결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제 2체결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체결돌기부가 걸려지는 제 2체결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내에는 접속단자를 고정하는 란스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각종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을 인가하는 암커넥터로 구성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단자를 고정하는 프론트홀더로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단 중앙에는 상, 하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탄성편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의 상단에는 제 1돌기부 및 상기 제 1돌기부와 일정공간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제 2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홀더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제 1, 2돌기부 사이 공간에 걸려지며 하우징에 1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탄성편과 상기 프론트홀더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 2돌기부의 일측면에 걸려지며 하우징에 2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를 제시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커넥터(1)는 수커넥터(50)와, 상기 수커넥터(50)에 결합되는 암커넥터(10)로 나뉘어진다.
상기 수커넥터(50)는 차량의 장착된 각종 전기부품들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암커넥터(1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전기부품들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 수커넥터(50)에는 탭단자(70)가 내장된다.
상기 암커넥터(10)는 차량의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수커넥터(50)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을 상기 수커넥터(50)로 인가시키는 것으로서, 이 암커넥터(10)에는 접속단자(30)가 내장된다. 즉, 암, 수커넥터(10, 50)는 결합시 상기 수커넥터(50)에 내장된 탭단자(70)가 상기 암커넥터(10)에 내장된 접속단자(30)에 삽입됨으로서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첨부된 도 2는 상기한 암커넥터(10)의 구성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10)는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로 구성한 다.
상기 하우징(20)에는 다수개의 란스(22)들이 구비되며, 상기 란스(22)는 하우징(20)에 삽입되는 접속단자(40)들을 프론트홀더(30)와 함께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란스(22)는 프론트홀더(30)가 아닌 하우징(20)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프론트홀더(30)를 하우징(20)에서 체결해지시키는 과정에서 단자(40)가 하우징(20)내에서 이탈하여 상대편 단자와의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론트홀더(30)는 상기 하우징(20)의 전방에 체결되며 하우징(20)에 삽입되는 접속단자(40)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한편, 상기한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가 서로 체결됨으로서 하나의 암커넥터(10)가 제작되어 지는 데, 이때 프론트홀더(30)는 하우징(20)에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의 1차 체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체결홈부(24)에 프론트홀더(3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돌기부(32)가 걸려짐으로서 1차 체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가 1차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은 단자 삽입라인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하우징(20)과 플론트홀더(30)가 체결해지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자의 삽입공정을 원활히 진행토록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 4는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의 2차 체결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의 2차 체결은 하우징(20)에 1차 체결되어 있는 프론트홀더(30)를 밀어(가압)넣어 하우징(20)의 바닥 중앙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체결홈부(26)에 프론트홀더(30)의 바닥중앙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체결돌기부(34)가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2차 체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징(20)과 프론트홀더(30)가 2차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은 하우징(20)에 삽입된 단자(40)를 프론트홀더(30)가 눌러주도록 하여 하우징(20)에 삽입된 단자(40)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상단 중앙에는 사각형태의 돌기부(28)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3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돌기부(28)에 탄력적으로 간섭되어 지는 걸림편(36)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8)와 걸림편(36)은 프론트홀더(30)가 하우징(20)에 1차 체결된 후, 단자 삽입라인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프론트홀더(20)가 외부충격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밀려들어가 하우징(30)에 2차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5a와 도 5b는 암커넥터(10)인 하우징(20)에 체결되는 프론트홀더(30)의 1차 및 2차 체결시 상기 돌기부(28)와 걸림편(36)간의 간섭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 전방으로 프론트홀더(30)가 삽입되어 1차 체결되면 하우징(20)에 상단에 구비된 돌기부(28) 일측면(28a)이 프론트홀더(30)의 걸림편(36)에 간섭되어(걸림)지며, 따라서 프론트홀더(30)는 하우징(20)에 1차 체결된 상태에서 돌기부(280의 일측면(28a)에 간섭되는 걸림편(36)을 통해 이 송과정에서 외부 충격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밀려들어가 하우징(20)에 2차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1차 체결된 하우징(12) 및 프론트홀더(20)는 단자 삽입라인으로 이송된 후, 하우징(20)의 후방에 형성된 삽입홀(39)로 접속단자(40)를 삽입시키게 된다.
이후, 접속단자(40)가 하우징(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홀더(30)를 손으로 밀어(가압)주게 되면 첨부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홀더(30)는 하우징(20)내로 일정깊이 밀려 들어가며 하우징(20)에 2차 체결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홀더가 2차 체결되는 과정에서 텐션력을 가진 걸림편(36)은 돌기부(28)의 일측면(28a)을 지나 반대편인 타측면(28b)에 간섭되어 전술한 제 2체결돌기부(34) 및 제 2체결홈부(26)와 함께 하우징(12)에 2차 체결된 프론트홀더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6은 암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커넥터(110)는 하우징(120)과 프론트홀더(130)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20)과 프론트홀더(130)는 전술한 실시 예의 하우징(20) 및 프론트홀더(30)와 동일한 구조 및 방법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0)의 양측면에는 측면돌기부(128)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130)의 양측면에는 상기 측면돌기부(128)에 탄력적으로 간섭되는 측면걸림편(136)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돌기부(128)와 측면걸림편(130)은 전술한 실시 예 의 돌기부(28) 및 걸림편(36)과 동일한 기능 즉, 하우징(120)에 1차 체결된 프론트홀더(13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인위적으로 밀려들어가 하우징(130)에 2차 체결되는 것을 방지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7과 도 8은 전술한 차량용 커넥터(1)의 다른 구성품인 수커넥터(50)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50)는 하우징(52)과 프론트홀더(60)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52)에는 다수개의 란스(56)들이 구비되며, 상기 란스(56)는 하우징(52)에 삽입되는 탭단자(70)들을 프론트홀더(60)와 함께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52)의 후방에는 다수개의 탭단자(7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5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홀더(60)는 상기 하우징(52)의 전방에 체결되며 하우징(52)에 삽입되는 탭단자(70)를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프론트홀더(60)는 하우징(52)에 단계적으로, 다시말해서 하우징(52)에 1차 체결된 상태에서 하우징(52)내로 일정깊이 밀려 들어가도록 프론트홀더(60)를 가압하여 하우징(52)에 2차 체결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전술한 암커넥터(10)와 같은 동일한 목적 즉, 하우징(52)내로 탭단자(70)를 삽입하고, 삽입된 탭단자(70)를 고정하기 위함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의 상단 중앙에는 "¬"형태의 걸림턱(58)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60)의 상단 중앙에는 상, 하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탄성편 (62)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62)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턱(58)에 걸려지기 위한 제 1, 2돌기부(64, 6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2돌기부(64, 66)의 사이에는 프론트홀더(60)의 1차 체결시 상기 걸림턱(58)이 끼워지기 위한 공간(68)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돌기부(64)는 양측으로 복수개를 구비하고, 그 상면을 경사(64a)지게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림턱(58)과 제 1, 2돌기부(64, 66)들은 하우징(52)에 단계적으로 체결되는 프론트홀더(6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첨부된 도 8a와 도 8b는 수커넥터인 하우징에 체결되는 프론트홀더의 1차 및 2차 체결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홀더(60)를 하우징(52)의 전방에서 끼워넣어 1차 체결시키게 되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2)의 걸림턱(58)은 프론트홀더(60)의 제 1돌기부(64)의 경사면(64a)을 타고 이동하며 제 1, 2돌기부(64, 66) 사이 공간(68)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며, 따라서 프론트홀더(60)는 하우징(52)에 1차 체결된 상태에서 공간(68)에 걸려지는 걸림턱(58)을 통해 이송과정에서 외부 충격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고 1차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1차 체결된 하우징(52) 및 프론트홀더(60)는 다음공정인 단자 삽입라인으로 이송된 후, 하우징(52)에 형성된 삽입홀(54)을 통해 탭단자(70)를 하우징(52)내에 삽입시킨다.
이후, 탭단자(70)가 하우징(52)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론트홀더(60)에 구비된 탄성편(62)을 지그 또는 손으로 눌러주게 되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 (58)은 제 1, 2돌기부(64, 66) 사이 공간(68)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프론트홀더(60)를 손으로 밀어(가압)주게 되면 프론트홀더(60)는 하우징(52)내로 일정깊이 밀려 들어가며 하우징(52)에 2차 체결된 상태가 되고, 따라서 하우징(52)내에 삽입된 탭단자(70)는 프론트홀더(60)의 2차 체결에 따라 하우징(52)내에 고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프론트홀더(60)가 하우징(52)에 2차 체결되는 과정에서 걸림턱(58)은 제 1, 2돌기부(64, 66)의 사이 공간(68)에서 빠져나온 후, 상기 제 2돌기부(66)의 일측면(66a)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프론트홀더(60)는 하우징(52)에 2차 체결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에 단계적으로 체결되는 프론트홀더가 1차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으로 밀려들어가 인위적으로 2차 체결되는 것을 방지시켜 단자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작업효율을 높혀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프론트홀더간의 단계적인 체결력을 높이고, 또한 체결해지 작업을 간소화시켜 상호간의 조립성 및 리워크(Rework)성을 높혀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차량의 각종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을 인가하는 암커넥터로 구성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는 단자를 고정하는 프론트홀더로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상기 돌기부의 일측면에 탄력적으로 간섭되며 하우징에 1차 체결된 프론트홀더가 인위적으로 밀려들어가는 방지시키는 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걸림편은 상기 하우징 및 프론트홀더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걸림편은 상기 하우징 및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제 1체결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체결돌기부가 걸려지는 제 1체결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제 2체결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홀더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 2체결돌기부가 걸려지는 제 2체결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접속단자를 고정하는 란스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7. 차량의 각종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는 수커넥터(50)와, 상기 수커넥터(50)에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을 인가하는 암커넥터(10)로 구성한 차량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커넥터(50)는 하우징(52)과, 상기 하우징(52)에 1차 및 2차로 단계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52)내에 삽입되는 단자(70)를 고정하는 프론트홀더(60)로 구성하며;
    상기 프론트홀더(60)의 상단 중앙에는 상, 하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는 탄성편(6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62)의 상단에는 제 1돌기부(64) 및 상기 제 1돌기부(64)와 일정공간(68)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제 2돌기부(66)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52)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제 1, 2돌기부(64, 66) 사이 공간(68)에 걸려지며 하우징(52)에 1차 체결된 프론트홀더(60)를 고정시키는 걸림턱(58)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58)은 상기 탄성편(62)과 상기 프론트홀더(60)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 2돌기부(66)의 일측면(66a)에 걸려지며 하우징(52)에 2차 체결된 프론트홀더(60)를 고정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KR2020060006313U 2006-03-09 2006-03-09 차량용 커넥터 KR200417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13U KR200417495Y1 (ko) 2006-03-09 2006-03-09 차량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13U KR200417495Y1 (ko) 2006-03-09 2006-03-09 차량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495Y1 true KR200417495Y1 (ko) 2006-06-01

Family

ID=4176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13U KR200417495Y1 (ko) 2006-03-09 2006-03-09 차량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49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KR100902951B1 (ko) * 2007-06-29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KR100952436B1 (ko) 2007-12-27 2010-04-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000253B1 (ko) 2009-06-22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선식 커넥터
KR101246518B1 (ko) * 2011-09-26 2013-03-26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KR100902951B1 (ko) * 2007-06-29 2009-06-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KR100952436B1 (ko) 2007-12-27 2010-04-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000253B1 (ko) 2009-06-22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선식 커넥터
KR101246518B1 (ko) * 2011-09-26 2013-03-26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WO2013048028A1 (ko) * 2011-09-26 2013-04-04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15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033651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組立方法
KR101860690B1 (ko) 커넥터
KR200417495Y1 (ko) 차량용 커넥터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JP3313048B2 (ja) ブロックコネクタ
KR100952436B1 (ko) 커넥터
JP5970343B2 (ja) 電気コネクタ
JP5096305B2 (ja) コネクタ用固定具
US7828608B2 (en) Connector having terminal holding portion that contacts a mating terminal
EP186313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90051643A (ko) 커넥터
KR20100022841A (ko) 커넥터
KR101246518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100001179U (ko) 커넥터
KR1014626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05196Y1 (ko) 단자 및 리어홀더의 교체가 용이한 커넥터 구조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JP4885705B2 (ja) ハーネス接続体
CN210806076U (zh) 插头连接器
KR100955646B1 (ko) 리어 홀더 일체형 터미널 커넥터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1175571B1 (ko) 전기 커넥터
JP4268154B2 (ja) コネクタ
JP201206925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