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5450A -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5450A
KR20150035450A KR20140129271A KR20140129271A KR20150035450A KR 20150035450 A KR20150035450 A KR 20150035450A KR 20140129271 A KR20140129271 A KR 20140129271A KR 20140129271 A KR20140129271 A KR 20140129271A KR 20150035450 A KR20150035450 A KR 2015003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locking surface
wire
mai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동 창
신 왕
준 창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팅부 및 부팅부에 접속된 와이어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기재한다. 부팅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챔버를 제공받는다. 와이어 접속부는, 사이드 아암들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제공받는다. 록킹 구조는, 부팅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며, 단자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후위로 배치된 록킹 표면을 갖는다. 록킹 표면은, 부팅부의 접속 단부의 상부측 및 하부측 상에 각각 배치된 제 1 록킹 표면 및 제 2 록킹 표면을 갖는다. 접속 단자가 접속기 하우징에 탑재되는 경우, 록킹 구조는, 접속 단자와 접속기 하우징 사이에 더 안정되고 신뢰가능한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접속기 하우징 상에 블록킹 구조를 인게이징한다.

Description

접속 단자{CONNECTING TERMINAL}
본 발명은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접속 단자들은, 수(male) 및 암(female) 단자들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접속기 하우징에 탑재되고 접속기 하우징에서 사용된다. 접속기 하우징에서 접속 단자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접속 단자 및 접속기 하우징은, 접속 단자가 접속기 하우징으로부터 디스인게이징(disengage)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locking) 구조를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정된 접속을 제공하는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부팅부(butting portion), 및 부팅부의 접속 단부에 접합된 와이어(wire)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부팅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챔버를 제공받는다. 와이어 접속부는 사이드 아암(side arm)들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제공받는다. 부팅부는, 와이어 접속부를 향해 대면하고 접속 단자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록킹 표면을 포함하는 록킹 구조를 제공받는다. 록킹 표면은, 부팅부의 접속 단부의 상부측 및 하부측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록킹 표면 및 제 2 록킹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가 부팅부의 접속 단부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며, 부팅부의 접속 단부로부터 와이어 접속부를 향해 연장한다. 제 1 록킹 표면은 돌출부의 자유단 면(face)이다.
바람직하게, 램프(ramp)가 부팅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된다. 램프는, 부팅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와이어 접속부를 향해 연장한다. 램프의 일부는 돌출부 아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의 자유단은,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부팅부의 접속 단부로 플러쉬(flush)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의 상단 표면은, 부팅부의 상단 표면으로 플러쉬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는 스탬프형(stamped) 부재이다.
바람직하게, 돌출부는 접속 단자의 나머지 부분들을 갖는 단일(unitary) 부재이다.
바람직하게, 와이어 접속부는 메인(main) 접속 몸체 및 사이드 아암들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포함하며; 메인 접속 몸체는 램프의 하부 단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 부팅부는 메인 인접 몸체를 포함하고, 수용 챔버는 메인 인접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제 2 록킹 표면은 메인 인접 몸체의 단부면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접속 단자는, 부팅부에 접속된 삽입부를 더 포함한다. 삽입부 및 와이어 접속부는, 부팅부의 반대쪽 단부들 상에 각각 배치된다. 삽입부는 서로 대향되어 그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2개의 삽입 콘택트들을 포함한다. 갭은 수용 챔버와 연통한다.
바람직하게, 삽입 콘택트들 각각은, 복수의 스프링 탭(tab)들로 형성되는 자유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와이어 접속부는, 리드(lead) 와이어 고정부에 추가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와이어 고정부는 메인 고정 몸체, 및 메인 고정 몸체에 리드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윙(wing)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록킹 표면 및 제 2 록킹 표면은,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접속 단자는, 맞물림(mating) 접속 단자에 접속되고, 그 후, 록킹 구조를 이용하여 록킹되며, 삽입 홀만 제공받는 접속 단자의 접속보다 더 안정된 접속을 달성한다. 또한, 제 1 록킹 표면 및 제 2 록킹 표면은, 본 발명의 접속 단자가 맞물림 접속 단자에 더 안정되게 접속되며 맞물림 접속 단자로부터 디스인게이징될 가능성이 없도록 부팅부의 상부측 및 하부측 상에 각각 배치된다. 제 1 록킹 표면은 돌출부와 같은 스탬프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결과로서, 본 발명은 생성하기에 더 편리하고 구조적으로 더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되된 접속 단자의 전면도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단자(10)는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배치된 삽입부(12), 부팅부(13) 및 와이어 접속부(14)를 포함한다. 부팅부(13)의 둘 모두의 단부들은 삽입부(12) 및 와이어 접속부(14)에 각각 접속된다. 삽입부(12) 및 와이어 접속부(14)는, 반대 방향들로 부팅부(13)의 둘 모두의 단부들로부터 각각 연장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접속 단자(10)의 삽입부(12), 부팅부(13) 및 와이어 접속부(14)는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10)는 시트 재료를 스탬핑 및 벤딩(bend)함으로써 형성된다.
삽입부(12)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삽입 콘택트들(121)을 포함한다. 갭(122)이 2개의 삽입 콘택트들(121) 사이에 제공되며, 삽입된 맞물림 단자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삽입 시트(121)의 일 단부는 부팅부(12)에 접속되고, 삽입 시트(121)의 다른 단부는 복수의 탄성 탭들(123)을 제공받는다. 2개의 삽입 콘택트들(121) 상의 탄성 탭들(123)은 클램핑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게 제공된다. 맞물림 단자가 접속 단자(10)의 삽입부(12)로 삽입되는 경우, 클램핑 구조는 맞물림 단자를 클램핑하는데 사용된다.
부팅부(13)는, 메인 인접 몸체(131) 및 메인 인접 몸체(131)에 배치된 수용 챔버(132)를 포함한다. 삽입 방향의 메인 인접 몸체(131)의 단부(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단부)는 2개의 삽입 콘택트들에 접속된다. 수용 챔버(132)는, 단자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 콘택트들(121) 사이의 갭(122)과 연통하며, 맞물림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수신 챔버(132)는 메인 인접 몸체(131) 상에서 2개의 벤트 시트들(133)을 벤딩 및 부팅(butting)함으로써 형성된다.
삽입 방향의 메인 인접 몸체(131)의 다른 단부(도 2의 좌측 단부)는 와이어 접속부(14)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와이어 접속부(14)는, 상하 방향으로 메인 인접 몸체(131)의 접속 단부의 중간 부분에 접속된다. 메인 인접 몸체(131)의 접속 단부는 록킹 구조를 추가적으로 제공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록킹 구조는,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후위로(rearward) 배치된 록킹 표면을 포함한다. 록킹 표면은, 와이어 접속부(14)의 상부측 및 하부측 상에 각각 배치된 제 1 록킹 표면(161) 및 제 2 록킹 표면(16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제 1 록킹 표면(161) 및 제 2 록킹 표면(162)은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접속 단자(10)가 접속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탑재되는 경우, 제 1 록킹 표면(161) 및 제 2 록킹 표면(162)은, 접속기 하우징에서 접속 단자(10)의 유지력을 증가시키고 접속 단자(10)가 접속기 하우징으로부터 디스인게이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 단자(10)의 상부측 및 하부측 각각으로부터 접속 단자(10)를 록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50)는, 메인 인접 몸체(131)의 접속 단부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며, 부팅부(13)의 상부 표면(136)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한다. 메인 인접 몸체(131)의 접속 단부의 상부 부분의 제 1 록킹 표면(161)은 돌출부(150)의 우측 단부면에 제공된다. 돌출부(150)는, 접속 단자(10)의 나머지 부분들을 갖는 단일 부재이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10)의 돌출부(150) 및 나머지 부분들은 스탬핑 및 벤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록킹 표면(162)은, 수용 챔버를 형성하는 벤트 시트들(133)의 우측 단부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일 예에서, 램프(134)는 메인 인접 몸체(131)의 접속 단부의 상부 부분에 제공된다. 램프의 좌측 단부(135)는, 부팅부의 상부 표면(136)으로부터 우측으로 하향으로 연장한다. 램프의 우측 단부(137)는 리드 와이어 메인 접속 몸체(141)에 접속된다. 램프(134)의 접속을 통해, 리드 와이어 메인 접속 몸체(141)의 상부 표면은 메인 인접 몸체(131)의 상부 표면보다 낮다. 돌출부(150)는 램프의 좌측 단부(135)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한다. 램프의 우측 단부(137)는 돌출부(150) 아래에 배치된다. 돌출부의 상부 표면(151)은 부팅부 상부 표면(136)으로 플러쉬된다. 돌출부(150)의 폭은 부팅부(13)의 폭보다 작다.
와이어 접속부(14)는 메인 접속 몸체(141), 및 사이드 아암들의 쌍(142)을 포함한다. 메인 접속 몸체(141)는, 램프(134)의 우측 단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연장하여 배치된다. 사이드 아암들의 쌍(142)은 서로 대향되며, 메인 접속 몸체(141)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한다. 사이드 아암들(142)은 리드 와이어 접속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사이드 아암들(142)은 리드 와이어 접속 단부의 금속 부분에 고정적으로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와이어 접속부(14)는 리드 와이어 고정부(170)에 추가적으로 접속된다. 리드 와이어 고정부(170)는, 메인 고정 몸체(171) 및 고정 시트들(172)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포함한다. 고정 시트들(172)은 벤딩되며, 리드 와이어를 메인 고정 몸체(171)에 고정시킨다. 예를 들어, 고정 시트들(172)은 리드 와이어 접속 단부의 절연된 와이어 부분을 메인 고정 몸체(171) 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는 리드 와이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리드 와이어와 사이드 아암들(142) 사이의 디스인게이지먼트(disengagement)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접속 단자(10)는 사용 동안 접속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탑재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본 발명의 접속 단자(10)와 함께 협력하는 접속기 하우징은, 록킹 구조와 맞물림한 후퇴-방지(anti-retreat) 구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접속 단자(10)가 접속기 하우징에 삽입된 이후, 록킹 구조는 접속기 하우징 상의 맞물림 후퇴-방지 구조에 접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는, 둘 사이의 접속의 안정성 및 단단함의 정도를 증가시키고, 접속 단자(10)가 접속기 하우징 바깥으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을 설명할 시에 편의를 위해, 용어 "전면", "후면", "좌측", "우측", "상부", "하부", "전단", "후단", "좌측단", "우측단",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등은, 접속 단자가 사용중인 동안 도 2를 참조하여 상대적인 개념들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들에 의해 예상될 수 있는 다른 실질적으로 동등한 대체들 모두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Claims (15)

  1. 부팅부(butting portion) 및 상기 부팅부의 접속 단부에 접합된 와이어(wire) 접속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로서,
    상기 부팅부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챔버를 제공받고, 상기 와이어 접속부는 사이드 아암(side arm)들의 적어도 하나의 쌍을 제공받으며,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와이어 접속부를 향해 대면하고, 상기 접속 단자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록킹 표면을 포함하는 록킹(locking) 구조를 상기 부팅부가 제공받고;
    상기 록킹 표면이, 상기 부팅부의 접속 단부의 상부측 및 하부측 상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록킹 표면 및 제 2 록킹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상기 부팅부의 접속 단부의 상부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부팅부의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와이어 접속부를 향해 연장하며,
    상기 제 1 록킹 표면은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 면(free end f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상기 접속 단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램프가 상기 부팅부의 접속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램프가 상기 부팅부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와이어 접속부를 향해 하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램프의 일부가 상기 돌출부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자유단 면은, 상기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부팅부의 접속 단부로 플러쉬(flush)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 표면이 상기 부팅부의 상부 표면으로 플러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스탬프형(stamped)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접속 단자의 나머지 부분들을 갖는 단일(unitary)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가 단일 스탬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접속부가 메인 접속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접속 몸체가 상기 램프의 하부 단부로부터 추가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부가 메인 인접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챔버가 상기 메인 인접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록킹 표면이 상기 메인 인접 몸체의 단부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부팅부에 접속된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및 상기 와이어 접속부가 상기 부팅부의 대향 단부들 상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가, 서로 대향하여 그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2개의 삽입 콘택트(contact)들을 포함하며, 상기 갭이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콘택트들 각각이, 복수의 스프링 탭(tab)들로 형성되는 자유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접속부가 리드 와이어 고정부에 추가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리드 와이어고정부가 메인 고정 몸체, 및 상기 메인 고정 몸체에 리드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윙(w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록킹 표면 및 상기 제 2 록킹 표면이 상기 삽입 방향에 수직하게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KR20140129271A 2013-09-27 2014-09-26 접속 단자 KR20150035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604154.2U CN203456624U (zh) 2013-09-27 2013-09-27 连接端子
CN201320604154.2 2013-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50A true KR20150035450A (ko) 2015-04-06

Family

ID=5013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9271A KR20150035450A (ko) 2013-09-27 2014-09-26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78903B2 (ko)
KR (1) KR20150035450A (ko)
CN (1) CN203456624U (ko)
BR (1) BR102014023815A2 (ko)
DE (1) DE102014113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4510B (zh) * 2016-04-14 2018-02-1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线束端子卡接结构
DE102016221351A1 (de) * 2016-10-28 2018-05-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kontaktbuchse mit Ausleger
CN109390733A (zh) * 2017-08-04 2019-02-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USD927427S1 (en) * 2019-11-26 2021-08-10 Molex, Llc Connector
CN110868004A (zh) * 2019-12-12 2020-03-0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端子及空调器
CN115224514A (zh) * 2021-04-14 2022-10-2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端子和电连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918A (en) * 1996-07-01 2000-05-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receptacle contact assembly
US6024612A (en) * 1997-09-2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JP2005142066A (ja) * 2003-11-07 2005-06-02 Sumitomo Wiring Syst Ltd 雌端子金具
JP4066978B2 (ja) * 2004-05-24 2008-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ァストン端子
US7294027B1 (en) * 2006-10-03 2007-11-1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layered springs
JP6235199B2 (ja) * 2012-08-02 2017-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4023815A2 (pt) 2015-10-27
US9478903B2 (en) 2016-10-25
DE102014113956A1 (de) 2015-04-02
US20150093929A1 (en) 2015-04-02
CN203456624U (zh)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2855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US8454388B2 (en) Micro-USB connector
US10170857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9184513B2 (en) Terminal fitting
US9515396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2016000949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WO2012127541A1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5659209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70072339A (ko) 유연한 접합부를 갖춘 전기커넥터
JP5522459B2 (ja) 雌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5688063B2 (ja) 電気コネクタ
TW201345078A (zh) 電連接器
KR100946748B1 (ko) 커넥터 및 그 조립 방법
JP2012209221A (ja) コネクタ
US988232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matable connectors
US7828608B2 (en) Connector having terminal holding portion that contacts a mating terminal
CN105098434B (zh) 电连接器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US86518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ocking structures and mating direction
KR102446801B1 (ko) 암단자
JP5836623B2 (ja) コネクタ
TW201340478A (zh) 支座,附帶扁形導體支座及該附帶扁形導體支座與電連接器之組合體
JP2014531724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20160063676A (ko) 터미널 및 터미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