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831B1 -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831B1
KR101773831B1 KR1020170036215A KR20170036215A KR101773831B1 KR 101773831 B1 KR101773831 B1 KR 101773831B1 KR 1020170036215 A KR1020170036215 A KR 1020170036215A KR 20170036215 A KR20170036215 A KR 20170036215A KR 101773831 B1 KR101773831 B1 KR 101773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rd
end portion
door cov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3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플러그의 단자 삽입홀을 형성한 바디의 양측으로 각각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도어커버가 구비되게 하여 측방으로 밀기만 하면 간단히 개폐되는 손쉬운 조작성과 설치 위치에 제약 없이 감전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드가 벽체와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Wall surface undergrounding type outlet box apparatus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플러그의 단자 삽입홀을 형성한 바디의 양측으로 각각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도어커버가 구비되게 하여 측방으로 밀기만 하면 간단히 개폐되는 손쉬운 조작성과 설치 위치에 제약 없이 감전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드가 벽체와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가공전선이나 지중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배전반을 통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되고, 각 수용가에서는 공급되는 전원을 콘센트나 조명용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각 수용가에서 콘센트는 주로 벽에 매립되는 매립형으로 구비되며, 각종 전자기기들과의 접속을 위해서 일정 길이의 전선을 갖는 멀티콘센트를 구비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56629호(2013.04.19.)에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는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드가 벽체와 크게 이격되기 때문에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접속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코드로 외력이 작용하면서 도어커버가 분리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56629호(2013.04.19.)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방향으로 한 쌍의 플러그의 단자 삽입홀을 형성한 바디의 양측으로 각각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도어커버가 구비되게 하여 측방으로 밀기만 하면 간단히 개폐되는 손쉬운 조작성과 설치 위치에 제약 없이 감전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드가 벽체와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는 플러그(40)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홈(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양측으로 형성되며, 벽체(50)에 매설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에 형성된 단자홀(12)과 상기 플러그(40)의 코드단자(41)가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20); 상기 바디(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커버(30)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커버(30)는, 상기 바디(10)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레일(13)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절곡부(31)의 내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롤러(33)가 길이 방향으로 축지지되며, 상기 상부절곡부(31)에 축지지되는 상기 복수의 롤러(33)는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측 상기 레일(13) 상단에 안치되고, 일정 크기로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플러그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상기 바디(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플러그(40)의 후단부와 코드(42)가 그 내부에 수용되며, 전방으로 만곡지면서 하단면은 수평면을 이루되 내측단부로부터 외측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플러그(40)의 코드(42)가 지나는 코드 가이드홀(34)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커버(30)의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의 내측단부에는 각각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면서 단부측으로는 경사지는 형상으로 걸림돌기(35)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상기 레일(13)의 측단부 후방으로는 상기 도어커버(30)의 상기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의 높이와 근사한 높이로서 상기 벽체(50)에 닿도록 하여 이탈방지용 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적어도 상단부측 상기 레일(13)의 후방으로는 길이의 중간위치에 상기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도어커버(30)의 걸림돌기(35)가 안착되도록 하는 유동방지구(15)가 구비되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드(42)가 상기 벽체(50)에 접할 수 있도록 하여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코드(42)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커버(3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후판(61,62); 전단부는 상기 전판(61)의 하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벽체(5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방향전환판(63); 상기 방향전환판(63)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벽체(50)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상기 코드(42)를 상기 벽체(50)로 가압하는 가압판(64); 및 상기 가압판(64)을 상기 벽체(5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65)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65)은, 상기 방향전환판(63)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66);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64)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판(66)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압봉(67); 및 상기 지지판(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가압봉(67)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레버(68)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68)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봉(67)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벽체(50)와 상기 가압판(64)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가압판(64)이 상기 코드(42)를 가압하면서 상기 벽체(50)에 접하도록 하는 공동주택이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측방으로 도어커버를 슬라이딩 작동시키도록 하여 바디에서 측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플러그 삽입홈을 각각 독립적으로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물이나 먼지 또는 아이들 장난에 의한 감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설치 위치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설치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코드가 벽체와 접하기 때문에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코드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도어커버의 파손과 함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서 도어커버를 분리시킨 구성을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서 도어커버의 걸림돌기가 바디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을 후방에서 본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서 도어커버에 의해 바디 전면을 커버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서 일측의 도어커버를 개방시키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를 통해 플러그를 결합한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256629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256629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25662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로 대체하고,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 등에 의한 코드로의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25662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는 크게 바디(10)와 전극(20)과 도어커버(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디(10)는 전면(front)에 플러그 삽입홈(11)이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이격되게 하여 벽체에 매설되는 내부가 빈 박스 형상의 구성이다.
플러그 삽입홈(11)은 바디(10)의 전면에서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와 깊이로 요입되도록 하고, 요입단면에는 플러그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코드단자가 수평 관통되도록 하는 한 쌍의 단자홀(1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바디(10)는 대부분이 벽체에 매립되는 구성이며, 다만 전방의 일정 폭은 벽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전극(20)은 바디(10)의 내부에서 플러그 삽입홈(11)의 요입단면과 대응되는 면에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게 하는 구성이다.
다만 전극(20)은 바디(10)의 내부에서 플러그 삽입홈(11)에 형성한 한 쌍의 단자홀(12)과 동일 수평선상의 위치에 플러그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한 코드단자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바디(10)와 전극(20)은 종전의 매설형 전원박스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은 바디(10)의 전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도어커버(30)를 한 쌍의 플러그 삽입홈(11)에 대응되게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이 구비되도록 하면서 각각이 상호 대응되는 측방으로 슬라이드 개폐작동하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도어커버(3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바디(10)의 전면측 상단부와 하단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도어커버(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감싸도록 'ㄱ'자형 또는 'ㄴ'자형으로 절곡되게 한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가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레일(13)로서 이용하도록 한다.
이렇게 도어커버(30)의 절곡되게 한 상단부와 하단부는 도어커버(30)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후방으로 하향 또는 상향 절곡되도록 하고, 상부절곡부(31)의 절곡면 내측으로는 바디(10)의 상부측 레일(13)을 따라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롤러(33)가 축고정되도록 하며, 레일(13) 상단부에 안착되는 복수의 롤러(33)들은 도어커버(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서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바디(10)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각 도어커버(30)는 일정 크기로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플러그 삽입홈(11)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플러그의 후단부와 코드 부위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어커버(30)를 전방으로 만곡지도록 하면서 하단면은 수평면을 이루되 내측단부로부터 외측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일정 폭으로 절개되도록 하여 수직 관통되게 함으로써 플러그의 코드가 지나는 코드 가이드홀(34)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양측의 도어커버(3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인 외측의 단면이 폐쇄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호 마주보게 되는 내측의 단면은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되도록 한다.
양측의 도어커버(30)간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외측의 단면은 바디(10)의 양단부에 걸려지면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각각의 도어커버(30)에 의해서는 바디(10)의 정확히 1/2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커버(30)를 개폐 시 도어커버(30)가 바디(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도어커버(30)의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에는 도어커버(30)가 마주보는 내측의 단부를 각각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도록 하면서 단면측으로는 경사지는 형상으로 걸림돌기(35)를 형성하고,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레일(13)의 측단부 후방으로는 도어커버(30)의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의 높이와 근사한 높이로 벽체에 닿도록 하여 이탈방지용 걸림턱(14)이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디(10)에서 적어도 전면 상단부측 레일(13)의 후방으로는 레일(13)의 길이 중간부위로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커버(30)의 걸림돌기(35)가 안착되도록 하는 유동방지구(15)가 구비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롤러(33)는 상부절곡부(31)측으로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탈방지용 걸림턱(14)은 바디(10)의 양측단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공히 형성되도록 하며, 이탈방지용 걸림턱(14)에 걸리게 되는 도어커버(30)측 걸림돌기(35)는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에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커버(30)는 외측면과 함께 내측단부의 걸림돌기(35)들과 바디(10) 측의 이탈방지용 걸림턱(14)과 유동방지구(15)에 의해서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여 일측의 도어커버(30)에 의해서는 바디(10)의 1/2를 정확히 커버하도록 하면서 바디(10)로부터는 측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바디(10)는 벽체에 전방의 일정 폭만큼만 돌출되도록 하면서 대부분은 매립시켜 고정되도록 한다.
플러그를 결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커버(30)는 도 2에서와 같이 바디(10)의 전면을 완전 커버되게 하며, 도어커버(30)에 의해 바디(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순간 도 5에서와 같이 도어커버(30)의 외측단면은 바디(10)의 측단면과 밀착되면서 내측단부측 도어커버(30)의 상부절곡부(31)에 형성한 걸림돌기(35)는 유동방지구(15)에 삽입되면서 바디(10)에 결합되어 측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바디(10)의 플러그 삽입홈(11)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하면 내부로 먼지나 튀는 물이 접촉되지 않게 되고, 특히 아이들에 의한 손상이나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어디에서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플러그를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플러그(40)를 결합하고자 하는 일측의 도어커버(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을 실어 밀게 되면 유동방지구(15)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커버(30)의 걸림돌기(35)가 유동방지구(15)의 상단부를 타고 빠져나오면서 도어커버(30)의 내측단부가 잠시 상부로 살짝 들려졌다 롤러(33)들이 상부의 레일(13) 상단에 얹혀지게 하여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도어커버(3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벽체(50)에 매립되도록 한 바디(10)의 플러그 삽입홈(11)이 전방으로 개방되고, 이렇게 개방된 플러그 삽입홈(11)에 플러그(40)를 결합시키게 되면 플러그(40)에 형성한 한 쌍의 코드단자(41)가 플러그 삽입홈(11)의 단자홀(12)을 관통하여 내부에 구비된 전극(20)에 긴밀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외측으로 밀어두었던 도어커버(30)를 내측으로 다시 밀게 되면 플러그(40)의 코드(42)가 도어커버(30)의 하부면에 형성한 코드 가이드홀(34)에 안내되면서 도 6의 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도어커버(30)를 이동시켜 바디(10)의 전면이 안전하게 닫혀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어커버(30)는 바디(10)에 플러그(40)를 결합시킬 때 외에는 항상 바디(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플러그 접속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커버(30)를 측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개폐되도록 하므로 플러그(4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만 허락된다면 다소 좁은 공간에서도 유지가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가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드(42)가 벽체(50)에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코드(42)가 벽체(50)와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등에 의한 외력이 상기 코드로 전달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도어커버(30)의 파손과 함께 상기 도어커버(30)가 상기 바디(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코드(42)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커버(3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후판(61,62), 전단부는 상기 전판(61)의 하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벽체(5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방향전환판(63), 상기 방향전환판(63)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벽체(50)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상기 코드(42)를 상기 벽체(50)로 가압하는 가압판(64) 및 상기 가압판(64)을 상기 벽체(5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6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향전환판(63)의 후단부는 상기 벽체(50)를 향하고, 전단부는 그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전판(61)은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판(62)은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판(61,62)은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의 외측에 형성되면서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을 통과하는 상기 코드(42)를 세로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코드(42)가 외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일 방지한다.
즉, 상기 전판(61)은 상기 후판(62)보다 상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코드(42)가 전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후판(62)은 상기 전판(61)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코드(42)가 후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드(42)는 외력에 의한 흔들림 발생시 상기 코드 가이드홀(34)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도어커버(30)로 외력과이나 흔들림 등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판(63)은 상기 전,후판(61,62)을 통과하는 코드(42)를 가로 방향으로 가이드하면서 벽체(50)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향전환판(63)는 종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코드(42)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판(63)은 후단부가 곡면을 이루면서 상기 벽체(50)로의 상기 코드(42)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판(61)과 상기 방향전환판(63)이 연결되는 모서리부는 라운딩되면서 상기 코드(42)의 방향전환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판(64)은 상기 방향전환판(63)의 하부 및 벽체(50)의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벽체(50) 간으로 상기 코드(42)가 세로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판(64)은 횡단면이 반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코드(42)를 안정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판(64)은 상기 코드(42)와 접하는 후면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65)은 상기 가압판(64)을 상기 코드(42)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코드(42)가 벽체(50)에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수단(65)은 상기 방향전환판(63)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66),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64)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판(66)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압봉(67) 및 상기 지지판(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가압봉(67)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레버(68)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지지판(66)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방향전환판(63)에 연결되며, 상기 가압봉(67)을 지지하는 보조지지판(6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방향전환판(63)으로부터 상기 가압봉(67)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판(66)은 양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며, 상기 가압레버(6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봉(67)은 양단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64)에 연결된다.
상기 가압봉(67)은 전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6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67a)는 상기 가압레버(68)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봉(67)이 상기 가압레버(6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가 가압레버(68)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후단부가 상기 지지판(66)을 관통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66)에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전단부가 상기 지지판(66)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가압레버(68)는 후단부 외주면에 베어링 등이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판(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레버(68)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봉(67)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벽체(50)와 상기 가압판(64)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가압판(64)이 상기 코드(42)를 가압하면서 상기 벽체(50)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레버(68)는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 회전을 통해 상기 가압판(64)이 상기 코드(42)를 가압하면서 상기 벽체(50)에 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레버(68)는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풀림 회전을 통해 상기 가압판(64)이 상기 코드(42)를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벽체(50)와 이격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플러그(40)를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드(42)가 벽체(50)와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등에 의한 걸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코드(42)가 벽체(50)와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분리 없이 안정적인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도어커버(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바디 11 : 플러그 삽입홈
12 : 단자홀 13 : 레일
14 : 이탈방지용 걸림턱 15 : 유동방지구
20 : 전극 30 : 도어커버
31 : 상부절곡부 32 : 하부절곡부
33 : 롤러 34 : 코드 가이드홀
35 : 걸림돌기 40 : 플러그
50 : 벽체 60 : 보호부
61 : 전판 62 : 후판
63 : 방향전환판 64 : 가압판
65 : 가압수단 66 : 지지판
67 : 가압봉 68 : 가압레버
69 : 보조지지판

Claims (1)

  1. 전면에는 플러그(40)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홈(11)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양측으로 형성되며, 벽체(50)에 매설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내부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에 형성된 단자홀(12)과 상기 플러그(40)의 코드단자(41)가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20);
    상기 바디(10)의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커버(30)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커버(30)는,
    상기 바디(10)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레일(13)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절곡부(31)의 내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롤러(33)가 길이 방향으로 축지지되며,
    상기 상부절곡부(31)에 축지지되는 상기 복수의 롤러(33)는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측 상기 레일(13) 상단에 안치되고, 일정 크기로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플러그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상기 바디(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기 플러그(40)의 후단부와 코드(42)가 그 내부에 수용되며,
    전방으로 만곡지면서 하단면은 수평면을 이루되 내측단부로부터 외측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가 일정 폭으로 절개되어 상기 플러그(40)의 코드(42)가 지나는 코드 가이드홀(34)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커버(30)의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의 내측단부에는 각각 일정 높이 하향 연장되면서 단부측으로는 경사지는 형상으로 걸림돌기(35)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측 상기 레일(13)의 측단부 후방으로는 상기 도어커버(30)의 상기 상부절곡부(31)와 하부절곡부(32)의 높이와 근사한 높이로서 상기 벽체(50)에 닿도록 하여 이탈방지용 걸림턱(14)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적어도 상단부측 상기 레일(13)의 후방으로는 길이의 중간위치에 상기 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도어커버(30)의 걸림돌기(35)가 안착되도록 하는 유동방지구(15)가 구비되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플러그 삽입홈(1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코드(42)가 상기 벽체(50)에 접할 수 있도록 하여 걸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부(60)는,
    상기 코드(42)의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커버(3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후판(61,62);
    전단부는 상기 전판(61)의 하부에 연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벽체(5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방향전환판(63);
    상기 방향전환판(63)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벽체(50)와의 사이로 통과하는 상기 코드(42)를 상기 벽체(50)로 가압하는 가압판(64); 및
    상기 가압판(64)을 상기 벽체(5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65)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65)은,
    상기 방향전환판(63)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66);
    후단부가 상기 가압판(64)에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지지판(66)을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압봉(67); 및
    상기 지지판(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가압봉(67)이 나사결합되는 가압레버(68)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68)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봉(67)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벽체(50)와 상기 가압판(64)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가압판(64)이 상기 코드(42)를 가압하면서 상기 벽체(50)에 접하도록 하는 공동주택이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20170036215A 2017-03-22 2017-03-22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1773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15A KR101773831B1 (ko) 2017-03-22 2017-03-22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15A KR101773831B1 (ko) 2017-03-22 2017-03-22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831B1 true KR101773831B1 (ko) 2017-09-04

Family

ID=5992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15A KR101773831B1 (ko) 2017-03-22 2017-03-22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67B1 (ko) 2017-12-06 2018-03-14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N110048265A (zh) * 2019-04-25 2019-07-23 李甜甜 一种防漏电开关插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44Y1 (ko) 2006-05-03 2006-07-24 주식회사 넥시스파노라마 전선 은폐용 패널
KR101256629B1 (ko) 2013-02-12 2013-04-19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44Y1 (ko) 2006-05-03 2006-07-24 주식회사 넥시스파노라마 전선 은폐용 패널
KR101256629B1 (ko) 2013-02-12 2013-04-19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67B1 (ko) 2017-12-06 2018-03-14 주식회사 경민엔지니어링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CN110048265A (zh) * 2019-04-25 2019-07-23 李甜甜 一种防漏电开关插座
CN110048265B (zh) * 2019-04-25 2020-07-31 台州沃博进出口有限公司 一种防漏电开关插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468B1 (en) Electric socket
EP2354430B1 (en) Electric plug connection between head piece and tubular motor of a winding shaft
CN102437485B (zh) 安全防护插座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10174266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US8011940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KR101256629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KR101838267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0946416B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GB2199996A (en) An electric socket shutter arrangement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US3908103A (en) Combined outlet and safety switch unit with adapter
KR20170054934A (ko) 출입형 멀티 콘센트
KR101123665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1608925B1 (ko) 감전방지용 개폐기구를 갖춘 공동주택용 전원공급장치
KR10197864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CN212517701U (zh) 一种插座
KR101355864B1 (ko) 콘센트
KR101565737B1 (ko) 원터치 멀티탭
CN219353612U (zh) 一种茶吧机
CN217788811U (zh) 一种接线件与接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