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665B1 -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665B1
KR101123665B1 KR1020100053311A KR20100053311A KR101123665B1 KR 101123665 B1 KR101123665 B1 KR 101123665B1 KR 1020100053311 A KR1020100053311 A KR 1020100053311A KR 20100053311 A KR20100053311 A KR 20100053311A KR 101123665 B1 KR101123665 B1 KR 10112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support
clos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742A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66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가 개시된다. 상기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 이외의 이물질에 의해서는 개폐부재가 슬라이딩되지 않으므로, 연통공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RECEPTACLE PLUG WITH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란 실내의 벽 등에 설치되어 전원(電源)측과 접속되며,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면 전기제품으로 전기를 공급한다.
콘센트는 항상 전원측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콘센트의 연결단자에 어린아이가 젓가락 또는 송곳 등을 삽입하여 접속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의 부위에 캡을 씌워서,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의 부위를 폐쇄시키는 안전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장치는 캡을 콘센트로부터 빼낸 후, 젓가락 또는 송곳 등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하기에 미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안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하기에 미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전원측과 각각 접속된 한쌍의 연결단자;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와 대응되게 한쌍의 연통공이 형성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통공을 각각 폐쇄하며, 플러그의 한쌍의 접속단자를 각각 접촉시켜 상기 플러그를 상기 본체측으로 누르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연통공을 각각 개방하여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폐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연통공을 각각 폐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연통공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본체측으로 눌러서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개폐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이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하는 상기 개폐부재의 양단부측에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개폐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 이외의 이물질에 의해서는 개폐부재가 슬라이딩되지 않으므로, 연통공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재 부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3의 결합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건물의 벽 등에 매몰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전면에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120)를 가진다.
본체(110)에는 전원측과 각각 접속된 쌍을 이루는 연결단자(111,113)가 설치된다. 연결단자(111,113)의 양단부에는 연결구(111a,113a)가 각각 형성되고, 커버(120)에는 연결구(111a,113a)와 대응되게 쌍을 이루는 관통공(121,123)이 형성된다.
전기제품의 플러그(50)의 쌍을 이루는 접속단자(51,53)는 관통공(121,123)을 통과하여 연결구(111a,113a)에 삽입 접속된다. 따라서, 전원의 전기는 연결단자(111,113)→접속단자(51,53)를 통하여 상기 전기제품으로 공급된다.
본체(110)와 커버(120) 사이에는 받침부재(130)가 설치되고, 받침부재(130)에는 관통공(121,123) 및 연결구(111a,113a)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관통공(121,123) 및 연결구(111a,113a)와 각각 연통된 쌍을 이루는 연통공(131a,131b)이 형성된다.
즉, 접속단자(51)는 관통공(121)→연통공(131a)을 통하여 연결구(111a)에 삽입 접속되고, 접속단자(53)는 관통공(123)→연통공(131b)을 통하여 연결구(113a)에 삽입 접속된다. 또는 접속단자(51)는 관통공(123)→연통공(131b)을 통하여 연결구(113a)에 삽입 접속되고, 접속단자(53)는 관통공(121)→연통공(131a)을 통하여 연결구(111a)에 삽입 접속된다.
받침부재(130)는 커버(120)에 결합되는데, 받침부재(130) 및 커버(120)에는 상호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공(130a) 및 복수의 결합돌기(125)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받침부재(130)에는 개폐부재(140)가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연통공(131a,131b)을 개폐한다.
개폐부재(140)에는 접속단자(51,53)가 접촉된다. 이때, 접속단자(51,53)를 개폐부재(140)에 접촉한 상태에서 플러그(50)를 본체(110)측으로 누르면, 개폐부재(140)는 슬라이딩되면서 연통공(131a,13b)을 각각 개방한다. 그러면, 관통공(121,123)을 관통한 접속단자(51,53)가 연통공(131a,131b)을 통과하여 연결단자(111,113)의 연결구(11a,113a)에 각각 접속된다.
받침부재(130) 및 개폐부재(14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받침부재 부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30)는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10)와 접촉하면서 연결단자(111,113)를 향하는 받침부재(130)의 하면은 밀폐되어 연통공(131a,131b)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된다.
개폐부재(140)는 개폐판(141), 지지레일(143), 경사레일(145) 및 연결판(147)을 가진다.
개폐판(14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130)의 하면에 접촉되며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연통공(131a,131b)을 개폐한다. 지지레일(143)은 개폐판(141)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에서 각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며, 접속단자(51,53)를 수용한다.
경사레일(145)은 상호 대향하는 지지레일(143)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된다. 경사레일(145)의 상면은 연통공(131a,131b)과 가까와질수록 점점 더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접속단자(51,53)의 하단부가 접촉한다. 그리하여, 접속단자(51,53)의 하단부를 경사레일(145)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플러그(50)를 본체(110)측으로 누르면, 경사레일(145)이 연통공(131a,131b)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이로인해 개폐판(141)이 연통공(131a,131b)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연통공(131a,131b)을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는 개폐부재(140)의 개폐판(141)이 연통공(131a,131b)을 안정되게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는 받침부재(13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지지돌기(133)가 형성되어 개폐판(141)이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 중 지지돌기(133)에 접촉되는 일측면은 오목하게 함몰(141a) 형성되고, 개폐판(141)의 함몰부(141a)가 접촉되는 지지돌기(133)의 하부측은 함몰부(141a)와 대응되게 볼록(133a)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할 탄성부재(150)에 지지된 개폐판(141)은 함몰부(141a)와 볼록부(133a)에 의하여 견고하게 연통공(131a,131b)을 폐쇄한다.
볼록부(133a)가 형성된 지지돌기(133)의 상측 부위는 하측 부위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133b)된다. 그리하여, 개폐판(141)이 지지돌기(133)에 접촉되었을 때, 지지돌기(133)의 돌출부(133b)와 지지레일(143) 사이에는 접속단자(51,53)가 수용되는 수용부(143a)(도 2참조)가 형성된다. 접속단자(51,53)가 커버(120)의 관통공(121,123)을 통과하면 수용부(143a)에 수용되어 경사레일(145)의 상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접속단자(51,53)를 경사레일(145)의 상면에 정확하게 접촉시킨 상태에서 플러그(50)를 본체(110)측으로 누를 수 있다.
연결판(147)은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중, 연통공(131a,131b)과 이격된 개폐판(141)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레일(143)을 일체로 연결한다.
받침부재(130)에는 개폐부재(140)가 연통공(131a,131b)을 폐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150)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50)의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연결판(147)에는 탄성부재(150)의 일측에 삽입되어 탄성부재(150)를 지지하는 삽입돌기(147a)가 형성되고,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는 받침부재(13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는 탄성부재(140)의 타측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13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는 연통공(131a,131b)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개폐부재(140)를 본체(110)측으로 눌러서 개폐부재(140)를 슬라이딩시킬 때, 개폐부재(140)에 작용하는 외력이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하는 개폐부재(140)의 양단부측을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으면, 개폐부재(140)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개폐부재(140)에 작용하는 편심된 외력이란,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이 개폐부재(140)의 길이방향일 때, 개폐부재(140)의 폭방향 중심선의 외측을 말한다.
상기 수단은 받침부재(130)의 하면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안내레일(161)과 개폐부재(140)의 개폐판(141)에 형성되며 안내레일(161)의 단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163)으로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내레일(161)은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경로와 평행하게 연통공(131a,131b) 외측 부위의 받침부재(130)의 상면에 형성되어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한다.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은 안내레일(161)이 지지되어 슬라이딩된다.
걸림홈(163)은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의 부위 중, 연통공(131a,131b)과 이격된 개폐판(141)의 양측면 부위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홈(163)은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의 부위 중,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는 개폐판(141)의 양측면 중 타측면측에 형성된다. 그리하여, 개폐부재(140)에 편심된 외력이 작용하면, 개폐부재(140)가 자신의 슬라이딩 방향과 소정 각도를 가지고, 이로인해 걸림홈(163)이 안내레일(161)의 단부에 걸려서 개폐부재(140)가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여기서, 안내레일(161)의 방향과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 및 개폐부재(140)의 길이방향은 동일하고, 안내레일(161)에 수직하는 방향과 개폐부재(14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 및 개폐부재(140)의 폭방향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동작을 도 1, 도 2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5c는 도 3에 도시된 개폐부재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3의 결합 평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에 지지된 개폐부재(140)에 의하여 연통공(131a,131b)이 폐쇄된 상태를 최초의 상태라 가정한다.
최초의 상태에서,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53)를 커버(120)의 관통공(121,123)에 삽입하여 통과시키면, 접속단자(51,53)가 받침부재(140)의 지지레일(143)에 지지되어 경사레일(145)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때, 접속단자(51,53)의 하단부는 상호 대향하는 지지레일(143)의 상면에 동시에 각각 접촉된다.
접속단자(51,53)의 하단부를 지지레일(143)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플러그(50)를 본체(110)측으로 누르면, 개폐부재(140)에는 폭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균일한 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접속단자(51,53)에서 경사레일(145)에 작용하는 외력과 경사레일(145)의 경사진 상면에 의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4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연통공(131a,131b)을 개방한다.
그러면, 접속단자(51,53)가 연통공(131a,131b)을 통과하여 연결단자(111,113)의 연결구(111a,113a)에 각각 삽입 접속된다. 접속단자(51,53)를 연결구(111a,113a)로부터 빼내면, 탄성부재(150)에 의하여 개폐부재(140)가 도 5a에 도시된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연통공(131a,131b)을 폐쇄한다.
그리고, 최초의 상태에서 송곳 또는 젓가락 등을 커버(120)의 관통공(121,123)에 삽입하여 통과시키면, 송곳 또는 젓가락은 어느 하나의 지지레일(143) 또는 어느 하나의 경사레일(145) 또는 개폐판(141)에 접촉된다.
송곳 또는 젓가락을 지지레일(143)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송곳 또는 젓가락을 눌러도, 지지레일(143)의 상면은 경사지지 않았으므로, 개폐부재(140)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송곳 또는 젓가락은 개폐부재(140)의 폭방향 중심선을 벗어난 개폐부재(140)의 부위를 누르므로 개폐부재(140)는 송곳 또는 젓가락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161)과 소정 각도를 가진다. 그러면, 개폐부재(140)에 형성된 걸림홈(163)에 안내레일(161)의 단부측이 삽입되어 걸리므로, 개폐부재(140)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또한, 송곳 또는 젓가락을 경사레일(145)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송곳 또는 젓가락을 누르면, 송곳 또는 젓가락은 개폐부재(140)의 폭방향 중심선을 벗어난 개폐부재(140)의 부위를 누르므로 개폐부재(140)는 송곳 또는 젓가락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안내레일(161)과 소정 각도를 가진다. 그러면, 개폐부재(140)에 형성된 걸림홈(163)에 안내레일(161)의 단부측이 삽입되어 걸리므로, 개폐부재(140)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또한, 송곳 또는 젓가락을 개폐판(141)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송곳 또는 젓가락을 누르면, 개폐판(141)의 상면은 경사지지 않았으므로, 개폐부재(140)는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송곳이나 젓가락 등에 의해서는 개폐부재(140)가 슬라이딩되지 않으므로, 연통공(131a,131b)이 개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53) 이외의 이물질에 의해서는 개폐부재(140)가 슬라이딩되지 않으므로, 연통공(131a,131b)이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110 : 본체 120 : 커버
130 : 받침부재 140 : 개폐부재
150 : 탄성부재

Claims (10)

  1.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전원측과 각각 접속된 한쌍의 연결단자;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단자와 대응되게 한쌍의 연통공이 형성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통공을 각각 폐쇄하며, 플러그의 한쌍의 접속단자를 각각 접촉시켜 상기 플러그를 상기 본체측으로 누르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연통공을 각각 개방하여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연결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폐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연통공을 각각 폐쇄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 경로와 평행하게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하는 쌍을 이루는 안내레일, 상기 개폐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작용하는 편심된 외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안내레일과 소정각도를 가지면 상기 안내레일의 단부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을 가지면서 상기 연통공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상기 본체측으로 눌러서 상기 개폐부재를 슬라이딩시킬 때, 상기 개폐부재에 작용하는 외력이 상기 개폐부재의 슬라이딩방향과 평행하는 상기 개폐부재의 양단부측에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개폐부재가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에 작용하는 편심된 외력은, 상기 개폐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때, 상기 개폐부재의 폭방향 중심선의 외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연결단자를 향하는 일면은 밀폐되고 타면은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수직하는 상기 받침부재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였을 때 상기 개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은 상기 지지돌기와 인접되게 상기 받침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연통공 외측의 상기 받침부재의 일면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며, 상기 안내레일과 평행하는 양측면은 상기 안내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레일과 수직하는 양측면 중 일측면은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안내레일과 평행하는 양측면의 부위 중 상기 안내레일과 수직하는 양측면 중 타측면측 부위에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개폐판; 상기 안내레일과 평행하게 상기 개폐판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한쌍의 지지레일; 상기 지지레일의 대향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접촉되며 상기 플러그를 상기 본체측으로 누르면 상기 접속단자에 의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개폐판을 슬라이딩시켜 상기 연통공을 개방시키는 경사레일; 상기 안내레일과 수직하는 상기 개폐판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형성되어 지지레일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는 상기 개폐판의 일측면 부위 및 상기 지지돌기의 일측 부위는 상호 대응되게 각각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 및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타측 부위는 일측 부위보다 상기 개폐부재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개폐판이 상기 지지돌기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개폐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접속단자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관통공이 상기 연통공과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호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10. 삭제
KR1020100053311A 2010-06-07 2010-06-07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1123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11A KR101123665B1 (ko) 2010-06-07 2010-06-07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11A KR101123665B1 (ko) 2010-06-07 2010-06-07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42A KR20110133742A (ko) 2011-12-14
KR101123665B1 true KR101123665B1 (ko) 2012-03-20

Family

ID=4550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11A KR101123665B1 (ko) 2010-06-07 2010-06-07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6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2805A1 (de) 2020-05-12 2021-11-18 Carmelo Militello Steckerbuchse für wasserdichte Anwendungen sowie Kombination der Steckerbuchse mit einem mehrere Kontaktstifte aufweisenden Stecker
KR20220138591A (ko) 2021-04-06 2022-10-13 이석환 콘센트 벽면 고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783B1 (ko) 2000-02-24 2003-01-06 이장우 콘센트
KR100727554B1 (ko) * 2006-06-08 2007-06-1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전형 콘센트
KR100727552B1 (ko) * 2006-02-21 2007-06-1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0939189B1 (ko) 2009-06-18 2010-01-28 곽창용 콘센트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783B1 (ko) 2000-02-24 2003-01-06 이장우 콘센트
KR100727552B1 (ko) * 2006-02-21 2007-06-1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0727554B1 (ko) * 2006-06-08 2007-06-1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전형 콘센트
KR100939189B1 (ko) 2009-06-18 2010-01-28 곽창용 콘센트용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2805A1 (de) 2020-05-12 2021-11-18 Carmelo Militello Steckerbuchse für wasserdichte Anwendungen sowie Kombination der Steckerbuchse mit einem mehrere Kontaktstifte aufweisenden Stecker
DE102020002805B4 (de) 2020-05-12 2021-12-02 Carmelo Militello Steckerbuchse für wasserdichte Anwendungen sowie Kombination der Steckerbuchse mit einem mehrere Kontaktstifte aufweisenden Stecker
KR20220138591A (ko) 2021-04-06 2022-10-13 이석환 콘센트 벽면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42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765B1 (en) Power adapter with replaceable plug
TWI433413B (zh) 延長線裝置
JP5736062B2 (ja) 電気接続デバイス
KR102622664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TW466803B (en)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guiding member and removal recess
TW201310793A (zh) 插座組合
US8608489B2 (en) AC adap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70045816A (ko) 얼라이너를 갖는 반도체 소자용 테스트 소켓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M447602U (zh) 電連接模組及電子裝置
KR101123665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200425684Y1 (ko) 안전 콘센트
CN106486804B (zh) 母连接器以及包括母连接器和公连接器的连接结构
KR100727552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KR101326504B1 (ko) 사이드 홀더 타입 커넥터 장치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037578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GB2456847A (en) Power adapter with detachable plug
KR200311290Y1 (ko)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KR200276531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514309B1 (ko)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KR101355864B1 (ko) 콘센트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