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786Y1 -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786Y1
KR200375786Y1 KR20-2004-0031816U KR20040031816U KR200375786Y1 KR 200375786 Y1 KR200375786 Y1 KR 200375786Y1 KR 20040031816 U KR20040031816 U KR 20040031816U KR 200375786 Y1 KR200375786 Y1 KR 200375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afety
safety device
outle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현
Original Assignee
이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현 filed Critical 이덕현
Priority to KR20-2004-0031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플러그를 제외한 젓가락 등의 도체가 콘센트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주의한 사용자나 유아들의 장난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변경시켜 신뢰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러그 삽입구가 1쌍 이상 형성된 콘센트커버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안전장치를 상기 콘센트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단자부 고정대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콘센트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통상의 안전박스(50)와, 상기 안전박스(50)에 삽입되어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물체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40)와, 상기 안전박스(50)를 밀폐시키는 안전박스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자부(20)와 상기 단자부 고정대(1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ELECTRIC OUTLET HAVING THE SAFETY APPARATUS}
본 고안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플러그를 제외한 젓가락 등의 도체가 콘센트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주의한 사용자나 유아들의 장난으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장치의 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변경시켜 신뢰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콘센트는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옥내 배선의 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각종 전기제품에 연결된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에 연결하여 편리하게 사용한다.
한편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를 꽂게 되는 단자삽입구가 노출된 사양이 주종을 이루었으며, 이러한 단자삽입구의 노출은 성인이나 전기의 위험성을 숙지한 어린이들에게는 문제를 일으킬 만한 요인이 되지 않았으나, 위험성의 식별력을 미처 깨우치지 못한 어린이들에게는 콘센트 자체가 큰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 즉 어린이들의 호기심은 젓가락 등과 같은 뾰쪽한 도체를 이용하여 단자삽입구에 끼우게 되는 행동으로 이어져 감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276531호(등록일: 2002. 05. 13.)에서, 규격화된 플러그를 제외한 모든 도체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의 안전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콘센트의 안전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동작의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안전장치의 부피가 과대하여 공급전원과 접촉되는 단자부와 플러그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금속성 물질이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연결 접속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차단장치의 구성요소를 단순화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부품의 손상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사용할 수 있어 신뢰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플러그 삽입구가 1쌍 이상 형성된 콘센트커버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안전장치를 상기 콘센트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단자부 고정대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콘센트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통상의 안전박스(50)와, 상기 안전박스(50)에 삽입되어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물체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40)와, 상기 안전박스(50)를 밀폐시키는 안전박스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자부(20)와 상기 단자부 고정대(10)로 결합되고, 상기 안전박스(50)는 외부에서 삽입되는 단자부 고정볼트(62)와 상기 단자부 고정대(10)의 고정너트(12)가 체결되도록 고정볼트구멍(51)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구멍(51)의 반대편에 스프링(41)이 안착되는 스프링장착홈(55)이 형성된 격벽(54)으로 플러그 삽입구(52)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각각 분리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52)의 일측 주연부에는 플러그핀(70)의 삽입을 안내하고,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방지하는 플러그가이드(5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40)는 사각체 형상으로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관통되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플러그 삽입통로(42)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통로(42)의 양측단에는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슬라이딩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단턱이 형성된 슬라이딩면(43)과, 상기 슬라이딩면(43)을 탈 수 없는 도체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부(20)로 접속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홀(45)이 안전턱(4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안전박스(50)에 형성된 고정볼트구멍(51)에 의해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볼트구멍(51)과 대응되는 부분에 라운딩되어 모따기된 고정볼트가이드(4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서 콘센트커버의 안전박스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서 차단부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의 차단부재의 절개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재가 안전박스에 장착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삽입구(52)가 1쌍 이상 형성되고 플러그 삽입구(52)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박스(50)가 구비된 콘센트커버(60)와, 상기 안전박스(50)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접속되는 단자부(20)와, 상기 단자부(20)와 안전박스(50)를 상기 콘센트커버(60)에 장착하기 위한 단자부 고정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단자부(20)는 일반적인 콘센트에 사용되는 절연성 물질로 구성되며, 이미 주지된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콘센트커버(60)와 일체로 형성된 안전박스(50)는 외부에서 삽입되는 단자부 고정볼트(62)와 상기 단자부 고정대(10)의 고정너트(12)가 체결되도록 고정볼트구멍(51)이 측면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차단부재(40)가 수용되는 사각박스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격벽(54)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데, 각각의 공간 중앙부에는 플러그핀(70)이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52)가 위치된다. 이 때 상기 격벽(54)에는 상기 고정볼트구멍(51)과 이격된 부분에 스프링(41)이 안착되는 스프링장착홈(55)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삽입구(52)의 주연부에는 플러그핀(70)의 삽입을 안내하고,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방지하는 플러그가이드(53)가 일정부분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전박스(50)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차단부재(40)는 상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체 형상으로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관통되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플러그 삽입통로(42)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통로(42)의 양측단에는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슬라이딩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단턱이 형성된 슬라이딩면(43)과, 상기 슬라이딩면(43)을 탈 수 없는 도체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부(20)로 접속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홀(45)이 안전턱(4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40)는 안전박스(50)에 형성된 고정볼트구멍(51)에 의해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볼트구멍(51)과 대응되는 부분에 라운딩되어 모따기된 고정볼트가이드(4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단부재(40)는 상기 안전박스(50)에 좌우 대칭되도록 1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차단부재(40)는 스프링(41)에 의해 양측으로 탄성되어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차단부재(40)가 수용되는 안전박스(50)는 안전박스커버(3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안전박스커버(30)는 상기 안전박스(50)를 밀폐하고, 상기 안전박스(50)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단자부(20)의 단자접속핀(21)과 충분히 접속되도록 접속구멍(3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안전박스커버(30)가 장착된 상태의 안전박스(50)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8mm 이하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조립은 먼저 안전박스(50)의 내부에 1쌍의 차단부재(40)를 삽입한다. 상기 차단부재(40)는 안전박스(50) 내부에 형성된 격벽(54)의 스프링장착홈(55)에 장착된 스프링(41)에 의해 양측면으로 탄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40)에 형성된 차단홀(45)은 콘센트커버(60)의 플러그 삽입구(52)와 일치되게 위치된다.
그 후 상기 안전박스(50)를 안전박스커버(30)로 밀폐시키고, 상기 단자부(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 고정대(10)를 결합시킨 후에 상기 단자부 고정볼트(62)를 콘센트커버(60)에 형성된 고정볼트구멍(51)을 통해 단자부 고정대(10)에 형성된 고정너트(12)에 나사 체결시켜 콘센트의 결합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종래의 일반적인 콘센트와 동일하게 콘센트커버(60)에 형성된 콘센트 체결구(61)의 단자부 고정대(10)를 벽체에 고정시켜 콘센트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해서는 먼저 플러그핀(70)을 플러그 삽입구(52)에 삽입시킨다. 이 때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은 차단부재(40)에 형성된 슬라이딩면(43)을 따라 밀게되면, 차단부재(40)는 격벽(54) 쪽으로 밀려가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핀(70)은 차단부재(40)의 차단홀(45)과 안전턱(44)을 지나 플러그 삽입통로(42)를 통과하게 되고, 계속해서 안전박스커버(30)의 접속구멍(32)을 통과하여 단자부(20)의 단자접속편(21)과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규격화된 플러그핀(70) 이외의 다른 물체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부재(40)의 슬라이딩면(43)을 통해 차단부재(40)를 밀지 못하고, 차단홀(45)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결국 삽입된 물체는 단자부(20)의 단자접속편(21)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플러그핀(70)과 단자접속편(21)이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차단부재(40)와 안전박스(50)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편리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금속성 물질이 콘센트의 접속단자에 연결 접속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감전사고에 의한 인명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차단장치의 구성요소를 단순화하고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가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안전장치의 부품의 구조가 단순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부품의 손상시 이를 용이하게 교체사용할 수 있어 신뢰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부분적인 구성요소의 파손시 이를 교체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콘센트 안전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서 콘센트커버의 안전박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서 차단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3의 차단부재의 절개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부재가 안전박스에 장착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자부 고정대 12: 고정너트
20: 단자부 21: 단자접속핀
30: 안전박스커버 32: 접속구멍
34: 고정너트홈 40: 차단부재
41: 스프링 42: 플러그 삽입통로
43: 슬라이딩면 44: 안전턱
45: 차단홀 46: 고정볼트가이드
50: 안전박스 51: 고정볼트구멍
52: 플러그 삽입구 53: 플러그가이드
54: 격벽 55: 스프링장착홈
60: 콘센트커버 61: 콘센트 체결구
62: 단자부 고정볼트 70: 플러그핀

Claims (1)

  1. 플러그 삽입구가 1쌍 이상 형성된 콘센트커버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와,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안전장치를 상기 콘센트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단자부 고정대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콘센트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각통상의 안전박스(50)와, 상기 안전박스(50)에 삽입되어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물체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재(40)와, 상기 안전박스(50)를 밀폐시키는 안전박스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자부(20)와 상기 단자부 고정대(10)로 결합되고,
    상기 안전박스(50)는 외부에서 삽입되는 단자부 고정볼트(62)와 상기 단자부 고정대(10)의 고정너트(12)가 체결되도록 고정볼트구멍(51)이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구멍(51)의 반대편에 스프링(41)이 안착되는 스프링장착홈(55)이 형성된 격벽(54)으로 플러그 삽입구(52)가 중앙에 위치되도록 각각 분리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52)의 일측 주연부에는 플러그핀(70)의 삽입을 안내하고, 규격화된 플러그 이외의 도체의 삽입을 방지하는 플러그가이드(5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40)는 사각체 형상으로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관통되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플러그 삽입통로(42)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삽입통로(42)의 양측단에는 삽입되는 플러그핀(70)이 슬라이딩되도록 일정 기울기로 단턱이 형성된 슬라이딩면(43)과, 상기 슬라이딩면(43)을 탈 수 없는 도체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단자부(20)로 접속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차단홀(45)이 안전턱(4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안전박스(50)에 형성된 고정볼트구멍(51)에 의해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볼트구멍(51)과 대응되는 부분에 라운딩되어 모따기된 고정볼트가이드(4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2004-0031816U 2004-11-10 2004-11-10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375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16U KR200375786Y1 (ko) 2004-11-10 2004-11-10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816U KR200375786Y1 (ko) 2004-11-10 2004-11-10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786Y1 true KR200375786Y1 (ko) 2005-03-11

Family

ID=4367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816U KR200375786Y1 (ko) 2004-11-10 2004-11-10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7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34A1 (ko) * 2020-10-23 2022-04-28 이덕현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34A1 (ko) * 2020-10-23 2022-04-28 이덕현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KR20220054077A (ko) * 2020-10-23 2022-05-02 이덕현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KR102530388B1 (ko) * 2020-10-23 2023-05-08 이덕현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105B1 (en) Power supply with a changeable plug element
US7300297B1 (en) Power supply with a changeable plug
US5540596A (en) Electric plug for supplying current to electric appliances
US7214101B1 (en) Electrical socket with dependent shutter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US6036536A (en) Different features in the structure of an electrical outlet
US6368161B1 (en) Lamp holder for decorative lighting device
JP2006012842A (ja)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CN215636695U (zh) 一种磁吸导电轨道及照明设备
CN113154292A (zh) 一种磁吸导电轨道及照明设备
KR20037578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101912897B1 (ko)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KR200171822Y1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KR940010422A (ko) 접촉기 장치
KR102326148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내설 조명 콘센트
KR101123665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GB2139001A (en) Electrical socket outlet
KR101973090B1 (ko) 다단 조립식 콘센트
KR19980064540U (ko) 안전 플러그 소켓
KR200340351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960002441Y1 (ko) 안전콘센트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US11444420B2 (en) Electrical plug
KR890007929Y1 (ko) 콘넥터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