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441Y1 - 안전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441Y1
KR960002441Y1 KR2019930016144U KR930016144U KR960002441Y1 KR 960002441 Y1 KR960002441 Y1 KR 960002441Y1 KR 2019930016144 U KR2019930016144 U KR 2019930016144U KR 930016144 U KR930016144 U KR 930016144U KR 960002441 Y1 KR960002441 Y1 KR 960002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plug
outle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397U (ko
Inventor
홍문유
Original Assignee
홍문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문유 filed Critical 홍문유
Priority to KR2019930016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441Y1/ko
Publication of KR950007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6Inwardly pivo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콘센트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상부커버를 분리해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정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센트본체 11 : 공간부
12 : 설치부 13 : 수납부
14 : 격벽 15 : 지지홈
16,23 : 지지대 20 : 상부커버
21 : 플러그 삽입공 22 : 통공
30 : 연결수단 31 : 힌지부
32 : 누름구설치부 33 : 누름부
34 : 레버 35 : 플랜지부
36 : 누름구 37 : 탄성부재
40 : 전원공급단자 41 : 접촉접점
42 : 접촉단자 50 : 플러그삽입단자
51 : 플러그단자삽입부 52 : 접점
100 : 안전콘센트 101 : 누름돌기
102 : 플러그 103 : 풀럴그단자
본 고안은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면에 돌기가 하향돌출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완전히 삽입시켜야만 전기가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어린이들의 부주의로 인한 전기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안 것이다.
일반적인 콘센트는 플러그 삽입단자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이 개방된 상태이어서, 어린이들이 젓가락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각종 도구를 상기 플러그 삽입공에 쑤실 경우에는 치명적인 전기 감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들어 상기와 같은 치명적인 감전사고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안전수단을 구비한 콘센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도 상기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전장지를 구비한 콘센트를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4058호(명칭:안전콘센트)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6028호(명칭:안전콘센트)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단자와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단자가 상호분리된 상태로 있다가, 플러그를 완전히 삽입시키면 플러그 저면이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플러그 삽입단자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켜주는 연결단자를 눌러주므로써, 전원이 전원공급단자 - 연결단자 - 플러그 삽입단자를 통해서 플러그삽입단자에 플러그가 삽입된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륵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안전콘센트는 연결단자가 눌러진 상태에서만 전원이 통하게 되므로 감전사고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상기 연결단자의 선단돌기부가 콘센트 상면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상태이어서 어린이들이 일측손으로 상기 연결단자의 선단돌기부를 누른 상태에서 타측손으로 젓가락과 같은 도구를 플러그 삽입공으로 삽입시킬 경우에는 전기안전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공급단자와 플러그 삽입단자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켜주는 연결수단 선단부가 콘센트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륵 함으로써, 저면에 누름돌기가 하향돌출된 플러그를 삽입시켜야만 통전되도록 하는 안전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는 저면에 누름돌기(101)가 하향돌출된 플러그(102)를 콘센트(100)의 플러그 삽입공(21)에 삽입시킴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101)가 연결수단(30)을 눌러주어 전원공급단자(40)와 플러그삽입단자(50)를 접촉시켜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0) 내측에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수단(30)이 설치될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1) 양측에는 중앙에 전원공급단자(40) 설치용 설치부(12)와 이 설치부 전후방에 플러그삽입단자(50) 설치용 수납부(13)가 격벽(14)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공간부(11) 중앙부에는 추후에 설명할 연결수단(30)의 레버(34)를 힌지식으로 지지할 지지홈(15)을 구비한 지지대(16)가 소정의 높이 만큼 높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본체(1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20)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2)의 하향돌출된 한쌍의 플러그단자(103)가 삽입될 한쌍의 플러그 삽입공(21)이 관통형성되고, 이 한쌍의 플러그 삽입공(21) 사이에는 플러그(102) 저면에 하향돌출된 누름돌기(101)가 삽입될 통공(22)이 관통형성되며, 이 상부커버(20)의 내측 중앙부 저면에는 상기 지지대(15)와 대응하는 지지대(23)가 하향돌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0)의 전, 후방설치부(12)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쌍의 전원공급단자(40)가 각각 설치되는데, 이 전원공급단자(40) 상면에는 양측저면에 접촉접점(41)을 구비한 접촉단자(42)가 소정의 높이만큼 높게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단자(40)가 설치되는 전후방 설치부(12) 양측의 수납부(13)에는 플러그(102)의 플러그단자(103)가 삽입될 단자 삽입부(51)와, 상기 접촉단자(42)의 접촉접접(41)과 접촉될 접점(52)을 구비한 플러그삽입단자(5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0)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간부(11)에는 연결수단(30)이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40)와 플러그 삽입단자(50)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져 통전되게 한다.
상기 연결수단(30)은 일측단에 상기 지지대(16), (23)의 지지홈(15)에 힌지식으로 지지되는 힌지부(31)를 구비하고, 타측단에는 플랜지부(35)를 구비한 누름구(36)가 탄성부재(37)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될 누름구 설치부(32)를 형성하며,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양측 접촉단자(42)를 눌러줄 누름부(33)를 구비한 절연제의 레버(34)가 설치된다.
상기 누름구(36)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선단부가 상부커버(20)의 통공(22) 상부로 돌추되지 않고 동일선상에 위치토록 설치되며, 탄성부재(37)가 레버(34) 하단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레버(34)를 상측으로 들어 접촉단자(42)의 접촉접점(41)과 플러그 삽입단자(50)의 접점(52)이 이격된 상태로 위치토록 한다.
상기 접촉접점(41) 및 접점(52)은 은접점 또는 은접점으로 채용하면 접촉시 쇼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은접점 또는 금접점으로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100)에 플러그(102)를 꼽기전 상태는 제3도에서와 같이 탄성부재(37)의 탄력과 접촉단자(42)의 자체탄력에 의해 접촉접점(41)과 접점(52)이 분리된 상태여서, 전원공급단자(40)까지 공급된 전원이 플러그 삽입단자(50)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플러그(102)를 안전콘센트(100)의 플러그 삽입공(21)을 통해 플러그단자(103)을 삽입시키는데, 이 플러그단자(103)가 제4도의 "A"와 같이 플러그삽입단자(50)의 플러그단자삽입부(51)에 일부만 십입되면 제3도 및 제5도와 같이 전원공급단자(40)의 접촉접점(41)과 플러그삽입단자(50)의 접점(52)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원이 흐르지 않게 된다.
이상태에서 플러그(102)를 더밀어 넣어 완전히 삽입시키면, 플러그(102)저면의 누름돌기(101)가 상부커버(20)의 통공(22)으로 삽입되면서 누름구(36) 선단부를 누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구(36)가 눌리게되면, 플랜지부(35)에 걸려진 레버(34)가 힌지부(31)를 중심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레버(34) 양측의 누름부(33)가 전원공급단자(40)의 양측 접촉단자(42)를 눌러주어 접촉단자(42)의 접촉접점(41)이 플러그삽입단자(50)의 접점(52)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촉접점(41)과 접점(52)이 접촉함에 따라 전원공급단자(40)에 공급된 전원이 접촉단자(42)를 통해 플러그 삽입단자(50)로 흐르게 되어, 이 플러그 삽입단자(50)의 플러그단자삽입부(51)로 삽입된 플러그(102)로 전원이 인가되게 되는 것이다.
그뒤, 이 플러그(102)를 콘센트(100)에서 빼내게되면 탄성부재(37)의 탄성복원력과 접촉단자(42)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접촉접점(41)과 접점(52)이 이탈되면서 전원의 흐름이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콘센트는, 저면에 누름돌기가 하향돌출된 플러그를 본 고안의 안전콘센트에 완전히 삽입시켜야만 전원공급단자와 플러그삽입단자가 접촉되면서 통전되도록 되어서,
어린이들의 부주의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안전콘센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측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수단(30) 설치용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1) 양측에는 중앙에 전원공급단자(40) 설치용 설치부(12)와 설치부 전후방에 플러그 삽입단자 설치용 수납부(13)를 각각 분리형성하며, 상기 공간부(11) 중앙에는 레버(34)의 힌지부 지지용 지지대 (16)를 돌출형성한 콘센트본체10)와,
    상기 콘센트본체(10) 상측에 착탈자유롭게 설치되며, 플러그 삽입공(21) 사이에 통공(22)이 관통형성되고 내측저면에는 상기 지지대(16)와 대응하는 지지대(23)를 하향돌출시킨 상부커버(20)와,
    상기 양측 설치부(12)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상부에는 자체단력을 가진 접촉단자(42)를 설치하되, 양단에 접촉접점(4l) 설치된 전원공급단자(40)와,
    상기 수납부(13)에 삽입설치되며, 플러그단자(103)가 삽입될 플러그 삽입단자부(51)와, 상기 접촉접점(41)가 접촉될 접점(52)을 구비한 플러그삽입단자(50)와,
    일측단에 상기 지지대(16), (23)에 힌지식으로 지지되는 힌지부(31)와,
    중앙 양측에 접촉단자 누름용 누름부(33)와 타측단에는 플랜지부(35)를 구비한 누름구(36)를 탄성부재(37)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하되, 이 누름구(36)선단부가 통공(22)과 동일 높이 선상에 끼워지는 절연체 레버(34)가 지지대(16),(23)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단자(40)와 플러그삽입단자(50)를 선택적으로 접촉시켜주는 연결수단(3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콘센트.
KR2019930016144U 1993-08-20 1993-08-20 안전콘센트 KR960002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144U KR960002441Y1 (ko) 1993-08-20 1993-08-20 안전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144U KR960002441Y1 (ko) 1993-08-20 1993-08-20 안전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97U KR950007397U (ko) 1995-03-21
KR960002441Y1 true KR960002441Y1 (ko) 1996-03-25

Family

ID=1936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144U KR960002441Y1 (ko) 1993-08-20 1993-08-20 안전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4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729A1 (en) * 2002-03-21 2003-10-02 Seung-Ki Park Concentric plug that can be separable to plug and suppliable to plug electric curr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447B1 (ko) * 1999-10-12 2002-06-12 김권희 안전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1729A1 (en) * 2002-03-21 2003-10-02 Seung-Ki Park Concentric plug that can be separable to plug and suppliable to plug electric curr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97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916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KR960028721A (ko) 카드수납 커넥터용 만능 접지 클립
JP2001307789A (ja) 電気コネクタ
KR960002441Y1 (ko) 안전콘센트
KR950009903B1 (ko) 전기 커넥터용 지지체 및 2열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H11233203A (ja) コンセント装置
KR200172065Y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KR970000290Y1 (ko) 매립형 콘센트
KR200214738Y1 (ko) 멀티 탭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910002027Y1 (ko) 전원 코드 없는 전기다리미의 안전 장치
KR19980064540U (ko) 안전 플러그 소켓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KR200375786Y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CN209981151U (zh) 剩余电流动作断路器
KR910003812Y1 (ko) 누전 방지용 건전지 케이스 덮개 장치
KR200158830Y1 (ko)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KR960006080Y1 (ko) 안전 콘센트
KR0115928Y1 (ko) 캠코더 밧데리 충전장치
KR970005594Y1 (ko) 어댑터
KR0152752B1 (ko) 링크용 커넥터
JPS6035156Y2 (ja) 保護継電器の接続装置
KR890007929Y1 (ko) 콘넥터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