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752B1 - 링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링크용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752B1
KR0152752B1 KR1019950020195A KR19950020195A KR0152752B1 KR 0152752 B1 KR0152752 B1 KR 0152752B1 KR 1019950020195 A KR1019950020195 A KR 1019950020195A KR 19950020195 A KR19950020195 A KR 19950020195A KR 0152752 B1 KR0152752 B1 KR 015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nection part
ce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744A (ko
Inventor
이관범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20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752B1/ko
Publication of KR97000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단자와 다른 단자를 연결시켜 주는 커넥터(connector)로서, 부품과 부품을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취부공간이 축소되도록 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저면부가 개구되는 하우징(50)의 일측에 상단이 개구된 제1연결부(51)가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끝이 개구되는 제2연결부(52)가 상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칸막이들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이어지는 셀이 형성되어, 상기 각 셀에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로 연장되는 터미널(40)이 장착되도록 구성하여,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2)에 다른 부품의 단자나 터미널이 착탈되도록 하여 터미널(40)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므로 서로 통전도록 하는 링크(link)용 커넥터이다.

Description

링크(link)용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총합 전기 분배장치의 전체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케이스 20 : 인쇄회로기판
30 : 상부케이스 40 : 터미널
50 : 하우징 51 : 제1연결부
52 : 제2연결부 53 : 걸림턱
본 발명은 터미널단자와 다른 단자를 연결시켜 주는 커넥터(connector)로서, 링크(Link)와 같이 부품과 부품을 직접 연결하여 취부공간이 축소되도록 하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링크(link)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그 기술이 발전되고 고급화되면서 안전성과 쾌적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많은 안전장치와 편의장치 및 첨단장치들이 내부에 유기적인 결합을 가지고 장치되어 왔다.
한편, 이러한 자동차의 안전장치나 편의장치들은 대부분이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제어되는 것으로, 기존의 등화장치나 경고장치 또는 음향장치와 제어장치 등과 함께 각기 축전지 전원으로부터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휴즈박스에 전선의 중간부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위치 및 제어장치 등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는데, 각 장치와 장치 또는 부품과 부품간에 연결되는 전선들로 설치공간이 확장되고, 전선들이 서로 복잡하게 엉키게 되어, 조립이 어렵고 서비스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절곡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 내부에 절곡형성된 복수개의 터미널(terminal)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에 다른 단자를 삽입시키면 단자와 터미널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link)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면부가 개구되는 하우징(50)의 일측에 제1연결부(51)가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연결부(51)의 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제2연결부(52)가 상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하우징(50)의 내부에 칸막이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2)가 이어지는 셀이 형성되어, 각 셀에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2)로 연장되는 터미널(40)이 장착된다. 또한, 각 셀의 내측 하단부에 걸림턱(53)이 형성되어, 셀에 장착되는 터미널(40)의 하단부가 걸림턱(53)에 지지되며, 제1연결부(51)의 상단과 제2연결부(52)의 단부가 내부 셀과 연통되게 개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개구된 하우징(50)의 저면부를 통해 터미널(40)이 각 셀로 삽입되어, 터미널(40)의 일단부가 제1연결부(51)에 끼워지고 터미널(40)의 타단부가 제2연결부(52)에 끼워져 하단부가 걸림턱(53)에 지지되며, 제1연결부(51)와 제2연결부(52)를 통해 다른 단자나 터미널이 끼워져 터미널(40)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제1도와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총합 전기 분배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구성은 일측 수납부에 중앙제어장치(CPU)(1)가 장착되고, 복수개의 하부커넥터삽입부들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10)와; 터미널단자(terminal)(21)들이 군을 형성되며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로 돌출된 터미널단자(21)들이 하부케이스(10)의 중앙제어장치(1)와 하부커넥터삽입부에 삽입되는 커넥터(2)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PCB)(20)과; 인쇄회로기판(20) 상부에 덮여져 하부케이스(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휴즈수납부(31)와 복수개의 상부커넥터삽입부(32)들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로 돌출되는 터미널단자(21)들이 휴즈수납부(31)와 상부커넥터삽입부(32)로 끼워져 각기 휴즈(fuse)(3) 또는 커넥터(2)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상부케이스(3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10)의 수납부 내부에 하우징(50)의 하단부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연결부(51)에 중앙제어장치(1)의 터미널단자들이 연결되고, 제2연결부(52)에 인쇄회로기판(2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터미널단자(21)들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 총합 전기 분배장치는, 하부케이스(10)가 차체에 설치되어, 축전지(battery) 전원과 통전되는 커넥터(2)와 각 전기장치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2)들이 하부케이스(10) 및 상부케이스(30)에 형성되는 하부커넥터삽입부와 상부커넥터삽입부(32)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부케이스(30)의 휴즈수납부(31)에 각 전기장치별 단자를 연결하는 일정 전류의 휴즈(3)들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축전지의 전원이 인쇄회로기판(20)의 휴즈(3)와 인쇄된 회로를 통해 터미널단자(21)에 통전되고, 터미널단자(21)와 커넥터(2)를 통해 각 전기장치에 통전되게 되며, 인쇄회로기판(20)과 중앙제어장치(1)가 본 발명 커넥터의 하우징(50)과 터미널(50)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기장치의 작동이 회로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제어장치(1)와 인쇄회로기판(20) 사이에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링크형 커넥터에 의해 통전되고, 조립시 단지 터미널단자를 삽입시켜 연결하며, 단자가 착탈이 용이하도록 되어, 배선공간 축소되고,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및 서비스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곡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 절곡형성된 복수개의 터미널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다른 단자와 터미널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공간과 조립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저면부가 개구되는 하우징의 일측에 상단이 개구된 제1연결부가 상부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의 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간부가 개구되는 제2연결부가 상향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칸막이들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이어지는 셀이 형성되어, 상기 각 셀에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로 연장되는 터미널이 장착됨 특징으로 하는 링크(link)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각 셀의 내측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터미널의 하단부가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link)용 커넥터,
KR1019950020195A 1995-07-10 1995-07-10 링크용 커넥터 KR0152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195A KR0152752B1 (ko) 1995-07-10 1995-07-10 링크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0195A KR0152752B1 (ko) 1995-07-10 1995-07-10 링크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744A KR970008744A (ko) 1997-02-24
KR0152752B1 true KR0152752B1 (ko) 1998-10-15

Family

ID=1942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195A KR0152752B1 (ko) 1995-07-10 1995-07-10 링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7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744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097A (en) Central electric unit for a motor vehicle
US6430054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CA2240905C (en) Power distribution center
US6997723B2 (en) Power inlet socket
US5040996A (en) Central circuit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US20020043876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for a vehicle
US5771151A (en) Central electrical assembly
JPH1028311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20010041890A (ko) 차량용 제어 장치에서 플러그-인 접속부가 있는 전기 회로
US7413447B2 (en) Electric distribution box
KR0152752B1 (ko) 링크용 커넥터
JP2752015B2 (ja) 電気接続箱とリレー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2101526A (ja) 電気接続箱の電源接続構造
GB2266810A (en)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CN218456162U (zh) 插座
US4880398A (en) Fuse holder for holding a flat-type fuse block
KR0171249B1 (ko) 커넥터의 터미널구조
KR100513961B1 (ko) 압축기용 모터 보호 장치의 클러스터 블록
CN214689045U (zh) 控制器及交通设备
JPH0317551Y2 (ko)
KR200450936Y1 (ko) 정션박스의 신호전달장치
KR970008756A (ko) 자동차용 총합 전기 분배장치
JPH0688076U (ja) 入出力用コネクタ
EP1513385B1 (en) Controller module responsive to input signals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appliance
JP2752016B2 (ja) 電気接続箱とリレーユニッ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