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290Y1 -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290Y1
KR200311290Y1 KR20-2003-0003384U KR20030003384U KR200311290Y1 KR 200311290 Y1 KR200311290 Y1 KR 200311290Y1 KR 20030003384 U KR20030003384 U KR 20030003384U KR 200311290 Y1 KR200311290 Y1 KR 200311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pening
fixed body
plu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철
Original Assignee
진흥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흥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흥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3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20V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한 조립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콘센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져 콘센트몸체(100)의 플러그 삽입구(102) 배면에 설치되며, 상하면을 차례로 수직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홀(12,12a)이 좌우측에 각각 천공되어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그 내면의 상기 관통홀(12 or 12a) 사이에 개방측과 편중되게 지지돌기(14)가 돌설되는 고정몸체(10)와; 저면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기 고정몸체의 걸림돌기를 삽입하는 장홀(22)이 천공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상측 관통홀(12) 하측에 상기 고정몸체의 개방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걸림편이 돌설된 홀 개폐부재(20)와; 상기 홀 개폐부재의 장홀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지지돌기에 탄지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Equipment for Plug Hole of Plug Socket Assembly}
본 고안은 220V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한 조립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콘센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전자기기 등에 전원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콘센트는본체의 삽입구 내부로 복수의 콘센트단자를 형성하고 있고, 플러그의 단자를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하여 콘센트 단자에 탄발적으로 연결하므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콘센트는 삽입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어, 어린이들이 상기 삽입홀을 통해 젓가락 등과 같은 것을 삽입함에 따른 감전사고는 물론, 상기 삽입홀이 메워지거나 그 내부의 콘센트단자가 파손되어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이유로 본원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 제 0183052호의 "220V용 콘센트 플레이트의 이중개폐장치" 및 이를 개선한 형태인 실용신안 제 0215105호의 "이중 안전구조를 갖는 콘센트 어셈블리"를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콘센트들은, 플러그를 관통시키는 삽입구의 내외측에 원형판 구조의 개폐판과 막대 구조의 회전체 및 절연판 등을 구비하는 복잡한 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 제작이 복잡한 동시에 각 구성품을 조립하여 콘센트의 완성품을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양호한 조립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콘센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220V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의 (a)(b)와 도 3의 (a)(b)는 도 1에 따른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가 콘센트에 적용된 구조 및 그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몸체 10a: 본체 10b: 커버 12,12a: 관통홀 14: 지지돌기 20: 홀 개폐부재 22: 장홀 24,24a: 걸림편 26,26a: 눌림부 28,28a: 걸림턱부 30: 탄성부재 40: 보조걸림편 100: 콘센트몸체 102: 플러그 삽입구 104: 도체막대 110: 플러그 112: 접속단자 114: 전원접속단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져 콘센트몸체의 플러그 삽입구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대응되도록 상하면을 차례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좌우측에 각각 천공되고, 그 내면의 상기 좌우측 관통홀의 사이로 위치한 부위에 개방측으로 편중되게 지지돌기가 돌설되는 고정몸체와; 저면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기 고정몸체의 걸림돌기를 삽입하는 장홀이 천공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상측 관통홀 하측에 상기 고정몸체의 개방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걸림편이 돌설된 홀 개폐부재와; 상기 홀 개폐부재의 장홀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지지돌기에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에 따른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가 콘센트에 적용된 구조 및 그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20V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는 고정몸체(10), 홀 개폐부재(20),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10)는 일측을 개방한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홀 개폐부재(20)와 탄성부재(30)를 그 내측에 수용한체 콘센트 내측에 설치된다. 이같은 고정몸체(10)의 설치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고정몸체(10)는 콘센트몸체의 플러그 삽입구(102) 배면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고정몸체(10)를, 내측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이 개방부(13)를 유지하는 본체(10a)와, 상기 본체(10a)의 수용공간이 그 측면 개방부(13)를 개방한 상태로 차단되도록 상기 본체(10a)에 고정되는 커버(10b)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같은 고정몸체(10)는, 그 상하면을 차례로 수직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홀(12,12a)이 그 좌우측에 각각 천공되고, 상기 좌우측 관통홀(12 or 12a)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면에 상기 개방부(13)를 향해 편중되도록 지지돌기(14)가 돌설된다. 즉, 본 실시예를 기준하면, 상기 본체(10a)와 커버(10b)를 차례로 수직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홀(12,12a)이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천공되며, 상기 본체(10b) 내면의 상기 하측 관통홀(12a) 사이에 편중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돌기(14)가 돌설된다.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장방형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저면은 그 중심부를 기준하여 좌우 방향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몸체(10)의 지지돌기(14)를 삽입하기 위한 장홀(22)이 천공되고, 상기 장홀(22)의 양측 주연에 상기 고정몸체(10)의 개방부(13)를 향해 경사지도록 돌설된 걸림편(24,24a)이 각각 돌설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걸림편(24,24a)은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24,24a)은 눌림부(26,26a)와 걸림턱부(28,28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눌림부(26,26a)는 상기 장홀(22)의 주연에서 상향 경사면을 유지하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눌림부(26,26a)는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과 콘센트몸체(100)의 플러그 삽입구(102)를 차례로 관통한 플러그 접속단자(112)에 의해 눌려지며, 이같이 누름력을 받는 상기 눌림부(26,26a)에는 그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고정몸체(10)의 개방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부(28,28a)는 상기 눌림부(26,26a)의 상향 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그 상향시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로 인입되어 걸림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장홀(22)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써, 이같은 탄성부재(30)는 그 일단을 상기 장홀(22)로 삽입된 지지돌기(14)에 탄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 2의 (a)(b)와 도 3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홀 개폐부재(20)는 고정몸체(1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이때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걸림편(24,24a)이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 하측에 위치되므로써, 상기 걸림편(24,24a)에 의해 상기 상측 관통홀(12) 및 그 상측의 플러그 삽입구(102)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삽입구(102)의 일측에 플러그 이외의 도체막대(104)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도 2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도체막대(104)가 일측 걸림편(24a)의 눌림부(26a)를 누르는 동작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들(24,24a)을 돌설한 홀 개폐부재(20)는 그 중심부를 기준하여 경사진 저면이 유지되는 형태이므로, 상기 일측 걸림편(24a)의 누름시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한 쪽이 눌리면서 그 반대측은 상대적으로 상향되는 동작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향되는 상기 반대측 걸림편(24)의 걸림턱부(28)가 상기 고정몸체의 상측 관통홀(12)로 끼워져 걸리게 되고, 이같은 걸림턱부(28)의 걸림동작에 의해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고정몸체(10)의 내측에 수용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므로, 상기 상하측 관통홀(12,12a) 및 그 상측의 플러그 삽입구(102)는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걸림편(24,24a)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도 2의 (b)는 (a)와는 반대의 경우를 보인 것으로써, 콘센트몸체(100)의 타측 삽입구를 통해 도체막대(104)의 삽입이 시도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즉,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타측 걸림편(24)이 눌려지면서 그 반대측 걸림편(24a)이 상향되는 동작을 보이고, 이때 상기 상향된 걸림편(24a)의 걸림턱부(28a)가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로 끼워지면서 걸림되어,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상기 고정몸체(10)에 수용된체 고정몸체(10)의 상하측 관통홀(12,12a)과 그 상측의 플러그 삽입구(102)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a)와 (b)는 콘센트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정상적인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a)와 같이 콘센트몸체(100)의 플러그 삽입구(102)에 플러그(110)를 삽입하는 경우, 상기 플러그(110)의 좌우측 접속단자(112)가 콘센트몸체(100)의 플러그 삽입구(102) 및 그 하측에 위치하는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을 차례로관통하면서 홀 개폐부재(20)의 좌우측 걸림편(24,24a)을 동시에 누르는 동작이 진행된다.
이같이 상기 좌우측 걸림편(24,24a)은 동시에 누름력을 받는 것이므로,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상향된 걸림편(24 or 24a)을 상기 상측 관통홀(12)로 삽입하여 걸리는 동작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24,24a)의 경사면을 구비한 눌림부(26,26a)가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102)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므로, 상기 걸림편(24,24a)은 그 경사진 눌림부를 따라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102)에 의해 눌려지고, 이에 따라 (b)도면에서와 같이 홀 개폐부재(20)는 상기 고정몸체(10)의 개방측을 향해 밀려나가는 동작을 보이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서 홀 개폐부재(20)의 걸림편(24,24a)으로 폐쇄되어 있던 고정몸체(10)의 관통홀(12,12a)이 개방되는 것이고, 플러그(110)의 접속단자(112)가 이같이 개방된 관통홀(12,12a)을 통과하여 콘센트의 전원접속단자(114)에 꽂혀지면서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그 좌우측의 걸림편(24,24a)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에만 상기 고정몸체(10)의 관통홀(12,12a)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므로, 플러그(110) 이외의 막대형 도체를 삽입하려는 시도가 있는 경우 막대형 도체에 의해 상기 걸림편(24,24a)이 동시에 눌려지는 상황은 발생치 않음에 따라 콘센트몸체(100)의 플러그 삽입구(102)는 개방됨 없이 폐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정상적으로 플러그(110)를 삽입하는 경우에만 상기 걸림편(24,24a)이 동시에 눌려지면서 홀 개폐부재(20)가 이동하여 콘센트몸체(100)의 플러그 삽입구(102)가 개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측방향 이동시 그 장홀(22) 내측에 설치된 탄성부재(30)는 일단을 상기 고정몸체(10)의 지지돌기(14)에 지지한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일단은 플러그(110)의 접속단자(112)에 의해 막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발을 억제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장홀(22) 내면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콘센트몸체(100)에 접속된 플러그(110)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일단이 플러그(110)의 접속단자(112)에 의한 규제에서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의 탄발에 의해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고정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그 걸림편(24,24a)을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 하부에 위치시키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이같이 복귀된 걸림편(24,24a)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0)의 상하측 관통홀(12,12a) 및 그 상측의 플러그 삽입구(102)는 폐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저면에 보조걸림편(40)을 돌설하므로써, 콘센트에 플러그(110) 이외의 도체막대(104) 삽입시 상기 홀 개폐부재(20)를 통한 플러그 삽입구(102)의 폐쇄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겠다.
즉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 일측으로 도체막대(104)가 삽입되면서 상기 홀 개폐부재(20)의 일측 걸림편(24a)을 누름시,그로 인해 홀 개폐부재(20)의 일측이 하방향으로 눌려지면서 그 저면의 보조걸림편(40)이 고정몸체(10)의 하측 관통홀(12a)로 삽입되면서 걸림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타측 걸림편(24)의 걸림턱부가 상기 고정몸체(10)의 상측 관통홀(12)로 끼워져 걸리는 동시에, 그 반대측에 위치한 보조걸림편(40)이 상기 고정몸체(10)의 하측 관통홀(12a)로 끼워져 걸림으로써 2중의 걸림구조를 이루게 되어 측방향으로 유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억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할 경우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0)의 좌우측 접속단자(112)가 삽입과 함께 상기 좌우측 걸림편(24,24a)을 동시에 눌러주는 것이므로 상기 홀 개폐부재(20)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한 쪽으로 기우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걸림편(40)이 상기 고정몸체(10)의 하측 관통홀(12a)로 삽입되어 걸리는 동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접속단자(112)는 상기 좌우측 걸림편(24,24a)의 눌림부(26,26a)경사면을 따라 미끄럼되면서 상기 홀 개폐부재(20)를 밀게되므로써, 상기 홀 개폐부재(20)는 상기 고정몸체(10)의 개방측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220V용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에 의하여, 콘센트몸체의 플러그 삽입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콘센트몸체의 내측으로 간편한 작업을 통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일측면이 개방된 케이스 구조로 이루어져 콘센트몸체의 플러그 삽입구 배면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삽입구와 대응되도록 상하면을 차례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좌우측에 각각 천공되고, 그 내면의 상기 좌우측 관통홀의 사이로 위치한 부위에 개방측으로 편중되게 지지돌기가 돌설되는 고정몸체와;
    저면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며, 중앙에 상기 고정몸체의 지지돌기를 삽입하는 장홀이 천공되고, 상기 고정몸체의 상측 관통홀 하측에 상기 고정몸체의 개방측으로 상향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걸림편이 돌설된 홀 개폐부재와;
    상기 홀 개폐부재의 장홀 내측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몸체의 지지돌기에 탄지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개폐부재는, 상기 걸림편과 대응되는 위치의 저면에 보조걸림편이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개폐부재의 걸림편은,
    상기 고정몸체의 개방측을 향해 상향된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의 상측 관통홀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로 삽입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에 의해 눌려지는 눌림부와;
    상기 눌림부의 상향 단부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KR20-2003-0003384U 2003-02-05 2003-02-05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KR200311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84U KR200311290Y1 (ko) 2003-02-05 2003-02-05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384U KR200311290Y1 (ko) 2003-02-05 2003-02-05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290Y1 true KR200311290Y1 (ko) 2003-04-21

Family

ID=4933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384U KR200311290Y1 (ko) 2003-02-05 2003-02-05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2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76B1 (ko) * 2017-02-17 2018-05-08 (주)두남 직진운동식 안전 콘센트
KR101871356B1 (ko) *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KR101912897B1 (ko) * 2018-02-28 2018-10-29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KR102146060B1 (ko) * 2019-05-08 2020-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켓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76B1 (ko) * 2017-02-17 2018-05-08 (주)두남 직진운동식 안전 콘센트
KR101871356B1 (ko) * 2017-02-27 2018-06-26 주식회사 수만테크 다중 안전 장치를 갖는 멀티 탭
KR101912897B1 (ko) * 2018-02-28 2018-10-29 디에스이엘씨 주식회사(Dselc)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KR102146060B1 (ko) * 2019-05-08 2020-08-19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소켓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783B1 (ko) 콘센트
US5482478A (en) Structure AC power plug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1196133A (ja) コネクタの嵌合方法及びこの嵌合方法によるコネクタ
KR200311290Y1 (ko)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KR200425684Y1 (ko) 안전 콘센트
JP2001052811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本体の形成方法
US6908343B1 (en) Earphone jack
CN205609812U (zh) 一种具有五孔插座保护门结构及具有该结构的延长线插座
KR101034274B1 (ko) 안전고리를 가지는 콘센트
KR100599313B1 (ko) 와이어하니스 커넥터
US7031486B2 (en) Earphone jack
CN211480363U (zh) 一种插座的防水结构
KR200341326Y1 (ko) 콘센트
KR101730889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JP327804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076979B2 (ja) コネクタ
US6948954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281943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80126680A (ko) 콘센트의 안전장치
JP3008671B2 (ja) 端子装置
KR200276531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977190B1 (ko) 콘센트안전장치
KR19980064540U (ko) 안전 플러그 소켓
CN112018563B (zh) 具有滑动锁定框的连接器组及其插头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