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60B1 - 소켓장치 - Google Patents

소켓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60B1
KR102146060B1 KR1020190053753A KR20190053753A KR102146060B1 KR 102146060 B1 KR102146060 B1 KR 102146060B1 KR 1020190053753 A KR1020190053753 A KR 1020190053753A KR 20190053753 A KR20190053753 A KR 20190053753A KR 102146060 B1 KR102146060 B1 KR 10214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pening
closing
dispos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식
김준기
이동희
심영빈
강문혁
오인욱
진승표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선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단자삽입홀의 수평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단자삽입홀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를 상기 단자삽입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부의 외측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소켓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에 의하면, 단자삽입홀의 외측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가 구비됨으로써, 플러그의 단자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에 경사부에 의해 단자삽입홀 측으로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에 의하면, 플러그의 단자를 단자삽입홀에 일일이 정렬하지 않더라도 플러그의 단자를 단자삽입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플러그의 단자가 외부 전원의 전선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켓장치{Socket apparatus}
본 발명은 소켓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켓장치란, 전기 배선에 설치하는 접속 기구를 의미한다. 소켓장치는 국내에서는 콘센트라고도 불려진다. 소켓장치는 통상 벽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된 배선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장치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가 설치되며,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가 외부 전원에 연결된 배선과 접촉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제품으로 전류가 공급된다.
플러그는, 통상 외부 전원의 전선과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소켓장치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이 형성된다. 플러그의 단자는, 소켓장치의 단자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소켓장치 내부에 설치된 전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종래의 소켓장치에는, 플러그의 단자를 단자삽입홀에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람이 직접 소켓장치를 눈으로 보고 플러그의 단자를 단자삽입홀과 정렬시킨 후 이에 삽입하여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소켓장치에 의하면, 플러그를 소켓장치에 완전히 장착시키는 데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됨은 물론, 플러그가 소켓장치에 불완전하게 장착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플러그의 단자가 전선에 불완전하게 연결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58830호(고안의 명칭 :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가 소켓장치에 형성된 단자삽입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플러그의 단자가 외부 전원의 전선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소켓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선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단자삽입홀의 수평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단자삽입홀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를 상기 단자삽입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부의 외측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소켓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삽입홀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형성된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를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에 각각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는, 외면이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내면이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각각 일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 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타단 측 부위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실린더는,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가압부가 설치되는 메인관통홀과, 상기 메인관통홀의 상부 내벽에서 돌출되며, 상기 메인관통홀보다 작은 보조관통홀이 형성되는 관통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조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부의 하면에 접하는 가압부재와, 상단이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평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상기 보조관통홀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면 중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접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관통내벽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압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장치는, 상기 메인관통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가압본체의 하부와 접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가압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본체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은,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과 타단에서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돌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플레이트는, 내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소켓장치는, 상기 경사부와 상기 고정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을 밀폐시키며,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단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을 개방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과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폐부를 가압하는 개폐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 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타단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개폐본체와, 상기 개폐본체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한 쌍의 경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 상면이 상기 개폐본체의 일단 측으로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본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의 사이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본체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홀 사이의 거리는,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단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은, 플랫면과, 상기 플랫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본체의 타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경사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랫면에 안착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폐부재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제1경사돌출편과, 상기 제1경사돌출편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면이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안착되어 상기 개폐스프링에 의한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경사돌출편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우징홀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과 상기 경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가 각각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본체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하우징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본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홀의 내벽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홀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이 배치되지 않은 측의 부위에, 상기 한 쌍의 경사 플레이트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하는 한 쌍의 경사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에 의하면, 단자삽입홀의 외측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가 구비됨으로써, 플러그의 단자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에 경사부에 의해 단자삽입홀 측으로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에 의하면, 플러그의 단자를 단자삽입홀에 일일이 정렬하지 않더라도 플러그의 단자를 단자삽입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플러그의 단자가 외부 전원의 전선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소켓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하우징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B선을 따라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하우징부의 저면사시도로서, 하우징부 중 하부플레이트를 제외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A-A선을 따라 지지실린더가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경사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에 플러그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1000)는, 외부 전원의 전선(미도시)이 설치되며, 플러그(1)가 장착되어 플러그(1)에 구비된 단자(2)가 상기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부(1100), 지지부(1200), 고정부(1300), 경사부(1400), 가압부(1500), 가압스프링(1530), 개폐부(1600) 및 개폐스프링(1640)을 포함한다. 플러그(1)에는, 통상 단자(2)가 1개 내지 3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2)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플러그(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00)는, 상기 지지부(1200), 고정부(1300), 경사부(1400), 가압부(1500), 가압스프링(1530), 개폐부(1600) 및 개폐스프링(1640)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하부플레이트(1110),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1120), 상부플레이트(1130),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 하우징본체(1150) 및 하우징부재(116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서,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선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112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1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의 테두리 중 어느 한 부분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112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의 테두리 중 일 부분에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측부플레이트(1120)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는, 다른 소켓장치(10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자는, 소켓장치(1000)를 복수개로 구비하고, 이를 각각 병렬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1120) 중 어느 하나는,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자는, 상기 측부플레이트(1120)의 절개된 부위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100) 내부에 배치된 부품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내부 부품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3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와 평행이 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30)는,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112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의 상면에 안착된 부품들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30)의 중심 부위에는, 플러그(1)가 삽입되는 하우징홀(113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30)의 하면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홀(1131)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돌출편(1140)은, 후술할 고정돌출편(1330)과 경사부(1400)의 사이에 배치되며, 경사플레이트(1410)가 힌지 결합된다.
하우징본체(1150)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150)에는, 한 쌍의 하우징삽입홀(115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삽입홀(1151)은, 상기 하우징본체(1150)의 일단과 타단 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삽입홀(1151)은, 후술할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2)는, 상기 하우징삽입홀(1151)에 삽입된 후 단자삽입홀(1311)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본체(1150)는, 상기 고정부(13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부재(1160)는, 상기 하우징홀(1131)의 내벽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1160)는, 상기 하우징홀(1131)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이 배치되지 않은 측의 부위에, 한 쌍의 경사삽입홀(116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삽입홀(1161)은, 후술할 경사플레이트(1410)가 가압부(1500)에 의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가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재(1160)는,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와 함께 상기 하우징홀(1131)을 하측에서 밀폐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지지실린더(121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121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외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면서 수평으로 곡률을 이루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실린더(1210)는, 메인관통홀(1211), 중간홈(1212), 관통내벽(1220) 및 보조관통홀(1221)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관통홀(1211)은, 상기 지지실린더(120)의 내부에서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간홈(1212)은, 상기 지지실린더(1210)의 내면에서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내벽(1220)은, 상기 메인관통홀(1211)의 상부 내벽에서 돌출된다. 상기 보조관통홀(1221)은, 상기 관통내벽(1220)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관통홀(1211)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300)는, 상기 지지부(1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본체(1310), 한 쌍의 고정부재(1320), 한 쌍의 고정돌출편(1330) 및 한 쌍의 고정이격편(13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본체(131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121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본체(1310)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본체(1150)의 일단 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본체(1150)의 타단 측을 향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고정본체(1310)에는,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과 타단 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320)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본체(1310)를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1210)에 각각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1320)는, 상기 지지실린더(1210)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수평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20)는, 내면이 상기 지지실린더(1210)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1310)의 타단 측 부위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320)는, 상기 지지실린더(121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본체(1310)를 상기 지지실린더(1210)에 고정시킨다.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1320)은, 각각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과 타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1320)은,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경사플레이트(1410)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1320)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이격편(1340)은, 상기 고정부재(1320)와 상기 고정본체(1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본체(13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이격편(1340)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320) 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그 사이에 이격홈(1341)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1400)는, 상기 플러그(1)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 한 쌍의 단자(2)를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 측으로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 및 한 쌍의 경사부재(142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1210)의 상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기 단자삽입홀(1311)의 수평방향 외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1330)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고정본체(1310)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은,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과 타단 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의 이격된 방향과는 수직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만약, 상기 한 쌍의 단자(2)가 상기 단자삽입홀(1311)과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강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경사를 따라서 수평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로 가이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1000)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단자(2)를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에 일일이 정렬하지 않더라도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단자(2)가 외부 전원의 전선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는, 상기 가압부(15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었을 때, 각각 상기 한 쌍의 경사삽입홀(1161)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부(1100)의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홀(1131)은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 및 상기 하우징부재(1160)에 의해, 하측이 밀폐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 및 상기 하우징부재(1160)는, 상기 하우징부(1100)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홀(1131)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 기타 이물질이,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재(1420)는,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이격홈(1341) 및 상기 중간홈(1212)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재(1420)는, 후술할 개폐부재(162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폐부재(1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재(1420)는, 상기 가압부(1500)와 함께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경사를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부재(1420)는, 제1경사돌출편(1421) 및 제2경사돌출편(14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경사돌출편(1421)은,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경사돌출편(1422)은, 상기 제1경사돌출편(142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면이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제1경사돌출편(1421)은 개폐부재(1620)의 플랫면(1621)에 안착되고, 제2경사돌출면(1422)은 개폐부재(1620)의 경사면(1622)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돌출편(1421)은,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외측 단부를 개폐부재(162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시키며, 상기 제2경사돌출편(1422)은, 상기 개폐스프링(1640)에 의한 상기 개폐부(16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1500)는, 상기 고정부(1300)에 설치되며, 상기 경사부(1400)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가압부(1500)는, 후술할 개폐부재(1620)와 함께,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가 하강하지 않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10)에 대하여 상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부(1500)는, 한 쌍의 가압부재(1510) 및 한 쌍의 가압본체(152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1510)는, 상기 보조관통홀(1221)에 삽입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외측 하면에 접한다. 상기 가압본체(1520)는, 상단이 상기 가압부재(15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평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상기 보조관통홀(1221)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스프링(1530)은, 상기 메인관통홀(1211)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가압본체(1520)의 하부와 접하고, 하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1110)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스프링(1530)은, 상기 가압부(1500)를 상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가압스프링(1530)에 의해 상기 가압부(1500)가 상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압본체(1520)는, 상면 중 상기 가압부재(1510)의 하부에 접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관통내벽(1220)의 하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500)는, 상기 지지실린더(121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4,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600)는, 상기 단자삽입홀(1311)을 밀폐시켜 상기 단자삽입홀(1311)로 먼지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부(1400)와 상기 고정본체(13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을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600)는, 상기 플러그(1)가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2)에 의해 가압됨에 다라,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을 개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개폐부(1600)는, 개폐본체(1610), 한 쌍의 개폐부재(1620) 및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본체(1610)는, 상기 고정본체(13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1310)의 타단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본체(1160), 고정본체(1310) 및 개폐본체(1610)는, 각각 일단이 같은 쪽에 배치되고, 타단 역시 같은 쪽에 배치된다. 상기 개폐스프링(1640)은,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 고정돌출편(1330)과, 상기 개폐본체(1610)의 일단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스프링(1640)은, 일단이 상기 고정돌출편(1330)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개폐본체(1610)의 일단에 접하여, 상기 개폐부(1600)를 상기 고정본체(1310)의 타단 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1620)는, 상기 개폐본체(1610)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320) 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620)는, 상기 한 쌍의 이격홈(1341) 및 상기 중간홈(1212)에 삽입된다. 상기 개폐부재(1620)의 상면은, 플랫면(1621)과 경사면(1622)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면(1621)은, 상기 개폐본체(1610)의 일단 측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622)은, 상기 개폐본체(1610)의 타단 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622)은, 상기 플랫면(1621)으로부터 상기 개폐본체(1610)의 타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경사돌출편(1421)은, 상기 플랫면(1621)에 안착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폐부재(1620)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돌출편(1422)은, 상기 경사면(1622)에 안착되어, 상기 개폐스프링(1530)에 의한 상기 개폐부(16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상기 제2경사돌출편(1422)은,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1140)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133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개폐부재(1620)가 상기 경사부재(1420)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개폐부(1600)는 상기 고정본체(1310)의 타단 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는, 상기 개폐본체(16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면(1622)이 상기 제2경사돌출편(1422)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는, 각각 상면이 상기 개폐본체(1610)의 일단 측으로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폐본체(161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의 사이에 가이드홀(16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본체(1610)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홀(1611)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단자(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400)에 의해 상기 개폐부(1600) 측으로 가이드된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는, 상면이 상기 개폐스프링(1640)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돌기(1630)의 상면이 상기 단자(2)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1630)는 상기 개폐스프링(1640) 측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1600)는, 상기 개폐스프링(164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개폐본체(1610)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을 개방시키게 된다. 즉,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홀(1611)과 연통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개폐본체(1610)의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측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를 가압하여 상기 개폐부(1600)를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에 각각 삽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1600)는, 상기 플러그(1)가 소켓장치(1000)에 장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단자삽입홀(1311)을 밀폐시켜 상기 단자삽입홀(1311)로 먼지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플러그(1)가 소켓장치(1000)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2)가 상기 단자삽입홀(1311)에 삽입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단자삽입홀(1311)을 개방시켜 상기 단자(2)가 상기 단자삽입홀(13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부터는,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플러그(1)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1000)에 장착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10 내지 13에서 상기 플러그(1)는 실시자 또는 외부의 수단(미도시)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는 상태인 것으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1)는 상기 하우징홀(1131)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1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도 10에서,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과 마주보도록 정렬되어 있지 않고,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상측에 각각 배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1)가 하강할 시에,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각각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상면에 접한 후,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경사를 따라 회전하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1620) 측으로 가이드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서, 상기 경사부재(1420)는, 상기 개폐부재(16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스프링(1640)이 상기 개폐본체(1610)를 상기 고정본체(1310)의 타단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개폐본체(1610)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을 밀폐시킨 상태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1500)는, 상기 가압스프링(153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가압부(1500)의 상단이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의 외측 하면을 상측으로 가압한 상태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도 1을 참조하였을 때, 상기 하우징본체(1150)의 상측에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1620) 측으로 가이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 측으로 가이드 된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1630)의 상면을 가압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1630)는, 상기 개폐스프링(1640)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돌기(1630)는 상기 개폐스프링(1640) 측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1600)는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개폐스프링(1640)은 압축되고, 상기 개폐본체(1610)에 의해 가려졌던 상기 단자삽입홀(1311)은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600)가 상기 고정본체(1310)의 일단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경사부재(1420)는 더 이상 상기 개폐부재(1620)의 상면에 접하지 않게 되며,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는 오로지 상기 가압부(1500)에 의해서만 상측으로 지지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플레이트(1410)는 오로지 상기 가압부(150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플러그(1)가 계속해서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가압스프링(1530)은 압축되며, 상기 가압부(1500)는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는, 외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압부재(1510)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는 더 이상 상기 하부 플레이트(1110)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각각 하면이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1210)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의 하면이 상기 한 쌍의 경사 플레이트(141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에 완전히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단자(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1110)에 설치된 외부 전원의 전선에 연결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1000)에 의하면, 단자삽입홀(1311)의 외측에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1400)가 구비됨으로써, 플러그(1)의 단자(2)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에 단자(2)가 경사부(1400)에 의해 단자삽입홀(1311) 측으로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1000)에 의하면, 플러그(1)의 단자(2)를 단자삽입홀(1311)에 일일이 정렬하지 않더라도 플러그(1)의 단자(2)를 단자삽입홀(1311)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플러그(1)의 단자(2)가 외부 전원의 전선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소켓장치(1000)에 장착된 플러그(1)를 소켓장치(100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플러그(1)의 장착과정을 그대로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즉, 상기 플러그(1)를 상측으로 인출하는 경우, 상기 가압스프링(1530)에 의해 상기 가압부(1500)가 상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외측 단부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단자(2)가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로부터 상측으로 빠져나온 경우, 상기 개폐스프링(1640)은 상기 개폐부(1600)를 상기 고정본체(1310)의 타단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개폐본체(161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1311)을 밀폐시킴은 물론, 상기 한 쌍의 경사부재(1420)의 하측에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1620)를 배치시켜,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14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소켓장치(1000)에 의하면, 상기 경사부(1400)가 상기 가압스프링(153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구조로 설계됨으로써, 상기 플러그(1)를 소켓장치(100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1 : 플러그 2 : 단자
1000 : 소켓장치 1100 : 하우징부
1200 : 지지부 1300 : 고정부
1400 : 경사부 1500 : 가압부
1600 : 개폐부

Claims (12)

  1.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선이 설치되며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홀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단자삽입홀의 수평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단자삽입홀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플러그에 구비된 단자를 상기 단자삽입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부; 및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부의 외측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소켓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삽입홀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형성된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를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에 각각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소켓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는, 외면이 각각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의 외면의 곡률을 따라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 내면이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의 외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각각 일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 측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타단 측 부위에 결합되는 소켓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실린더는,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가압부가 설치되는 메인관통홀과,
    상기 메인관통홀의 상부 내벽에서 돌출되며, 상기 메인관통홀보다 작은 보조관통홀이 형성되는 관통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보조관통홀에 삽입되며, 상단이 상기 경사부의 하면에 접하는 가압부재와,
    상단이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수평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이 상기 보조관통홀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면 중 상기 가압부재의 하부에 접하지 않은 부위가 상기 관통내벽의 하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압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관통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가압본체의 하부와 접하고 하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가압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소켓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실린더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본체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은,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소켓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과 타단에서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돌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사플레이트는, 내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에 힌지 결합되는 소켓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고정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을 밀폐시키며,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단자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을 개방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과 상기 개폐부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개폐부를 가압하는 개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소켓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일단 측을 향하고 타단이 상기 고정본체의 타단 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개폐본체와,
    상기 개폐본체로부터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 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개폐부재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한 쌍의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켓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 상면이 상기 개폐본체의 일단 측으로 향할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본체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의 사이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본체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홀 사이의 거리는, 플러그에 구비된 한 쌍의 단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 소켓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은,
    플랫면과,
    상기 플랫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본체의 타단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경사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랫면에 안착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외측 단부를 상기 개폐부재에 대하여 상측으로 이격시키는 제1경사돌출편과,
    상기 제1경사돌출편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면이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하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안착되어 상기 개폐스프링에 의한 상기 개폐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경사돌출편을 포함하는 소켓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측부플레이트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플러그가 삽입되는 하우징홀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각각 상기 한 쌍의 고정돌출편과 상기 경사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플레이트가 각각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과,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본체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삽입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하우징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본체를 더 포함하는 소켓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홀의 내벽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홀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돌출편이 배치되지 않은 측의 부위에, 상기 한 쌍의 경사 플레이트가 각각 삽입되도록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하는 한 쌍의 경사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켓장치.
KR1020190053753A 2019-05-08 2019-05-08 소켓장치 KR10214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53A KR102146060B1 (ko) 2019-05-08 2019-05-08 소켓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753A KR102146060B1 (ko) 2019-05-08 2019-05-08 소켓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60B1 true KR102146060B1 (ko) 2020-08-19

Family

ID=7229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753A KR102146060B1 (ko) 2019-05-08 2019-05-08 소켓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90A (ko) * 2021-01-07 2022-07-14 김영숙 플러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콘센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943A (ja) * 1994-10-03 1996-04-23 Kyoko Nakatsuka プラグ挿入コンセント
KR200158830Y1 (ko) 1997-06-25 1999-10-15 오재부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KR200311290Y1 (ko) * 2003-02-05 2003-04-21 진흥전기 주식회사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KR100898238B1 (ko) * 2007-12-01 2009-05-18 신유경 콘센트
KR20130111113A (ko) * 2012-03-31 2013-10-10 송승근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101863051B1 (ko) * 2016-12-27 2018-06-29 오신혁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탭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6943A (ja) * 1994-10-03 1996-04-23 Kyoko Nakatsuka プラグ挿入コンセント
KR200158830Y1 (ko) 1997-06-25 1999-10-15 오재부 콘센트의 코드 접속장치
KR200311290Y1 (ko) * 2003-02-05 2003-04-21 진흥전기 주식회사 전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 개폐장치
KR100898238B1 (ko) * 2007-12-01 2009-05-18 신유경 콘센트
KR20130111113A (ko) * 2012-03-31 2013-10-10 송승근 플러그 유도형 안전 콘센트
KR101863051B1 (ko) * 2016-12-27 2018-06-29 오신혁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90A (ko) * 2021-01-07 2022-07-14 김영숙 플러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콘센트
KR102493447B1 (ko) * 2021-01-07 2023-01-31 김영숙 플러그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0924A1 (en) Press switch having a force-to-detach function
KR102146060B1 (ko) 소켓장치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JP4070126B2 (ja) コネクタ
CN210806045U (zh) 端子座
CN101162805A (zh) 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器及包括该连接器的密封电盒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CN111755269A (zh) 一种具有安全装线结构的开关
KR20140127498A (ko) 플러그 단자 고정구조를 갖는 원터치 전원 개폐형 콘센트
CN111697386A (zh) 一种防护插座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CN113285263A (zh) 一种取电用插头
CN101325333B (zh) 具有安装底座的过电压保护器
JP4271549B2 (ja) コンセントの安全装置
KR101764283B1 (ko) 콘센트
CN210224420U (zh) 插座
KR102640023B1 (ko)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CN210985032U (zh) 一种插座安全门的弹簧装配结构
KR101067275B1 (ko) 어태치먼트
CN217387670U (zh) 一种墙壁插座及其底盒
CN214044061U (zh) 电源插座
CN210985031U (zh) 一种插座的安全门装配结构
KR200253349Y1 (ko) 전화선 단자판의 이물질 차단장치
CN211182007U (zh) 一种用于车辆座椅的集成式常开常闭双联开关
JP7042421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