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83B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283B1
KR101764283B1 KR1020157033955A KR20157033955A KR101764283B1 KR 101764283 B1 KR101764283 B1 KR 101764283B1 KR 1020157033955 A KR1020157033955 A KR 1020157033955A KR 20157033955 A KR20157033955 A KR 20157033955A KR 101764283 B1 KR101764283 B1 KR 10176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oor body
pair
plug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816A (ko
Inventor
다카시 요네다
?지 니시가키
šœ지 니시가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inductive component, e.g.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콘센트는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이 일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바디(1),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 제1 폐색 위치에서 제1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제1 도어 바디(6a), 제2 폐색 위치에서 제2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제2 도어 바디(6b), 및 일 방향에서의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 사이에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7)을 구비한다.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제1 플러그가 삽입 관통되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제2 플러그가 삽입 관통되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이동하여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Description

콘센트 {ELECTRICAL OUTLE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콘센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揷通)되는 2개의 삽입 관통 구멍이 바디에 형성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압기를 내장(內藏)하고, 상이한 전압을 출력 가능한 2구 콘센트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09-17495 참조). 이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2세트 구비하고 있고, 접촉자가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2개의 플러그에 대해 서로 다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콘센트는, 예를 들면, 호텔의 세면장(욕실)에 설치되는 전기 면도기용의 콘센트로 사용되고, 사용 전압이 상이한 다양한 기기(예를 들면, 전기 면도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바디(door body)를 구비한 콘센트도 있다. 도어 바디는, 대응하는 하나의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閉塞) 또는 개방하는 도어편을 구비하고 있고,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삽입 관통 구멍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도어편은, 복귀 스프링이 형성되어 있고, 복귀 스프링에 의해 폐색 위치에 치우치는 힘이 가해져 있다, 즉,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각 도어편은,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플러그의 접촉자에 맞닿고,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폐색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그러나, 콘센트에 내장된 변압기의 정격 출력은 작으므로, 2세트의 삽입 관통 구멍 각각의 세트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동시에 삽입되었을 경우, 접속된 기기에 원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없고, 변압기나 접속 기기가 고장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복귀 스프링은, 도어편마다 형성되어 있고, 도어편의 개수만큼 필요하므로, 콘센트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소형화하는 동시에, 2개의 플러그가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및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이 일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촉자 받이;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촉자 받이;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에 맞닿고,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端) 측의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을 개방하는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端) 측의 제1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제1 도어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에 맞닿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의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을 개방하는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의 제2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제2 도어 바디42(door body)를 포함하고, 상기 일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도어 바디와 상기 제2 도어 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를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폐색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를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 폐색 위치에 위치시키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개방 위치로 변위(變位)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 방향에서의 제1 도어 바디와 제2 도어 바디 사이에 복귀 스프링을 설치하고, 어느 한쪽의 삽입 관통 구멍에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되면 한쪽의 도어 바디가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다른 쪽의 도어 바디를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의 개수가 삭감되고, 한쪽의 도어 바디가 다른 쪽의 도어 바디의 이동을 제한하므로, 소형화하고 또한, 2개의 플러그가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기술 및 첨부도면에 관련하여 한층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콘센트의 전면도(前面圖)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콘센트의 우면도(右面圖)이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콘센트의 저면도(底面圖)이다.
도 3의 A, B는 제1 시트, 제2 시트의 외관도이다.
도 4는 제1, 제2 도어 바디 및 복귀 스프링의 외관도이다.
도 5의 A, B는 제1 도어 바디의 외관도이다.
도 6의 A는 제1 도어 바디가 제1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제1 도어 바디가 제1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제1 도어 바디가 제1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의 B는 제2 도어 바디가 제2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제1 플러그의 측면도, 도 8의 B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다른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제1 플러그의 측면도, 도 8의 C는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제1 플러그의 전면도, 도 8의 D는 제1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제2 플러그의 전면도, 도 9의 B는 삽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제2 플러그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플러그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을 2세트 구비하고, 서로 다른 전압(예를 들면, 110V/220V 또는 110V/230V)을 출력하는 2구 콘센트이며, 예를 들면, 호텔의 세면장(욕실)에 설치되는 전기 면도기용 콘센트로 사용된다. 그리고, 콘센트에는, 110V를 사용 전압으로 제1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하는 제1 플러그(9a)(도 8의 A∼D 참조) 또는, 220V 또는 230V를 사용 전압으로 하는 제2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하는 제2 플러그(9b)(도 9의 A, B 참조)가 접속된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콘센트의 구성에 대해, 도 1∼도 7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2의 A에서의 상하 좌우를 기준으로 하고, 상하 방향(A1) 및 좌우 방향(A2)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A3)으로 하고, 전후 방향(A3)의 앞쪽 방향을 전(前) 방향, 전후 방향(A3)의 안쪽 방향을 후(後)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플러그(제1 플러그(9a),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한 쌍의 접촉자(91a), 한 쌍의 접촉자(91b))가 삽입 관통되는 2세트의 삽입 관통 구멍(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이 형성된 바디(1)를 구비한다. 이 바디(1)에는, 접촉자가 접촉 통전하는 2세트의 접촉자 받이(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 또는 개방하는 2개의 도어 바디(제1 도어 바디(6a), 제2 도어 바디(6b)), 변압기(8) 등이 수납된다. 또한, 콘센트는 직사각형의 개구(111)로부터 바디(1)의 전면(前面)을 노출시키는 장착판(11)을 구비하고 있고, 이 장착판(11)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벽면에 형성된 개구에 매립 설치된다. 또한, 장착판(11)의 전면에는 화장 패널(12, 13)이 설치된다.
바디(1)는, 제1 기체(器體)(2)와 제2 기체(3)와 커버(4)가 결합되어 중공(中空)의 직사각형체(rectangular body)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체(器體)(2)는 앞면, 오른쪽면이 개구된 직사각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기체(3)는, 앞면이 개구되고, 오른쪽에서 제1 기체(2)의 오른쪽 개구를 덮는 직사각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4)는 앞쪽에서 제1, 제2 기체(2, 3)의 앞쪽 개구를 덮는다.
커버(4)는, 직사각형의 앞면을 가지고, 이 앞면에 제1 삽입 관통부(41a)와 제2 삽입 관통부(41b)가 상하 방향(A1)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관통부(41a)는 제2 삽입 관통부(41b)에 대해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 관통부(41a)는 좌우 방향(A2)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은 커버(4)(바디(1))에서의 상하 방향(A1)에 따른 앞면(소정 면)(43)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제1 플러그(9a)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한 쌍의 제1 접촉자)(91a)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제2 삽입 관통부(41b)는 좌우 방향(A2)으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은, 커버(4)(바디(1))에서의 상하 방향(A1)에 따른 앞면(소정 면)(43)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제2 플러그(9b)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한 쌍의 제2 접촉자)(91b)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왼쪽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과 왼쪽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은 상하 방향(A1)으로 나란히 형성되고, 오른쪽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과 오른쪽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은 상하 방향(A1)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 각각은, 평판형의 접촉자(예를 들면, 접촉자(91a))가 삽입 관통 가능한 직사각 형상의 구멍과, 둥근 막대형의 접촉자(예를 들면, 접촉자(91b))가 삽입 관통 가능한 원형상의 구멍이 일체로 형성된, 이른바 유니버설형의 콘센트 구(口)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종류의 플러그의 접촉자를,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에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A∼D에 나타낸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는 평날(平刃)이지만,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는 제1 플러그의 접촉자는 평날 형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도 9의 A, B에 나타낸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는 둥근 핀이지만,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되는 제2 플러그의 접촉자는 둥근 핀 형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는 제1 플러그의 접촉자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되는 제2 플러그의 접촉자는 동일 형상이어도 되고,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제1 기체(2)는, 커버(4)의 후방에 설치되고, 변압기(8)를 수납하고 있다. 제1 기체(2)는 뒷면에 직사각형의 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21)를 막도록 전방으로부터 직사각형의 시트(seat)(22)가 끼워진다. 그리고, 이 시트(22)의 앞면에 변압기(8)가 설치된다. 변압기(8)의 입력은 제2 기체(3)에 수납된 케이블(81)을 통해 제2 기체(3)로부터 노출된 접속 단자(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단자(31)에, 분전반으로부터 도출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됨으로써, 변압기(8)에 상용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변압기(8)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110V/220V 또는 110V/230V의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변압기(8)의 출력은, 제2 기체(3)에 수납된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에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 사이에 110V의 전압이 인가되고,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5b) 사이에 220V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변압기(8)의 출력 전압 110V/220V 또는 110V/230V는 일례로서 다른 전압값이어도 된다.
제2 기체(3)는, 커버(4)에 형성된 제1, 제2 삽입 관통부(41a, 41b)와 대향하도록, 커버(4)의 후방에서의 제1 기체(2)의 오른쪽에 설치되고,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를 수납하고 있다. 또한, 제2 기체(3)는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를 유지하는 제1 시트(32)와,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를 유지하는 제2 시트(33)를 수납하고 있고, 제2 시트(33)는 제1 시트(32)의 전방에 겹쳐 쌓인다. 제1, 제2 시트(32, 33)의 전면도를 도 3의 A에, 저면도를 도 3의 B에 나타낸다.
제1 시트(32)는, 제2 기체(3)의 뒷면에 형성되어 있고, 앞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앞면에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 및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5b)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시트(32)는, 전면의 네 코너에 오목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오목부(321)에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가 끼워진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는 전후 방향(A3)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5b)는 전후 방향(A3)에서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 각각은, 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에 삽입 관통된 접촉자(91a, 91b)에 대하여 탄성 접촉함으로써 접촉 통전한다. 또한, 제1 시트(32)의 전면 중앙부에는 오목부(3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322)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34)가 끼워진다.
제2 시트(33)는, 제1 시트(32)의 전방에 겹쳐 쌓여, 커버(4)의 뒷면에 대향한 앞면에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를 가압하는 2개의 복귀 스프링(7)이 설치된다. 제2 시트(33)는, 제1 시트(32)에 설치된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를 폐색하지 않도록 네 코너에 직사각형의 개구(3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시트(33)의 앞면에는,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331, 331) 사이에 안내홈(332a)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5b)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331, 331) 사이에 안내홈(332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32a, 332b)은 모두 상하 방향(A1)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시트(33)의 중앙부에는, 제1 시트(32)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34)를 삽입 관통되게 하는 직사각형의 개구(333)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34)는 축부(341), 플랜지(342), 및 가이드부(343)로 구성되어 있다. 축부(341)는, 전후 방향(A3)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42)는 축부(341)의 전단(前端)에서 상하 방향(A1) 및 좌우 방향(A2)에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시트(33)의 개구(333)의 주위 에지에 후방으로부터 맞닿아, 제2 시트(33)를 지지한다. 가이드부(343)는, 제2 시트(33)의 개구(333)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342)에 형성되고, 앞면에 안내홈(344)이 상하 방향(A1)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시트(33)에 형성된 안내홈(332a, 332b)과 가이드부(343)에 형성된 안내홈(344)은 상하 방향(A1)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33)의 앞면에,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가 상하 방향(A1)에 나란히 설치된다. 제1 도어 바디(6a)는 안내홈(332a, 344)을 따라 상하 방향(A1)으로 슬라이딩한다. 제2 도어 바디(6b)는 안내홈(332b, 344)을 따라 상하 방향(A1)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하 방향(A1)에서의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 사이에는, 2개의 복귀 스프링(7)이 설치된다. 그리고, 안내홈(332a, 334)은 제1 안내홈에 상당하고, 안내홈(332b, 334)은 제2 안내홈에 상당한다.
제1 도어 바디(6a)의 전면도를 도 5의 A에, 상면도를 도 5의 B에 나타낸다.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도어편(한 쌍의 제1 도어편)(61a, 61a), 연결편(제1 연결편)(62a), 돌출부(제1 돌출부)(63a), 한 쌍의 돌출부(64a), 한 쌍의 돌출부(65a), 및 한 쌍의 돌출부(66a)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은, 좌우 방향(A2)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각 이 대응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을 폐색 또는 개방한다. 또한, 도어편(61a)의 앞면은, 아래 방향(제2 단측)에서 위 방향(제1 단측)을 향해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61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각 경사면(611a)은 상하 방향(A1)에서 아래쪽(제2 단 측)에서 위쪽(제1 단 측)을 향해 갈수록앞면(4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각 경사면(611a)에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된 제1 접촉자(91a)가 맞닿는다. 연결편(62a)은 좌우 방향(A2)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끼리를 연결한다. 돌출부(63a)는 연결편(62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65a, 65a)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65a)는 상하 방향(A1)을 따라 도어편(61a)의 아랫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66a, 66a)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66a)는 상하 방향(A1)을 따라 도어편(61a)의 아랫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바디(6a)는, 돌출부(63a)가 안내홈(332a, 344)에 끼워져, 안내홈(332a, 344)을 따라 상하 방향(A1)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제1 도어 바디(6a)는 위쪽(제1 단 측)의 제1 폐색 위치와, 아래쪽(제2 단 측)의 제1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제1 폐색 위치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의 양쪽을 폐색하는 위치이다. 제1 개방 위치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의 양쪽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그리고, 제1 폐색 위치에서,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폐색한다는 것은, 전후 방향(A3)에서,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과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제1 폐색 위치에서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된 각각의 제1 접촉자(91a)는 도어편(61a)에 의해, 제1 접촉자 받이(5a)에 접촉 통전할 수 없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1 도어 바디(6a)와 상하 대칭의 동일 구성이며, 한 쌍의 도어편(한 쌍의 제2 도어편)(61b, 61b), 연결편(제2 연결편)(62b), 돌출부(제2 돌출부)(63b), 한 쌍의 돌출부(64b), 한 쌍의 돌출부(65b), 및 한 쌍의 돌출부(66b)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은 좌우 방향(A2)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대응하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폐색 또는 개방한다. 또한, 도어편(61b)의 앞면은, 위 방향(제1 단 측)에서 아래 방향(제2 단측)을 향해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61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경사면(611b)은, 상하 방향(A1)에서 위쪽(제1 단 측)에서 아래쪽(제2 단 측)을 향해 갈수록앞면(4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각 경사면(611b)에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된 제1 접촉자(91a)가 맞닿는다. 연결편(62b)은 좌우 방향(A2)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끼리를 연결한다. 돌출부(63b)는 연결편(62b)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65b, 65b)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65b)는 상하 방향(A1)에 따라 도어편(61b)의 윗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돌출부(66b, 66b)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66b)는 상하 방향(A1)을 따라 도어편(61b)의 윗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도어 바디(6b)는, 돌출부(63b)가 안내홈(332b, 344)에 끼워져 안내홈(332b, 344)을 따라 상하 방향(A1)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2 도어 바디(6b)는 아래쪽(제2 단 측)의 제2 폐색 위치와, 윗쪽(제1 단 측)의 제2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제2 폐색 위치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의 양쪽을 폐색하는 위치이다. 제2 개방 위치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이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의 양쪽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그리고, 제2 폐색 위치에서,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이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을 를 폐색한다는 것은, 전후 방향(A3)에서,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이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과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5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제2 폐색 위치에서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된 각각의 제2 접촉자(91b)는, 도어편(61b)에 의해, 제2 접촉자 받이(5b)에 접촉 통전할 수 없다.
복귀 스프링(7)은, 상하 방향(A1)으로 신축되는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A1)에서의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도어편(61a) 각각의 아랫면에 돌출부(64a)가 형성되고,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도어편(61b) 각각의 윗면에 돌출부(64b)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복귀 스프링(7) 각각은, 상단부가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에 형성된 돌출부(64a)에 끼워지고, 하단부가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에 형성된 돌출부(64b)에 끼워진다. 즉, 복귀 스프링(7)은, 서로 상하 방향(A1)으로 대향하는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과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 사이에 개재(介在)하고, 제1 도어 바디(6a)를 위 방향, 제2 도어 바디(6b)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제2 시트(33)에는, 제1 도어 바디(6a)의 상단 위치를 규정하는 복수의 돌출부(334a), 및 제2 도어 바디(6b)의 하단 위치를 규정하는 복수의 돌출부(3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도어 바디(6a)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위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윗면이 돌출부(334a)와 맞닿는다. 이 제1 도어 바디(6a)가 돌출부(334a)와 맞닿은 위치(상단 위치)가, 제1 도어 바디(6a)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을 폐색하는 제1 폐색 위치가 된다. 또한,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도어 바디(6b)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아랫면이 돌출부(334b)와 맞닿는다. 이 제2 도어 바디(6b)가 돌출부(334b)와 맞닿은 위치(하단 위치)가, 제2 도어 바디(6b)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폐색하는 제2 폐색 위치가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제1 플러그(9a)가 콘센트에 접속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콘센트에 제1, 제2 플러그(9a, 9b)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제1, 제2 폐색 위치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을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플러그(9a)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91a)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면, 접촉자(91a)의 선단이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의 앞면에 형성된 경사면(611a)과 맞닿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편(61a)의 경사면(611a)은, 아래 방향에서 위 방향으로 향해 갈수록뒤쪽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삽입되는 뒷 방향으로의 힘이, 도어편(61a)의 경사면(611a)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도 분산된다. 이로써,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안내홈(332a, 344)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 바디(6a)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까지 변위되면, 제1 플러그(9a)의 한 쌍의 접촉자(91a)가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에 접촉 통전된다. 이때, 제1 도어 바디(6a)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윗면이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의 옆면(하면)에 가압되고 있으므로, 가이드부(343)의 전방 위치인 제1 개방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면, 제1 도어 바디(6a)는 제2 도어 바디(6b)를 향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개방 위치로 변위한다. 이때,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 바디(6a)의 돌출부(65a)가 제2 도어 바디(6b)의 돌출부(65b)와 맞닿고, 제1 도어 바디(6a)의 돌출부(66a)가 제2 도어 바디(6b)의 돌출부(66b)와 맞닿는다. 이로써, 제1 도어 바디(6a)는 제2 도어 바디(6b)에 대해 위쪽에 근접한 위치(제1 개방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도어 바디(6b)는 제1 도어 바디(6a)에 의해 위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폐색하고 있는 제2 폐색 위치에서,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개방하는 제2 개방 위치를 향해 위 방향으로의 이동을 할 수 없다. 즉, 제2 도어 바디(6b)는, 제1 도어 바디(6a)가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 복귀 스프링(7)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제2 폐색 위치에 위치한 그대로이다. 따라서,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어 제1 접촉자 받이(5a)에 접촉 통전되어 있는 경우,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를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하여 제2 접촉자 받이(5b)에 접촉 통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되면, 제2 도어 바디(6b)는 제1 도어 바디(6a)를 향해 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도어 바디(6a)의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 경우, 제2 도어 바디(6b)의 돌출부(65b)가 제1 도어 바디(6a)의 돌출부(65a)와 맞닿고, 제2 도어 바디(6b)의 돌출부(66b)가 제1 도어 바디(6a)의 돌출부(66a)와 맞닿는다. 그 결과, 제1 도어 바디(6a)는, 제2 도어 바디(6b)가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 복귀 스프링(7)으로부터의 힘에 의해 제1 폐색 위치에 위치한 그대로이다. 따라서,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되고 제2 접촉자 받이(5b)에 접촉 통전되어 있는 경우,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를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하여 제1 접촉자 받이(5a)에 접촉 통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제2 플러그(9a, 9b) 양쪽이 모두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제1, 제2 폐색 위치에 가압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이 폐색된 상태가 되므로,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 42b)을 통해 바디(1) 내에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바디(1), 제1, 제2 접촉자 받이(5a, 5b), 제1, 제2 도어 바디(6a, 6b), 및 복귀 스프링(7)을 구비한다.
바디(1)는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삽입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및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삽입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이 일 방향(상하 방향(A1))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제1 접촉자 받이(5a)는, 바디(1)에 수납되고,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된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접촉 통전한다. 제2 접촉자 받이(5b)는, 바디(1)에 수납되고,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된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접촉 통전한다.
제1 도어 바디(6a)는, 바디(1)에 수납되고,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된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와 맞닿는다. 그리고,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위쪽, 일단 측)의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아래쪽, 타단 측)의 제1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제1 폐색 위치는, 제1 도어 바디(6a)가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을 폐색하는 위치이다. 제1 개방 위치는, 제1 도어 바디(6a)가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제2 도어 바디(6b)는, 바디(1)에 수납되고,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된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와 맞닿는다. 그리고,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의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의 제2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제2 폐색 위치는, 제2 도어 바디(6b)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폐색하는 위치이다. 제2 개방 위치는, 제2 도어 바디(6b)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복귀 스프링(7)은, 상기 일 방향에서의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도어 바디(6a)를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으로 가압하여 제1 폐색 위치에 위치시키고, 제2 도어 바디(6b)를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으로 가압하여 제2 폐색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삽입 관통되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삽입 관통되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제1, 제2 플러그(9a, 9b) 중 어느 한쪽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쪽의 플러그를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2개의 플러그(9a, 9b)가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2개의 플러그(9a, 9b)가 동시 접속되는 것에 의한, 변압기(8)이나 접속 기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귀 스프링(7)은,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과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을 위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복귀 스프링(7)으로, 2개의 도어편(61a, 61b)을 가압하고 있다. 이로써, 1개의 복귀 스프링으로 1개의 도어편을 가압하고 있던 종래의 콘센트에 비해, 복귀 스프링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어, 콘센트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및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은, 바디(1)에서의 일 방향(상하 방향(A1))을 따른 소정 면(앞면(4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경사면(611a)을 가지는 제1 도어편(61a)을 포함한다. 제1 경사면(611a)은,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제2 단 측(아래쪽)에서 제1 단 측(위쪽)을 향해 갈수록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된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제1 경사면(611a)과 맞닿는다.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에 삽입 관통되어 제1 경사면(611a)과 맞닿으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경사면(611b)을 가지는 제2 도어편(61b)을 포함한다. 제2 경사면(611b)은,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제1 단 측에서 제2 단 측을 향해 갈수록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된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제2 경사면(611b)과 맞닿는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에 삽입 관통되어 제2 경사면(611b)과 맞닿으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삽입 관통 구멍(42a)은 바디(1)에 한 쌍 형성되고,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은 바디(1)에 한 쌍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및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은 일대일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및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이 일 방향(상하 방향(A1))으로 정렬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및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은, 바디(1)에서의 일 방향(상하 방향(A1))을 따른 소정 면(앞면(4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제1 경사면(611a, 611a)를 가지는 한 쌍의 제1 도어편(61a)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경사면(611a, 611a)은, 상기 일 방향에서 제2 단 측(아래쪽)에서 제1 단 측(위쪽)을 향해 갈수록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삽입 관통된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한 쌍의 제1 경사면(611a, 611a)와 맞닿는다.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플러그(9a)의 접촉자(91a)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삽입 관통되어 한 쌍의 제1 경사면(611a, 611a)와 맞닿으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제2 경사면(611b, 611b)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도어편(61b)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2 경사면(611b, 611b)은, 상기 일 방향에서 제1 단 측에서 제2 단 측을 향해 갈수록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삽입 관통된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한 쌍의 제2 경사면(611b, 611b)과 맞닿는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플러그(9b)의 접촉자(91b)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삽입 관통되어 한 쌍의 제2 경사면(611b, 611b)과 맞닿으면, 복귀 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바디(1)에는, 제1 안내홈(안내홈(332a, 344)과 제2 안내홈(안내홈(332b, 344))이 일 방향(상하 방향(A1))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연결편(62a)과 제1 돌출부(63a)를 더 포함한다. 제1 연결편(62a)은 한 쌍의 제1 도어편(61a, 61a)를 연결한다. 제1 돌출부(63a)는,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후방)에 따라 제1 연결편(62a)에서 돌출되고, 제1 안내홈에 끼워진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연결편(62b)과 제2 돌출부(63b)를 더 포함한다. 제2 연결편(62b)은 한 쌍의 제2 도어편(61b, 61b)을 연결한다. 제2 돌출부(63b)는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연결편(62b)에서 돌출되고, 제2 안내홈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와 같이, 콘센트는 변압기(8)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변압기(8)는 바디(1)에 수납된다. 변압기(8)의 출력은 제1 접촉자 받이(5a) 및 제2 접촉자 받이(5b)에 접속된다.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했지만, 본 발명의 본래의 사상 및 범위, 즉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및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이 일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접촉 통전하는 제1 접촉자 받이,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접촉 통전하는 제2 접촉자 받이,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에 맞닿고,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閉塞)하는 상기 일 방향의 제1 단 측의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을 개방하는 상기 일 방향의 제2 단 측의 제1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제1 도어 바디,
    상기 바디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에 맞닿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의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을 개방하는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의 제2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제2 도어 바디,
    상기 일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도어 바디와 상기 제2 도어 바디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를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폐색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를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 폐색 위치에 위치시키는 복귀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또한 상기 제2 도어 바디의 상기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제2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제2 폐색 위치에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또한 상기 제1 도어 바디의 상기 제1 폐색 위치에서 상기 제1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 및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은, 상기 바디에서의 상기 일 방향을 따른 소정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2 단 측에서 상기 제1 단 측을 향해 갈수록 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1 도어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제1 경사면과 맞닿고,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맞닿으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단 측에서 상기 제2 단 측을 향해 갈수록 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제2 도어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제2 경사면과 맞닿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제2 경사면과 맞닿으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되는,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 관통 구멍은 상기 바디에 한 쌍 형성되고,
    상기 제2 삽입 관통 구멍은 상기 바디에 한 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및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은 일대일(一對一)로 대응하고, 대응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 및 제2 삽입 관통 구멍이 상기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및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은 상기 바디에서의 상기 일 방향을 따른 소정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2 단 측에서 상기 제1 단 측을 향해 갈수록 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도어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맞닿고,
    상기 제1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경사면과 맞닿으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2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1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단 측에서 상기 제2 단 측을 향해 갈수록 상기 소정 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한 쌍의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2 도어편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한 쌍의 제2 경사면과 맞닿고,
    상기 제2 플러그의 접촉자가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경사면과 맞닿으면, 상기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기 일 방향의 상기 제1 단 측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개방 위치로 변위되는, 콘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제1 안내홈과 제2 안내홈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1 도어편을 연결하는 제1 연결편, 및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편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안내홈에 끼워지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2 도어편을 연결하는 제2 연결편, 및
    상기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연결편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안내홈에 끼워지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콘센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수납되는 변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압기의 출력은, 상기 제1 접촉자 받이 및 상기 제2 접촉자 받이에 접속되는, 콘센트.
KR1020157033955A 2013-06-28 2014-06-09 콘센트 KR101764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6794A JP6052678B2 (ja) 2013-06-28 2013-06-28 コンセント
JPJP-P-2013-136794 2013-06-28
PCT/JP2014/003057 WO2014208024A1 (ja) 2013-06-28 2014-06-09 コンセ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16A KR20160003816A (ko) 2016-01-11
KR101764283B1 true KR101764283B1 (ko) 2017-08-03

Family

ID=5214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955A KR101764283B1 (ko) 2013-06-28 2014-06-09 콘센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16211A4 (ko)
JP (1) JP6052678B2 (ko)
KR (1) KR101764283B1 (ko)
TW (1) TW201513499A (ko)
WO (1) WO2014208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3340B (zh) * 2019-12-25 2024-04-16 浙江开控电气有限公司 一种快速接线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8194A (ja) 2008-02-12 2009-09-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扉付きコンセン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3785U (ko) * 1979-04-20 1980-11-06
JPH0917495A (ja) 1995-06-30 1997-01-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セント装置
JP2005032595A (ja) * 2003-07-07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セント
CN102244330A (zh) * 2010-05-11 2011-11-16 飞雕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五孔插座的双保护门结构
TWI458186B (zh) * 2011-11-02 2014-10-21 Wen Yung Liao 模組化的牆壁插座
JP2014107193A (ja) * 2012-11-29 2014-06-09 Azbil Corp コネクタ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8194A (ja) 2008-02-12 2009-09-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扉付きコンセ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816A (ko) 2016-01-11
TW201513499A (zh) 2015-04-01
WO2014208024A1 (ja) 2014-12-31
JP6052678B2 (ja) 2016-12-27
EP3016211A4 (en) 2016-05-11
EP3016211A1 (en) 2016-05-04
JP2015011878A (ja) 201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4422B1 (en) Electronic terminal for use on circuit boards
KR101708102B1 (ko) 전기 연결 요소
TWI710172B (zh) 導體連接端子以及導體連接端子及致動工具的集合
KR20160126993A (ko) 접속 단자 및 접속 단자용 스프링 장착식 단자 접점
JP4367407B2 (ja) 引出形遮断器の制御回路接続装置
EP1618578A1 (de) Schaltschütz mit anschlussmodul zum ansteuern des magnetantriebes
EP2469565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4465238B (zh) 在属于电设备的端子中的至少一个导体的电连接装置
KR101764283B1 (ko) 콘센트
JP2010045044A (ja) 電気機械式接触器
CN106971882A (zh) 电路中断设备、灭弧装置及相关方法
JP5584572B2 (ja) コンセント
US11342700B2 (en) Plug receiving device
CN109586121B (zh) 插头装置以及配电系统
US1909642A (en) Electric switch and casing
TWM397090U (en) Socket with switch function
JP4168858B2 (ja) コンセント
KR101764282B1 (ko) 콘센트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JP5038967B2 (ja) 電気機器
JP2020140764A (ja) 電子モジュール
KR102303548B1 (ko) 커버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JP3627487B2 (ja) コンセント
JP3191623U (ja) マルチタップ
JP2023031701A (ja) 扉付き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