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282B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4282B1 KR101764282B1 KR1020157033953A KR20157033953A KR101764282B1 KR 101764282 B1 KR101764282 B1 KR 101764282B1 KR 1020157033953 A KR1020157033953 A KR 1020157033953A KR 20157033953 A KR20157033953 A KR 20157033953A KR 101764282 B1 KR101764282 B1 KR 101764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door body
- holes
- door
- plu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4—Laterally sliding shut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센트는 기체(1), 복수의 도어 바디(6a, 6b), 및 이동 제한 구조를 구비한다. 기체(1)에는, 플러그 삽입구(41 a, 41b)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도어 바디(6a, 6b)는, 각각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41a, 41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도어 바디(6a, 6b) 각각은,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41a, 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 42b)의 양쪽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 42b)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됨에 따라 폐색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이동 제한 구조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41a, 41b)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41a, 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 42b)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도어 바디(6a, 6b)의 개방 위치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압기(transformer)를 내장(內藏)하고, 서로 다른 전압을 출력 가능한 2구 콘센트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9-17495호 참조). 이 콘센트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삽입구를 2세트 구비하고 있고, 서로 다른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콘센트는, 예를 들면, 호텔의 세면장(욕실)에 설치되는 전기 면도기용의 콘센트로서 사용되고, 사용 전압이 상이한 다양한 기기(예를 들면, 전기 면도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삽입구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폐색(閉塞) 또는 개방하는 도어 바디(door body)를 구비한 콘센트도 있다. 도어 바디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 바디에는,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복귀 스프링에 의해 폐색 위치에 치우치는 힘이 가해져 있다, 즉 부세(付勢)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바디는,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된 플러그의 접촉자에게 맞닿고, 접촉자가 삽입 관통됨에 따라, 복귀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폐색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되어 있다.
종래의 콘센트에 설치된 도어 바디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쪽에라도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면, 폐색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었다. 또한,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하는 콘센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가 서로 가까이에 설치된다. 또한, 플러그 삽입구로서, 복수 종류의 플러그를 삽입 가능한 유니버설형의 콘센트 구(口)를 채용하면, 필연적으로, 삽입 관통 구멍의 직경이 커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잘못하여,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를, 상이한 플러그 삽입구의 2개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상이한 플러그 삽입구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콘센트는, 기체(器體), 복수의 접촉자 받이, 복수의 도어 바디, 및 이동 제한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기체에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삽입구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접촉자 받이는, 상기 기체에 수납되고, 각각이, 상기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 중 하나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접촉자를 받는다. 상기 복수의 도어 바디는, 상기 기체에 수납되고, 각각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도어 바디 각각은,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접촉자의 양쪽과 맞닿아 상기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됨에 따라 상기 폐색 위치에서 상기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 제한 구조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도어 바디의 상기 개방 위치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본 발명의 콘센트에서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다른 플러그 삽입구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의 A, B, C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의 정면도, 우면도, 저면도이다.
도 3의 A, B, C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제2 시트(seat)의 정면도, 저면도, A-A선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콘센트에서의 제2 시트, 제1 도어 바디, 제2 도어 바디 및 복귀 스프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의 A, B, C, D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제1 도어 바디의 정면도, 상면도, 오른쪽면도,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커버의 돌기, 제1 도어 바디 및 제2 도어 바디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의 A는, 실시예의 콘센트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실시예의 콘센트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한쪽과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의 한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및 제2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및 제2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고, 제1 도어 바디가 제1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고, 제1 도어 바디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A, B, C, D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제2 도어 바디의 정면도, 저면도, 오른쪽면도,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시트, 제1 도어 바디, 제2 도어 바디 및 복귀 스프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 B, C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의 정면도, 우면도, 저면도이다.
도 3의 A, B, C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제2 시트(seat)의 정면도, 저면도, A-A선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콘센트에서의 제2 시트, 제1 도어 바디, 제2 도어 바디 및 복귀 스프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의 A, B, C, D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제1 도어 바디의 정면도, 상면도, 오른쪽면도,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커버의 돌기, 제1 도어 바디 및 제2 도어 바디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위한 배면도이다.
도 7의 A는, 실시예의 콘센트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실시예의 콘센트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한쪽과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의 한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및 제2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의 제1 및 제2 도어 바디의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에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고, 제1 도어 바디가 제1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고, 제1 도어 바디의 이동이 저지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A, B, C, D는 각각, 실시예의 콘센트에 포함되는 제2 도어 바디의 정면도, 저면도, 오른쪽면도,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시트, 제1 도어 바디, 제2 도어 바디 및 복귀 스프링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의 콘센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플러그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삽입구를 2개 구비하고, 서로 다른 전압(예를 들면, 110V와 220V)을 출력하는 2구 콘센트이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예를 들면, 호텔의 세면장에 설치되는 전기 면도기용의 콘센트로 사용된다. 그리고,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구에는, 110V를 사용 전압으로 하는 제1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하는 제1 플러그(9)(도 8의 A 참조) 또는, 220V를 사용 전압으로 하는 제2 기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하는 제2 플러그(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면, 제1 플러그(9)와 동일 형상)가 꽂힌다. 이하에, 본 실시예의 콘센트의 구성에 대하여, 도 1∼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器體)(1)(제1 바디(2), 제2 바디(3), 커버(4)), 제1 시트(32), 제2 시트(33), 복수의 접촉자 받이(5a, 5b), 제1 도어 바디(6a), 제2 도어 바디(6b), 복귀 스프링(7), 변압기(8) 등을 구비한다.
기체(1)는, 제1 방향(D1)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커버(4)와 제1 방향(D1)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1 바디(2), 및 제2 바디(3)로 구성된다. 제1 방향(D1)은 콘센트의 깊이 방향에 대응하고, 커버(4)의 배치 측인 제1 방향(D1)의 제1 측이 콘센트의 정면 측을 정한다. 요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D1)의 제1 측 및 제2 측이, 각각 "앞쪽(정면 측)" 및 "뒤쪽(배면 측)"에 대응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위쪽 및 아래쪽이 각각 제1 방향(D1)의 제1 측 및 제2 측에 대응한다.
기체(1)에는, 복수의 삽입구(플러그 삽입구)(41a, 41b)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삽입구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을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4)에, 제1 삽입구(제1 플러그 삽입구)(41a) 및 제2 삽입구(제2 플러그 삽입구)(4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구(41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42a1), 42a(42a2))을 포함하고, 제2 삽입구(41b)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42b1), 42b(42b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삽입구(41a)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42a1), 42a(42a2))은, 제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2)의 한쪽 및 다른 쪽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삽입구(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b(42b1), 42b(42b2))은 제2 방향(D2)의 한쪽 및 다른 쪽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방향(D2)은 콘센트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다. 이하, 제2 방향(D2)에서, 삽입 관통 구멍(42a1, 42b1)이 형성되어 있는 쪽을 제1 측으로 하고, 삽입 관통 구멍(42a2, 42b2)가 형성되어 있는 쪽을 제2 측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방향(D2)의 제1 측 및 제2 측은 각각 "왼쪽" 및 "오른쪽"에 대응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왼쪽 위 및 오른쪽 아래가 각각 제2 방향(D2)의 제1 측 및 제2 측에 대응한다.
또한, 도 1에서의 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제3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방향(D3)은 콘센트의 높이 방향에 대응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방향(D3)의 한쪽에 제1 삽입구(41a)가 형성되고, 제3 방향(D3)의 다른 쪽에 제2 삽입구(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제3 방향(D3)에서, 제1 삽입구(41a)가 형성되어 있는 쪽을 제1 측으로 하고, 제2 삽입구(41b)이 형성되어 있는 쪽을 제2 측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방향(D3)의 제1 측 및 제2 측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에 대응한다. 도 1의 예에서는, 오른쪽 위 및 왼쪽 아래가 각각 제3 방향(D3)의 제1 측 및 제2 측에 대응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 관통되는 2개의 삽입구(제1 삽입구(41a), 제2 삽입구(41b))가 형성된 기체(1)를 구비한다. 제1 삽입구(41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42a1), 42a(42a2))을 포함하고, 제2 삽입구(41b)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42b1), 42b(42b2))을 포함한다. 이 기체(1)에는, 대응하는 접촉자를 받는 2세트의 접촉자 받이(제1 접촉자 받이(5a(5a1), 5a(5a2)), 및 제2 접촉자 받이(5b(5b1), 5b(5b2)), 대응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삽입구)을 각각 폐색 또는 개방하는 2개의 도어 바디(제1 도어 바디(6a), 제2 도어 바디(6b)), 변압기(8) 등이 수납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또한 기체(1)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장착판(11)을 구비한다. 장착판(11)에는 직사각형의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기체(1)가 장착판(11)에 고정되었을 때는, 기체(1)의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이 개구(111)로부터 노출된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이 장착판(11)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벽면에 형성된 개구에 매립 설치된다. 또한, 장착판(11)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는 화장 패널(12, 13)이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는 제1 바디(2), 제2 바디(3), 커버(4)가 결합되어 중공(中空)의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바디(2)는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 오른쪽 면(제2 방향(D2)의 제2 측의 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바디(3)는,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바디(3)는 제1 바디(2)의 오른쪽(제2 방향(D2)의 제2 측)에 배치되고, 제1 바디(2)의 오른쪽의(제2 방향(D2)의 제2 측의) 개구가 제2 바디(3)에 덮인다(폐색된다). 커버(4)는 제1, 제2 바디(2, 3)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 배치되고, 제1, 제2 바디(2, 3)의 앞쪽의(제1 방향(D1)의 제1 측의) 개구는 커버(4)에 덮인다(폐색된다).
커버(4)는 직사각형의 앞판(40)을 가지고 있고, 이 앞판(40)에 제1 삽입구(41a)와 제2 삽입구(41b)는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구(41a)는 제2 삽입구(41b)에 대하여 위쪽(제3 방향(D3)의 제1 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구(41a)는 좌우 방향(제2 방향(D2))에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42a1), 42a(42a2))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42a1), 42a(42a2))에, 제1 플러그(9)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91(911), 92(912))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삽입구(41b)는 좌우 방향(제2 방향(D2))에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42b1), 42b(42b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42b1), 42b(42b2))에, 제2 플러그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다. 그리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제2 방향(D2)의 제1 측)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과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은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제2 방향(D2)의 제2 측)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2)과 제2 삽입 관통 구멍(42b2)은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 42b1, 42b2) 각각은, 평판형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 가능한 직사각형의 구멍과 둥근 봉형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 가능한 원형상의 구멍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삽입구(41a), 제2 삽입구(41b) 각각 은, 이른바 유니버설형의 콘센트 구(口)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 종류의 플러그를 제1, 제2 삽입구(41a, 41b)에 꽂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삽입구(41a)와 제2 삽입구(41b)는 본 실시예와 같이 서로 동일 형상이어도 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바디(2)는 커버(4)의 후방(제1 방향(D1)의 제2 측)에 설치된다. 제1 바디(2)에는, 변압기(8)가 수납된다. 제1 바디(2)는 뒷면(제1 방향(D1)의 제2 측의 면)에 직사각형의 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21)를 막도록 전방으로부터(제1 방향(D1)의 제1 측으로부터) 직사각형의 시트(22)가 끼워진다. 그리고, 이 시트(22)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 변압기(8)가 설치된다. 변압기(8)의 입력 단자는, 제2 바디(3)에 수납된 케이블(81)을 통해, 제2 바디(3)로부터 노출된 접속 단자(3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단자(31)에, 분전반으로부터 도출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됨으로써, 변압기(8)에 상용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변압기(8)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110V/220V의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변압기(8)의 출력은 제2 바디(3)에 수납된 제1, 제2 접촉자 접수(5a1, 5a2, 5b1, 5b2)에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 사이에 110V의 전압이 인가되고,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 5b) 사이에 220V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변압기(8)의 출력 전압 110V/220V는 일례이며 다른 전압 값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바디(3)는 커버(4)에 형성된 제1, 제2 삽입구(41a, 41b)와 대향하도록, 커버(4)의 후방(제1 방향(D1)의 제2 측)에서 제1 바디(2)의 오른쪽(제2 방향(D2)의 제2 측)에 설치된다. 제2 바디(3)에는, 제1 접촉자 받이(5a1, 5a2), 제2 접촉자 받이(5b1, 5b2), 제1, 제2 도어 바디(6a, 6b)가 수납된다. 또한, 제2 바디(3)에는,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를 유지하는 제1 시트(32)와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를 유지하는 제2 시트(33)가 수납되어 있다. 제2 바디(3) 내에서, 제2 시트(33)는 제1 시트(32)의 전방(제1 방향(D1)의 제1 측)으로 쌓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시트(32)는, 제2 바디(3)의 바닥면에 대향해 배치되어 있고, 정면에서 볼 때(제1 방향(D1)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시트(32)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5a1), 5a(5a2)) 및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5b1), 5b(5b2))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시트(32)는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의 4 코너에 오목부(321)가 형성되어 있고, 4개의 오목부(321)에,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가 별개로 끼워진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1, 5a2)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1, 5b2)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 42b2)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 각각은, 탄력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 42b1, 42b2)에 삽입 관통된 접촉자에 대하여 탄성 접촉함으로써 접촉 통전한다. 또한, 제1 시트(32)의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의 중앙부에는, 중공의 받이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받이부(322)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34)가 끼워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33)는 제1 시트(32)의 전방(제1 방향(D1)의 제1 측)에 쌓여 있다. 제2 시트(33)는,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 및 슬라이드 부재(34)를 사이에 끼우도록, 제1 시트(32)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 및 슬라이드 부재(34)는 제1 시트(32)와 제2 시트(33) 사이에 끼워져 위치 고정된다. 또한, 제2 시트(33)에서, 커버(4)의 뒷면에 대향하는 면(탑재면) 측에, 제1, 제2 도어 바디(6a, 6b) 및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를 부세하는 2개의 복귀 스프링(7: 71, 72)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시트(33)의 정면도를 도 3의 A에, 저면도를 도 3의 B에, 도 3의 A의 A-A선 단면에서 본 도면을 도 3의 C에 나타낸다. 제2 시트(33)는 제1 시트(32)에 설치된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를 폐색하지 않도록, 4 코너에 직사각형의 개구(3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는 대응하는 개구(331(3311), 331(3312), 331(3313), 331(3314))로부터 각각 노출된다. 그리고, 제2 시트(33)의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에는,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1, 5a2)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331(3311), 331(3312)) 사이에, 안내홈(332(3321))이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따라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5b1, 5b2)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331(3313), 331( 3314)) 사이에, 안내홈(332(3322))가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시트(33)의 중앙부에는, 제1 시트(32)에 설치된 슬라이드 부재(34)의 일부분(가이드부(343))을 삽입 관통시키는 직사각형의 개구(3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4)는, 축부(341), 플랜지(342), 가이드부(343)로 구성되어 있다. 축부(341)는, 전후 방향(제1 방향(D1))에 긴 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42)는, 축부(341)의 일단(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단에서 상하 좌우 방향(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42)는 제2 시트(33)의 개구(333)의 주변 에지에 후방으로부터(제1 방향(D1)의 제2 측으로부터) 맞닿아, 제2 시트(33)를 지지한다. 가이드부(343)는 제2 시트(33)의 개구(333)로부터 돌출되도록(제1 방향(D1)의 제1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축부(341)의 일단 측(제1 방향(D1)의 제1 측)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43)는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에, 안내홈(344)이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축부(341)를 제1 시트(32)의 받이부(322)에 끼우고, 가이드부(343)를 제2 시트(33)의 개구(333)에 끼움으로써, 제1 시트(32)와 제2 시트(33) 사이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4)의 가이드부(343)를 제2 시트(33)의 개구(333)에 끼운 상태에서, 제2 시트(33)에 형성된 안내홈(3321, 3322)과 가이드부(343)에 형성된 안내홈(344)은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연속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33)의 앞쪽(제1 방향(D1)의 제1 측)에,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가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나란히 설치된다. 제1 도어 바디(6a)는 안내홈(3321, 344)을 따라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슬라이딩하고, 제2 도어 바디(6b)는 안내홈(3322, 344)을 따라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서,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 사이에는, 2개의 복귀 스프링(7: 71, 72)이 설치된다.
제1 도어 바디(6a)의 정면도를 도 5의 A에, 상면도를 도 5의 B에, 우면도를 도 5의 C에, 사시도를 도 5의 D에 나타낸다.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도어편(61a(61a1), 61a(61a2)), 연결편(62a), 및 돌출부(63a)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편(61a, 61a)은, 좌우 방향(제2 방향(D2))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각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폐색 또는 개방한다. 또한,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어편(61a)의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은, 아래에서 위로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진(제3 방향(D3)의 제2 측에서 제1 측을 향함에 따라 제1 방향(D1)의 제2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61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편(62a)은 좌우 방향(제2 방향(D2))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도어편(61a, 61a)끼리를 연결한다. 돌출부(63a)는 연결편(62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제1 방향(D1)의 제2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돌출부(63a)는 연결편(62a)으로부터 도어편(61a, 61a)의 병설 방향(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방향(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바디(6a)는, 돌출부(63a)의 선단이 안내홈(3321)의 바닥부와 맞닿도록 제2 시트(33)에 탑재되고, 안내홈(3321, 344)에 따라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의 양쪽을 폐색하는 제1 폐색 위치(도 6, 도 10의 A 참조)(CP1)와, 제1 폐색 위치(CP1)보다 아래쪽(제3 방향(D3)의 제2 측)의 위치로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OP1)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제1 도어 바디(6a)는, 돌출부(63a)의 선단이 제2 시트(33)의 앞면(안내홈(3321)의 바닥면)과 맞닿음으로써, 돌출부(63a)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도어 바디(6a)의 좌우 양단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1 도어 바디(6a)는 돌출부(63a)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2 도어 바디(6b)의 정면도를 도 11의 A에, 저면도를 도 11의 B에, 우면도를 도 11의 C에, 사시도를 도 11의 D에 나타낸다. 제2 도어 바디(6b)는, 제1 도어 바디(6a)와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서 대칭인 동일 구성이며, 한 쌍의 도어편(61b(61b1), 61b(61b2)), 연결편(62b), 및 돌출부(63b)로 구성되어 있다. 도어편(61b, 61b)은 좌우 방향(제2 방향(D2))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각각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를 폐색 또는 개방한다. 또한, 도 11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어편(61b)의 앞면(제1 방향(D1)의 제1 측의 면)은,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진(제3 방향(D3)의 제1 측으로부터 제2 측을 향함에 따라 제1 방향(D1)의 제2 측에 경사진) 경사면(61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편(62b)은 좌우 방향(제2 방향(D2))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도어편(61b, 61b)끼리를 연결한다. 돌출부(63b)는 연결편(62b)에서 후방을 향해(제1 방향(D1)의 제2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즉 돌출부(63b)는, 연결편(62b)으로부터, 도어편(61b, 61b)의 병설 방향(제2 방향(D2))과 직교하는 방향(제1 방향(D1))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도어 바디(6b)는, 돌출부(63b)의 선단이 안내홈(3322)의 바닥부와 맞닿도록 제2 시트(33)에 탑재되고, 안내홈(3322, 344)을 따라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이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의 양쪽을 폐색하는 제2 폐색 위치(도 6, 도 10의 A 참조)(CP2)와, 제2 폐색 위치(CP2)보다 위쪽(제3 방향(D3)의 제1 측)의 위치로서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2 개방 위치(OP2)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제2 도어 바디(6b)는, 돌출부(63b)의 선단이 제2 시트(33)의 앞면(안내홈(3322)의 바닥면)과 맞닿음으로써, 돌출부(63b)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2 도어 바디(6b)의 좌우 양단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2 도어 바디(6b)는 돌출부(63b)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복귀 스프링(7)은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신축(伸縮)되는 코일형의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복귀 스프링(7)은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서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도어 바디(6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도어편(61a) 각각의 아랫면(제3 방향(D3)의 제2 측의 면)에 돌출부(64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도어편(61b) 각각의 윗면(제3 방향(D3)의 제1 측의 면)에 돌출부(64b)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복귀 스프링(7) 각각은, 상단부(제3 방향(D3)의 제1 측의 단부)가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에 형성된 돌출부(64a)에 끼워지고, 하단부(제3 방향의 제2 측의 단부)가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에 형성된 돌출부(64b)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1, 61a2)에는, 제2 도어 바디(6b)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4a1, 64a2)가 각각 형성되고,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1, 61b2)에는, 제1 도어 바디(6a)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4b1, 64b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귀 스프링(제1 복귀 스프링)(71)의 양단부가 제1 도어 바디(6a)의 돌출부(64a1) 및 제2 도어 바디(6b)의 돌출부(64b1)에 각각 끼워지고, 복귀 스프링(제2 복귀 스프링)(72)의 양 단부가 제1 도어 바디(6a)의 돌출부(64a2) 및 제2 도어 바디(6b)의 돌출부(64b2)에 각각 끼워진다. 즉, 복귀 스프링(7)은, 서로 상하 방향(제3 방향(D3))에 대향하는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과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 사이에 개재(介在)하고, 제1 도어 바디(6a)를 윗 방향으로(제3 방향(D3)의 제1 측에), 제2 도어 바디(6b)를 아래 방향으로(제3 방향(D3)의 제2 측에) 각각 부세한다.
또한, 도 3의 A,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시트(33)에는, 제1 도어 바디(6a)의 윗 방향의(제3 방향(D3)의 제1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복수의 돌출부(334a) 및 제2 도어 바디(6b)의 아래 방향의(제3 방향(D3)의 제2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복수의 돌출부(3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구(41a)에 제1 플러그(9)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도어 바디(6a)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윗 방향으로(제3 방향(D3)의 제1 측에) 부세됨으로써 윗면(제3 방향(D3)의 제1 측의 면)이 돌출부(334a)와 맞닿는다. 이 제1 도어 바디(6a)가 돌출부(334a)와 맞닿은 위치(도 4 참조)가, 제1 도어 바디(6a)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를 폐색하는 제1 폐색 위치(CP1)가 된다. 또한, 제2 삽입구(41b)에 제2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 도어 바디(6b)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제3 방향(D3)의 제2 측에) 부세됨으로써 아랫면(제3 방향(D3)의 제2 측의 면)이 돌출부(334b)와 맞닿는다. 이 제2 도어 바디(6b)가 돌출부(334b)와 맞닿은 위치(도 4 참조)가, 제2 도어 바디(6b)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를 폐색하는 제2 폐색 위치(CP2)가 된다.
또한, 도 6, 도 10의 A,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4)의 뒷면(제1 방향(D1)의 제2 측의 면)에는, 후방(제1 방향(D1)의 제2 측)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돌기(43(43a), 43(4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커버(4) 및 제1, 제2 도어 바디(6a, 6b) 등을 이면측(裏面 側)(제1 방향(D1)의 제2 측)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폐색 위치(CP1)에 있고,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폐색 위치(CP2)에 있고, 도 10의 A의 예에서는,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개방 위치(OP1)에 있고,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다. 돌기(43a, 43b)는, 커버(4)의 상하 방향(제3 방향(D3))의 중앙부에서, 제2 시트(33)의 좌단(제2 방향(D2)의 제1 측의 단), 우단(제2 방향(D2)의 제2 측의 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기(43)는, 위쪽(제3 방향(D3)의 제1 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편(431), 아래쪽(제3 방향(D3)의 제2 측)에 위치하는 제2 돌출편(432), 및 제1, 제2 돌출편(431, 432)을 연결하는 연결편(4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돌기(제1 돌기)(43a)는 위쪽에 위치하는 제1 돌출편(431a),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돌출편(432a), 및 제1, 제2 돌출편(431a, 432a)을 연결하는 연결편(433a)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제2 돌기)(43b)는 위쪽에 위치하는 제1 돌출편(431b),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 돌출편(432b), 및 제1, 제2 돌출편(431b, 432b)를 연결하는 연결편(433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기(43)에서, 제1 돌출편(431)은 제1 폐색 위치(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의 아랫면(제3 방향(D3)의 제2 측의 면)의 단부(맞닿음부라고도 함)(65a)보다 아래쪽(제3 방향(D3)의 제2 측)의 위치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돌기이다. 제1 돌출편(431)은, 윗면(제3 방향(D3)의 제1 측의 면)이 제1 폐색 위치(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의 하면의 단부(65a)와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근접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43a)에서, 제1 돌출편(431a)은 제1 폐색 위치(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1)의 하면의 단부(65a1)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편(431a)은, 윗면이 제1 폐색 위치(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1)의 아랫면의 단부(65a1)와 상하 방향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돌기(43b)에서, 제1 돌출편(431b)은, 제1 폐색 위치 (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2)의 아랫면의 단부(65a2)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편(431b)은, 윗면이 제1 폐색 위치(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의 도어편(61a2)의 아랫면의 단부(65a2)와 상하 방향에 근접하고 있다.
또한, 각 돌기(43)에서, 제2 돌출편(432)은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의 윗면(제3 방향(D3)의 제1 측의 면)의 단부(맞닿음부라고도 함)(65b)보다 위쪽(제3 방향(D3)의 제1 측)의 위치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돌기이다. 제2 돌출편(432)은, 아랫면(제3 방향(D3)의 제2 측의 면)이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의 윗면의 단부(65b)와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근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43a)에서, 제2 돌출편(432a)은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1)의 윗면의 단부(65b1)보다 위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편(432a)은, 아랫면이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1)의 윗면의 단부(65b1)와 상하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다. 또한, 돌기(43b)에서, 제2 돌출편(432b)은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2)의 윗면의 단부(65b2)보다 위쪽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편(432b)은, 아랫면이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의 도어편(61b2)의 윗면의 단부(65b2)와 상하 방향으로 근접하고 있다.
각 돌기(43)에 있어서, 연결편(433)은 제1 돌출편(431)과 제2 돌출편(432)을 상하 방향(제3 방향(D3))으로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돌기(43a)에서, 연결편(433a)은 제1 돌출편(431a)과 제2 돌출편(432a)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돌기(43b)에서, 연결편(433b)은 제1 돌출편(431b)과 제2 돌출편(432b)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 돌기(43)는 제1 도어 바디(6a)에 근접하는 제1 돌출편(431), 제2 도어 바디(6b)에 근접하는 제2 돌출편(432), 및 제1 돌출편(431)과 제2 돌출편(432)을 연결하는 연결편(433)을 가지고, 각진 괄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43)의 높이(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는, 제1, 제2 도어 바디(6a, 6b)의 좌우 양단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같은 경우(제1, 제2 도어 바디(6a, 6b)가 경사지지 않은 경우)의, 제1, 제2 도어 바디(6a, 6b)의 좌우 방향(제2 방향(D2)의 단부에서 커버(4)의 뒷면(제1 방향(D1)의 제2 측의 면)까지의 치수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7의 A, 도 12 참조). 즉, 제1, 제2 도어 바디(6a, 6b)가 경사지지 않은 상태에서, 돌기(43)와 제1, 제2 도어 바디(6a, 6b) 사이에는 간극(c1)이 설치되어, 돌기(43)가 제1, 제2 도어 바디(6a, 6b)와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콘센트에 플러그가 접속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911), 91(912))이,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42a1), 42a(42a2))에 삽입 관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콘센트에 제1, 제2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제2 도어 바디(6a, 6b)는 복귀 스프링(7)에 의해 제1, 제2 폐색 위치(CP1, CP2)에 부세되고 있으므로,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폐색하고, 제2 도어 바디(6b)는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을 폐색하고 있다(도 4, 도 6 참조).
그리고,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 91)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삽입 관통되면, 한 쌍의 접촉자(91, 91)의 양쪽 선단이 제1 도어 바디(6a)의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의 앞면에 형성된 경사면(611a, 611a)에 각각 맞닿는다. 여기서,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 91)의, 플러그 바디(92)로부터의 돌출량은 서로 대략 같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편(61a, 61a)의 경사면(611a, 611a)은 아래에서 위로 향함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경사면(611a, 611a)은 플러그(9)의 접촉자(91, 91)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1 플러그(9)의 접촉자(91, 91)가 삽입될 때의 접촉자(91, 91)의 삽입 방향의 힘(후방의 힘)이, 도어편(6)1a, 61a)의 경사면(611a, 611a)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도 분산된다. 이로써,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플러그(9)의 접촉자(91, 91)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귀 스프링(7, 7)을 압축하면서 안내홈(3321, 344)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 바디(6a)의 좌우 양단부의 위치는, 전후 방향(제1 방향(D1)으로 대략 같은 위치에서 유지되고, 커버(4)의 뒷면에 형성된 돌기(43, 43)의 선단보다도(간극(c1)만큼) 후방에 위치한다. 제1 도어 바디(6a)는, 좌우 양 단부가 돌기(43, 43)의 선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어편(61a, 61a)의 아랫면이 제1 돌출편(431, 431)과 맞닿지 않고, 돌기(43, 43)의 후방을 통과하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 바디(6a)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OP1)까지 이동하면,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 91)가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5a, 5a)에 접촉 통전된다. 이때, 제1 도어 바디(6a)는 복귀 스프링(7, 7)에 의해 제1 플러그(9)의 접촉자(91, 91)를 향하는 방향(윗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으므로, 도어 바디(6a)의 윗면이 접촉자(91, 91)의 측면(아랫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1 개방 위치(OP1)(가이드부(343)의 전방의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예에서는,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 91)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삽입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2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삽입되는 경우의 동작도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의 한쪽에만, 또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의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제1 도어 바디(6a) 또는 제2 도어 바디(6b)의 이동을 저지하는 이동 제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잘못하여 왼쪽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과 왼쪽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에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 91)를 삽입하려고 한 예를 사용하여, 이동 제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중, 왼쪽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에만 제1 플러그(9)의 접촉자(91)가 삽입 관통되면, 왼쪽의 도어편(61a1)에만 접촉자(91)가 맞닿아, 왼쪽의 도어편(61a1)에 접촉자(91)가 삽입되는 방향의 힘(후방의 힘)이 가해진다. 즉, 제1 도어 바디(6a)는, 가해지는 전후 방향의 힘이 한 쌍의 도어편(61a, 61a)끼리 불균형하게 되므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어 바디(6a)의 왼쪽의 도어편(61a1) 쪽이 오른쪽의 도어편(61a2)보다 뒤쪽이 되도록, 돌출부(63a)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로써, 오른쪽의 도어편(61a2)의 아랫면의 일부(맞닿음부)(65a2)와 오른쪽의 돌기(43b)의 제1 돌출편(431b)의 일부가 대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플러그(9)의 접촉자(91)에 의해, 도어편(61a1)의 경사면(611a)이 후방으로 가압되어 도어편(61a1)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오른쪽의 도어편(61a2)이 제1 돌출편(431b)과 맞닿으므로, 제1 도어 바디(6a)의 아래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도 9의 B, 도 10의 B 참조). 따라서,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폐색하고 있는 제1 폐색 위치(CP1)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OP1)를 향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중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이 접촉자가 제1 접촉자 받이(5a)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B, 도 10의 B에서는, 제1 도어 바디(6a)만이 경사진(제2 도어 바디(6b)는 경사지지 않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 제한 구조는, 제1 도어 바디(6a)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63a)와, 제1 도어 바디(6a)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돌기(43, 43)로 구성된다. 제1 도어 바디(6a)는 제2 시트(33)의 앞면에 선단이 맞닿는 돌출부(6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돌출부(63a)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경사진다. 돌기(43)는, 제1 도어 바디(6a)가 제1 폐색 위치(CP1)에 있을 때의 제1 도어 바디(6a)의 아랫면의 단부(65a)보다 아래쪽(제1 개방 위치(OP1) 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도어 바디(6a)가 경사져 있는 경우에만 제1 도어 바디(6a)와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제2 도어 바디(6b)에 대해서도, 왼쪽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면, 제2 도어 바디(6b)가 돌출부(63b)의 선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오른쪽의 도어편(61b2)이 오른쪽의 돌기(43b)의 제2 돌출편(432b)과 맞닿으므로, 제2 도어 바디(6b)의 윗 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을 폐색하고 있는 제2 폐색 위치(CP2)에서,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을 개방하는 제2 개방 위치(OP2)를 향해 윗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즉,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 중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이 접촉자가 제2 접촉자 받이(5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예에서는, 왼쪽의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1, 42b1)에 제1 플러그(9)의 한 쌍의 접촉자(91, 91)가 삽입 관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오른쪽의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2, 42b2), 또는 왼쪽과 오른쪽의 제1, 제2 삽입 관통 구멍(42a1, 42b2)(42a2, 42b1)에, 제1 플러그(9) 또는 제2 플러그가 삽입 관통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중 어느 한쪽 또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 중 어느 한쪽에만,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 제1 도어 바디(6a) 또는 제2 도어 바디(6b)의 이동이 저지되어 접촉자의 삽입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기체(1), 제1, 제2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 제1, 제2 도어 바디(6a, 6b), 및 이동 제한 구조를 구비한다.
기체(1)에는, 제1 플러그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으로 이루어지는 제1 삽입구(41a) 및 제2 플러그가 가지는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으로 이루어지는 제2 삽입구(41b)가 형성된다.
제1 접촉자 받이(5a, 5a)는, 기체(1)에 수납되고,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삽입 관통된 접촉자가 접촉 통전한다. 제2 접촉자 받이(5b, 5b)는, 기체(1)에 수납되고,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삽입 관통된 접촉자가 접촉 통전한다.
제1 도어 바디(6a)는, 기체(1) 내에 수납되고,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에 삽입 관통된 한 쌍의 접촉자의 양쪽과 맞닿는다. 그리고,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폐색하는 제1 폐색 위치(CP1)에서,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OP1)로 향하는 방향(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도어 바디(6b)는, 기체(1) 내에 수납되고,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에 삽입 관통된 한 쌍의 접촉자의 양쪽과 맞닿는다. 그리고,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접촉자의 삽입 관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를 폐색하는 제2 폐색 위치(CP2)로부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2 개방 위치(OP2)로 향하는 방향(윗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제한 구조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 제1 도어 바디(6a)의 아래 방향의 이동(제1 개방 위치(OP1)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이동 제한 구조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 제2 도어 바디(6b)의 윗 방향의 이동(제2 개방 위치(OP2)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은, 기체(1)의 앞면(일면)에 있어서, 제1 도어 바디(6a)의 이동 방향(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는, 기체(1)의 앞면(일면)에 있어서, 제2 도어 바디(6b)의 이동 방향(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제1 도어 바디(6a)는, 기체(1) 내에서, 커버(4)의 뒷면에 대향하는 제2 시트(33)의 앞면(탑재면)에 탑재되어 있다. 제1 도어 바디(6a)는 한 쌍의 도어편(6)1a, 61a), 연결편(62a), 및 돌출부(63a)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도어편(61a, 61a)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을 폐색 또는 개방한다. 연결편(62a)은 한 쌍의 도어편(6)1a, 61a)끼리를 연결한다. 돌출부(63a)는 연결편(62a)으로부터 접촉자의 삽입 방향을 향해(후방으로) 돌출되고, 선단이 제2 시트(33)의 앞면(탑재면)과 맞닿는다. 제2 도어 바디(6b)는 기체(1) 내에서 커버(4)의 뒷면에 대향하는 제2 시트(33)의 앞면(탑재면)에 탑재되어 있다. 제2 도어 바디(6b)는 한 쌍의 도어편(6)1b, 61b), 연결편(62b), 및 돌출부(63b)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도어편(61b, 61b)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을 폐색 또는 개방한다. 연결편(62b)은 한 쌍의 도어편(61b, 61b)끼리를 연결한다. 돌출부(63b)는, 연결편(62b)으로부터 접촉자의 삽입 방향을 향해(후방으로) 돌출되고, 선단이 제2 시트(33)의 앞면(탑재면)과 맞닿는다.
돌기(43)는, 커버(4)의 뒷면(기체(1)의 내면)에서, 제1 폐색 위치(CP1)에 있는 제1 도어 바디(6a)보다 아래쪽, 제2 폐색 위치(CP2)에 있는 제2 도어 바디(6b)보다 윗쪽의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돌출부(63a)를 지지점으로 한 회동에 의해 경사진 제1 도어 바디(6a)의 아래쪽의 단부(맞닿음부)(65a)가 돌기(43)와 맞닿는다. 또한,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돌출부(63b)를 지지점으로 한 회동에 의해 경사진 제2 도어 바디(6b)의 위쪽의 단부(맞닿음부)(65b)가 돌기(43)와 맞닿는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잘못하여 상이한 삽입구의 삽입 관통 구멍에 플러그의 접촉자를 삽입하는 것에 의한, 접속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도어 바디(제1, 제2 도어 바디(6a, 6b))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돌기(43)가 설치되는 위치는, 커버(4)의 뒷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시트(33)의 앞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설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도어 바디(제1, 제2 도어 바디(6a, 6b))가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콘센트의 방진 방수 성능은, "JISC0920"에 규정되는 IP 코드(IPXX)로 보호 등급이 표시된다. 종래의 콘센트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쪽에서라도 외래 고형물(접촉자)이 삽입 관통되면, 도어 바디가 삽입 관통 구멍을 개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종래의 콘센트는, 외래 고형물에 대한 보호 등급이 "2: 직경 12.5㎜ 이상의 크기의 외래 고형물에 대하여 보호하고 있다."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 42a),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 42b)) 중 어느 한쪽에 외래 고형물(접촉자)이 삽입 관통되어도, 도어 바디(제1, 제2 도어 바디(6a, 6b))는 삽입 관통 구멍(제1 삽입 관통 구멍(42a), 제2 삽입 관통 구멍(42b))을 개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외래 고형물에 대한 보호 등급이 "4: 직경 1㎜ 이상의 크기의 외래 고형물에 대하여 보호하고 있다."가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콘센트는, 종래의 콘센트에 대하여, 외래 고형물에 대한 보호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플러그 삽입구(제1, 제2 삽입구(41a, 41b))을 구비하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플러그 삽입구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형태의 콘센트는, 기체(1), 기체(1)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 기체(1)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도어 바디(6a, 6b), 및 이동 제한 구조를 구비한다. 기체(1)에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41a, 41b)가 형성된다. 각 플러그 삽입구(41a)(41b)는,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접촉자 받이(5a1, 5a2, 5b1, 5b2) 각각은, 복수의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 42b1, 42b2) 중 하나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접촉자를 받는다. 복수의 도어 바디(6a, 6b)는, 각각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41a, 41b)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각각의 도어 바디(6a(6b))는,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41a(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의 양쪽을 폐색하는 폐색 위치와,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각각의 도어 바디(6a(6b))는,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접촉자의 양쪽과 맞닿아,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됨에 따라 폐색 위치 측에서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제한 구조는,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41a, 41b)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동 제한 구조는,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41a(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플러그 삽입구(41a(41b))에 대응하는 도어 바디(6a(6b))의 개방 위치 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제2 형태의 콘센트는, 제1 형태의 콘센트에서, 각 플러그 삽입구(41a(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은, 기체(1)의 일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도어 바디(6a(6b))의 이동 방향(D3)과 직교하는 방향(D2)에 나란히 형성된다. 각각의 도어 바디(6a(6b))는, 각각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41a(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을 폐색 또는 개방하는 한 쌍의 도어편(61a1(61b1), 61a2(61b2))과, 한 쌍의 도어편(61a1(61b1), 61a2(61b2))을 연결하는 연결편(62a(62b))과, 연결편(62a(62b))으로부터,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구(41a(41b))에 삽입 관통되는 플러그의 접촉자의 삽입 방향(D1)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3a(63b))를 포함한다. 각각의 도어 바디(6a(6b))는 돌출부(63a(63b))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 제한 구조는 각각의 도어 바디(6a(6b))에 설치된 돌출부(63a(63b))와, 기체(1)의 내면에 도어 바디(6a(6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43a, 43b)로 구성된다. 돌기(43a, 43b)는 대응하는 도어 바디(6a(6b))의 폐색 위치보다 개방 위치 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43a, 43b)는 대응하는 도어 바디(6a(6b))에 대응한 플러그 삽입구(41a(41b))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42a1(42b1), 42a2(42b2)) 중 어느 한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그 결과 돌출부(63a(63b))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진 도어 바디(6a(6b))의 개방 위치 측의 단부(65a1(65b1), 65a2(65b2))가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3 형태의 콘센트는, 제2 형태의 콘센트에서, 기체(1) 내에 수납되고, 복수의 안내홈(3321, 3322)이 설치되어 있는 시트(33)를 더 구비한다. 각각의 도어 바디(6a(6b))의 돌출부(63a(63b))는, 도어 바디(6a(6b))의 이동 방향(D3)에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도어 바디(6a, 6b)의 돌출부(63a, 63b)가 각각 시트(33)의 복수의 안내홈(3321, 3322)에 배치되고, 이로써, 복수의 도어 바디(6a, 6b) 각각이, 대응하는 안내홈(3321, 3322)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이동 방향(D3)과 교차하는 방향(D1)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제4 형태의 콘센트는, 제2 또는 제3 형태의 콘센트에서, 복수의 플러그 삽입구(41a, 41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으로 이루어지는 제1 플러그 삽입구(41a)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 42b2)으로 이루어지는 제2 플러그 삽입구(41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플러그 삽입구(41a, 41b)는, 기체(1)의 일면에서, 일방향(D3)으로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도어 바디(6a, 6b)는, 제1 플러그 삽입구(41a)에 대응하는 제1 도어 바디(6a)와, 제2 플러그 삽입구(41b)에 대응하는 제2 도어 바디(6b)를 포함한다. 제1 도어 바디(6a)는, 제1 및 제2 플러그 삽입구(41a, 41b)의 병설 방향(D3)에 따라,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의 양쪽을 폐색하는 제1 폐색 위치(CP1)와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OP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2 도어 바디(6b)는, 상기 제1 및 제2 플러그 삽입구(41a, 41b)의 병설 방향(D3)에 따라,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 42b2)의 양쪽을 폐색하는 제2 폐색 위치(CP2)와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 42b2)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2 개방 위치(O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1 및 제2 개방 위치(OP1, OP2)는 제1 폐색 위치(CP1)와 제2 폐색 위치(CP2) 사이에 위치한다. 돌기(43a, 43b)는 제1 폐색 위치(CP1)와 제2 폐색 위치(CP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돌기(43a, 43b)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42a1, 42a2) 중 어느 한쪽(42a1(42a2))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그 결과로서 돌출부(63a)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진 제1 도어 바디(6a)의, 제1 개방 위치(OP1) 측의 단부(65a2(65a1))가 맞닿는다. 또한 돌기(43a, 43b)는,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42b1, 42b2) 중 어느 한쪽(42b1(42b2))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그 결과 돌출부(63b)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진 제2 도어 바디(6b)의, 제2 개방 위치(OP2) 측의 단부(65b2(65b1))가 맞닿는다.
본 실시예의 콘센트에서는, 플러그 삽입구의 한 쌍의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쪽에만 플러그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 도어 바디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상이한 삽입구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 플러그의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1 플러그 삽입구, 및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2 플러그 삽입구가 일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기체(器體),
상기 기체 내에 수납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하나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접촉자를 받는 한 쌍의 제1 접촉자 받이,
상기 기체 내에 수납되고,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 중 하나의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접촉자를 받는 한 쌍의 제2 접촉자 받이,
상기 기체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제1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1 도어 바디로서,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폐색하는 제1 폐색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1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접촉자의 양쪽과 맞닿아 상기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됨에 따라 상기 제1 폐색 위치 측에서 상기 제1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1 도어 바디,
상기 기체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제2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 도어 바디로서,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폐색하는 제2 폐색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의 양쪽을 개방하는 제2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접촉자의 양쪽과 맞닿아 상기 한 쌍의 접촉자가 삽입 관통됨에 따라 상기 제2 폐색 위치 측에서 상기 제2 개방 위치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2 도어 바디, 및
상기 기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위치 및 제2 개방 위치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색 위치와 상기 제2 폐색 위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는,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색 위치와 상기 제2 폐색 위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 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상기 제1 개방 위치 측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기 중 한쪽에 맞닿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 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상기 제2 개방 위치 측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기 중 한쪽에 맞닿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 또는 개방하는 한 쌍의 제1 도어편, 상기 한 쌍의 제1 도어편을 연결하는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1 연결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접촉자의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을 폐색 또는 개방하는 한 쌍의 제2 도어편, 상기 한 쌍의 제2 도어편을 연결하는 제2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한 쌍의 접촉자의 삽입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 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진 상기 제1 개방 위치 측의 단부가 상기 한 상의 돌기 중 어느 한 쪽에 맞닿고,
상기 제2 도어 바디는,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 관통 구멍 중 어느 한 쪽에만 접촉자가 삽입 관통된 경우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진 상기 제2 개방 위치 측의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돌기 중 어느 한 쪽에 맞닿는,
콘센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내에 수납되고, 제1 안내홈 및 제2 안내홈이 설치되어 있는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 바디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도어 바디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도어 바디의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도어 바디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도어 바디의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시트의 상기 제1 안내홈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도어 바디가 상기 제1 안내홈에 따라 이동 가능해지고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해지며,
상기 제2 도어 바디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시트의 상기 제2 안내홈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 도어 바디가 상기 제2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해지고 또한 상기 제2 돌출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回動) 가능해지는,
콘센트.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136793A JP6052677B2 (ja) | 2013-06-28 | 2013-06-28 | コンセント |
JPJP-P-2013-136793 | 2013-06-28 | ||
PCT/JP2014/002994 WO2014208015A1 (ja) | 2013-06-28 | 2014-06-05 | コンセン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815A KR20160003815A (ko) | 2016-01-11 |
KR101764282B1 true KR101764282B1 (ko) | 2017-08-03 |
Family
ID=52141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3953A KR101764282B1 (ko) | 2013-06-28 | 2014-06-05 | 콘센트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016210A4 (ko) |
JP (1) | JP6052677B2 (ko) |
KR (1) | KR101764282B1 (ko) |
TW (1) | TW201513493A (ko) |
WO (1) | WO2014208015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4688Y1 (ko) | 1997-01-31 | 2000-03-02 | 한영희 | 콘센트 안전장치 |
JP2009218194A (ja) | 2008-02-12 | 2009-09-24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扉付きコンセント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53785U (ko) * | 1979-04-20 | 1980-11-06 | ||
JP2005032595A (ja) * | 2003-07-07 | 2005-02-03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ンセント |
JP5584572B2 (ja) * | 2010-09-27 | 2014-09-0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コンセント |
-
2013
- 2013-06-28 JP JP2013136793A patent/JP605267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6-05 EP EP14817639.9A patent/EP301621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4-06-05 WO PCT/JP2014/002994 patent/WO201420801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6-05 KR KR1020157033953A patent/KR1017642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6-23 TW TW103121495A patent/TW201513493A/zh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4688Y1 (ko) | 1997-01-31 | 2000-03-02 | 한영희 | 콘센트 안전장치 |
JP2009218194A (ja) | 2008-02-12 | 2009-09-24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扉付きコンセン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208015A1 (ja) | 2014-12-31 |
TW201513493A (zh) | 2015-04-01 |
EP3016210A1 (en) | 2016-05-04 |
KR20160003815A (ko) | 2016-01-11 |
JP6052677B2 (ja) | 2016-12-27 |
JP2015011877A (ja) | 2015-01-19 |
EP3016210A4 (en) | 2016-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066205B (zh) | 端子座 | |
TWI362795B (ko) | ||
CN106653437A (zh) | 一种电开关 | |
KR20170122112A (ko) |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 |
KR101764282B1 (ko) | 콘센트 | |
US5928019A (en) | Safety socket | |
JP5537371B2 (ja) | コンセント | |
JP5584572B2 (ja) | コンセント | |
JP4965857B2 (ja) | 扉付きコンセント | |
KR101764283B1 (ko) | 콘센트 | |
CN115513731A (zh) | 一种墙壁开关插座 | |
US20140353132A1 (en) | Multi-directional switch and operation input device | |
US20090311922A1 (en) | Low profile contact | |
JP4168858B2 (ja) | コンセント | |
EP2897228A1 (en) | Terminal device and electric outlet using same | |
JP5559627B2 (ja) | ピラー端子、それを備えたコンセントおよびスイッチ | |
JP4513639B2 (ja) | 差込接続器 | |
CN218448602U (zh) | 一种插座 | |
JP2006209974A (ja) | 端子台 | |
KR102121044B1 (ko) |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 |
JP2023031701A (ja) | 扉付きコンセント | |
JP3129279U (ja) | コンセント用防塵カバー | |
JP2005032595A (ja) | コンセント | |
JP4020074B2 (ja) | テーブルタップ用コンセントキャップ | |
JP4748039B2 (ja) | テーブルタ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