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112A -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112A
KR20170122112A KR1020170038178A KR20170038178A KR20170122112A KR 20170122112 A KR20170122112 A KR 20170122112A KR 1020170038178 A KR1020170038178 A KR 1020170038178A KR 20170038178 A KR20170038178 A KR 20170038178A KR 20170122112 A KR20170122112 A KR 2017012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socket
part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조 오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단자가 큰 경우라도 손가락 등이 단자에 접촉할 위험이 적고, 또한, 개구단마다 절연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전원 커넥터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전원 단자와, 전원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하우징은, 칸막이 부재에 의해 칸막이된,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와, 삽입 통과구와 연통한 수용 공간을 갖는다. 전원 단자는,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도전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갖는다. 접촉부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POWER CONNECTOR HAVING TERMINAL CONTACT PREVENTION MECHANISM AND POWER CONN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손가락과 단자의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179290호(특허문헌 1)에,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의 일 예가 나타나 있다. 이 전원 커넥터의 전면(前面)에는, 단자를 수용하는 수용부로 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 전원 커넥터의 상대 단자는, 이 개구를 통하여 수용부에 삽입 통과되어, 수용부에 형성된 단자와 접속되게 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개구, 특히, 그 단부의 개구단을 통하여 잘못하여 들어간 손가락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단자에 접촉하여 감전 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의 선단에 절연 부재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4-179290호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의하면, 손가락은 단자에 접촉하기 전에 절연 부재에 접촉되기 때문에 감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전류값이 높아지고 단자가 그에 수반하여 커짐에 따라, 개구단도 커지고, 이 결과, 손가락 등이 단자에 접촉할 위험도 커진다. 또한, 절연 부재를 단자마다 형성한 경우, 단자의 크기에 맞추어 절연 부재의 크기를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개구단마다 단자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절연 부재도 개구단마다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잡하게 되어, 제조 비용도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단자가 큰 경우라도 손가락 등이 단자에 접촉할 위험이 적고, 또한, 개구단마다 절연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전원 커넥터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커넥터는, 전원 단자와, 당해 전원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칸막이 부재에 의해 칸막이된,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와, 상기 삽입 통과구와 연통한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도전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단자가 큰 경우라도 손가락이 단자에 접촉할 위험이 적고, 또한, 개구단마다 절연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전원 커넥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도전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연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칸막이 부재를 수용 공간 내에서 도전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재시킴으로써, 도전 부재를 수용 공간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삽발(揷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상기 칸막이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칸막이하는 다른 칸막이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다른 칸막이 부재에 의해 삽입 통과구를 더욱 작게 하여, 손가락이 접촉부에 접촉함에 의한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을 이용하여 칸막이 부재나 다른 칸막이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일체 성형 등에 의해 칸막이 부재를 염가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는, 상기 칸막이 부재와 함께, 상기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도전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연재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 유닛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수용 유닛을 형성함으로써, 도전 부재를 수용 공간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삽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는 각각, 상기 도전 부재마다 형성한 피수용 유닛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여 있고, 상기 피수용 유닛과 함께 상기 수용 유닛에 각각 수용되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각 도전 부재를 보강하여, 피수용 유닛에의 수용시에 있어서의 도전 부재의 좌굴(buckling) 그 외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도전 부재를 연결시킴으로써, 복수의 도전 부재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접촉부를 다른 칸막이 부재의 일부로서 구성함으로써, 전원 커넥터의 구조를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의 일부보다도 상기 삽입 통과구에 대하여 상기 도전 부재의 삽입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접촉부에 대하여 도전 부재의 삽입 측에 다른 칸막이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손가락과 접촉부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 유닛에 의해 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에 의하면, 접촉부를 도전 부재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접촉부와 도전 부재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 커넥터는, 도전 부재를 지지하는 다른 전원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 장치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가 큰 경우라도 손가락이 단자에 접촉할 위험이 적고, 또한, 개구단마다 절연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전원 커넥터 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의한 전원 커넥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소켓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소켓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플러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플러그 단자와 소켓 단자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변형예에 의한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변형예에 의한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본 발명의 하나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전원 커넥터 장치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전원 커넥터 장치(1)는, 전원 커넥터(20)와 전원 커넥터(70)의 조(組)로 이루어진다. 전원 커넥터(20)는,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라도 좋고, 전원 커넥터(70)는, 예를 들면, 소켓 커넥터라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70)는, 각각, 좌우 대칭 형상을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20)는, 도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소켓 커넥터(70)에 삽발시킬 수 있다.
도 2는, 플러그 커넥터(20)의 개략 사시도이다. 편의상, 여기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0)에, 소켓 커넥터(70)에 형성한 소켓 단자(도전 부재)(9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70)는, 소켓 단자(90)(도 2 참조)와, 소켓 단자(90)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72)을 포함한다. 또한, 소켓 하우징(72)은, 삽발 방향 「a」를 따라서, 기체(基體)(73)와, 기체(73)보다 폭이 넓게 된 광폭부(75)와, 더욱 폭이 넓은 플랜지(74)를 포함한다. 전원 케이블(4)은, 소켓 하우징(72)과 동일 방향 「a」로 연재되어 있다. 플랜지(74)에는 나사공(74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나사공(74a)을 이용하여 소켓 커넥터(70)를 케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표면에 나사 고정 등 할 수 있다. 플랜지(74)와 광폭부(75)에는, 플러그 커넥터(20)의 일부가 삽발되는 삽발 공간(78)이 형성되어 있다. 삽발 공간(78)에는, 좌우에 1개씩 총 2개의 피수용부(80)가 플러그 커넥터(20)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는, 플러그 단자(40)(도 2 참조)와, 플러그 단자(40)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22)과, 플러그 단자(40)를 플러그 하우징(22)에 고정하는 고정부(6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22)은, 측면에서 봤을 때 L자 형상의, 소위 라이트 앵글 커넥터로서, 전원 케이블(3)과 동일 방향 「b」로 연장되는 기체(23)와, 기체(23)에 대하여 직각 방향(도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서 소켓 커넥터(70)측으로 연장되는 피삽발부(28)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70)의 끼워맞춤시에는, 소켓 커넥터(70)의 삽발 공간(78)에, 플러그 커넥터(20)의 피삽발부(28)가 삽입되고, 또한, 피삽발부(28)에 형성한 수용 공간(30)에, 삽발 공간(78)에 형성한 피수용부(80)가 삽입된다. 이 결과, 소켓 커넥터(70)에 형성한 소켓 단자(90)와, 플러그 커넥터(20)에 형성한 플러그 단자(40)가 접촉할 수 있다. 도 3에, 플러그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70)의 끼워맞춤 상태를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4에, 도 3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소켓 커넥터(70)의 삽발 공간(78)의 삽발구의 상부에는, 오목부(78a)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플러그 커넥터(20)의 피삽발부(28)의 상부에는, 볼록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70)의 끼워맞춤시에, 이들 오목부(78a)와 볼록부(28a)를 적합시킴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를 올바른 방향으로 소켓 커넥터(70)로 안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플러그 커넥터(20)의 피삽발부(28)의 좌우 측면에는, 피삽발부(28)의 선단으로부터 고정부(60)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아암(24a)에 의해 지지된 로크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70)의 끼워맞춤시에, 로크 돌출부(24)는, 소켓 커넥터(70)의 소정 부분(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걸어 고정되어, 플러그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70)의 끼워맞춤 상태가 로크된다. 이 로크 상태는, 탄성 아암(24a)의 단부에 형성한 로크 조작부(25)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해제할 수 있다. 로크 조작부(25)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과잉의 편이(偏移)를 방지하기 위해, 상하 이동을 규제하는 상방 장출부(23a)와 하방 장출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소켓 커넥터(7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좌우에 1개씩 형성한 총 2개의 소켓 단자(90)는 각각, 한 장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접어 굽힘으로써 이루어진다. 소켓 단자(90)는, 통 형상의 기부(91)와, 기부(91)의 뒷측에 형성한, 케이블(4)이 코킹된 코킹부(94)와, 기부(91)와 코킹부(94)를 연결하는 연결부(93)와, 기부(91)의 앞측에 형성한 탄성 접촉편(92)을 포함한다.
코킹부(94)에 전원 케이블(4)이 고정된 상태에서, 소켓 단자(90)는, 소켓 하우징(72)의 삽입 통과공(81)에 기체(73)의 후방에 형성한 개구(79)를 통하여 삽입된다. 소켓 단자(90)의 기부(91)에는, 삽입 통과공(81)에 소켓 단자(90)가 삽입되었을 때에 소켓 하우징(72)의 내벽과 접촉하여 소켓 단자(90)의 덜그럭거림을 억제하는 돌출부(91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9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95)은, 삽입 통과공(81)에 소켓 단자(90)가 삽입되었을 때에, 소켓 하우징(72)에 대한 피걸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각 탄성 접촉편(92)은, 복수 개, 여기에서는 4개의 단자 유닛(92-1∼92-4)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단자 유닛(92-1∼92-4)은, 기부(91)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유닛(92-1∼92-4)은, 여기에서는,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각 단자 유닛(92-1∼92-4)의 선단에는, 플러그 단자(40)와의 접점(9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소켓 하우징(72)의 정면도를, 또한, 도 7(a)에,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7(b)에, 그 B-B선 단면도, 도 7(c)에, 도 7(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단자 유닛(92-1∼92-4)(도 5 참조)에 대응하여 좌우에 1개씩 형성한 총 2개의 피수용부(80)는 각각, 총 4개의 보다 작은 피수용 유닛(개구단)(80-1∼80-4)으로 분할되어 있다. 피수용 유닛(80-1∼80-4)으로 분할하기 위해, 피수용부(80)에는, 예를 들면, 십자로 교차된 2개의 절입(86a, 86b)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은 종 방향의 절입(86a), 타방은 횡 방향의 절입(86b)이다. 이들 각 피수용 유닛(80-1∼80-4)에 의해, 단자 유닛(92-1∼92-4)은 각각, 플러그 단자(40)와의 접촉에 이용하는 중심측의 면, 환언하면, 다른 단자 유닛과의 대향면을 제외한 면의 대략 전체를 덮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 유닛(92-1∼92-4)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20)에 대한 삽입측(앞측)의 면을 각 피수용 유닛(80-1∼80-4)의 앞벽(84-1∼84-4)에 의해, 또한, 2개의 측둘레면을 각 피수용 유닛(80-1∼80-4)의 측둘레벽(85-1∼85-4)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이들 앞벽(84)과 측둘레벽(85)에 의해, 소켓 단자(90)와 손가락의 뜻하지 않는 접촉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수용 공간(30)으로의 피수용 유닛(80-1∼80-4)의 삽발시에 단자 유닛(92-1∼92-4)을 잘못하여 좌굴시킨다고 하는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
소켓 하우징(72)의 삽입 통과공(81)의 내부에는, 탄성 아암(82)에 의해 탄성 변위 가능하게 지지받은 걸림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81)에 소켓 단자(90)가 삽입되었을 때, 걸림부(82)는, 소켓 단자(90)의 기부(73)에 형성한 피걸림부(95)(도 5 참조)와 걸어 고정되어, 그곳에 고정된다.
도 8에, 플러그 커넥터(2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플러그 단자(40)는, 한 장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접어 굽힘으로써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L자 형상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41)와 이 기부(4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42)와, 기부(4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코킹부(44)를 포함한다. 코킹부(44)는, 전원 케이블(3)의 내부에 배치된 도선(3a)에 코킹 상태로 사용된다. 플러그 단자(40)는, 코킹부(44)에 의해 전원 케이블(3)이 고정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22)의 후방으로부터 삽입, 설치된다. 플러그 하우징(22)에는, 추가로, 그 후방으로부터 고정부(60)가 고정된다.
접촉부(42)는,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접촉편이라도 좋다. 강도를 확보하고, 또한 고전류에 대응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접촉부(41)는 금속판을 2장 겹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2)는, 종 방향, 즉, 플러그 하우징(22)의 기체(23)와 동일 방향 「b」를 따라서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22)에 그 뒷측으로부터 삽입, 설치된다.
플러그 하우징(22)의 기체(23)의 뒷측에, 오목한 상태로 패인 설치 공간(29)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2)를 플러그 하우징(22)에 삽입, 설치할 때, 상방의 설치 공간(29a)에는, 기부(41)가 설치되고, 하부의 설치 공간(29b)에는, 코킹부(44)나 전원 케이블(3)의 일부가 설치된다.
플러그 하우징(22)의 기체(23)의 천정면과 측면에 각각, 걸림 볼록부(26a, 26b)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고정부(60)의 기체(61)에는, 플러그 하우징(22) 의 기체(23)을 향하여 돌출한 프레임체(63a, 63b)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체(63a, 63b)에는, 각각, 걸림공(62a, 62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공(62a, 62b)에, 걸림 볼록부(26a, 26b)를 각각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플러그 단자(40)를 플러그 하우징(22)에 보유지지한 상태로, 고정부(60)를 기체(23)에 고정할 수 있다.
도 9에, 플러그 하우징(22)의 정면도를, 또한, 도 10(a)에, 도 9의 A-A선 단면도, 도 10(b)에, 그 B-B선 단면도, 도 10(c)에, 도 10(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플러그 하우징(22)의 피삽발부(28)에 형성한 수용 공간(30)의 입구, 즉, 좌우에 1개씩 형성한 총 2개의 삽입 통과구(30a)는 각각, 십자로 교차한 2개의 칸막이 부재(32, 33)를 이용하여, 총 4개의 보다 작은 삽입 통과구 유닛(30-1a∼30-4a)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칸막이 부재(32, 33)에 의해 분할함으로써, 삽입 통과구(30a)는 보다 작게 설정되고, 이 결과, 손가락이 접촉부(42)에 접촉함에 의한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많은 칸막이 부재를 형성하여, 삽입 통과구(30a)를 보다 작게 설정해도 좋다.
칸막이 부재(33)는, 횡 방향, 즉, 접촉부(42)와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면, 접촉부(42)와 직교하는 도시 화살표 「c」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칸막이 부재(33)는, 플러그 하우징(22)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플러그 하우징(22)을 이용함으로써, 칸막이 부재(33)를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하는 것보다도, 비용를 삭감할 수 있다. 칸막이 부재(33)를 형성함으로써, 큰 접촉부(42), 다시 말하면,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 즉, 삽입 통과구 유닛(30-1a)과 삽입 통과구 유닛(30-3a)이나, 삽입 통과구 유닛(30-2a)과 삽입 통과구 유닛(30-4a)을 걸쳐서 배치되는 바와 같은, 큰 접촉부(42)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 유닛(30-1a)과 삽입 통과구 유닛(30-3a)의 사이, 및,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 유닛(30-2a)과 삽입 통과구 유닛(30-4a)의 사이를, 칸막이 부재(33)에 의해 칸막이하도록 하여, 삽입 통과구(30a)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칸막이 부재(33)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22)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33a)를 포함하여, 칸막이 부재(33)에 손가락이 접촉해도 감전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잘못하여 전원 단자(40)의 접촉부(42)에 접촉함에 의한 감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33)는, 각 삽입 통과구 유닛(30-1a∼30-4a)을 통하여 삽입되는 소켓 단자(90)의 삽입 방향 「a」를 따라서 수용 공간(30) 내에서 연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켓 단자(90)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삽발시킬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33)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 화살표 「c」방향에 있어서 삽입 통과구(30a)를 구성하는 내벽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칸막이 부재(33)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칸막이 부재(32)는, 종 방향, 즉, 칸막이 부재(33)와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면, 접촉부(42)와 동일 방향 「b」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칸막이 부재(32)는, 플러그 하우징(22)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플러그 하우징(22)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2) 중의, 예를 들면, 삽입 통과구(30a)의 입구 부근에 배치된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과, 이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에 부착된 접촉부(42)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접촉부(42)를 칸막이 부재(32)의 일부로서 이용함으로써, 접촉부(42)와 칸막이 부재(32)를 별개로 형성한 경우보다, 전원 커넥터의 구조를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다. 접촉부(42)는, 예를 들면,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의 내부에 형성한 직사각형의 설치 공간(32a)에 설치되어도 좋고(도 10의 (b), (c) 참조), 또한, 칸막이 부재(33)에 형성한 설치용의 슬롯(33b)에 삽입되어도 좋다(도 10의 (a), (c) 참조). 접촉부(42)는, 삽입 통과구(30a)를 통하여 삽입되는 소켓 단자의 삽입 방향 「a」를 따라서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으로 정렬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이나 슬롯(33b)을 이용하여, 그곳에 안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42)는,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의 적어도 일부보다 삽입 통과구(30a)에 대하여 소켓 단자(90)의 삽입측과는 반대측에 위치지어진다. 이 결과, 손가락이 전원 단자(40)의 접촉부(42)에 잘못하여 접촉함에 의한 감전 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과, 이 대략 ㄷ자 형상의 부분(32b)의 설치 공간(32a)에 설치된 접촉부(42)에 의해 형성한 칸막이 부재(32)는, 칸막이 부재(33)와 동일하게, 삽입 통과구(30a)를 통하여 삽입되는 소켓 단자(90)의 삽입 방향 「a」를 따라서 수용 공간(30) 내에서 연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켓 단자(90)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삽발시킬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32)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 화살표 「b」 방향에 있어서, 삽입 통과구(30a)를 구성하는 내벽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칸막이 부재(3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들 칸막이 부재(32, 33)에 의해, 수용 공간(30)에는, 수용 유닛(30-1∼30-4)이 형성된다. 수용 유닛(30-1∼30-4)에는 각각, 소켓 하우징(72)의 각 피수용 유닛(80-1∼80-4)이, 소켓 단자(90)의 단자 유닛(92-1∼92-4)과 함께 삽입된다. 수용 유닛(30-1∼30-4)을 형성함으로써, 피수용 유닛(80-1∼80-4)이나 단자 유닛(92-1∼92-4)을, 수용 공간(90)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삽발시킬 수 있다.
도 4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는, 소켓 커넥터의 단자 유닛(92-1∼92-4)은, 각 단자 유닛(92-1∼92-4)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덮는 피수용 유닛(80-1∼80-4)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 통과구 유닛을 통하여 수용 유닛(30-1∼30-4)에 각각 수용된다.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플러그 단자(40)의 접촉부(42)와 단자 유닛(92-1∼92-4)의 접속 상태를, 단자 이외의 부재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42)는, 단자 유닛(92-1∼92-4)에 의해 협지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접촉부(42)가, 단자 유닛(92-1)과 단자 유닛(92-2)의 사이에, 또한, 단자 유닛(92-3)과 단자 유닛(92-4)의 사이에, 각각 협지되어 있다. 접촉부(42)를 단자 유닛(92-1∼92-4)에 의해 협지시킴으로써, 접촉부(42)와 단자 유닛(92-1∼92-4)의 접촉을 보다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42)에 대하여 소켓 단자(90)가 복수 개소(도 11에서는 4개의 단자 유닛(92-1∼92-4))에서 접촉하는, 소위 다접점 구조가 되어 있음으로써, 고전류에 있어서도 발열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다.
도 12, 도 13에,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 등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플러그 커넥터만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이 도 12에 나타낸 플러그 커넥터에 이용하는 소켓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0A)에서는, 접촉부(42A)가, 도 1 등의 실시 형태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종 방향의 칸막이 부재(32A)도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칸막이 부재(32A)와 교차하는 횡 방향의 칸막이 부재(33A-1, 33A-2)는, 여기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변형예에서는, 총 6개의 수용 유닛(30A-1∼30A-6)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70A)에는, 총 6개의 피수용 유닛(80A-1∼80A-6)과 총 6개의 단자 유닛(90A-1∼90A-6)(도면의 사정상, 일부밖에 나타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 도면은, 다른 변형예에 의한 소켓(20B)의 개략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등의 실시 형태와 상이하게, 플러그 하우징(22B)은 측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의 소위 스트레이트 타입의 커넥터로 되어 있다. 케이스의 형상이나 케이스를 두는 장소 등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도 1 등에 나타낸 라이트 앵글 커넥터가 아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트레이트 타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의 삽입 통과구(30a)나 수용 공간(30)에는, 소켓 단자(90)뿐만 아니라, 소켓 하우징(72)도 삽입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소켓 하우징(72)을 삽입하지 않고, 소켓 단자(90)만을 삽입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용 공간(30)에는, 소켓 단자(90)뿐만 아니라, 그 외 여러 가지 도전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켓 단자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소켓 하우징을 이용한, 혹은, 이용하지 않는, 여러 가지 도전 부재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 특징 및 효과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바와 같이 의도된 최선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여, 다수의 특정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만으로,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및 상이한 실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그리고 그 다수의 세부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으면서, 여러 가지의 분명한 관점에 있어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전원 커넥터 장치
20 : 플러그 커넥터(전원 커넥터)
22 : 플러그 하우징
29 : 설치 공간
30 : 수용 공간
30a : 삽입 통과구
30-1∼30-4 : 수용 유닛
32 : 칸막이 부재
32a : 설치 공간
32b : ㄷ자 형상의 부분
33 : 칸막이 부재
40 : 플러그 단자(전원 단자)
70 : 소켓 커넥터(다른 전원 커넥터)
72 : 소켓 하우징
78 : 삽발 공간
80 : 피수용부
80-1∼80-4 : 피수용 유닛
90 : 소켓 단자(도전 부재)
92-1∼4 : 단자 유닛

Claims (11)

  1. 전원 단자와, 당해 전원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칸막이 부재에 의해 칸막이된,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와, 상기 삽입 통과구와 연통한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도전 부재와 접촉할 수 있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걸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도전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연재하고 있는, 전원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로 이웃하는 삽입 통과구를 상기 칸막이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칸막이하는 다른 칸막이 부재를 갖는, 전원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하우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전원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는, 상기 칸막이 부재와 함께, 상기 삽입 통과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도전 부재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연재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 유닛이 형성되어 있는, 전원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는 각각, 상기 도전 부재마다 형성한 피수용 유닛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덮여 있고, 상기 피수용 유닛과 함께 상기 수용 유닛에 각각 수용되는 전원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원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원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다른 칸막이 부재의 일부보다도 상기 삽입 통과구에 대하여 상기 도전 부재의 삽입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원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 유닛에 삽입된 상기 도전 부재에 의해 협지되는, 전원 커넥터.
  11. 제5항에 기재된 상기 전원 커넥터와, 상기 도전 부재를 지지하는 다른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피수용 유닛은, 상기 다른 전원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도전 부재는, 당해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전원 커넥터 장치.
KR1020170038178A 2016-04-26 2017-03-27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KR201701221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7862A JP2017199497A (ja) 2016-04-26 2016-04-26 端子接触防止機構を備えた電源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る電源コネクタ装置
JPJP-P-2016-087862 2016-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12A true KR20170122112A (ko) 2017-11-03

Family

ID=6008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178A KR20170122112A (ko) 2016-04-26 2017-03-27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10036A1 (ko)
JP (1) JP2017199497A (ko)
KR (1) KR201701221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6454A1 (en) * 2019-07-25 2021-01-28 Fci Usa Llc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5952B2 (ja) * 2017-12-20 2021-08-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源コネクタ及び電源コネクタ装置
JP6831862B2 (ja) 2019-02-08 2021-0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3270747B (zh) * 2020-02-14 2024-04-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
CN112271483A (zh) * 2020-10-09 2021-01-26 皇裕精密冲件(昆山)有限公司 一种连接器安装自扣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8633A (en) * 1972-01-24 1973-07-24 Amp Inc Square post connector
JP3060368B2 (ja) * 1995-05-12 2000-07-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カバー一体式圧接コネクタ
ATE181462T1 (de) * 1996-05-23 1999-07-15 Bks Kabel Service Ag Mehrpoliges steckersystem mit einer steckdose und mindestens einem stecker zum elektrischen und mechanischen verbinden von elektrischen leitern
JP3276854B2 (ja) * 1996-08-02 2002-04-22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077122A (en) * 1997-10-30 2000-06-20 Thomas & Bett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nnector shield and a multi-purpose strain relief
JP3607883B2 (ja) * 2001-06-22 2005-01-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3883399B2 (ja) * 2001-07-04 2007-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3063302A1 (en) * 2002-01-18 2003-07-31 Ortronics, Inc. Patch plug design and methods for use thereof
CN2735587Y (zh) * 2004-08-17 2005-10-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源连接器
US7059892B1 (en) * 2004-12-23 2006-06-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backshell
DE102005004920B3 (de) * 2005-02-02 2006-08-1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sicherung für Steckverbinder mit einer Kurzschlussbrücke mit integriertem Schaltelement
JP4961331B2 (ja) * 2007-11-27 201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コネクタ
US7731520B1 (en) * 2008-09-12 2010-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JP5343497B2 (ja) * 2008-10-01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TWM383849U (en) * 2009-12-11 2010-07-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9325114B2 (en) * 2010-09-01 2016-04-26 Molex, Llc Plug connector
CN102487166B (zh) * 2010-12-06 2016-03-16 Bks工程公司 用于导体连接系统的多极输出口及其连接系统
CN202282470U (zh) * 2011-09-05 2012-06-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3515732B (zh) * 2012-06-20 2017-03-1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充电电池插座及其制造方法
WO2014069285A1 (ja) * 2012-10-30 2014-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367600B2 (ja) * 2014-04-18 2018-08-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6454A1 (en) * 2019-07-25 2021-01-28 Fci Usa Llc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US11233345B2 (en) 2019-07-25 2022-01-25 Fci Usa Llc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10036A1 (en) 2017-10-26
JP2017199497A (ja)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112A (ko) 단자 접촉 방지 기구를 구비한 전원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는 전원 커넥터 장치
US10141697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422940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101478584B1 (ko) 커넥터
CN108028346B (zh) 电池间连接装置及电池间连接装置组装体
CN107437680B (zh) 用于连接两个电气平面触头的连接笼
US10535958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or and metal casing
KR102353873B1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KR20160126993A (ko) 접속 단자 및 접속 단자용 스프링 장착식 단자 접점
US10136539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CN110301072B (zh) 连接器
KR20100106808A (ko) 암커넥터 조립체
US20130164996A1 (en) Connector
JP2015162351A (ja) コネクタ
US20080305661A1 (en) Grounding comb, in particular for a plug-typ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CN115207681A (zh) 接触保护元件和电插接器
US20130288528A1 (en) Connecting device
WO2013010680A1 (en)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assembly comprising such a connector
CN109792117B (zh) 连接器
US20220302618A1 (en) Branch connector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769583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CN113196578B (zh) 用于沿数个空间方向进行接触的插式连接器部件
CN114600321A (zh) 连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