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023B1 -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023B1
KR102640023B1 KR1020170015728A KR20170015728A KR102640023B1 KR 102640023 B1 KR102640023 B1 KR 102640023B1 KR 1020170015728 A KR1020170015728 A KR 1020170015728A KR 20170015728 A KR20170015728 A KR 20170015728A KR 102640023 B1 KR102640023 B1 KR 10264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connector assembly
housing
cam
battery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741A (ko
Inventor
윤영준
안광욱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결합이 용이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체결부재, 제1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캠 블록, 제2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캠 블록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링 터미널과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가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캠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BATTERY PACKAGE}
아래의 설명은 결합이 용이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전자기계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전자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포함한다. 전선은 전기나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전선의 연결 작업을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 작업이라고 하며, 와이어 하네스 작업만 전문으로 하는 회사도 존재할 만큼, 와이어 하네스 작업은 시간 및 노력이 많이 소모되는 작업이다.
배터리 패키지(battery package)는 복수의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배터리 커버, 배터리 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 모듈, 외부 커넥터에 연결되는 연결 커넥터, 연결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는 와이어 하네스가 각각 결합된 플러그와 리셉터클로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 커넥터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맞물리도록 결합시킨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태의 와이어 하네스의 터미널을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하게 된다. 다만, 와이어 하네스의 단부에 링 터미널이 체결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링 터미널을 체결하기 위해서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다. 링 터미널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결합시켜서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서 링 터미널을 중첩시키고, 외부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중첩된 링 터미널 및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에 구비된 너트에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연결 커넥터는 구조적으로 내부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에 체결하는 작업이 어렵다. 또한, 2개의 와이어 하네스에 동시에 볼트가 체결되어야 하는데, 와이어 하네스가 위치를 이탈하기 쉽기 때문에, 결합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조립성이 뛰어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체결부재, 제1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캠 블록, 제2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캠 블록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링 터미널과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가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캠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캠 레일이 접촉되는 면에 홈 또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서 상기 캠 레일을 마주보는 하부에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캠 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레일은, 상기 높이 유지면의 높이가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링 터미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높이 유지면 후방에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하강시키도록 형성된 안착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내부에 상기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캠 블록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홀이 형성되거나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 터미널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링 터미널이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복수의 구획된 영역 사이에 상기 캠 레일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은 결합 안내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안내 블록은 상면에 상기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안내 블록 내부에는 별도의 개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안내 블록 내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안내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슬롯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은 일 측에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캠 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링 터미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캠 블록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캠 레일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캠 블록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캠 레일에 대해서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블록이 상기 캠 레일을 따라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제한부가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탄성 가압하고,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을 지나가면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캠 블록에 걸려서 이탈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캠 블록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의 외주면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에는 내부에 상기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캠 블록이 안착되는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을 상기 가이드 블록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블록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가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된 돌기와, 타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 또는 그루브 또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아래의 효과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캠 블록은 복수의 제1 체결부재가 가체결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면 제1 체결부재를 동시에 승강시킴으로써 링 터미널 및 제2 체결부재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제1 체결부재를 제1 및 제2 링 터미널과 제2 체결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조립 공정이 용이하고, 조립 과정에서 제1 체결부재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 또는 캠 블록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를 구비하므로, 제1 체결부재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제한부는 제1 체결부재 또는 캠 블록을 가압함으로써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뒤집힌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어느 방향에서도 제1 체결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링 터미널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치제한부가 캠 블록을 제1 하우징에 고정 및 정렬시키므로,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결합되기 전과 후에 캠 블록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1 체결부재가 와이어에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우징에서 이너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 블록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Ⅰ-Ⅰ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Ⅱ-Ⅱ 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캠 블록과 가이드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Ⅲ-Ⅲ 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하우징(1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하우징(12)에서 이너 하우징(122)의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캠 블록(1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제1 와이어(13)가 구비되는 제1 하우징(11)과 제2 와이어(14)가 구비되는 제2 하우징(12) 및 제1 및 제2 와이어(13, 14)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15)와 제2 체결부재(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의 결합 시, 제1 체결부재(15)를 승하강 시키는 캠 블록(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17)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부재(17)는 고무 재질의 오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은 제1 와이어(13)가 고정되는 제1 아웃터 하우징(111)과, 제1 아웃터 하우징(111) 내부에는 제1 와이어(13)의 링 터미널(이하, '제1 링 터미널'이라 함, 도 6a 내지 도 6c 참고)(131)이 수용되고 캠 블록(16)이 안착되는 가이드 블록(112)이 구비된다.
가이드 블록(112)은 상부에 캠 블록(16)이 안착되고, 내부에 제1 링 터미널(131)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블록(112)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제1 링 터미널(131)이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12) 의 상면(211)에는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링 터미널(131)에 가체결될 수 있도록 홀(211a)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블록(112)의 상면(211)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블록(112)의 측벽(212)은 제1 링 터미널(131)의 좌우 방향 유동을 제한하고, 캠 레일(123)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링 터미널(131)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가이드 블록(112)은 제1 링 터미널(131)을 각각 수용하여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링 터미널(131)이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112)은 복수로 구획된 영역의 사이(여기서는 측벽(214)과 측벽(214)의 사이)가 일정 간격(214)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되었을 때 해당 간격(214) 내로 캠 레일(123)이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 블록(112)은 제1 하우징(11)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블록(112)을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될 때, 제1 링 터미널(131)이 제2 하우징(12) 내부에서 제2 링 터미널(141)과 겹쳐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이드 블록(112)은 블록 형태의 하나의 개체로 형성되고, 제1 아웃터 하우징(111)과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제1 아웃터 하우징(111)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아웃터 하우징(111)과 가이드 블록(11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하우징(12)은 제2 와이어(14)가 고정되는 제2 아웃터 하우징(121)과 이너 하우징(122)을 포함하고, 내부에는 제2 와이어(14)의 링 터미널(이하, '제2 링 터미널'이라 함, 도 6a 내지 도 6c 참고)(141)이 수용되고 제2 체결부재(151)가 형성되는 결합 안내 블록(124)이 구비된다.
제2 하우징(12)에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외부에서 제1 체결부재(15)를 조일 수 있도록 개구(121a, 122a)가 형성된다. 개구(121a, 122a)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외부에서 제1 체결부재(15)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개구(121a, 122a)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제1 하우징(11)의 일 측에 커버(113)가 구비된다. 개구(121a, 122a)와 커버(113) 사이에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3)는 제1 아웃터 하우징(111)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114)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13)를 제2 하우징(12)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커버(113)는 제1 아웃터 하우징(111)에 형성하는 경우, 커버(113)가 개구(121a, 122a)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체결되는 것이므로 그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커버(113)를 제2 하우징(12)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훅)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113)는 개구(121a, 122a)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된 상태의 일 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113)의 크기와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22)에는 제1 체결부재(15)의 결합을 안내하는 캠 레일(123)과 결합 안내 블록(1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122)은 제2 아웃터 하우징(121)과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제2 아웃터 하우징(121)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너 하우징(122)을 생략하고 제2 아웃터 하우징(121) 내부에 캠 레일(123)과 결합 안내 블록(124)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 안내 블록(124)은 상면(241)에 제2 링 터미널(141)이 안착되고, 내부에는 제1 체결부재(15)와 고정되는 제2 체결부재(151, 도 6a 내지 도 6c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안내 블록(124)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고, 복수의 제2 링 터미널(141)이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안내 블록(124)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될 때, 가이드 블록(112)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결합 안내 블록(124)의 상면(241)은 제2 링 터미널(141)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제1 체결부재(15)가 관통하여 제2 체결부재(15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241)에 슬릿(241a)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안내 블록(124)의 상면(241)은 제2 링 터미널(141)이 안착될 수 있다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 안내 블록(124)의 상면(241)에는 제2 링 터미널(141)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돌출부 또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안내 블록(124)의 측벽(242)은 가이드 블록(112)과 결합 안내 블록(124)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 안내 블록(124) 역시 복수로 구획된 영역의 사이(여기서는 측벽(242)과 캠 레일(123)의 사이)가 일정 간격(244) 이격되고, 해당 간격(244) 내로 캠 블록(16)의 측벽 캠 레일(123)이 위치하게 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243은 제2 체결부재(151)를 지지하는 지지부(243)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243)는 생략 가능하다.
제1 체결부재(15)는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에서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을 결합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재(15)는 소정 길이를 갖는 볼트이고, 제2 체결부재(151)는 너트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체결부재(15)는 볼트를 포함하여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을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15)에 따라 제2 체결부재(151)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재(151)는 결합 안내 블록(124)과는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서 결합 안내 블록(124) 내부에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제2 체결부재(151)를 결합 안내 블록(124)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체결부재(15)와 제2 체결부재(151)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그 수는 링 터미널(131, 141)의 수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하나일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제1 체결부재(15)는 제1 하우징(11)에서 제1 링 터미널(13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제2 체결부재(151)는 제2 하우징(12) 내부에서 제2 링 터미널(14)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서로 결합되면, 제2 링 터미널(141) 상부에 제1 링 터미널(131)이 삽입되면서 겹쳐지고,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을 관통하여 제2 체결부재(151)에도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체결부재(15)를 제2 체결부재(151)에 대해서 나사결합시키면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을 고정시킴과 더불어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되기 전에는, 제1 체결부재(15)는 제1 하우징(11)에서 제1 링 터미널(131)에 가체결된 상태로 캠 블록(16)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결합시킬 때, 캠 블록(16)과 캠 레일(123)에 의해서 제1 체결부재(15)가 승하강 하여 제1 체결부재(15)가 제2 하우징(12)의 제2 링 터미널(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결합된다.
캠 블록(16)은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161)와, 메인 플레이트(161)의 하부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162)를 포함한다.
메인 플레이트(161)는 복수의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또는 바 형상을 갖고,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되는 제1 체결부재 삽입홀(161a)이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결합시킬 때 제1 체결부재(15)가 제2 링 터미널(141)을 타고 넘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62)는 캠 레일(123)과 접촉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62)는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리브(162)의 하나만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수가 실질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캠 레일(123)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될 때, 캠 블록(16)의 가이드 리브(162)가 캠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하강 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캠 레일(123)은 제1 체결부재(15)가 높이 유지면(123b)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123a)과 제1 체결부재(15)의 단부가 제2 와이어(14)의 링 터미널(141)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승시키는 높이 유지면(123b) 및 제1 체결부재(15)가 제2 링 터미널(141)에 안착되도록 하강시키는 안착면(123c)을 포함한다.
캠 레일(123)은,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에 위치할 때, 제1 체결부재(15)의 단부가 적어도 제2 링 터미널(141)의 상면에 접촉되어서 제2 링 터미널(141)을 타고 넘을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캠 레일(123)은, 캠 블록(16)이 최고로 상승되는 높이, 즉,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에 위치할 때, 제1 체결부재(15)의 단부가 제1 링 터미널(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링 터미널(131)과 가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됨과 동시에 제1 체결부재(15)가 제2 링 터미널(141) 및 제2 체결부재(151)에 가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캠 레일(123)은 안착면(123c)이 생략되고, 경사면(123a)과 높이 유지면(123b)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캠 레일(123)은, 제1 체결부재(15)가 제2 링 터미널(141)에 안착되는 위치에는 캠 레일(123)을 형성하지 않거나, 제1 체결부재(15)가 제2 링 터미널(141)에 안착되는 높이보다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캠 블록(16)에 가이드 리브(162)가 형성되어서 가이드 리브(162)가 캠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가이드 리브(16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캠 블록(16)은 가이드 리브를 생략하고 메인 플레이트(161)만으로 형성되고, 메인 플레이트(161)가 직접 캠 레일(123)에 접촉되어서 캠 레일(123)을 따라 승강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캠 레일(123)이 메인 플레이트(161)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높이가 길게 형성된다. 메인 플레이트(161)에서 캠 레일(123)에 접촉되는 면에는 캠 레일(123)이 삽입되도록 홈이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조립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5a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마주한 상태에서 결합시키면, 복수의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된 상태에서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의 경사면(123a)을 따라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체결부재(15)는 제1 링 터미널(131)에 가체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b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더 결합시키면,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의 높이 유지면(123b)에 올라가고, 제1 체결부재(15)는 그 단부가 제2 링 터미널(141)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c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완전히 맞물리면, 캠 블록(16)은 캠 레일(123)의 안착면(123c)으로 하강하면서 제1 체결부재(15)의 단부가 제2 링 터미널(141)을 타고 넘어가서,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링 터미널(131)은 제2 링 터미널(141)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삽입되므로, 제1 체결부재(15)는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결부재(15)를 제2 체결부재(151)에 대해서 조이면,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이 고정되고,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결합시키면,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을 따라 승하강하면서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정 없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12)을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제1 체결부재(15)를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결합시킬 수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15)는 제1 링 터미널(131)에 가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조립 과정에서 제1 체결부재(15)가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결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Ⅰ-Ⅰ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Ⅱ-Ⅱ 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위치제한부(126)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위치제한부(126)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및 제1 및 제2 와이어(13, 14)의 링 터미널(131, 141)에 제1 체결부재(15)를 결합시키는 캠 블록(16) 및 위치제한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하우징(11)은 제1 아웃터 하우징(111) 내부에 가이드 블록(112)이 구비되고,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된 캠 블록(16)이 구비된다.
가이드 블록(112)은 내부에 제1 링 터미널(131)이 구비되고, 상면(211)에 캠 블록(16)이 결합되고, 가이드 블록(112)을 관통하여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링 터미널(131)에 가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캠 블록(16)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될 때 제1 체결부재(15)를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에 결합시키도록 형성된다. 캠 블록(16)은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161)와, 메인 플레이트(161)의 하부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서 캠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캠 블록(16)은 가이드 리브(162)가 생략되고, 캠 레일(123)과 메인 플레이트(161)가 접촉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하우징(12)은 캠 블록(16)을 승하강시키는 캠 레일(123)과 제1 체결부재(15)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 안내 블록(124)이 구비된다.
결합 안내 블록(124)은 상면(241)에 제2 링 터미널(141)이 안착되고, 내부에 제2 체결부재(151)가 형성된다.
캠 레일(123)은 제2 하우징(12)의 이너 하우징(122) 내부에서 내측 방향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캠 블록(16)을 승하강 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캠 레일(123)은 결합 안내 블록(124)의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을 따라 승하강 이동하면서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에 결합되는데, 커넥터 어셈블리(10)가 중력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 또는 뒤집힌 상태에서는 제1 체결부재(15) 및 캠 블록(16)이 중력에 의해서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에 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하우징(12) 내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위치제한부(126)가 형성된다.
위치제한부(126)는 캠 블록(16) 또는 제1 체결부재(15)의 위치를 제한한다. 상세하게는, 위치제한부(126)는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까지 상승하였을 때, 제1 체결부재(15)의 단부가 제1 링 터미널(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하우징(12) 내부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위치제한부(126)는 캠 레일(123)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까지 상승하였을 캠 레일(123)에 대해서 캠 블록(16)을 가압하도록 제2 하우징(12) 내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는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까지 상승하였을, 제1 체결부재(15)를 가압하도록 제2 하우징(12) 내부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위치제한부(126)가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에 위치하였을 때 캠 블록(16) 또는 제1 체결부재(15)와 접촉되고, 나머지 위치에서는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제한부(126)는 캠 블록(16) 또는 제1 체결부재(15)에 항상 접촉된 상태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제한부(126)는 캠 블록(16) 또는 제1 체결부재(15)에 대해서 가압 또는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되,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탄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위치제한부(126)는 캠 블록(16)이 캠 레일(123)을 따라 높이 유지면(123b)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캠 블록(16) 또는 제1 체결부재(15)를 탄성 가압하고, 캠 블록(16)이 높이 유지면(123b)을 지나가면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제한부(이하, 도면부호 127을 사용함)는 제1 체결부재(15)에 항상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제한부(127)를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개략도이다.
도 10a와 도 10b를 참고하면, 위치제한부(127)가 캠 레일(123)의 높이 유지면(123b)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하는 슬릿(127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제한부(127)가 제1 체결부재(15)를 탄성 가압하고 있으므로, 커넥터 어셈블리(10)가 중력 방향에 대해서 뒤집힌 상태에서도 제1 체결부재(1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링 터미널(14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제한부(127)는 캠 블록(16)에 접촉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제한부(126 또는 127) 자체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치제한부(126)는 캠 블록(16) 또는 제1 체결부재(15)에 접촉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위치제한부(126, 127)가 제1 체결부재(15) 또는 캠 블록(16)을 가압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를 제한하므로, 뒤집히거나 경사진 상태에서도 제1 체결부재(1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시킬 수 있다. 위치제한부(126, 127)에 의해 뒤집힌 상태에서뿐만 아니라 어느 방향에서도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을 결합시키는 동작만으로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결합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캠 블록(16)과 가이드 블록(11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Ⅲ-Ⅲ 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위치제한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위치제한부의 차이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을 참고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및 제1 및 제2 와이어(13, 14)의 링 터미널(131, 141)에 제1 체결부재(15)를 결합시키는 캠 블록(16) 및 제1 하우징(11)에 형성되는 위치제한부(163, 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하우징(12)은 캠 블록(16)을 승하강시키는 캠 레일(123)과 제1 체결부재(15)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 안내 블록(124)이 구비된다.
캠 레일(123)은 제2 하우징(12)의 이너 하우징(122) 내부에서 내측 방향을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캠 블록(16)을 승하강 시키도록 형성된다.
결합 안내 블록(124)의 상면에 제2 링 터미널(141)이 안착되고, 내부에 제2 체결부재(151)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은 제1 아웃터 하우징(111) 내부에 캠 블록(16)이 안착되는 가이드 블록(112)이 구비되고, 가이드 블록(112) 내부에 제1 링 터미널(131)이 구비되고, 캠 블록(16) 상에 제1 체결부재(15)가 구비된다.
캠 블록(16)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될 때 제1 체결부재(15)를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에 결합시키도록 형성된다. 캠 블록(16)은 제1 체결부재(15)가 안착되는 메인 플레이트(161)와, 메인 플레이트(161)의 하부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어서 캠 레일(123)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162)를 포함한다.
가이드 블록(112)은 상면(211)에 캠 블록(16)이 안착되고, 상면(211)에 제1 체결부재(15)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211a)이 형성된다. 가이드 블록(112)의 측벽(212)은 가이드 리브(162)와 캠 레일(123)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블록(112) 내부에는 제1 링 터미널(131)이 수용된다.
위치제한부(163, 213)는 가이드 리브(162)와 가이드 블록(112)의 측벽(212)에 각각 형성된다. 위치제한부(163, 2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되기 전에, 캠 블록(16)을 가이드 블록(112)에 고정 및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위치제한부(163, 2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이 완료된 후에도 캠 블록(16)을 가이드 블록(112)에 고정 및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리브(162)의 일 측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1 고정부(163)가 형성되고, 측벽(212)에는 제1 고정부(163)가 결합되는 소정의 홈 또는 그루브 또는 슬릿 등의 제2 고정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고정부(위치제한부)(163, 213)는 가이드 리브(162)와 측벽(212) 중 어느 일 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타 측에 해당 돌기가 결합 가능한 홈 또는 슬릿 등이 형성된 것이면 족하다. 또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치제한부(163, 213)는 홈과 돌기 이외에도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위치제한부(163, 213)가 캠 블록(16)을 가이드 블록(112)에 체결 및 정렬시키므로, 제1 체결부재(15) 및 캠 블록(16)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치제한부(126)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결합되기 전과 후에 캠 블록(16)의 위치를 정렬시키므로, 제1 체결부재(15)가 제1 및 제2 링 터미널(131, 141)과 제2 체결부재(151)에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체결부재(1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체결부재(15) 자체에 위치제한부(15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체결부재(15)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로 위치제한부(이하, '스톱퍼'라 함)(15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5)가 캠 블록(16)에 결합되었을 때, 메인 플레이트(161)에서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즉, 제1 링 터미널(131) 쪽으로 노출된 부분)에 스톱퍼(15a)를 형성함으로써, 제1 체결부재(15)가 캠 블록(16)에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제한부(15a)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체결부재(15)가 캠 블록(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위치제한부가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및 제1 체결부재(15) 중 어느 일 측에만 형성되는 것을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 예들에 설명한 위치제한부가 2개 이상이 조합되어 구비되거나,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 하우징
111: 제1 아웃터 하우징
112: 가이드 블록
211: 상면
211a: 홀
212: 측벽
213: 제2 고정부(위치제한부)
214: 간격
113: 커버
114: 힌지축
115: 실링부재
12: 제2 하우징
121: 제2 아웃터 하우징
121a: 개구
122: 이너 하우징
122a: 개구
123: 캠 레일
123a: 경사면
123b: 높이 유지면
123c: 안착면
124: 결합 안내 블록
241: 상면
241a: 슬릿
242: 측벽
243: 지지부
244: 간격
126, 127: 위치제한부
127a: 슬릿
13, 14: 와이어
131, 141: 링 터미널
15: 제1 체결부재
15a: 스톱퍼(위치제한부)
151: 제2 체결부재
16: 캠 블록
161: 메인 플레이트
161a: 제1 체결부재 삽입홀
162: 가이드 리브
163: 제1 고정부(위치제한부)
17: 실링부재

Claims (33)

  1. 제1 체결부재;
    제1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1 와이어의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체결되도록 지지하는 캠 블록;
    제2 와이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와이어의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2 하우징과 결합될 때 상기 캠 블록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링 터미널과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가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캠 레일;
    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메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상기 캠 레일이 접촉되는 면에 홈 또는 그루브가 형성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서 상기 캠 레일을 마주보는 하부에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된 가이드 리브;
    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캠 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면이 형성된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높이 유지면의 높이가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링 터미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높이 유지면 후방에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하강시키도록 형성된 안착면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가이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내부에 상기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캠 블록이 안착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 링 터미널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홀이 형성되거나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 터미널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복수의 제1 링 터미널이 서로 간섭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복수의 구획된 영역 사이에 상기 캠 레일이 위치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결합 안내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안내 블록은 상면에 상기 제2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내부에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위치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안내 블록 내부에는 별도의 개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안내 블록 내부에는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안내 블록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슬롯 또는 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일 측에 외부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커버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레일은,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링 터미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기 캠 블록을 상승시키는 경사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승된 높이를 유지시키는 높이 유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1 링 터미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 또는 상기 캠 블록의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캠 레일과 마주보는 방향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캠 블록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캠 레일에 대해서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이 상기 캠 레일을 따라 상기 높이 유지면에 위치하면 상기 위치제한부가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를 탄성 가압하고, 상기 캠 블록이 상기 높이 유지면을 지나가면 복원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슬릿이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 또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대해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캠 블록에 걸려서 이탈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캠 블록의 하부로 노출된 부분의 외주면 일 측에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는 내부에 상기 제1 링 터미널이 수용되고 상부에 상기 캠 블록이 안착되는 가이드 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캠 블록을 상기 가이드 블록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블록은 상기 캠 레일에 접촉되도록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블록에서 상기 가이드 리브가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측벽에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부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기 가이드 블록 중 어느 일 측에 형성된 돌기와, 타 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돌기가 결합되는 홈 또는 그루브 또는 슬릿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70015728A 2016-02-05 2017-02-03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40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951 2016-02-05
KR20160014951 2016-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41A KR20170093741A (ko) 2017-08-16
KR102640023B1 true KR102640023B1 (ko) 2024-02-26

Family

ID=5975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728A KR102640023B1 (ko) 2016-02-05 2017-02-03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1017A (ja) 2008-07-10 2010-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5130300A (ja) 2014-01-08 2015-07-16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4609B2 (ja) * 2007-07-26 2013-05-08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KR101169034B1 (ko) * 2010-09-01 2012-07-27 한국과학기술원 고주파 전선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1017A (ja) 2008-07-10 2010-01-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5130300A (ja) 2014-01-08 2015-07-16 住友電装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741A (ko) 201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353B2 (en) Electric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contacting with a connector
US20050227542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EP3313157B1 (en) Waterproof electronic control device
CN103915705A (zh) 电接线端子和其装配方法
US687009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43711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9509079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electronic component
US994167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CN111165081B (zh) 电子控制单元
KR20170127996A (ko) 기판 커넥터
KR101105537B1 (ko) 분할형 커넥터
JPWO2016110886A1 (ja) 蓄電ユニット
KR20180123993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40023B1 (ko) 배터리 패키지용 커넥터 어셈블리
US20180090879A1 (en) Electronic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31128B1 (ko)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29846B1 (ko)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KR102612957B1 (ko) 직체결 커넥터 어셈블리
CN101325287B (zh) 电连接端子和包括该端子的电气保护装置
RU192718U1 (ru) Модуль электронного прибора
KR20170085941A (ko) 커넥터
JP6446525B1 (ja) 配線用グロメット
JP7312531B2 (ja) 撮像装置及び可動コネクタと外部接続ケースとの接続構造
KR20200091341A (ko) 클러스터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