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190B1 - 콘센트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190B1
KR101977190B1 KR1020180120866A KR20180120866A KR101977190B1 KR 101977190 B1 KR101977190 B1 KR 101977190B1 KR 1020180120866 A KR1020180120866 A KR 1020180120866A KR 20180120866 A KR20180120866 A KR 20180120866A KR 101977190 B1 KR101977190 B1 KR 10197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pair
safety modul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원 filed Critical 최재원
Priority to KR102018012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는 콘센트케이스 본체에 내장된 한쌍의 콘센트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콘센트케이스 커버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허용시키는 안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전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듈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이동할 때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규격 또는 비규격 사이즈의 1 Pin 차단과 더불어 젓가락 등의 금속도체들인 비규격 2 Pin의 이물질이 플러그관 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젓가락, 금속도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관 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콘센트안전장치{CONCENT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콘센트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전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배선 기구의 종류 중 하나이며, 전기·전자 기기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배선 기구이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이나 기둥 속으로 넣어서 사용하는 매입형 콘센트와 벽이나 기둥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노출형 콘센트, 콘센트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 등으로 나누어진다.
종래의 매입형 콘센트는 상부 케이스의 양측에 접지 극핀단자가 삽입 고정되고, 이 접지 극핀단자 사이의 상면에는 단자 연결편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단자 연결편의 상면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도체로 된 안전판 덮개판이 설치되고, 상부 케이스의 후방에는 하부 케이스가 체결되며, 이 하부 케이스의 후방 일측에는 전원선 및 접지선과 결속시키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다.
아울러 매립형 콘센트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Electro Galvanized Coil) 재질의 브라켓을 별도로 사용하거나 사출물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콘센트를 벽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박스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항상 전원 측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로그의 단자핀이 삽입 접속되는 콘센트의 연결단자에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을 삽입하여 접속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종래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의 부위에 캡을 끼워 플러그가 삽입되는 것을 막는 안전캡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캡은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안전캡이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면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하는데 있어서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젓가락, 금속도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관 통공에 삽입되어 콘센트와 접속되지 못하도록, 콘센트를 개폐하는 이동개폐부와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감전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콘센트안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센트안전장치의 경우, 부품수가 많아 제품를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센트 단자에 2개의 젓가락을 동시에 삽입하는 경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에 있어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8132호(2014. 06. 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콘센트에 사용되고 있는 안전핀들과 같이 1개의 젓가락등의 금속도체 들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며, 콘센트에 2개의 젓가락등의 금속도체를 삽입하더라도 양쪽의 균형이 맞지 않거나, 콘센트 플러그에 사용되는 규격치수와는 다른 비규격의 사이즈이기 때문에 젓가락등의 금속도체 들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콘센트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품의 갯수를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쉽게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콘센트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는 콘센트케이스 본체에 내장된 한쌍의 콘센트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콘센트케이스 커버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허용시키는 안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전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듈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이동할 때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중심돌기와, 상기 중심돌기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모듈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벽은 단부에서 상기 중심돌기 방향으로 돌출된 제 1측면돌기와, 상기 제 1측면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제 2측면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측면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모듈은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관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후퇴된 탄성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안전모듈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될 때 상기 중심돌기에 지지되도록 라운드진 홈 형상을 가지는 중심홈과, 상기 중심홈의 양단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관통공 중 어느 일부에만 물체가 삽입될 경우 상기 안전모듈이 회전되어 상기 제 1측면돌기의 단부에 걸림동작을 하는 이탈방지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에서 상기 플러그관통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관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면과, 상기 경사면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탄성 리브와, 각 상기 탄성 리브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제 2, 3측면돌기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에 의하면 규격 또는 비규격 사이즈의 1 Pin 차단과 더불어 젓가락 등의 금속도체들인 비규격 2 Pin의 이물질이 플러그관 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 등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젓가락, 금속도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관 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가 사용된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일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타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정상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
도 8은 하나의 플러그만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
도 9는 탄성 리브가 고장이 났을 때 하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
도 10은 규격이 작은 젓가락 등이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가 사용된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가 구비된 콘센트는 플러그관통공(H)이 구비된 콘센트케이스 커버(10)와, 콘센트단자(C)가 내장된 콘센트케이스 본체(20)와, 콘센트케이스 커버(10)와 콘센트케이스 본체(20) 사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젓가락 등을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삽입할 때 콘센트단자(C)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콘센트 안정장치(100)를 구비한다.
콘센트 안정장치(100)는 사용자가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플러그단자(P)가 삽입될 때에만 플러그단자(P)가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형성된 콘센트단자(C)와 접속되도록 하고, 플러그단자(P) 이외에 젓가락, 금속도체 등이 플러그관통공(H)으로 삽입되는 경우,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형성된 콘센트단자(C)와 접속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가 아닌 젓가락, 금속도체 등을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공(H)으로 삽입하였을 때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콘센트안전장치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센트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타측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100)는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내장된 한쌍의 콘센트단자(C)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관통홀(210)을 구비하는 하우징(200); 및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결합되는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허용시키는 안전모듈(300)을 구비한다.
하우징(200)은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20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이 허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우징(200)의 바닥면에는 플러그 단자(P)가 관통하는 한쌍의 플러그관통홀(210)이 구비된다. 이때 한쌍의 플러그관통홀(210) 사이의 간격은 한쌍의 플러그 단자(P)의 간격과 동일하다. 또한, 하우징(200)이 콘센트케이스 커버(10) 또는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결합되었을 때,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구비된 콘센트단자(C)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플러그 관통공(H) 및 하우징(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구비된 콘센트단자(C)와 접속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플러그 단자(P) 외에 금속 젓가락과 같은 도체를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플러그 관통공(H)을 통해 삽입하려고 할 때, 하우징(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210)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내부에 안전모듈(300)을 수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모듈(300)은 플러그 단자(P) 만이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플러그 관통공(H)을 통해 삽입될 때 하우징(200)의 바닥면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210)을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기 위한 하우징(200)과 안전모듈(300)의 구조에 대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200)은 일측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안전모듈(30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00)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대(220)와, 스프링 지지대(220)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안전모듈(300)이 탄성스프링(40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이동할 때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230)를 구비한다.
하우징(200)의 외측에는 돌출된 보스(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하우징(200)이 설치되는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결정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230)는 한쌍의 플러그관통홀(210) 사이에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P)가 균일한 압력으로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 관통공(H)을 동시에 관통하지 않으면 안전모듈(300)이 한쌍의 플러그관통홀(210) 중 적어도 하나는 개방하지 않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중심돌기(231)와 중심돌기(231)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안전모듈(300)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벽(232)을 구비한다.
중심돌기(231)의 단부는 후술할 안전모듈(300)의 중심홈(312)이 지지될 수 있도록 라운드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벽(232)은 단부에서 중심돌기(231) 방향으로 돌출된 제 1측면돌기(233)를 구비한다.
한편, 하우징(200)의 바닥면에 구비된 플러그관통홀(210) 주위에도 측면돌기들(234,240)이 형성된다. 안내벽(232)에는 제 1측면돌기(233)의 돌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측면돌기(234)가 구비된다. 제 2측면돌기(234)는 제 1측면돌기(233) 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 2측면돌기(234)의 단부는 제 1측면돌기(233)의 단부보다 하우징(200)의 측면과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200)의 다른 측면에는 상술한 제 2측면돌기(23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우징(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측면돌기(240)가 구비된다.
한편, 제 2측면돌기(234) 및 제 3측면돌기(240)는 하우징(200)의 상부에서만 하우징(2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제 2측면돌기(234) 및 제 3측면돌기(240)는 하우징(200) 높이의 1/2 이상 지점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측면돌기(234) 및 제 3측면돌기(24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더 돌출되어 단차진 걸림턱(235,241)이 각각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하우징(200)에 수용되어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허용시키는 안전모듈(300)에 대해 설명한다.
안전모듈(300)은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부(310)와, 몸체부(3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210)을 개폐하는 개폐부(320)를 구비한다.
몸체부(310)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탄성스프링(4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후퇴된 탄성스프링 지지부(311)와, 안전모듈(300)이 탄성스프링(400)에 의해 탄성지지될 때 상술한 하우징(200)의 중심돌기(231)에 지지되도록 라운드진 홈 형상을 가지는 중심홈(312)을 구비한다.
한편, 중심홈(312)의 양단으로는 일정부분 돌출되어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 중 일부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젓가락 등이 삽입될 경우 안전모듈(300)이 회전되어 상술한 하우징(200)의 제 1측면돌기(233)의 단부에 걸림동작을 함으로써 몸체부(310)가 하우징(200)의 안내부(2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13)이 구비된다.
탄성스프링(400)의 일단은 하우징(200)의 스프링 지지대(2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안전모듈(300)의 탄성스프링 지지부(31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안전모듈(300)이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면 안전모듈(300)의 중심홈(312)은 하우징(200)의 중심돌기(231)에 맞닿게 되어 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안전모듈(300)은 몸체부(3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개폐부(320)를 구비한다. 개폐부(320)는 평상시에는 하우징(20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210)을 폐쇄하지만,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플러그관통홀(210)을 개방하게 된다.
개폐부(320)는 몸체부(310)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연장면(321)과, 연장면(321)에서 플러그관통홀(2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322)과, 경사면(322)의 단부에 형성되어 플러그관통홀(210)을 개폐하는 개폐면(323)과, 경사면(322)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탄성 리브(340)와, 각 탄성 리브(340)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 2, 3측면돌기(234,240)에 형성된 걸림턱(235,241)에 걸리는 걸림돌기(350)를 구비한다.
한쌍의 탄성 리브(340)의 상단에는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플러그단자(P)가 삽입될 때 한쌍의 탄성 리브(340) 사이로 안내되도록 라운드처리된 라운드부(34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쌍의 탄성 리브(340) 사이의 간격은 플러그단자(P)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단자(P)가 한쌍의 탄성 리브(340) 사이로 삽입될 때 한쌍의 탄성 리브(340)의 사이는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각 탄성 리브(340)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돌기(350)의 단부는 탄성 리브(340)와 같이 회전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 2, 3측면돌기(234,240)에 형성된 걸림턱(235,241)에서 걸림해제된다.
한편, 안전모듈(300)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전모듈(30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안전모듈(300)은 수지 등의 재질을 사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모듈(300)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만든 후 조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100)를 제조하는 비용 및 각 부품을 조립하는데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정상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한쌍의 플러그단자(P)가 삽입되면 각 플러그단자(P)의 단부는 한쌍의 탄성 리브(340) 사이로 삽입되어 한쌍의 탄성 리브(340)의 사이는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탄성 리브(340)가 서로 벌이지게 되면, 탄성 리브(340)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돌기(350)의 단부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돌기(350)는 하우징(200)의 제 2, 3측면돌기(234,240)에 형성된 걸림턱(235,241)에서 걸림해제됨과 동시에 플러그단자(P)의 단부는 안전모듈(300)의 경사면(32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플러그단자(P)가 안전모듈(300)의 경사면(322)을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스프링(400) 방향으로 안전모듈(300)을 미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안전모듈(300)은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하게 되고, 안전모듈(300)의 개폐면(323)은 플러그관통홀(210)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단자(P)의 단부는 플러그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구비된 콘센트단자(C)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플러그단자(P)를 플러그관통공(H)에서 빼게 되면, 탄성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모듈(300)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안전모듈(300)의 개폐면(323)은 플러그관통홀(210)을 폐쇄하게 된다.
도 8은 하나의 플러그만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플러그단자(P)와 직경이 동일한 쇠막대 등을 삽입하게 되면 어느 일측의 한쌍의 탄성 리브(340)가 서로 벌어져 일측의 걸림돌기(350)가 걸림턱(235,241) 중 어느 하나는 걸림 해제될 수 있으나, 타측의 걸림돌기(350)는 걸림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타측의 걸림돌기(350)가 걸림턱(235,241) 중 어느 하나에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안전모듈(300)은 하우징(200) 내부에서 슬라이딩이 되지 않으므로 안전모듈(300)의 개폐면(323)은 플러그관통홀(210)을 개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단자(P)는 플러그관통홀(210)을 통과할 수 없게 되어 플러그단자(P)와 직경이 동일한 쇠막대와 같은 도체를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삽입하더라도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구비된 콘센트단자(C)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탄성 리브가 고장이 났을 때 하나의 플러그가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상술한 콘센트안전장치에서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탄성 리브(340)가 부러지거나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리브(340)가 고장이 발생할 때, 일측으로 젓가락 등의 쇠막대는 삽입하게 되면, 젓가락 등의 쇠막대가 삽입되는 탄성 리브(340) 측은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전모듈(300)은 하우징(200)의 중앙에서 돌출된 중심돌기(23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안전모듈(300)이 회전함에 따라 안전모듈(300)의 몸체부(310)에 구비된 이탈방지턱(313) 중 어느 일측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 1측면돌기(233) 중 어느 일측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탄성 리브(340)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이탈방지턱(313)이 제 1측면돌기(233)에 걸리는 동작을 통해 플러그관통홀(210)을 개방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2번의 안전 동작을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규격이 작은 젓가락 등이 삽입될 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작동도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 등의 쇠막대는 플러그단자(P)에 비해 그 직경이 작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등의 쇠막대를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삽입하더라도 한쌍의 탄성 리브(340)가 서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탄성 리브(340)가 서로 벌어지지 않으면, 걸림돌기(350)는 걸림턱(235,241)에 걸려 있게 되므로, 안전모듈(300)의 개폐면(323)은 플러그관통홀(210)을 개방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의 사시도, 평면도,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100)는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100)와 탄성스프링(800)이 길이방향으로 안전모듈(700)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점에서 다르다.
이를 위해 하우징(600)은 일측 중앙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안전모듈(70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800)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대(620)와, 스프링 지지대(620)를 중심으로 하우징(6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안전모듈(700)이 탄성스프링(80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이동할 때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630)를 구비한다.
한편, 하우징(6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하우징(600)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64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돌기(640)의 하측에는 후술할 안전모듈(700)이 걸림동작을 할 수 있도록 걸림턱(64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하우징(600)에 수용되어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허용시키는 안전모듈(700)에 대해 설명한다.
안전모듈(700)은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부(710)와, 몸체부(7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610)을 개폐하는 개폐부(720)를 구비한다.
몸체부(710)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하우징(600)의 스프링 지지대(6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 관통홀(711)과, 상기 관통홀(711)의 일단에 형성되어 탄성스프링(800)에 지지되는 탄성스프링 지지부(712)가 구비된다. 탄성스프링(800)의 일단은 하우징(600)의 스프링 지지대(620)에 지지되고, 타단은 안전모듈(300)의 탄성스프링 지지부(71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안전모듈(700)이 하우징(600)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하우징(600)에 형성된 안내부(630)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돌기(715)가 구비된다.
안전모듈(700)은 몸체부(6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개폐부(720)를 구비한다. 개폐부(720)는 평상시에는 하우징(600)에 형성된 플러그관통홀(610)을 폐쇄하지만, 콘센트케이스 커버(10)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H)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P)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플러그관통홀(610)을 개방하게 된다.
개폐부(720)는 몸체부(71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면(721)과, 연장면(721)에서 플러그관통홀(61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722)과, 경사면(722)의 단부에 형성되어 플러그관통홀(610)을 개폐하는 개폐면(723)과, 경사면(722)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탄성 리브(740)와, 각 탄성 리브(740)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00)에 형성된 걸림턱(641)에 걸리는 걸림돌기(750)를 구비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을 보인 작동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관통공(H)을 통해 한쌍의 플러그단자(P)가 삽입되면 각 플러그단자(P)의 단부는 한쌍의 탄성 리브(740) 사이로 삽입되어 한쌍의 탄성 리브(740)의 사이는 서로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한쌍의 탄성 리브(740)가 서로 벌이지게 되면, 탄성 리브(740)의 하단에 구비된 걸림돌기(750)의 단부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돌기(750)는 하우징(600)에 형성된 걸림턱(641)에서 걸림해제됨과 동시에 플러그단자(P)의 단부는 안전모듈(700)의 경사면(722)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플러그단자(P)가 안전모듈(700)의 경사면(722)을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스프링(800) 방향으로 안전모듈(700)을 미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안전모듈(700)은 탄성스프링(800)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하게 되고, 안전모듈(700)의 개폐면(723)은 플러그관통홀(610)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단자(P)의 단부는 플러그관통홀(610)을 관통하여 콘센트케이스 본체(20)에 구비된 콘센트단자(C)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플러그단자(P)를 플러그관통공(H)에서 빼게 되면, 탄성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모듈(700)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안전모듈(700)의 개폐면(723)은 플러그관통홀(610)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젓가락, 금속도체, 먼지 등의 이물질이 플러그관 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센트안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콘센트케이스 커버 C: 콘센트단자
20: 콘센트케이스 본체 100: 콘센트안전장치
200: 하우징 210: 플러그 관통홀
220: 스프링 지지대 230: 안내부
300: 안전모듈 310: 몸체부
320: 개폐부 322: 경사면
323: 개폐면 340: 탄성 리브
350: 걸림돌기 400: 탄성스프링

Claims (5)

  1. 콘센트케이스 본체에 내장된 한쌍의 콘센트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플러그관통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콘센트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콘센트케이스 커버에 구비된 한쌍의 플러그관통공으로 한쌍의 플러그 단자가 동시에 삽입될 때에만 전기적 연결을 허용시키는 안전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 중앙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전모듈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지지대와, 상기 스프링 지지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모듈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이동할 때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중심돌기와,
    상기 중심돌기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전모듈을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벽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벽은 단부에서 상기 중심돌기 방향으로 돌출된 제 1측면돌기와, 상기 제 1측면돌기의 돌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측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제 2측면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측면돌기가 구비되는 콘센트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듈은 중앙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관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후퇴된 탄성스프링 지지부와, 상기 안전모듈이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될 때 상기 중심돌기에 지지되도록 라운드진 홈 형상을 가지는 중심홈과, 상기 중심홈의 양단으로 일정부분 돌출되어 상기 플러그관통공 중 어느 일부에만 물체가 삽입될 경우 상기 안전모듈이 회전되어 상기 제 1측면돌기의 단부에 걸림동작을 하는 이탈방지턱을 구비하는 콘센트안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에서 상기 플러그관통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관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면과, 상기 경사면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탄성 리브와, 각 상기 탄성 리브의 하단에서 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제 2, 3측면돌기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콘센트안전장치.
KR1020180120866A 2018-10-11 2018-10-11 콘센트안전장치 KR101977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866A KR101977190B1 (ko) 2018-10-11 2018-10-11 콘센트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866A KR101977190B1 (ko) 2018-10-11 2018-10-11 콘센트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190B1 true KR101977190B1 (ko) 2019-05-10

Family

ID=6658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866A KR101977190B1 (ko) 2018-10-11 2018-10-11 콘센트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1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32B1 (ko) 2012-12-06 2014-06-16 명노정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49697B1 (ko) * 2016-10-07 2018-04-17 신헌수 안전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32B1 (ko) 2012-12-06 2014-06-16 명노정 콘센트 안전장치
KR101849697B1 (ko) * 2016-10-07 2018-04-17 신헌수 안전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US8360791B2 (en) Safe electrical outlet
JP3688338B2 (ja) 電気的な接続兼結合端子
US7677936B2 (en) Plug connector having retainer attached mold case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JP201450905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09565131B (zh) 用于电配线装置的防误触机构
JP2009110963A (ja) ばね力接続装置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2111689B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콘센트
KR10174266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573487B1 (ko) 플러그 단자의 이물질 제거 및 보호캡의 자동 복귀가 가능한 콘센트
RU2388120C2 (ru) Компонент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коробки и безвинт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KR100939189B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KR10140813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1663405B1 (ko)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KR101875678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콘센트
KR101977190B1 (ko) 콘센트안전장치
KR101912897B1 (ko)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KR102105153B1 (ko) 다중 안전장치를 갖는 멀티 콘센트
US4174508A (en) Relay latching apparatus
GB2381669A (en) Folding plug
KR101872837B1 (ko) 체결확인부를 구비한 커넥터
KR102291956B1 (ko) 콘센트의 안전 소켓 모듈
CN220420977U (zh) 一种安全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