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024A -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1024A KR20160091024A KR1020150011084A KR20150011084A KR20160091024A KR 20160091024 A KR20160091024 A KR 20160091024A KR 1020150011084 A KR1020150011084 A KR 1020150011084A KR 20150011084 A KR20150011084 A KR 20150011084A KR 20160091024 A KR20160091024 A KR 201600910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opening
- closing member
- hole
- co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커버의 관통공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의 관통공을 폐쇄하는 개폐부재가 잠금부재에 걸려서 회전하지 못한다. 그러면,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커버의 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므로,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연결단자의 수납구에 삽입 접속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 및 잠금부재가 커버의 배면에 직접 조립 설치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가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의 지지블록이 연결단자의 일측과 접지단자의 일측을 구획한다. 이로 인해, 연결단자와 접지단자가 이물질에 의하여 쇼트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의 삽입시에만 커버의 관통공이 개방되는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란 전기 및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꽂으면 전기 및 전자기기로 전원(電源)측의 전기를 공급하는 배선기구로서, 벽이나 기둥 속에 설치되는 매입형과 벽이나 기둥 밖으로 돌출되는 노출형이 있다.
콘센트는 항상 전원측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 접속되는 콘센트의 연결단자에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을 삽입하여 접속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의 부위에 캡을 씌워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콘센트의 부위를 폐쇄시키는 안전캡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캡을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안전캡을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면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하기에는 미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66783호에 개시된 콘센트는 그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전원(電源)측과 각각 접속되며, 한쌍으로 마련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한쌍의 연결단자;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상기 연결단자의 부위를 차단시키고,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상기 연결단자의 부위를 연통시키는 안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커버의 관통공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의 관통공을 폐쇄하는 개폐부재가 잠금부재에 걸려서 회전하지 못한다. 그러면,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커버의 관통공을 관통하지 못하므로,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연결단자의 수납구에 삽입 접속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 및 잠금부재가 커버의 배면에 직접 조립 설치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가 커버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의 지지블록이 연결단자의 일측과 접지단자의 일측을 구획한다. 이로 인해, 연결단자와 접지단자가 이물질에 의하여 쇼트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안전모듈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안전모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안전모듈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안전모듈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몸체(110)와 커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에는 전원(電源)측과 접속되는 한쌍의 연결단자(121)가 설치될 수 있고, 각 연결단자(121)의 양단부에는 원통형의 수납구(121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의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에 한쌍으로 마련된 전기 및 전자기기의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가 삽입 접속될 수 있다. 그러면, 전원측의 전기가 플러그(50)를 통하여 전기 및 전자기기로 공급된다.
몸체(110)에는 접지단자(125)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벽 등에 매몰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130)는 몸체(1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가 삽입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단자(51)는 관통공(131)을 삽입 관통하여,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에 삽입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30)의 관통공(131)과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는 상호 대향하면서 대응되게 형성됨은 당연하다.
연결단자(121)는 항상 전원측과 접속되어 있으므로, 커버(130)의 관통공(131)으로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을 삽입하여 연결단자(121)에 접속시키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되지 않으면 관통공(131)을 폐쇄시켜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를 차단시키고,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되면 관통공(131)을 개방시켜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를 연통시키는 안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듈은 몸체(110)측을 향하는 커버(130)의 배면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130)의 배면에는 상기 안전모듈의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펜스(Fence)(1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펜스(133)로 인하여 이물질이 상기 안전모듈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모듈은 펜스(133)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모듈은 개폐부재(150)와 잠금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150)는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버(130)에는 지지축(135)이 설치될 수 있고, 지지축(135)에 개폐부재(150)의 중앙부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폐부재(150)는 회전하면서 관통공(131)을 폐쇄시켜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를 차단시키거나, 관통공(131)을 개방시켜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부재(150)의 양단부측 전면은 관통공(131)을 향하고, 양단부측 배면은 수납구(121a)를 향한다. 그러므로, 개폐부재(15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 사이에 각각 위치되면, 관통공(131)이 폐쇄되므로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는 차단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50)의 회전에 의하여, 개폐부재(150)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에 각각 위치되지 않으면, 관통공(131)이 개방되므로 관통공(131)과 수납구(121a)는 연통된다.
이때, 개폐부재(150)는 접속단자(51)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되지 않으면 개폐부재(150)는 회전되지 않은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통공(131)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접속단자(51)를 관통공(131)에 삽입하여, 접속단자(51)를 개폐부재(150)의 양단부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개폐부재(150)를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측으로 밀면, 접속단자(51)에서 개폐부재(15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개폐부재(150)가 회전할 수 있다.
접속단자(51)에서 개폐부재(15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개폐부재(15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50)의 전면 양단부측은 돌출되어 경사면(152)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접속단자(51)의 단부는 경사면(152)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51)를 경사면(15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자(51)를 연결단자(121)측으로 밀면, 개폐부재(15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경사면(152)에는 접속단자(51)의 단부측이 안치되는 안치로(152a)가 형성될 수 있고, 안치로(152a)는 개폐부재(150)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51)의 단부가 안치로(152a)에 삽입 안치되어 경사면(152)을 밀므로, 접속단자(51)가 경사면(152)을 안정되게 밀 수 있다.
개폐부재(150)와 펜스(133) 사이에는 관통공(131)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개폐부재(15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17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코일스프링(171)은 개폐부재(150)가 최초의 상태에 위치되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30)의 배면에는 코일스프링(171)에 의하여 개폐부재(150)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13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71)에 탄성 지지된 개폐부재(150)가 관통공(131)을 폐쇄한다. 그러면,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관통공(131)을 관통할 수 없으므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코일스프링(171)의 탄성력 뿐만 아니라, 잠금부재(160)를 이용하여 개폐부재(15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잠금부재(160)는 커버(130)의 배면측에 지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되지 않으면 개폐부재(150)의 경사면(152)측에 걸려서 개폐부재(15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된 후, 외력에 의하여 접속단자(51)가 연결단자(121)측으로 밀리면 경사면(152)측에 걸린 잠금부재(160)의 부위가 개폐부재(150)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부재(150)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접속단자(51)는 경사면(152)측에 걸린 잠금부재(160)의 일측 부위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접속단자(51)를 잠금부재(160)의 일측 부위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자(51)를 연결단자(121)측으로 밀면, 접속단자(51)에 의하여, 경사면(152)측에 걸린 잠금부재(160)의 일측 부위가 경사면(15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부재(160)는 한쌍의 아암(Arm)(161)과 아암의 일단부(161)측에 형성되어 아암(161)을 연결하는 연결판(16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아암(161)은 외팔보 형태를 이루며,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아암(161)의 타단부인 자유단부측에는 걸림돌기(161a)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고, 개폐부재(150)의 경사면(152)을 이루는 양측면에는 걸림돌기(161a)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로(152b)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로(152b)에 삽입된 걸림돌기(161a)는 아암(161)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로(152b)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161a)의 상단부에는 눌림편(161b)이 형성될 수 있고,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에 삽입되면 눌림편(161b)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접속단자(51)를 관통공(131)에 삽입하여, 눌림편(161b)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자(51)를 연결단자(121)측으로 밀면 눌림편(161b)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러면, 눌림편(161b)에 의하여 걸림돌기(161a)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므로, 걸림돌기(161a)가 걸림로(152b)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51)는 눌림편(161b) 사이를 통하여 경사면(152)에 접촉하여 경사면(152)을 누르므로, 개폐부재(150)가 회전할 수 있다.
연결판(163)에는 삽입돌기(163a)가 형성될 수 있고, 커버(130)의 배면에는 상호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편(139)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163a)는 지지편(139)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고, 연결판(163)은 지지편(139)과 펜스(133)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편(139) 사이에 삽입된 삽입돌기(163a) 및 지지편(139)과 펜스(133) 사이에 위치된 연결판(163)에 의하여 잠금부재(160)가 커버(130)에 견고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30)의 배면에 개폐부재(150) 및 잠금부재(160)를 설치하고, 커버(130)를 몸체(110)에 조립하였을 때, 개폐부재(150)와 몸체(110) 사이 및 잠금부재(160)와 몸체(110)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면, 커버(130)에 설치된 개폐부재(150) 및 잠금부재(160)가 몸체(110)측으로 유동하여 커버(13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0)에는 개폐부재(150)가 접촉 지지되는 지지블록(113)(도 2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잠금부재(160)에는 몸체(110)와 접촉하는 지지돌기(16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113)은 개폐부재(150)의 회전영역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블록(113)은 연결단자(121)와 접지단자(125)를 구획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단자(121)와 접지단자(125)가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안전모듈의 동작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안전모듈의 동작을 보인 것으로, 안전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0)(도 1 참조)의 접속단자(51)가 관통공(131)(도 1 참조)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부재(160)의 걸림돌기(161a)가 개폐부재(150)의 걸림로(152b)에 삽입되어 걸려 있으므로, 개폐부재(150)는 회전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을 관통공(131)으로 삽입하여도, 개폐부재(150)에 의하여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수납구(121a)에 삽입 접속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를 관통공(131)에 삽입하면, 접속단자(51)의 단부가 눌림편(161b)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단자(51)를 연결단자(121)측으로 더 밀면, 눌림편(161b)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고, 눌림편(161b)에 의하여 걸림돌기(161a)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걸림돌기(161a)가 걸림로(152b)로부터 분리되므로, 개폐부재(150)가 회전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를 연결단자(121)측으로 더 밀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51)는 눌림편(161b) 사이를 통하여 개폐부재(150)의 경사면(152)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51)에 의하여 경사면(152)이 눌리게 되므로, 개폐부재(150)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개폐부재(150)에 의하여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가 개방되므로, 접속단자(51)가 수납구(121a)에 삽입 접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는, 플러그(50)의 접속단자(51)가 삽입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폐부재(150)가 잠금부재(160)에 걸려서 회전하지 못한다. 그러면,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커버(130)의 관통공(131)으로 관통하지 못하므로, 젓가락 또는 쇠붙이 등이 연결단자(121)의 수납구(121a)에 삽입 접속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개폐부재(150) 및 잠금부재(160)가 커버(130)의 배면에 직접 조립 설치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개폐부재(150)가 커버(130)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몸체(110)의 지지블록(113)이 연결단자(121)와 접지단자(125)의 일측을 구획한다. 이로 인해, 연결단자(121)와 접지단자(125)가 이물질에 의하여 쇼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의 사시도로서, 아암(161)과 연결판(163)의 외면에는 아암(161)의 일단부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161a)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판스프링(175)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몸체
130: 커버
150: 개폐부재
160: 잠금부재
130: 커버
150: 개폐부재
160: 잠금부재
Claims (9)
-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고, 전원(電源)측과 각각 접속되며, 한쌍으로 마련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한쌍의 연결단자;
상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상기 연결단자의 부위를 차단시키고,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접속단자가 접속되는 상기 연결단자의 부위를 연통시키는 안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측을 향하는 상기 커버의 배면에는 펜스(Fence)가 형성되고,
상기 안전모듈은 상기 펜스의 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듈은,
상기 커버의 배면측에 지지 설치되고, 중앙부측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어느 하나의 상기 관통공 및 다른 하나의 상기 관통공을 각각 개폐하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지 않으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키고,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단자측으로 밀리면 회전하여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커버의 배면측에 지지 설치되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개폐부재에 걸려서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단자측으로 밀리면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양단부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단자측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며,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은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측에 걸리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개폐부재에 걸린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과 접촉하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단자측으로 밀리면 상기 개폐부재에 걸린 상기 잠금부재의 일측 부위가 상기 개폐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한쌍의 아암(Arm)과 상기 아암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아암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의 타단부측에는 걸림돌기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에는 상기 접속단자의 단부측이 안치되는 안치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면의 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로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접촉하는 눌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눌림편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단자측으로 밀리면 상기 눌림편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로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아암과 상기 연결판의 외면에는 상기 아암의 일단부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를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판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배면에는 간격을 가지는 한쌍의 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는 한쌍의 상기 지지편 사이에 삽입 지지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지지편과 상기 펜스의 일측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펜스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배면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접촉 지지되는 지지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몸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영역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084A KR101663405B1 (ko) | 2015-01-23 | 2015-01-23 |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1084A KR101663405B1 (ko) | 2015-01-23 | 2015-01-23 |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1024A true KR20160091024A (ko) | 2016-08-02 |
KR101663405B1 KR101663405B1 (ko) | 2016-10-06 |
Family
ID=5670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1084A KR101663405B1 (ko) | 2015-01-23 | 2015-01-23 |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34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7893B1 (ko) * | 2020-06-18 | 2021-01-04 | (주)유로컨설팅 | 벽체 매립형 안전 콘센트 |
KR102203097B1 (ko) * | 2019-11-13 | 2021-01-14 | 주식회사 스필 | 4점식 안전형 콘센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1518B1 (ko) * | 2017-11-01 | 2019-05-23 | 박영선 | 생산성이 향상된 콘센트 |
KR20200117776A (ko) | 2019-04-05 | 2020-10-14 | 주식회사 일렉스 | 콘센트의 안전모듈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4149A (ko) * | 2000-02-24 | 2002-11-04 | 이장우 | 콘센트 |
KR100727552B1 (ko) * | 2006-02-21 | 2007-06-14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KR100883663B1 (ko) * | 2008-10-13 | 2009-03-06 | 진흥전기 주식회사 | 이중 안전구조를 갖는 콘센트 |
KR20110008756A (ko) * | 2009-07-21 | 2011-01-27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
2015
- 2015-01-23 KR KR1020150011084A patent/KR10166340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4149A (ko) * | 2000-02-24 | 2002-11-04 | 이장우 | 콘센트 |
KR100727552B1 (ko) * | 2006-02-21 | 2007-06-14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KR100883663B1 (ko) * | 2008-10-13 | 2009-03-06 | 진흥전기 주식회사 | 이중 안전구조를 갖는 콘센트 |
KR20110008756A (ko) * | 2009-07-21 | 2011-01-27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3097B1 (ko) * | 2019-11-13 | 2021-01-14 | 주식회사 스필 | 4점식 안전형 콘센트 |
KR102197893B1 (ko) * | 2020-06-18 | 2021-01-04 | (주)유로컨설팅 | 벽체 매립형 안전 콘센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3405B1 (ko)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3405B1 (ko) | 안전모듈을 구비한 콘센트 | |
US7588447B1 (en) | Safety receptacle with tamper resistant shutter | |
CN109565131B (zh) | 用于电配线装置的防误触机构 | |
US20080156512A1 (en) | Tamper-resistant electrical wiring device system | |
JP2015516664A (ja) | 固定端子 | |
KR101916327B1 (ko) |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 |
US20110117760A1 (en) | Electrical box | |
US9281602B2 (en) | Multiple socket | |
KR101306175B1 (ko) | 콘센트장치 | |
WO2008092187A1 (en) | A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 |
KR101408132B1 (ko) | 콘센트 안전장치 | |
CN113302804B (zh) | 一种电配线设备的防误触机构 | |
KR100866092B1 (ko) | 저삽입력 커넥터 | |
KR101096378B1 (ko) | 안전형 전기 콘센트 | |
JP2019526917A (ja) | 電気プラグ型コネクタの装置、ならびに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外側ハウジング、および固定要素を有するプラグ型コネクタ | |
KR101476703B1 (ko) | 안전 콘센트 | |
US11056847B2 (en) | Fastening clamp | |
KR101912897B1 (ko) |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 |
KR101830415B1 (ko) | 커넥터 | |
KR100322278B1 (ko) | 콘센트 | |
KR20110008756A (ko) | 안전장치를 구비한 콘센트 | |
KR101786594B1 (ko) | 커넥터 | |
CN107112690B (zh) | 插座 | |
CN112271480A (zh) | 一种插座 | |
KR102077542B1 (ko) | 콘센트 안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