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41B1 -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41B1
KR101978641B1 KR1020180163206A KR20180163206A KR101978641B1 KR 101978641 B1 KR101978641 B1 KR 101978641B1 KR 1020180163206 A KR1020180163206 A KR 1020180163206A KR 20180163206 A KR20180163206 A KR 20180163206A KR 101978641 B1 KR101978641 B1 KR 10197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unit
plug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6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가 제공된다. 제공된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측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연결홈이 구비되고, 테두리 외면에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부에 연결돌부가 마련된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외면을 감싸도록 틀체 형상으로 상기 본체유닛 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단 후방에 연장편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의 하부에 상기 연결돌부가 삽입, 연결되는 연결관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인접한 전방에 마감편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편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마련된 작동유닛; 상기 돌출형연결프레임과 돌출형연결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홈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연결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상기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며, 내측에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 연결되는 단자홀이 마련된 플러그연결유닛; 상기 작동유닛과 플러그연결유닛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돌기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연결유닛이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이동 후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와이어유닛 및 상기 작동유닛의 승강 이동시 위치 복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연결돌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된 스프링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본체유닛의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플러그연결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콘센트기구에 용이하게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Electrical connection fittings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콘센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기구를 가리는 장애물의 유, 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콘센트기구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플러그연결홈에 연결시 별도의 스토퍼유닛을 이용하여 본체유닛에 작동유닛을 고정하여 플러그의 안정된 연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콘센트(Concent)가 설치되어 전기의 옥내 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되며, 그 설치 유형에 따라 노출형과 매설형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콘센트와 함게 통신 콘센트가 각각 매입 설치되어 전화나 인터넷 등의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는 그 기종에 따라 정격전압은 110V 또는 220V, 정격전류는 10~50A이고, 보통 10A용으로 하나 이상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콘센트는 세탁기 등의 감전방지를 위한 접지 단자붙이, 옥외나 목욕탕 등의 방수형,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플러그가 빠지지 않게 하는 걸침형, 환풍기 등의 스위치붙이 등이 있고, 정격전류가 큰 20~50A용 등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콘센트의 다양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009-0010699호 "개선된 단자형태를 갖는 스위치 콘센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17072호 "공동주택의 매입형 콘센트박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119194호 "절연 보호캡을 구비한 콘센트"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 실내의 벽체에 설치된 콘센트는 사용과정에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 콘센트는 대부분 실내의 벽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실내에 가구 및 가전제품과 같은 부피가 큰 물품이 없는 곳에서는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었으나, 콘센트가 위치하는 구간에 가구 및 가전제품이 놓여 콘센트의 외부 노출이 차단된 경우, 사용자는 벽과 제품 사이의 좁은 구간을 통해 상기 콘센트와 접속을 이루는 플러그를 넣어 꽂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부피가 큰 물품을 옮겨 콘센트를 노출시킨 후 플러그를 꽂아야 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2009-0010699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17072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11919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본체유닛의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플러그연결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콘센트기구에 용이하게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연결유닛의 단자홀이 플러그연결홈과 이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기구를 가리는 장애물의 유, 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콘센트기구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플러그연결홈에 연결시 별도의 스토퍼유닛을 이용하여 본체유닛에 작동유닛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가 플러그연결홈에 안정된 연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가 제공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측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연결홈이 구비되고, 테두리 외면에 가이드홈이 마련되며, 상부에 연결돌부가 마련된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외면을 감싸도록 틀체 형상으로 상기 본체유닛 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단 후방에 연장편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의 하부에 상기 연결돌부가 삽입, 연결되는 연결관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인접한 전방에 마감편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편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마련된 작동유닛;
상기 플러그연결홈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홈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연결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상기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며, 내측에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 연결되는 단자홀이 마련된 플러그연결유닛;
상기 작동유닛과 플러그연결유닛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걸림돌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돌기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연결유닛이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이동 후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와이어유닛 및
상기 작동유닛의 승강 이동시 위치 복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연결돌부의 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의 기부에 연결되며, 수축되었을 때 상기 연결돌부가 연결관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수축길이를 갖는 스프링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과 작동유닛 사이에는 상기 작동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유닛을 더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양측 외벽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닛의 양측 외벽에 상기 연결홈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결홀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홀에는 상기 연결홈에 삽입, 연결되는 고정핀이 걸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본체유닛의 플러그연결홈 측으로 유도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센트기구를 가리는 장애물의 유, 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콘센트기구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스토퍼유닛을 이용하여 본체유닛에 작동유닛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가 플러그연결홈에 안정된 연결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100)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된 본체유닛(110), 상기 본체유닛(110)에 승강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작동유닛(120), 상기 작동유닛(120)의 내측에 연결된 플러그연결유닛(130), 상기 작동유닛(120)과 플러그연결유닛(130) 사이에 연결된 연결와이어유닛(140) 및 상기 작동유닛(120)에 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유닛(110)은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측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연결홈(1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110)의 테두리 외면에는 가이드홈(113)이 마련되며, 상부에 연결돌부(115)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작동유닛(120)은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으로 상기 본체유닛(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유닛(120)은 상기 본체유닛(110)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져 그 상단 후방에 연장편(121)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121)의 하부에 상기 연결돌부(115)가 삽입, 연결되는 연결관(123)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11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24)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돌기(124)는 되어 상기 가이드홈(113)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124)의 인접한 전방에 마감편(125)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유닛(110)의 전면 소정구간을 마감한다. 이에 상기 가이드돌기(124)가 가이드홈(113)을 따라 승강 이동시 보다 안전한 동작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마감편(125)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12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연결프레임(126)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7)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P)를 본체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단자(P)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126)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상기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연결돌기(131)가 마련되며, 내측에 플러그의 전기 접속단자(P)가 삽입, 연결되는 단자홀(133)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 본체유닛(110)의 상방으로 돌출된 플러그연결유닛(130)의 단자홀(133)에 접속단자(P)를 걸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유닛(120)을 하강이동하여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이 플러그연결홈(111)과 수평방향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플러그를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접속단자(P)는 상기 플러그연결홈(111) 내부로 이동하여 본체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작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와이어유닛(140)은 작동유닛(120)과 플러그연결유닛(130)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결와이어유닛(14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소재로, 상기 걸림돌기(127)와 연결돌기(13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걸림돌기(127)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돌기(131)에 연결된다.
이에, 상기 연결와이어유닛(140)은 플러그와 함께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이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이동후 상기 플러그가 플러그연결홈(111)에서 제거되면,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이 본래 후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유닛(150)은 상기 작동유닛(120)이 복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스프링유닛(150)은 그 일단이 상기 연결돌부(115)의 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123)의 기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유닛(1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는 그 구조개선을 통해 콘센트기구에 용이하게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콘센트기구를 가리는 장애물의 유, 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콘센트기구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10)이 부피가 큰 장애물에 가려진 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작동유닛(120)과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스프링유닛(150)의 탄성력에 의해 장애물의 상방으로 노출된다.
이에, 본 발명의 콘센트기구(100)에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P)를 플러그연결유닛(130)의 단자홀(133)에 연결한다.
이후, 상기 작동유닛(120)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작동유닛(120)과 플러그연결유닛(130)은 하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스프링유닛(150)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작동유닛(120)의 가이드돌기(124)는 상기 본체유닛(110)의 가이드홈(113)을 따라 안정된 동작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상기 본체유닛(110)의 플러그연결홈(111)과 수평방향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플러그를 더욱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은 플러그와 함께 상기 플러그연결홈(111)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속단자(P)와 본체유닛(11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상기 작동유닛(120)과 탄성력을 갖는 연결와이어유닛(14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를 플러그연결홈(111)에서 탈거시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은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에 삽입되기 이전의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는 콘센트기구에 용이하게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콘센트기구를 가리는 장애물의 유, 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콘센트기구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중 상술한 제1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은 동일한 동작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200)는 상기 본체유닛(110)과 작동유닛(120) 사이에는 상기 작동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유닛(160)을 더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유닛(160)은 상기 본체유닛(110)의 양측 외벽에 연결홈(16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닛(120)의 양측 외벽에 상기 연결홈(16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결홀(163)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홀(163)에는 상기 연결홈(161)에 삽입, 연결되는 고정핀(165)이 걸림연결된다.
이에, 상기 본체유닛(110)의 플러그연결홈(111)과 플러그연결유닛(130)이 수평방향 동일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고정핀(165)은 상기 연결홈(161)과 수평방향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165)을 연결홈(161)에 삽입하면, 상기 작동유닛(120)은 본체유닛(110)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플러그가 플러그연결홈(111)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110 : 본체유닛 113 : 가이드홈
120 : 작동유닛 124 : 가이드돌기
126 : 돌출형연결프레임 130 : 플러그연결유닛
133 : 단자홀 140 : 연결와이어유닛
150 : 스프링유닛 160 : 스토퍼유닛
165 : 고정핀 P : 접속단자

Claims (2)

  1.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며, 내측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연결홈(111)이 구비되고, 테두리 외면에 가이드홈(113)이 마련되며, 상부에 연결돌부(115)가 마련된 본체유닛(110);
    상기 본체유닛(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틀체 형상으로 상기 본체유닛(110)보다 더 긴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단 후방에 연장편(121)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편(121)의 하부에 상기 연결돌부(115)가 삽입, 연결되는 연결관(123)이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11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24)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113)을 따라 승강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24)의 인접한 전방에 마감편(125)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편(125)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12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형연결프레임(126)에는 상기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7)가 마련된 작동유닛(120);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의 전방 상, 하부에 배치되는 돌출형연결프레임(126)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을 따라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연결홈(111)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상기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연결돌기(131)가 마련되며, 내측에 플러그의 접속단자(P)가 삽입, 연결되는 단자홀(133)이 마련된 플러그연결유닛(130);
    상기 작동유닛(120)과 플러그연결유닛(13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걸림돌기(127)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돌기(131)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연결유닛(130)이 플러그연결홈(111) 측으로 이동 후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와이어유닛(140) 및
    상기 작동유닛(120)의 승강 이동시 위치 복귀를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연결돌부(115)의 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관(123)의 기부에 연결되며, 수축되었을 때 상기 연결돌부(115)가 연결관(123)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수축길이를 갖는 스프링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110)과 작동유닛(120) 사이에는 상기 작동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유닛(16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유닛(160)은 상기 본체유닛(110)의 양측 외벽에 연결홈(161)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유닛(120)의 양측 외벽에 상기 연결홈(16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연결홀(163)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홀(163)에는 상기 연결홈(161)에 삽입, 연결되는 고정핀(165)이 걸림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KR1020180163206A 2018-12-17 2018-12-17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KR101978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06A KR101978641B1 (ko) 2018-12-17 2018-12-17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06A KR101978641B1 (ko) 2018-12-17 2018-12-17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41B1 true KR101978641B1 (ko) 2019-05-15

Family

ID=6657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06A KR101978641B1 (ko) 2018-12-17 2018-12-17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4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50Y1 (ko) * 2001-11-26 2002-03-09 추연규 멀티콘센트
KR100635936B1 (ko) * 2006-08-16 2006-10-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20060119194A (ko) 2005-05-18 2006-1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그 형성방법
KR100675467B1 (ko) * 2006-11-08 2007-01-29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분리형 전기 콘센트
KR20090017072A (ko) 2007-08-1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통신 시스템에서 광원의 온도 보상 회로
KR20090010699U (ko) 2008-04-16 2009-10-21 (주)아모레퍼시픽 일회용 화장품용기 보관함
KR20110087573A (ko) * 2010-01-26 2011-08-03 주식회사 동남 등속인출유도부를 구비하는 인출식 콘센트 장치
WO2014041230A1 (es) * 2012-09-17 2014-03-20 Sistemas Metalper, S.L. Módulo para toma de corrient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50Y1 (ko) * 2001-11-26 2002-03-09 추연규 멀티콘센트
KR20060119194A (ko) 2005-05-18 2006-1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소자분리막 및 그 형성방법
KR100635936B1 (ko) * 2006-08-16 2006-10-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100675467B1 (ko) * 2006-11-08 2007-01-29 주식회사 에디슨전기 분리형 전기 콘센트
KR20090017072A (ko) 2007-08-1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통신 시스템에서 광원의 온도 보상 회로
KR20090010699U (ko) 2008-04-16 2009-10-21 (주)아모레퍼시픽 일회용 화장품용기 보관함
KR20110087573A (ko) * 2010-01-26 2011-08-03 주식회사 동남 등속인출유도부를 구비하는 인출식 콘센트 장치
WO2014041230A1 (es) * 2012-09-17 2014-03-20 Sistemas Metalper, S.L. Módulo para toma de corriente
EP2897236A1 (en) * 2012-09-17 2015-07-22 Sistemas Metalper, S.L. Electrical outlet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645B2 (en) Outdoor electrical box
JP2017513180A (ja) スマートハウスの電源接続システム
KR100633372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174266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200423507Y1 (ko)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KR200442844Y1 (ko) 방우형 콘센트
KR10197864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KR20180068446A (ko) 콘센트 설치 구조
KR101730889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0636410B1 (ko) 건축물 내부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용 안전장치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KR10178390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US20030100206A1 (en) Safety device for the supply of power to electrical equipment
KR10197105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 구조
KR101838267B1 (ko) 공동주택용 전선단자함 고정구조
KR101196875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에 매설되는 콘센트박스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101398447B1 (ko)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100756540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을 위한 배전구조
KR10120318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