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154Y1 - 이동식 콘센트 - Google Patents

이동식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154Y1
KR200335154Y1 KR20-2003-0027221U KR20030027221U KR200335154Y1 KR 200335154 Y1 KR200335154 Y1 KR 200335154Y1 KR 20030027221 U KR20030027221 U KR 20030027221U KR 200335154 Y1 KR200335154 Y1 KR 200335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ovable member
wire
guide groov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우
Original Assignee
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우 filed Critical 강진우
Priority to KR20-2003-0027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이동 가능하도록 벽면에 매립 설치하여 별도의 연결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내부에는 안내홈(11)이 구비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벽면이나 기둥에 매립되는 레일(10)과, 상기 레일(10)에 형성된 안내홈(1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이동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콘센트(21)와, 상기 이동부재(2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부에는 전선(23)이 감겨진 회전릴(22)과, 상기 회전릴(22)에 감겨진 전선(23)의 단부와 상기 콘센트(21)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연장선(26)이 부착된 전원연결 수단(3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콘센트{The portable type an outlet}
본 고안은 이동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이동 가능하도록 벽면에 매립 설치하여 별도의 연결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종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각종 전기제품에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상기 콘센트에는 전기제품의 전원 플러그를 연결하는 것이며, 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하면 전원이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므로 전기제품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1)이나 기둥 등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기제품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벽면(1)이나 기둥에 매립된 콘센트(2)의 주변으로 전기제품을 이동시킨 후 상기 전기제품에 부착된 플러그(3)를 콘센트(2)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전기제품을 사용하고자하는 위치와 콘센트(2)의 매립위치가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일측에는 플러그가 부착되고 타측에는 콘센트가 부착된 연장용 전선의 플러그를 벽면에 매립된 콘센트(2)에 결합하고 상기 연장용 전선의 타측에 부착된 콘센트를 전기제품이 놓여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연장용 전선에 부착된 콘센트에 전기제품의 플러그(3)를 결합하여 전기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연장용 전선을 사용할 때에는 그 연장용 전선이 바닥에 놓여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이동 중 발에 걸려 넘어지거나 콘센트와 플러그가 분리되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센트가 매립된 벽면이나 기둥의 앞면에 가구 또는 각종 물건을 비치할 경우에는 그 벽면에 매립된 콘센트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를 레일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벽면이나 기둥에 매립 설치하여 별도의 연결용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식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센트가 벽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를 나타낸 결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의 회전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11 : 안내홈
12 : 랙기어 20 : 이동부재
21 : 콘센트 22 : 회전릴
23 : 전선 26 : 연장선
27 : 스토퍼 28 : 손잡이
29 : 스프링 30 : 전원연결 수단
31 : 몸체 32 : 회전봉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이동식 콘센트는 내부에는 안내홈이 구비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벽면이나 기둥에 매립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콘센트와,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부에는 전선이 감겨진 회전릴과, 상기 회전릴에 감겨진 전선의 단부와 상기 콘센트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연장선이 부착된 전원연결 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를 나타낸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의 고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의 회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이나 기둥에 매립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레일(10)은 그 내부에 안내홈(11)이 구비되도록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10)에는 안내홈(1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20)가 끼워져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20)의 일측에는 콘센트(21)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회전릴(22)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되, 그 회전릴(22)에는 전선(23)이 감겨져 있고, 상기 이동부재(20)의 표면에는 회전릴(2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25)를 매개로 커버(25)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0)의 내부에는 전원연결 수단(30)이 내장되어 있되, 그 전원연결 수단(30)의 일단에는 회전릴(22)에 감겨진 전선(23)의 단부가 연결되고 있고, 타단에는 전선(23)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콘센트(21)로 공급하기 위하여 연장선(2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연결 수단(30)의 외부 몸체(31)는 고정되고 내부에 끼워진 회전봉(32)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수은이 내장되어 콘센트가 어떠한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전선이 꼬이거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0)가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내홈(11)의 내측면에 랙기어(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측면에는 스토퍼(27)가 설치되어 있되, 그 스토퍼(27)는 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서 노출되고 이후에 설명할 손잡이(28)에 의해서 이동부재(2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28)는 스토퍼(27)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이동부재(20)의 양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면 또는 기둥의 표면에 레일(10)을 매립 설치하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10)의 표면은 벽면 또는 기둥의 표면과 일치되게 매립한다.
그리고 콘센트(21)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는 이동부재(20)에 설치된 손잡이(28)를 누르면, 그 손잡이(28)에 연결된 스토퍼(27)가 랙기어(12)와 결합이 해제되면서 이동부재(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스토퍼(27)에 의해서 스프링(29)은 압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27)와 랙기어(12)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를 이동시키는 것이며, 상기 이동부재(20)를 이동시킬 때에는 회전릴(22)을 회전시키면서 전선(23)이 상기 회전릴(22)에 감겨지도록 하여 전선(23)이 외부로 늘러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전선(23)이 풀려지도록 하여 전선(23)이 당겨지게 됨에 따른 단선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릴(22)이 회전될 때 그 회전릴(22)에 감겨진 전선(23)의 단부는 전원연결 수단(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선(23)이 꼬이거나 단선되지 않고 전선(23)과 콘센트(21)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손잡이(28)를 놓으면 그 손잡이(28)에 의해서 이동부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27)는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되고 그 스토퍼(27)의 선단부는 안내홈(11)에 형성된 랙기어(12)에 기어 결합되므로 상기 이동부재(20)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제품의 사용위치를 변경시키거나, 콘센트(21)가 매립된 전면에 각종 가구 또는 물건을 비치할 때에는 콘센트(21)가 개방된 위치에 놓여지도록 이동부재(20)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콘센트(21)의 위치를 이동시킬 때에는 손잡이(28)를 누르면 랙기어(12)에 기어 결합되어 있던 스토퍼(27)가 분리되어 이동부재(20)의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이동부재(20)를 이동시키는 것이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손잡이(28)를 놓으면 이동부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27)가 돌출되면서 랙기어(12)와 결합되어 이동부재(2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벽면에 매립 설치되는 콘센트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센트의 전면이 각종 가구 또는 물건 등에 의해서 차단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콘센트와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장용 전선을 사용하지 않게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전원의 차단 및 전선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는 안내홈(11)이 구비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벽면이나 기둥에 매립되는 레일(10)과, 상기 레일(10)에 형성된 안내홈(1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이동부재(20)와, 상기 이동부재(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콘센트(21)와, 상기 이동부재(2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내부에는 전선(23)이 감겨진 회전릴(22)과, 상기 회전릴(22)에 감겨진 전선(23)의 단부와 상기 콘센트(21)에 전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연장선(26)이 부착된 전원연결 수단(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 수단(30)은 이동부재(20)에 고정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회전봉(32)과, 상기 회전릴(22)이 회전하여도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31)의 내부는 분할되고, 그 분할된 몸체(31)의 내부에는 수은이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1)의 내측면에 형성된 랙기어(12)와, 상기 랙기어(12)에 결합되어 이동부재(20)를 고정시키도록 이동부재(20)의 측면에 출몰 가능하도록 스프링(29)으로 탄력 설치된 스토퍼(27)와, 상기 스토퍼(27)를 선택적으로 출몰시키도록 이동부재(20)의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손잡이(28)를 포함함을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콘센트.
KR20-2003-0027221U 2003-08-25 2003-08-25 이동식 콘센트 KR200335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21U KR200335154Y1 (ko) 2003-08-25 2003-08-25 이동식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221U KR200335154Y1 (ko) 2003-08-25 2003-08-25 이동식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154Y1 true KR200335154Y1 (ko) 2003-12-03

Family

ID=4942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221U KR200335154Y1 (ko) 2003-08-25 2003-08-25 이동식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1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92A1 (ko) * 2016-04-19 2017-10-26 고광빈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WO2020111509A1 (ko) * 2018-11-28 2020-06-04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
KR102145148B1 (ko) * 2020-03-27 2020-08-14 지용섭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KR20230049235A (ko) 2021-10-06 2023-04-13 한윤석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3892A1 (ko) * 2016-04-19 2017-10-26 고광빈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WO2020111509A1 (ko) * 2018-11-28 2020-06-04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
KR102145148B1 (ko) * 2020-03-27 2020-08-14 지용섭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KR20230049235A (ko) 2021-10-06 2023-04-13 한윤석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805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건축물의 배선 트레이
US5895275A (en) Electric outlet extender
KR20060080208A (ko) 진공청소기 전류전달 호스 연결시스템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101310351B1 (ko)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KR100733492B1 (ko)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KR200418469Y1 (ko) 전기 콘센트의 스위칭 장치가 부착된 멀티 콘센트
KR100758340B1 (ko)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100675467B1 (ko) 분리형 전기 콘센트
KR100759129B1 (ko) 공공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KR200258703Y1 (ko) 멀티탭
KR101569717B1 (ko) 절전형 회전 콘센트
KR200296141Y1 (ko) 콘센트
CN111916946A (zh) 一种插座组件及其浴室柜
KR100759121B1 (ko)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단자함
JP2003187899A (ja) 電気機器の給電安全装置
KR20090000234U (ko) 가전기기의 전선 권취장치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101513141B1 (ko) 절전용 콘센트구조
KR200343339Y1 (ko) 착탈형 콘센트
KR200357699Y1 (ko) 멀티 콘센트
KR10197864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KR200285301Y1 (ko) 연장선이 부착된 벽 고정용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