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235A -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Google Patents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9235A KR20230049235A KR1020210132095A KR20210132095A KR20230049235A KR 20230049235 A KR20230049235 A KR 20230049235A KR 1020210132095 A KR1020210132095 A KR 1020210132095A KR 20210132095 A KR20210132095 A KR 20210132095A KR 20230049235 A KR20230049235 A KR 20230049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power supply
- outlet
- adapter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공급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어댑터부와, 상기 어댑터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연장된 케이블의 타단에 구비되며, 대상기기의 플러그가 끼워지면 상기 인가된 전원을 대상기기로 공급하는 콘센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이 바닥에 늘어지지 않고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다양한 대상기기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케이블의 걸림에 의한 이동상의 불편함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이 바닥에 늘어지지 않고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다양한 대상기기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케이블의 걸림에 의한 이동상의 불편함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어 케이블이 위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이동상의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면서 위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전자기기 또는 전기기기 등 다양한 대상기기로 공급하여 해당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매개체가 되는 장치로, 주로 벽체에 고정 매설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센트는 벽체에 매설된 경우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거리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긴 케이블로 연장되는 멀티콘센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바닥을 따라 길게 늘어진 케이블로 인하여 이동에 불편함을 줄 수 있음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존재하게 되며,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많은 손님들이 오가는 카페, 식당 등이나 또는 여러 사람들이 작업을 하는 작업용 스튜디오 등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는 특성상 이동상의 불편함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증대될 수 밖에 없음과 함께, 다양한 전기기기 등이 사용되는 관계로 콘센터의 위치나 길이 등에 따른 사용상의 제약이 많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많은 사람들이 이동하게 되는 카페 등의 장소에서는 바닥에 늘어진 콘센트의 케이블이나 대상기기의 플러그전선이 시야에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바닥에 늘어진 콘센트의 케이블 등에 작업자나 손님의 발이 걸림으로써 이동에 불편함을 제공함과 함께 심한 경우에는 걸려 넘어지면서 다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에 늘어진 케이블이나 전선에 작업자나 손님의 발이 걸리게 되면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서 대상기기의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예기치않게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사고 또한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바닥에 늘어진 많은 수의 콘센트 케이블과 전선은 그 자체로서 지저분한 인상을 줌으로써 실내공간의 미관을 크게 저해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어 케이블이 바닥에 위치되지 않고 위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블 걸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동상의 불편함과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실내공간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위치에 관계없이 보다 편리하게 대상기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전원공급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어댑터부와, 상기 어댑터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케이블, 및 상기 연장된 케이블의 타단에 구비되며, 대상기기의 플러그가 끼워지면 상기 인가된 전원을 대상기기로 공급하는 콘센트부를 포함하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부는, 어댑터바디와, 상기 어댑터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은 어댑터바디의 상부로 돌출되어 전원공급레일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유닛은, 상기 어댑터바디의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레버가 일단에 형성되면서 체결레버의 조작에 따라 어댑터바디의 내부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몸체부의 회동에 따라 전원공급레일의 레일홈에 끼움 지지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체결판이 지지되면 전원공급레일의 전극단자와 접촉하여 전원을 인가받는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의 길이는 1 ∼ 5 m일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는 전원공급어댑터와, 상기 전원공급어뎁터와 연결되는 콘센트를 포함하는 레일 설치형 이동식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어댑터는 어댑터본체와, 상기 어댑터본체에 하부가 결합됨과 함께, 상부는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어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레일연결부와, 상기 어댑터본체에 하부가 결합됨과 함께, 상부는 벽체콘센트에 결합되는 연결플러그가 형성되어 벽체콘센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콘센트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어댑터본체에 레일연결부 및 콘센트연결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전원공급레일 또는 벽체콘센트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에 의하면,
천장 등에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전원공급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벽체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추가적인 케이블 연결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케이블이 바닥에 늘어지지 않고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다양한 대상기기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케이블의 걸림에 의한 이동상의 불편함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 등에 조명 용도로 기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이 있는 경우, 콘센트 설치를 위하여 별도로 공사할 필요없이 어댑터부만을 기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에 결합시켜주면 되기때문에 추가적인 비용부담없이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전체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전원공급어댑터의 전체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는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전원공급레일에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 작동의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전원공급레일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레일 방향에서 일 예시한 도면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레일방향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전원공급레일에 인입시키는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사용되는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전원공급어댑터의 전체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되는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전원공급레일에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 작동의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전원공급레일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레일 방향에서 일 예시한 도면들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레일방향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를 전원공급레일에 인입시키는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가 사용되는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구성이 일 예시되어 있다.
도 1에 일 예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10, 이하, “콘센트” 라고 약칭함)는 어댑터부(100)와, 케이블(200)과, 콘센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어댑터부(100)는 천장에 설치된 전원공급레일(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레일(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어댑터부(100)는 어댑터바디(110)와, 전원공급유닛(1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댑터바디(110)는 어댑터부(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이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바디(110)는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을 내부에 장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면(110a)과 후면(110b)이 분리되는 형태로 제작되거나, 상면 및 저면이 분리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바디(110)는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개구(111)와, 전면으로부터 측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레버공(112)과, 저면에 형성되는 케이블공(113)과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개구(111)는 어댑터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면개구(111)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의 상단부가 어댑터바디(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레버공(112)은 어댑터바디(110)의 전면에서부터 측면의 일정 각도까지 연속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슬릿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레버공(112)을 통해 후술하는 체결레버(122)가 어댑터바디(110)의 외부로 돌출되며, 전원공급유닛(120)의 회동을 위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공(113)은 어댑터바디(110)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공(113)을 통해 후술하는 전원공급선(125)이 어댑터바디(110)의 저면에 연결된 케이블(200)에 내삽된 상태로 상기 콘센트부(30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14)는 어댑터바디(110)의 내주면 전, 후 양측에서 상호 대면하는 위치까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이 내장될 때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의 하부는 지지대(114)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블공(113)을 통해 케이블(200)과 연결되야 하므로, 지지대(114)의 중심부에는 일정크기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은 상기 어댑터바디(110) 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부는 전원공급레일(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하부는 케이블(200)에 내삽된 상태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레일(20)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콘센트부(300)까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공급유닛(120)은 몸체부(121)와, 체결레버(122)와, 체결판(123)과, 접속단자(124)와, 전원공급선(125)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1)는 전원공급유닛(120)의 바디이며, 상기 체결레버(122)는 몸체부(121)의 일측에서 상기 레버공(112)을 관통하여 어댑터바디(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레버(122)는 상기 몸체부(121)를 회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체결레버(122)를 파지하여 전면으로부터 측면까지 회동시키면, 체결레버(122)가 결합된 상기 몸체부(121)도 어댑터바디(110)의 내부에서 함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체결레버(122)를 통해 몸체부(121)가 회동함은 물론, 체결판(123)과 접속단자(124)도 함께 회동하게 되어, 상기 어댑터부(100)를 전원공급레일(20)에 결합시킴으로써,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체결레버(122)를 조작함에 따라 어댑터부(100)를 전원공급레일(2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장착 후에는 콘센트부(300)까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판(123)은 상기 몸체부(121)의 상부 즉, 어댑터바디(110)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되며, 전후 길이보다 좌우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납작한 판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판(123)은 상기 체결레버(122)의 작동에 의해 몸체부(121)가 회동될 때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어댑터부(100)가 전원공급레일(20)의 레일통로 내부에 인입된 상태라면, 상기 체결판(123)은 전원공급레일(20)의 좌우에 형성된 레일홈(21)에 안착 고정된 상태로 지지를 받게 된다.
즉, 상기 체결판(123)은 상기 체결레버(122)의 작동에 따라 어댑터부(100)를 전원공급레일(20)의 레일상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단자(124)는 상기 체결판(123)의 상부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단자로써,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좌, 우의 반대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 좌우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124) 역시 상기 체결레버(122)에 의해 체결판(123)과 함께 회동하게 되며, 접속단자(124)가 전원공급레일(20) 내에 형성된 전극단자(22)와 접촉하게 되어 전극단자(22)를 통해 전원을 직접적으로 인가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접속단자(124)는 체결판(123)의 상부에서 체결판(123)과 함께 회동되기 때문에, 체결판(123)이 레일홈(21)에 안착 고정되면 접속단자(124) 역시 전극단자(22)와 접촉하게 되어, 전원공급레일(20)을 통해 인가받은 전원을 콘센트부(300)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선(125)은 케이블(200)에 내삽되어 상기 접속단자(124)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상기 콘센트부(300)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전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케이블(200)은 상기 어댑터부(100)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일정길이 연장되며, 타단에는 후술하는 콘센트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200)은 본 발명의 콘센트(10)가 설치되는 공간의 특징이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는 1 ∼ 5 m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콘센트부(300)는 상기 연장된 케이블(200)의 타단에 구비되며, 전기기기, 전자기기 등 다양한 대상기기의 플러그가 끼워지면 상기 인가된 전원을 해당 대상기기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콘센트부(300)는 도면에 일 예시된 것처럼 1개의 콘센트홈(310)을 가진 1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물론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2개 이상의 플러그를 동시에 끼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콘센트홈(310)이 형성된 멀티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구성이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는 전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되, 상기 어댑터부(100)가 일체화된 구성이 아닌 어댑터본체(130)와, 레일연결체(140)로 각각 분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는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본체(130)에 결합 가능한 콘센트연결체(150)가 더 포함되어, 사용환경에 따라 레일연결체(140)와 콘센트연결체(150)를 선택적으로 어댑터본체(13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며 차이나는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어댑터본체(130)는 어댑터부(100)의 하부를 구성하며, 상면에는 상기 레일연결체(140) 및 콘센트연결체(150)와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단(131)과 결합단자(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단(131)은 상기 어댑터본체(130)의 상면 둘레에 일정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지지단(131)이 돌출됨으로써 지지단(131)의 내부에는 자연스럽게 일정 높이의 단차가 생성되어, 내부에 결합되는 상기 레일연결체(140) 및 콘센트연결체(150)를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단자(132)는 상기 어댑터본체(13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후술하는 단자홈(142, 15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단자(132)에 의해 상기 레일연결체(140) 및 콘센트연결체(150)는 어댑터본체(1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결합단자(132)와 단자홈(142, 152)에 각각 연결된 전원공급선(125)이 연결되어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케이블(200)을 통해 콘센트부(300)까지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일연결체(140)는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이 어댑터바디(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구성에 해당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전원공급유닛(120)과 동일한 구성인 체결레버(122)와 체결판(123)과 접속단자(124)와 전원공급선(125)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바디(110)와 동일한 구성인 상면개구(111)와 레버공(112)이 레일연결체(140)의 상면과 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연결체(140)에는 상기 어댑터본체(130)에 결합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으로써, 삽입단(141)과 단자홈(14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단(141)은 상기 레일연결체(140)의 저면 둘레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레일연결체(140)의 저면과 일정 높이에 단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단(141)은 상기 어댑터본체(130)와 레일연결체(140)가 결합될 때 상기 지지단(131)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때, 레일연결체(140)의 저면은 어댑터본체(13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단(131)의 지지를 받게 된다.
상기 단자홈(142)은 상기 레일연결체(140)의 저면 중앙 상기 결합단자(13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을 향해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홈(142)에 상기 결합단(132)자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어댑터본체(130)와 레일연결체(140)의 내부에 각각 수용된 전원공급선(125)이 하나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레일(20)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콘센트부(300)까지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센트연결체(150)는 전원공급레일(20)이 아닌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어댑터본체(13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삽입단(151)과 단자홈(152)과 연결플러그(153)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천장에 설치된 전원공급레일(20)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기 어댑터본체(130)에 레일연결체(140)를 결합시켜 사용하다, 필요에 따라 벽체 콘센트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레일연결체(140)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콘센트연결체(150)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단(151)과 단자홈(152)은 상기 레일연결체(140)의 삽입단(141) 및 단자홈(142)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다.
상기 연결플러그(153)는 벽체 콘센트에 직접 끼워지는 부분으로 콘센트연결체(150)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반적인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작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는 천장에 설치된 전원공급레일(20)의 레일상 원하는 위치에 어댑터부(100)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9에 예시된 것처럼 전원공급레일(2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인 가이드홈(23) 안으로 어댑터부(100)를 인입시킨다.
이 때, 어댑터바디(110)의 방향은 전면이 전원공급레일(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놓이도록 하며, 체결레버(122)의 위치는 어댑터바디(110)의 전면을 향한다.
이 때 만약, 체결레버(122)가 측면으로 회동된 상태라면 전면을 향하도록 돌려준다.
이어서, 어댑터부(100)가 전원공급레일(20) 내에 안정적으로 인입된 다음에는 전원공급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체결레버(122)를 회동시켜 측면을 향하도록 돌려준다. 그러면 전원공급유닛(120)이 회동되면서 상단에 형성된 체결판(123)과 접속단자(124) 역시 체결레버(122)의 움직임을 따라 회동된다.
이 때, 체결판(123)이 회동하여 좌우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방향이 바뀌면서 전원공급레일(20)의 레일홈(21)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를 받게 된다.
체결판(123)이 전후 방향으로 놓인 상태로 레일홈(21)에 지지됨으로써, 어댑터부(100)는 전원공급레일(2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단자(124) 역시 체결판(123)과 함께 회동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놓이게 됨으로써, 전원공급레일(20)에서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전극단자(22)와 접촉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체결레버(122)를 회동시킴으로써 체결판(123)을 회동시켜 어댑터부(100)를 전원공급레일(20)에 고정시킴과 함께, 접속단자(124) 역시 회동시켜 전극단자(22)와 접촉시킴으로써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댑터부(100)를 전원공급레일(20)의 가이드홈(23)에 인입시키고 체결레버(122)를 회동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전원을 케이블(200)을 통해 연결된 콘센트부(30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어댑터부(100)가 전원공급레일(20)에 결합되고 콘센트부(300)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가 되면, 이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대상기기(도면에서는 선풍기를 일 예시하였음.)의 플러그(P)를 상기 콘센트부(300)의 콘센트홈(310)에 끼워 줌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없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의 구성과 작용을 살펴보았는 바, 위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특히 콘센트의 케이블이 종래와 같이 바닥을 따라 배치되지 않고 천장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려와 공중에 배치됨으로써, 케이블의 걸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불편함이나 안전사고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전원공급레일 상에서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 보다 넓은 사용범위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명 용도로 기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이 있는 경우에는, 콘센트 설치를 위하여 별도로 공사할 필요없이 어댑터부만을 기 설치된 전원공급레일에 결합시키면 됨으로 추가적인 비용부담없이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함과 함께, 바닥에 지저분하게 배치되는 케이블을 제거함으로써 실내공간을 보다 미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어댑터부 110: 어댑터바디
111: 상면개구 112: 레버공
113: 케이블공 114: 지지대
120: 전원공급유닛 121: 몸체부
122: 체결레버 123: 체결판
124: 접속단자 125: 전원공급선
130: 어댑터본체 131: 지지단
132: 결합단자
140: 레일연결체 141: 삽입단
142: 단자홈
150: 콘센트연결체 151: 삽입단
152: 단자홈 153: 연결플러그
200: 케이블
300: 콘센트 부 310: 콘센트홈
100: 어댑터부 110: 어댑터바디
111: 상면개구 112: 레버공
113: 케이블공 114: 지지대
120: 전원공급유닛 121: 몸체부
122: 체결레버 123: 체결판
124: 접속단자 125: 전원공급선
130: 어댑터본체 131: 지지단
132: 결합단자
140: 레일연결체 141: 삽입단
142: 단자홈
150: 콘센트연결체 151: 삽입단
152: 단자홈 153: 연결플러그
200: 케이블
300: 콘센트 부 310: 콘센트홈
Claims (4)
- 전원공급레일(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원을 인가받는 어댑터부(100)와;
상기 어댑터부(100)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길이 연장되는 케이블(200); 및
상기 연장된 케이블(200)의 타단에 구비되며, 대상기기의 플러그(P)가 끼워지면 상기 인가된 전원을 대상기기로 공급하는 콘센트부(300);를 포함하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100)는,
어댑터바디(110)와;
상기 어댑터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은 어댑터바디(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전원공급레일(20)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는 전원공급유닛(120);을 포함하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유닛(120)은,
상기 어댑터바디(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레버(122)가 일단에 형성되어 체결레버(122)의 조작에 따라 어댑터바디(110)의 내부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는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의 상단에 형성되어 몸체부(121)의 회동에 따라 전원공급레일(20)의 레일홈(21)에 끼움 지지되는 체결판(123)과;
상기 체결판(123)의 상면에 형성되어 체결판(123)이 지지되면 전원공급레일(20)의 전극단자(22)와 접촉하여 전원을 인가받는 접속단자(124);를 포함하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200)의 길이는 1 ∼ 5 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2095A KR20230049235A (ko) | 2021-10-06 | 2021-10-06 |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2095A KR20230049235A (ko) | 2021-10-06 | 2021-10-06 |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9235A true KR20230049235A (ko) | 2023-04-13 |
Family
ID=8597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2095A KR20230049235A (ko) | 2021-10-06 | 2021-10-06 |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9235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154Y1 (ko) | 2003-08-25 | 2003-12-03 | 강진우 | 이동식 콘센트 |
-
2021
- 2021-10-06 KR KR1020210132095A patent/KR20230049235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5154Y1 (ko) | 2003-08-25 | 2003-12-03 | 강진우 | 이동식 콘센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0516B1 (en) | Conductor bar | |
CA2013078C (en) | Electrical plug assembly and system | |
US20050082082A1 (en) | Profiled rail and accessories used as a suspension device | |
US7604369B2 (en) | Under-cabinet lighting systems, kits and methods | |
US11715918B1 (en) | Powered wall plate with plug prongs | |
EP0235206A1 (en) | Electrical supply rail system | |
JP5217000B2 (ja) | 家具 | |
US2039982A (en) | Molding and movable base receptacle | |
US20150056849A1 (en) | Electrical Outlet Receptacle Access Relocation Device | |
KR20230049235A (ko) | 레일형 연장식 콘센트 | |
US20220077622A1 (en) | Telescoping Electrical Receptacle | |
GB2430087A (en) | Mounting box for electrical wiring accessories with pluggable connector | |
CN205376828U (zh) | 施工电梯专用线导电体连接插 | |
KR20070120338A (ko) | 콘센트 구조 | |
WO2020207449A1 (zh) | 一种电力连接结构 | |
CN210724110U (zh) | 角线结构、插头、用电器及插线板 | |
KR101860422B1 (ko) | 전기접속장치 | |
CN209860186U (zh) | 一种电力连接结构 | |
CN215451948U (zh) | 一种带线插座用插座固定装置 | |
KR102668784B1 (ko) | 집합건물용 적산전력량계에서 복수의 인입케이블을 취부하는 방법 | |
CN107994389B (zh) | 一种组合式电源连接装置 | |
CN107191897B (zh) | 一种旋合灯头和与之配合的灯具及电源转接器 | |
US3303455A (en) | Means for suspending a lighting fixture or the like | |
CN210446453U (zh) | 一种组装式展示柜上下外侧控制开关 | |
CN208299113U (zh) | 磁石延长线插座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