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847B1 -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847B1
KR100427847B1 KR10-2001-0076151A KR20010076151A KR100427847B1 KR 100427847 B1 KR100427847 B1 KR 100427847B1 KR 20010076151 A KR20010076151 A KR 20010076151A KR 100427847 B1 KR100427847 B1 KR 100427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guide means
slide guide
slide
outl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431A (ko
Inventor
신문기
Original Assignee
신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기 filed Critical 신문기
Priority to KR10-2001-007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8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기, 전화, 케이블용 콘센트 본체를 벽 등에 매설된 상태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외관상 깨끗한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는 전기, 전화, 케이블 제품에 연결된 접속용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가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에 연결된 콘센트 본체와, 건물의 벽면에 일측이 개구되도록 매설되고 상기 콘센트 본체가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 안내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접속구는 개구된 슬라이드 안내수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은 슬라이드 안내수단에 의해 가려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Slide Mobile Type Concent}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 본체를 벽 등에 매설된 상태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외관상 깨끗한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외부의 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전기제품이나 전화선 또는 케이블에 연결된 제품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기제품인 경우에 전기제품의 전원 플러그가 콘센트에 연결되고 전원의 전기가 전기제품에 공급되어 상기 전기제품이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전화선이나 케이블에 연결된 제품은 접속용 플러그가 콘센트에 연결되고 데이터나 신호가 전화선이나 케이블에 연결된 제품에 공급되어 상기 제품을 이용하게 된다.
종래의 콘센트는 거의가 벽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있거나 전선, 전화선,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플러그의 길이가 한정된 제품은 콘센트의 부근으로 이동시켜서 사용하거나 전선이나 전화선 또는 케이블을 길게 연결해서 사용해야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 콘세트중에서 전선의 플러그를 연결하는 콘센트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벽 등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고정식과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있는 이동식 콘센트가 있다.
벽에 부착되는 고정식 콘센트는 플러그의 전선길이가 한정된 전기제품은 콘센트의 부근으로 이동시켜서 사용하게 되거나(이에 의해 가전제품의 배치에 있어서 제한을 받게 된다) 전선을 길게 연결해야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동식 콘센트는 전기제품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 및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플러그를 구비하게 된다.
이동식 콘센트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이동식 콘센트의 플러그를 전원이 공급되는 다른 콘센트에 연결하고, 전기제품의 전원 플러그는 상기 이동식 콘센트의 접속구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식 콘센트는 이동식 콘센트를 사용할 때 전선을 길게 늘여 놓고 사용하게 되므로 미관상 좋지 않을 뿐더러 사람이 전선에 걸려넘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동식 콘센트의 보관시 전선을 아무렇게나 말아서 보관하므로 전선 내부에 단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센트 본체가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안내수단에 미끄럼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 전화선,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고 사람이 걸려 넘어질 우려가 없는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콘센트를 보관하거나 전선, 전화선, 케이블을 말아 보관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선의 우려가 없고 사용이 편리한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의 요홈부(170)에 의해 형성된 네크부(172)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날개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몸체(180)가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100)를 포함하는데,상기 네크부(172)의 양 끝단부에는 플렉시블 덮개(300)가 연결되고, 상기 날개부(120)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80)의 내부에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상적인 접속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 몸체(180)의 상면에는 이동용 롤러(160)가 설치되고 저면에는 고정 돌기(19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이 인입되는 연결관(140)이 일정각도 벌어지도록 설치되며;상기 콘센트 본체(100) 및 플렉시블 덮개(3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몸체(180)에 형성된 고정 돌기(19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22)이 일정 길이 단위로 다수개 형성되는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을 포함하며;상기 콘센트 본체(100)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용 롤러(160)에 의해 미끄럼 이동될 때 상기 플렉시블 덮개(300)가 함께 이동되면서 원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상기 하부 몸체(180)의 고정 돌기(190)가 상기 고정홈(222)에 끼워져서 상기 콘센트 본체(1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안내수단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센트 본체 110 : 접속구
120 : 날개부 130 : 전선
140 : 연결관 150 : 연결용 롤러
160 : 이동용 롤러 170 : 요홈부
172 : 네크부 180 : 하부 몸체
190 : 고정 돌기 200 : 슬라이드 안내수단
210 : 하부 돌기 220 : 하부 중간판
222 : 고정홈 230 : 상부 돌기
240a,240b : 상부 중간판 250 : 연결관 돌출공
260,262 : 덮개 수용부 300 : 플렉시블 덮개
400 : 플러그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되, 콘센트의 접속구에 전기제품의 접속용 플러그가 삽입되고, 슬라이드 안내수단에는 전선이 연결된 즉,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콘센트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안내수단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콘센트 본체(100)는 전기제품에 연결된 플러그(400)가 삽입되는 접속구(110)가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30)에 연결된다.
콘센트 본체(100)는 양측의 요홈부(170)에 의해 형성된 네크부(172)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날개부(120)가 하부에는 하부 몸체(180)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110)는 날개부(120)나 네크부(172)에 형성되고, 하부 몸체(180)의 내부에는 플러그(400)와 전선(130)을 접속하는 통상적인 콘센트 내부의 접속 수단이 형성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약한다.
상기 하부 몸체(180)의 상면에는 이동용 롤러(160)가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저면에는 고정 돌기(190)가 형성되어 콘센트 본체(100)가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콘센트 본체(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하부 몸체(180)의 양측면에는 연결관(140)이 평면에서 보아 일정각도 벌어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140)을 통해 전선(130)이 인입된 후 콘센트본체(100) 내부의 통상적인 접속 수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140)을 하부 몸체(180)의 일측면에만 형성하여 일측으로만 전선(130)을 인입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140)의 끝단부에는 연결용 롤러(150)가 구비되어 전선(130)의 인입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용 롤러(150)는 도 1에서 처럼 전선(130)을 양측이나 상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다음,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은 일부가 돌출되도록 건물의 벽면에 매설되고 보통 사각형상으로, 사각의 일측 일부는 개구되어 개구된 곳으로 콘센트 본체(100)의 네크부(172)가 위치되고 날개부(120)는 돌출된다.
이에 의해 접속구(110)는 외부로 노출된다.
사각형상의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저면에서는 상측으로 하부 돌기(21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면에서는 하측으로 상부 돌기(2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하부 돌기(210)와 상부 돌기(230) 사이에는 연결관 돌출공(250)이 형성되어 콘센트 본체(100)의 연결관(140)이 이 연결관 돌출공(250)을 통해 위치된다.
따라서 전선(130)은 하부 돌기(210)와 상부 돌기(230) 외측과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내측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하부 돌기(210)의 내측으로는 하부 중간판(220)이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덮개 수용부(26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돌기(230)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부중간판(240a,240b)이 절곡 형성되되, 콘센트 본체(100)의 네크부(17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부 중간판(240a,240b)의 끝단부는 이격된다.
상부 중간판(240a,240b)과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상면 사이에는 또 다른 덮개 수용부(262)가 형성되어 하부에 형성된 덮개 수용부(260)와 함께 콘센트 본체(100) 이동시 콘센트 본체(100)의 전후 네크부(172)에 양 끝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 덮개(300)가 수용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 덮개(300)는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내부가 보여지는 것과 먼지가 싸여 그 내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센트 본체(100)의 전후에 연결하는 것으로 콘센트 본체(100)가 이동하면서 플렉시블 덮개(300)도 같이 상하 덮개 수용부(262,260) 사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부 중간판(220)에는 콘센트 본체(100)의 하부 몸체(180)에 형성된 고정 돌기(19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22)이 일정 길이 단위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중간판(220)과 하부 돌기(210) 사이에는 하부 몸체(180)가 위치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이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하부 몸체(180)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용 롤러(160)를 이용하게 된다.
즉, 상기 콘센트 본체(100)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약간 들어 이동용 롤러(160)를 상부 중간판(240a,240b)의 하면에 대고 이동하면 이동용 롤러(160)가 접촉 회전하면서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동식 콘센트의 작동을 살펴보면, 콘센트 본체(100)를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하되, 전선(130)을 연결관(140)을 통해 콘센트 본체(100) 내부의 통상적인 접속수단에 연결하고, 플렉시블 덮개(300)를 상하부 덮개 수용부(262,260)를 통해 콘센트 본체(100)의 네크부(172)에 연결한다.
조립이 된 상태에서, 콘센트 본체(100)의 하부 몸체(180)는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하부 중간판(220) 상부에, 네크부(172)는 상부 중간판(240a,240b) 사이와 개구된 부분에, 날개부(120)는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선(130)은 연결관 돌출공(250)을 통해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양측면과 하부돌기(210) 및 상부돌기(23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전선(130)은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좌우측 공간에 각각 1선씩 위치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 공간에 2선이 함께 위치되고, 콘센트 본체(100)가 이동함에 따라 전선(130)이 공간에서 같이 움직인다.
따라서 전선(130)은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총 길이만큼 길어야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상태에서 건물의 벽면, 천정, 바닥면 등의 원하는 위치에 종으로나 횡으로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을 매설하되, 콘센트 본체(100)의 날개부(120)가 건물의 벽면보다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매설된 상태에서,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 콘센트 본체(100)의 날개부(120)를 잡고 위로 당겨 상기 이동용 롤러(160)를 상부 중간판(240a,240b)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기제품이 있는 곳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원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하부 몸체(180)의 고정 돌기(190)를 하부 중간판(220)에 형성된 고정홈(222)에 끼우면 콘센트 본체(10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콘센트 본체(100)의 이동시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개구된 부분을 가리고 있는 플렉시블 덮개(200)는 상하의 덮개 수용부(262,260) 사이에 위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고, 전선(130)은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좌우측 공간에서 같이 움직이게 된다.
콘센트 본체(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구(110)에 전기제품에 연결된 플러그(400)를 연결하면 전기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전기제품 연결하는 플러그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접속구(110)의 형상을 전화선이나 케이블에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변경 형성하고, 연결관(140)을 통해 전화선이나 케이블을 전선(130) 대신에 콘센트 본체(100)에 연결하면, 전화기나 TV, PC와 같은 전화선이나 케이블에 연결된 제품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결관(140)을 하부 몸체(180)에서 양측으로 벌어지게 형성하지 않고 일측으로만 벌어지게 형성하여 전화선이나 케이블이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좌측이나 우측 공간에 위치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콘센트는 이동식 콘센트를 사용할 때 전선(130)이나 전화선, 케이블을 길게 늘여 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고, 또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에 가려 전선(130), 전화선, 케이블이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전선(130)이나 전화선, 케이블에 걸려 넘어질 우려가 없다.
또한 이동식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로 이동식 콘센트를 보관하거나 전선(130), 전화선, 케이블을 말아서 보관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전선(130), 전화선, 케이블 내부에 단선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전기제품이나 전화, 케이블에 연결된 제품의 배치에 있어서 콘센트 본체(100)가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배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 본체가 벽면, 천정 또는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된 슬라이드 안내수단에 미끄럼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 전화선,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좋고 사람이 걸려 넘어질 우려가 없으며, 별도로 콘센트를 보관하거나 전선이나 전화선, 케이블을 말아 보관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선의 우려가 없고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6)

  1. 양측의 요홈부(170)에 의해 형성된 네크부(172)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날개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몸체(180)가 형성되는 콘센트 본체(1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네크부(172)의 양 끝단부에는 플렉시블 덮개(300)가 연결되고, 상기 날개부(120)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80)의 내부에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통상적인 접속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하부 몸체(180)의 상면에는 이동용 롤러(160)가 설치되고 저면에는 고정 돌기(190)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이 인입되는 연결관(140)이 일정각도 벌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100) 및 플렉시블 덮개(3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몸체(180)에 형성된 고정 돌기(19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22)이 일정 길이 단위로 다수개 형성되는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을 포함하며;
    상기 콘센트 본체(100)가 삽입되어 상기 이동용 롤러(160)에 의해 미끄럼 이동될 때 상기 플렉시블 덮개(300)가 함께 이동되면서 원하는 위치까지 도달하면 상기 하부 몸체(180)의 고정 돌기(190)가 상기 고정홈(222)에 끼워져서 상기 콘센트 본체(10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200)의 저면에는 상측으로 하부 돌기(21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측으로 상부 돌기(23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부 몸체(180)는 상기 하부 돌기(21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네크부(172)는 상기 상부 돌기(2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슬라이드 안내수단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돌기(210)의 내측으로는 하부 중간판(220)이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저면에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덮개(300)가 수용되는 덮개 수용부(26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230)의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게 상부 중간판(240a,240b)이 절곡 형성되되, 콘센트 본체(100)의 네크부(17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부 중간판(240a,240b)의 끝단부는 이격되며,
    상부 중간판(240a,240b)과 슬라이드 안내수단(200) 상면 사이에는 또다른 덮개 수용부(262)가 형성되어 하부에 형성된 덮개 수용부(260)와 함께 상기 콘센트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콘센트 본체(100)의 네크부(172)에 양 끝단부가 연결된 플렉시블 덮개(300)가 수용되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40)의 끝단부에는 전선, 전화선, 케이블의 인입을 용이하도록 하는 연결용 롤러(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10-2001-0076151A 2001-12-04 2001-12-04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100427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151A KR100427847B1 (ko) 2001-12-04 2001-12-04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151A KR100427847B1 (ko) 2001-12-04 2001-12-04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431A KR20030045431A (ko) 2003-06-11
KR100427847B1 true KR100427847B1 (ko) 2004-04-28

Family

ID=2957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151A KR100427847B1 (ko) 2001-12-04 2001-12-04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465B1 (ko) * 2006-06-19 2007-02-16 (주)단건축사사무소 벽체 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한 전기 콘센트 함.
KR100661163B1 (ko) * 2006-06-21 2006-12-22 주식회사 래미래건축사사무소 다세대 주택용 콘센트의 벽체 내 내설구조
KR101257684B1 (ko) * 2012-03-23 2013-04-24 양경호 전자기기 전원 충전장치
KR102548411B1 (ko) * 2019-05-02 2023-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클램프부가 구비된 콘센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289U (ko) * 1981-04-24 1982-11-01
US5052937A (en) * 1990-03-27 1991-10-01 Glen Bryan D Baseboard with movable electrical outlet
JPH0837067A (ja) * 1994-07-22 1996-02-06 Sekisui Chem Co Ltd 移動式電気接続具の取付構造
KR19980068819U (ko) * 1998-09-15 1998-12-05 신철기 벽 부착식 레일형 콘센트
KR200205433Y1 (ko) * 2000-05-27 2000-12-01 신일철 띠벽지형 이동 콘센트
KR20010058108A (ko) * 1999-12-24 2001-07-05 김영일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3289U (ko) * 1981-04-24 1982-11-01
US5052937A (en) * 1990-03-27 1991-10-01 Glen Bryan D Baseboard with movable electrical outlet
JPH0837067A (ja) * 1994-07-22 1996-02-06 Sekisui Chem Co Ltd 移動式電気接続具の取付構造
KR19980068819U (ko) * 1998-09-15 1998-12-05 신철기 벽 부착식 레일형 콘센트
KR20010058108A (ko) * 1999-12-24 2001-07-05 김영일 전원공급장치
KR200205433Y1 (ko) * 2000-05-27 2000-12-01 신일철 띠벽지형 이동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431A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126B2 (ja) コンセントソケット用の交換モジュール及び交換モジュール付きコンセントソケット
US8415561B2 (en) Electrical enclosure
US7950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ITMI20001359A1 (it) Presa multipla volante.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RU2714826C2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шну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KR20110065800A (ko) 멀티탭 콘센트
GB2422056A (en) Back box having terminals for cable connection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20130045053A (ko) 안전 콘센트
KR101028139B1 (ko)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200205433Y1 (ko) 띠벽지형 이동 콘센트
KR101978641B1 (ko) 공동주택용 콘센트기구
JPH1154201A (ja) プラグ挿入口用蓋板の取付構造
KR101398447B1 (ko)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101150377B1 (ko)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KR100756540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을 위한 배전구조
KR20120038107A (ko) 벽체형 콘센트
CN208723178U (zh) 具有pcb板的连接器
KR101323013B1 (ko) 멀티탭 장치
KR200417489Y1 (ko) 멀티콘센트
JPH033027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