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39Y1 - 착탈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착탈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39Y1
KR200343339Y1 KR20-2003-0038854U KR20030038854U KR200343339Y1 KR 200343339 Y1 KR200343339 Y1 KR 200343339Y1 KR 20030038854 U KR20030038854 U KR 20030038854U KR 200343339 Y1 KR200343339 Y1 KR 200343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insert
housing
groove
receiving groo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평영만
Original Assignee
(주)센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다컴 filed Critical (주)센다컴
Priority to KR20-2003-0038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는 벽면에 설치되어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일측면에 출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입홀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체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입홀에 위치하여 출입되는 배선과;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 일측벽에 형성된 제 1 돌기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 타측벽에 형성된 제 2 걸이홈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에 삽입되는 제 1 걸이홈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걸이홈에 삽입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제 2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벽면에 고정 타입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콘센트를 분리시켜 원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착탈형 콘센트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형 콘센트{Movable wall outlet}
본 고안은 착탈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벽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분리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착탈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부에는 콘센트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콘센트는 건물의 벽 또는 기둥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며 벽 내부를 따라 매설된 인입선에 연결되어, 가전제품 등과 같은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꽂아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가정이나 공장 등의 벽이나 기둥에 설치된 콘센트와 실제 사용할 전기기기의 사이 거리가 먼 경우에는 별도로 익스텐션(또는 멀티탭)이라고 칭하는 배선 연결구를 사용하여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익스텐션과 같은 배선 연결구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기기의 사용 후에 배선기구의 정리정돈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가정이나 공장의 주변정리가 잘 되지 않아서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선기구의 파손으로 인한 합선이나 누전등이 발생하여 화재와 같은 사고의 우려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에 고정 타입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콘센트를 분리시켜 원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착탈형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는 벽면에 설치되어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일측면에 출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출입홀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체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입홀에 위치하여 출입되는 배선과;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 일측벽에 형성된 제 1 돌기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 타측벽에 형성된 제 2 걸이홈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에 삽입되는 제 1 걸이홈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걸이홈에 삽입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제 2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타측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돌출 되는 볼이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선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선을 탄성 권취시키기 위한 탄성 권취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탄성 권취부는 상기 하우징에 축 결합되며 배선이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드럼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래칫 휠과, 일단이 상기 래칫 휠의 톱니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 휠에 상기 접촉바가 접촉 또는 이격 되도록 작동시키는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를 상기 수용홈에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용홈에 부착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부착면에는 상기 배선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벽면에 고정 타입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콘센트를 분리시켜 원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착탈형 콘센트를 얻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에 구비된 탄성 권취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탄성 권취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에 구비된 플러그 삽입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나타낸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홈에 의한 배선이 놓여지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하우징 104 ; 수용홈
108 ; 플러그 삽입체 110 ; 배선
116 ; 고정부 120 ; 탄성 권취부
122 ; 축 124 ; 드럼
126 ; 스파이럴 스프링 128 ; 래칫 휠
130 ; 접촉바 132 ; 힌지
134 ; 버튼 138 ; 스프링
140 ; 인출홈 144 ; 가이드 홈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100)는 건물의 벽 또는 기둥 등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며 노출되는 일측면에 출입홀(102a)이 형성된 하우징(102)과, 출입홀(102a)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104)과, 수용홈(10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플러그(106)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체(108)와, 양단이 각각 하우징(102)과 플러그 삽입체(108)에 연결되며 출입홀(102a)에 위치하여 출입되는 배선(110)과, 수용홈(104)에 구비되어 플러그 삽입체(108)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6)가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착탈형 콘센트(100)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벽 또는 기둥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며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102)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2)의 일측면에는 하우징(102)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출입홀(102a)이 형성되어 있고, 출입홀(102a)의 주변에는 수용홈(104)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수용홈(104)에는 전기기기의 플러그(106)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체(108)가 탈부착되는 형태로 위치한다.
하우징(102)과 플러그 삽입체(108)는 배선(110)에 의해 서로 통전되도록 연결되고, 하우징(102)으로 공급된 전원을 플러그 삽입체(108)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배선(110)은 수용홈(104)에 형성된 출입홀(102a)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배선(110)은 일정한 길이로 구비되어 있으며, 종래와 같이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하우징(102)의 내부로 수납되고,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시켜 플러그 삽입체(108)를 원거리에 위치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착탈형 콘센트(100)는 종래와 같이 벽에 고정되는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거리에 전원을 공급하고자할 경우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능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홈(104)에는 벽면 고정의 형태로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 플러그 삽입체(108)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6)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먼저, 수용홈(104)의 내부 하측벽에는 제 1 돌기(108a)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104)의 내부 상측벽에는 제 2 걸이홈(10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러그 삽입체(108)의 하부측면에는 제 1 돌기(108a)에 삽입되도록 제 1 걸이홈(104a)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측면에는 제 2 걸이홈(104b)에 삽입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제 2 돌기부(109)가 구비된다.
제 2 돌기부(109)는 플러그 삽입체(108)의 상부측면에 돌출되는 볼(109a)과, 볼(109a)을 탄성 지지하도록 플러그 삽입체(108)에 삽입된 스프링(109b)이 있다.
한편, 하우징(102)에는 배선(110)의 일단이 연결되어 배선(110)을 탄성 권취시키기 위한 탄성 권취부(120)가 구비된다.
탄성 권취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에 축(122) 결합되며 배선(110)이 권취되는 드럼(124)과, 드럼(124)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파이럴(나선형) 스프링(126)과, 드럼(124)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래칫 휠(128)과, 일단이 래치 휠(128)의 톱니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바(130)가 있다.
그리고, 접촉바(130)의 타단에는 접촉바(130)가 힌지(132) 결합되는버튼(134)이 있고, 버튼(134)은 하우징(102)에 축(136) 결합되어 있고, 버튼(134)의 일측에는 버튼(134)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38)이 구비된다.
스프링(136)은 버튼(134)에 연결된 접촉바(130)가 래칫 휠(128)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래칫 휠(128)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게 한다.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원거리에 위치한 장소에서 콘센트를 사용할 경우 플러그 삽입체(108)를 잡아당기면 배선(110) 역시 잡아당겨져 드럼(124)에서 풀리게 된다. 이때, 드럼(12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드럼(124)에 결합된 래칫 휠(128)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126)은 압축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래칫 휠(128)은 접촉바(130)가 접촉되어 있어 압축된 상태의 스파이럴 스프링(126)의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만약, 콘센트의 사용이 끝난 후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에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34)을 누르게 되며, 눌려진 버튼(134)에 의해 래칫 휠(128)에 접촉된 상태의 접촉바(130)는 당겨져 래칫 휠(128)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접촉바(130)가 래칫 휠(128)로부터 이격되면, 압축된 상태의 스파이럴 스프링(126)의 복원되는 힘에 의해 드럼(12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로 인출되었던 배선(110)은 드럼(124)에 권취된다.
그리고, 플러그 삽입체(108)가 수용되는 수용홈(104)의 좌우측에는 수용홈(104)에 부착된 상태의 플러그 삽입체(108)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140)이형성된다.
이 인출홈(140)은 수용홈(104)에서 플러그 삽입체(108)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손쉽게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을 보면 수용홈(104)에 부착되는 플러그 삽입체(108)의 부착면에는 가이드 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144)은 플러그 삽입체(108)에 연결된 배선(110)을 가이드 하여 배선(110)이 꼬이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플러그 삽입체(108)가 하우징(102)에 고정된 상태일 경우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배선(110)을 가이드 한다.
또한,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도 8과 같은 상태로 배선(110)을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착탈형 콘센트(10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배선(110)을 탄성 권취하기 위한 탄성 권취부(120)를 플러그 삽입체(108)에 장착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착탈형 콘센트(100)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콘센트(100)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고정형태와 동일하게 사용한다.
그러나, 원거리에서 전기기기나 기계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하우징(102)에 고정된 상태의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인출홈(140)에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삽입하여 플러그 삽입체(108)를 잡은 후 당긴다.
이렇게 당겨진 플러그 삽입체(108)는 배선(110)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원거리에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한다.
만약, 작업을 끝낸 후 플러그 삽입체(108)를 하우징(102)으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 하우징(102)에 구비된 버튼(134)을 누르게 되며, 눌려진 버튼(134)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파이럴 스프링(126)의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배선(110)은 감겨져 하우징(102) 측으로 근접하게 된다.
이렇게 하우징(102) 측으로 플러그 삽입체(108)가 근접하면, 사용자는 플러그 삽입체(108)의 하부측면에 구비된 제 1 걸이홈(104a)을 수용홈(104)에 형성된 제 1 돌기(108a)에 삽입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플러그 삽입체(108)를 잡은 상태에서 플러그 삽입체(108)의 상부측면에 구비된 제 2 돌기부(109)의 볼(109a)을 수용홈(104)에 형성된 제 2 걸이홈(104b)에 삽입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착탈형 콘센트에 의하면 벽면에 고정 타입의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콘센트를 분리시켜 원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착탈형 콘센트를 얻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벽면에 설치되어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일측면에 출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의 상기 출입홀 주변에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체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입홀에 위치하여 출입되는 배선과;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 일측벽에 형성된 제 1 돌기와, 상기 수용홈의 내부 타측벽에 형성된 제 2 걸이홈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에 삽입되는 제 1 걸이홈과,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걸이홈에 삽입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제 2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타측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돌출되는 볼이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선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선을 탄성 권취시키기 위한 탄성 권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권취부는 상기 하우징에 축 결합되며 배선이 권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드럼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래칫 휠과, 일단이 상기 래칫 휠의 톱니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접촉바와, 상기 접촉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래치 휠에 상기 접촉바가 접촉 또는 이격 되도록 작동시키는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콘센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를 상기 수용홈에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콘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부착되는 상기 플러그 삽입체의 부착면에는 상기 배선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콘센트.
KR20-2003-0038854U 2003-12-12 2003-12-12 착탈형 콘센트 KR200343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54U KR200343339Y1 (ko) 2003-12-12 2003-12-12 착탈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854U KR200343339Y1 (ko) 2003-12-12 2003-12-12 착탈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39Y1 true KR200343339Y1 (ko) 2004-02-27

Family

ID=4942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854U KR200343339Y1 (ko) 2003-12-12 2003-12-12 착탈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68B1 (ko) 2006-10-18 2007-10-05 이이순 주택용 노출형 안전 콘센트박스
KR102420750B1 (ko) * 2021-07-19 2022-07-14 김수진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68B1 (ko) 2006-10-18 2007-10-05 이이순 주택용 노출형 안전 콘센트박스
KR102420750B1 (ko) * 2021-07-19 2022-07-14 김수진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3525B1 (en) Retractable cable device
YU10100A (sh) Kofer za alat sa kalemom za kabl
US657578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with power cord securing device
KR200343339Y1 (ko) 착탈형 콘센트
WO1988006353A1 (en) Wall-mounted or flush-mounted extensible box-shaped electric socket
KR100224645B1 (ko) 콘센트 조립체
KR200258703Y1 (ko) 멀티탭
KR200281732Y1 (ko) 자동코드릴식 멀티콘센트
KR200466204Y1 (ko) 이동 가능한 벽체용 콘센트
KR200296141Y1 (ko) 콘센트
KR200333779Y1 (ko) 벽체 매입형 권취식 콘센트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100317646B1 (ko) 원터치 전기플러그
KR200205460Y1 (ko) 전선의 여장수단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200379368Y1 (ko) 코드선 정리기
KR200330958Y1 (ko)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KR200285301Y1 (ko) 연장선이 부착된 벽 고정용 콘센트
KR101477982B1 (ko)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KR200303780Y1 (ko) 보빈콘센트가 내장된 배선정리함
KR101004346B1 (ko) 분리형 멀티탭
KR100359301B1 (ko) 전원공급장치
CN210628655U (zh) 充电器及电器
KR20050106726A (ko) 콘센트
KR0139044Y1 (ko) 세탁기의 코드선고정장치
KR101985379B1 (ko) 배전용 내선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