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958Y1 -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 Google Patents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958Y1
KR200330958Y1 KR20-2003-0023144U KR20030023144U KR200330958Y1 KR 200330958 Y1 KR200330958 Y1 KR 200330958Y1 KR 20030023144 U KR20030023144 U KR 20030023144U KR 200330958 Y1 KR200330958 Y1 KR 200330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outlet box
storage unit
box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안택
Original Assignee
심안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안택 filed Critical 심안택
Priority to KR20-2003-0023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9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선을 사용하고 싶은 길이 만큼만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후에는 버튼의 한번 조작으로 간단히 되감기를 실행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는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콘센트;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홀;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되며 콘센트홀로부터 전기줄을 감아 넣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푸쉬버튼과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저장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까지만 인출하여 사용하므로 전기줄이 난삽하게 펼쳐 놓여있는 것을 방지하고 콘센트박스의 일단에 구비된 푸쉬버튼에 의하여 인출된 전기줄을 자동으로 인입하게 하므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Concent box for rewinding electric wire}
본 고안은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벽에 콘센트박스를 설치하여 콘센트를 특정길이까지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후에는 자동감김을 이용하여 버튼만 누르면 출인된 전기줄이 모두 감기게 되는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시중에 통용되는 콘센트 또는 코드로써는 멀티탭을 들 수 있다. 이는 보통 전기제품이나 가전제품 등을 사용할 경우, 선이 모자라거나 코드가 부족할 경우 이를 대치하고자 줄을 어느 정도 연장한 것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기줄이 길어질 경우 보관하기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요이상의 길이를 전부사용해만 하는 불편이 따랐다. 이를 해결해주고자 고안된 것이 종래기술로써 도 1의 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실용신안 제0303799호 "전선을 감을 수 있는 깃을 부착한 콘센트"로써, 이를 이해가 용이하도록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필요한 위치까지 전기를 끌어주는 전선이 달린 3구형 등의 이동형 콘센트에 있어서, 현재 사용하는 전선이 달린 콘센트는 전선의 길이가 적당하게 조절되지 않고 일정한 길이로 고정되어 있어서 전선이 남을 때에는 겹쳐서 묶어두거나 바닥에 깔린 채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콘센트에 연결된 전선의 길이를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적당한 길이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콘센트본체(1)의 옆에 비스듬하게 설치한 인출구(5)를 통하여 나온 전선(6)이 플러그삽입구(7) 둘레와 하부의 둘레에 부착한 깃(2)의 내부에서 전선(6)을 감을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길이 만큼 전선(6)을 감거나 풀고 더 풀리지 않도록 고정대(3)의 고정홈(4)에 고정한 후 사용함으로서, 전기기구 주변이나 바닥에 불필요한 전선이 어지럽게 깔리지 않도록 정리되어 미관에도 좋고, 전원 및 전선의 관리가 쉬우므로 사공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펼쳐진 전기줄이 자동으로 감기지 않으므로, 전기줄을 손으로 일일이 감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감겨진 전기줄을 손으로 풀어야 되므로 이는 이 고안 이전에 널리 유통되고 있는 멀티탭의 범위를 벗어나 있지도 못하다. 여기에서는 3구형의 이동형 콘센트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는 1구형 이동형 콘센트에도 해당하는 것으로 변형이 극히 용이하므로 종래의 기술예로써 당연한 구성에 해당한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된 종래의 기술로부터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기선을 사용하고 싶은 길이 만큼만 잡아당겨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후에는 버튼의 한번 조작으로 간단히 되감기를 실행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써는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줄이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전기줄의 감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안에 의하여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멀티형 콘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를 잡아당기는 그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의 와이어 저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과 랜선을 가지는 다기능 콘센트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2와 도면5의 주요도면부호 설명 *
200 : 콘센트 몸체 210 : 콘센트홀
220 : 푸쉬버튼 310 : 전기줄
500 : 와어어 저장부 510 : 래칫기어
520 : 스프링 530 : 스토퍼
본 고안은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에 매입되어 전기줄을 인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는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콘센트;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홀;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되며 콘센트홀로부터 전기줄을 감아 넣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푸쉬버튼과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저장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콘센트의 길이를 원하는 정도까지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후에는 간단한 버튼작동만으로 자동으로 인입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의 정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콘센트 박스(200)에는 전기제품이나 가전제품에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230)와, 콘센트(230)를 인입하기 위한 콘센트홀(210)과, 잡아빼어 놓은콘센트(230)를 감기 위한 푸쉬버튼(22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콘센트(230)는 사용자가 인출(引出)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콘센트박스(200)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출할 수 있는 돌출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콘센트(230)가 완전히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콘센트홀(210)은 오목하게 되어있다. 이를 보여주는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즉, 전기줄(310)과 연결된 콘센트(230)를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아빼면 도 3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콘센트박스(200)의 표면에 콘센트(230)를 위한 콘센트홀(230)이 놓이게 된다. 이는 콘센트(230)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반구형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전기줄(310)이 뽑아지면 그 지점에서 전기줄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는데 이는 콘센트박스(200)의 내부에 있는 와어이저장부(500)의 내부구조에 의하여 전기줄이 걸리게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렇게 구성된 콘센트박스(200)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후에는 감기를 실행하므로 전기줄이 난삽하게 펼쳐 놓여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는 콘센트홀(210)과 콘센트(230), 푸쉬버튼(220),와이어저장부(500)의 위치와 관계를 보여준다. 즉, 콘센트홀(210)은 와이어저장부(500)의 위쪽에 위치하며, 콘센트홀(210)로부터 나오는 전기줄(310)은 와이어저장부(500)에 감기가 수행되고, 또 전원선(400)과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한다. 와이어저장부(500)는 콘센트박스(2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전기줄(310)을 감아 넣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푸쉬버튼(220)과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의 와이어 저장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와이어저장부(5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기줄을 감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있는 래칫기어(510)와, 전기줄(310)을 감는 방향으로 래칫기어(51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스프링(520)과, 래칫기어(510)의 톱니 사이에 끼어 래칫기어(510)의 역전을 방지하는 스토퍼(530)와, 스토퍼(530)와 결합되어있으며 스토퍼(530)의 역전방지동작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인입버튼(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전기줄(310)을 인출시킴에 따라, 래칫기어(5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래칫기어(510)에 결합된 스프링(520)은 래칫기어(5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상태로 복구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한다.
사용자가 전기줄(310)의 인출 동작을 멈추면 스프링(520)의 복원력에 의하여 래칫기어(5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는데, 래칫기어(510)의 톱니 사이에 스토퍼(530)가 간섭되므로 래칫기어(510)는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스토퍼(530)는 래칫기어(51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는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도 3과 같이 래칫기어(510)가 스토퍼(530)에 의하여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콘센트(230)를 잡아당기면, 전기줄(310)의 인출은 전기줄의 한계(본 고안에서는 50센티미터로 함)까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와이어저장부는 전기적 힘을 이용하여 전기줄을 자동으로 인출 및 인입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는 회전축에 전기줄 일부가 결합되어 전기줄을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모터를 저장부 내부에 구비하고, 전동모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동작스위치를 콘센트박스에 장착시키면, 사용자는 동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전기줄을 인출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전기줄을 감고 푸는 구조는 전동모터의 크기가 축소되어 충분히 이 분야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상용화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과 랜선을 가지는 다기능 콘센트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는 랜잭(600)과 전화단자(61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콘센트박스를 보여준다. 즉, 와이어 저장부에 랜선을 저장하기 위한 제 1 와이어저장부와 랜선을 저장하기 위한 제 2 와이어저장부를 구비하여 각각에 대하여 전화선이나 랜선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1 와이어저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푸쉬버튼, 제 2 와이어저장부를 제어하기 위한제 2 푸쉬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푸쉬버튼 대신에 각각의 제 1 동작스위치와 제 2 동작스위치를 두어 전기모터를 이용한 방식도 적용가능하다. 이에 대하여는 상기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실시예와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 종사하고 있거나 통상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수많은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콘센트의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까지만 인출하여 사용하므로 전기줄이 난삽하게 펼쳐 놓여있는 것을 방지하고 콘센트박스의 일단에 구비된 푸쉬버튼에 의하여 인출된 전기줄을 자동으로 인입하게 하므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함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써는 콘센트박스가 벽에 매입되므로 실내공간이 절약됨을 들 수 있다.

Claims (8)

  1. 건물의 벽에 매입되는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콘센트;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홀;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되며 콘센트홀로부터 전기줄을 감아넣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푸쉬버튼과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저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저장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기줄을 감을 수 있는 래칫기어;
    상기 전기줄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래칫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래칫기어의 톱니사이에 끼어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전방지를 해제하는 푸쉬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3. 건물의 벽에 매입되는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콘센트;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홀;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콘센트홀로부터 전기줄을 감아넣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와이어저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저장부는,
    회전축에 상기 전기줄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모터;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동작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5. 건물의 벽에 매입되는 다기능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다기능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랜잭;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다기능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전화단자;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랜잭과 전화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콘센트홀;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화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콘센트홀;
    제 1 콘센트홀로부터 전화선을 감아넣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제 1 푸쉬버튼과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제 1 와이어저장부; 및
    제 2 콘센트홀로부터 랜선을 감아넣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제 2 푸쉬버튼과 밀착되어 연결되어 있는 제 2 와이어저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콘센트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저장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기줄을 감을 수 있는 래칫기어;
    상기 전기줄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래칫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래칫기어의 톱니사이에 끼어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의 회전방지를 해제하는 푸쉬버튼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센트.
  7. 건물의 벽에 매입되는 다기능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다기능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랜잭;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다기능 콘센트박스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는 전화단자;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랜잭과 전화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콘센트홀;
    다기능 콘센트박스의 표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화단자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콘센트홀;
    동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콘센트홀로부터 전기줄을 감아넣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콘센트박스의 하단에 구비된 와이어저장부
    동작스위치에 의하여 제 1 콘센트홀로부터 전화선을 감아넣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와이어저장부; 및
    동작스위치에 의하여 제 2 콘센트홀로부터 랜선을 감아넣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와이어저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콘센트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저장부는,
    회전축에 상기 전기줄이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모터; 및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전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제 1 동작스위치와 제 2 동작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센트박스.
KR20-2003-0023144U 2003-07-16 2003-07-16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KR200330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144U KR200330958Y1 (ko) 2003-07-16 2003-07-16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144U KR200330958Y1 (ko) 2003-07-16 2003-07-16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958Y1 true KR200330958Y1 (ko) 2003-10-22

Family

ID=4933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144U KR200330958Y1 (ko) 2003-07-16 2003-07-16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9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68B1 (ko) 2006-10-18 2007-10-05 이이순 주택용 노출형 안전 콘센트박스
WO2010018960A2 (ko) * 2008-08-14 2010-02-18 Ji Young Ju 플러그가 구비된 케이블 길이연장 방식의 콘센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68B1 (ko) 2006-10-18 2007-10-05 이이순 주택용 노출형 안전 콘센트박스
WO2010018960A2 (ko) * 2008-08-14 2010-02-18 Ji Young Ju 플러그가 구비된 케이블 길이연장 방식의 콘센트 장치
WO2010018960A3 (ko) * 2008-08-14 2010-07-01 Ji Young Ju 플러그가 구비된 케이블 길이연장 방식의 콘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665B1 (en) Power adapter with cable storage device
US6702077B2 (en) Nested cables and reel assembly
US9960539B2 (en) Wall outlet with extendable electrical receptacles
US20140238805A1 (en) Cord dispensing apparatus
KR200330958Y1 (ko)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US20020187675A1 (en) Integrated cord take-up assembly
AU2003293885A1 (en)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pull-out device for an electrical cable
KR20180000164U (ko) 전선을 필요한 만큼만 뽑아서 사용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전선을 감아들이는 콘센트 박스
JPH09139266A (ja) 移動コンセント
KR200294024Y1 (ko) 코드 릴 전기콘센트
KR200161472Y1 (ko) 확장 콘센트
KR20090000234U (ko) 가전기기의 전선 권취장치
KR200281732Y1 (ko) 자동코드릴식 멀티콘센트
KR200357699Y1 (ko) 멀티 콘센트
CN104638733A (zh) 自动绕线电源充电器和笔记本电脑
KR200285301Y1 (ko) 연장선이 부착된 벽 고정용 콘센트
KR200298225Y1 (ko) 코드 릴
JPH10340770A (ja) 巻取り式コードセット
KR200232251Y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전원콘센트
KR200343339Y1 (ko) 착탈형 콘센트
KR200345620Y1 (ko) 권선장치가 내장된 핸드폰 충전기
KR200205460Y1 (ko) 전선의 여장수단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101477982B1 (ko) 전선의 정리가 가능한 전선 연장 장치
CN214706350U (zh) 一种可延长面板的多功能插座
JP3134070B1 (ja) ケーブル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