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25Y1 - 코드 릴 - Google Patents

코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25Y1
KR200298225Y1 KR2020020027275U KR20020027275U KR200298225Y1 KR 200298225 Y1 KR200298225 Y1 KR 200298225Y1 KR 2020020027275 U KR2020020027275 U KR 2020020027275U KR 20020027275 U KR20020027275 U KR 20020027275U KR 200298225 Y1 KR200298225 Y1 KR 200298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reel
main body
plug
cord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2020020027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25Y1/ko

Link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드 릴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12)과, 보빈(12)에 감겨지는 코드(13)로 구성된 코드 릴(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에 보빈(12)으로부터 연결되어 감겨지는 코드(13)의 일단에는 전원공급 지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1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11)로부터 상기 플러그(14) 측과 전기적으로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보빈에 감겨지는 코드(13) 일단에 콘센트(15)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코드 릴에 감겨진 코드의 일단에 콘센트를 구비하여 전기제품과 연결 될 수 있도록 하고, 코드 릴의 본체 측으로부터 코드의 일단과 연결 설치되는 코드에 플러그를 설치한 구성으로, 전원공급지점에 코드 릴 본체를 비치시키고, 여기서 코드만을 풀어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제품 측의 플러그를 코드 측의 콘센트에 꽂아 사용함으로써, 청소기 사용에 따른 이동이 용이하고, 코드에 무리한 장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전기제품 및 코드 릴 측의 코드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드 릴{Code reel}
본 고안은 코드 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코드 릴에 적용되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상에 따른 전기 기구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코드 릴 및 전기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드 릴은 용도에 따라서 코드를 릴에 감아 필요한 길이만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끌어당겨 사용하고자 하는 전동드릴, 청소기, 음향기기 , 간이 판매대 등과 같은 전기제품에 연결하여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상기한 코드 릴은 사용하는 범위에 맞게 코드의 심선의 굵기, 길이를 고려하여 제품화 한 것으로, 최소 2내지 3M정도의 코드가 감긴 가정용 제품부터 그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제품으로 구분되며, 10M 이상 코드가 감긴 산업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된다.
종래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릴(10)의 본체(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보빈(12)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코드(13)가 감겨지고, 감겨진 코드(13)의 일단에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플러그(4)가 연결되며, 상기 본체(11) 측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제품 측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플러그를 꽂아 하나 이상의 전기제품 측의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기 위한 콘센트(5)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드 릴(10)은 종류에 따라서 코드를 감기 위한 릴은 태엽 스프링(S)이 내장 설치되고, 릴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버튼을 누르면 상기 태엽 스프링의 복귀력을 릴을 역회전시켜 이용하여 자동으로 코드를 감아줄 수 있는 타입이 사용된다.
상기 코드 릴은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제품의 코드길이가 짧을 때 연결하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사용목적이 있는 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지점(P)에는 보빈(12)에 감긴 코드(13)를 풀어서 코드 측에 연결된 플러그(4)를 꼽고, 릴을 포함하는 코드 릴 본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곳으로 감긴 코드를 풀어 주면서 이동하여 상기 본체(11)에 마련된 콘센트(5)에는 해당하는 전기제품(A)의 플러그(B)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예가 보편적이다.
전기제품(A)을 거치형으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간이 판매대에서는 전기제품으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코드 릴로부터 감긴 코드를 풀어 접속시켜 사용하기에 유리하지만, 코드 릴의 본체는 각 종류마다 그 크기가 다르고, 좁은 공간에서는 적지 않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로 공간을 이동하여 가면서 사용하는 전동공구, 전기 청소기의 경우에는 해당하는 공간 범위에서 사용할 것을 감안하여야 하지만, 대부분 사용자는 감각적으로 그 길이만큼 코드를 릴로부터 풀어놓고 사용하는 예가 대부분으로서 심지어는 바닥으로부터 코드 릴 본체를 끌고 다니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릴에 코드가 많이 감겨진 상태에서는 사용도중 불편한 점이 있으며, 코드 릴 본체를 끌고 다님으로서 코드에 가해지는 장력으로 보이지 않게 코드 및 코드 릴 본체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정에서 실내 청소를 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 스팀 청소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상기와 같은 코드 릴로부터 콘센트에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에 있어 코드 릴 본체가 실내바닥으로부터 미끄러져 다니는 상태에서 마찰로 인해 바닥장식을 훼손할 수 있는 우려도 감안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상에 있어 감겨진 코드의 손상은 본체로부터 릴을 분리한 상태에서 코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코드 릴에 적용되는 플러그와 콘센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상에 있어 전기 기구제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코드 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과, 릴에 감겨지는 코드로 구성된 코드 릴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릴로부터 연결되어 감겨지는 코드의 일단에는 전원공급 지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플러그 측과 전기적으로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릴에 감겨지는 코드 일단에 콘센트가 연결 설치된 코드 릴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코드 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코드 릴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인 코드 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드 릴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코드에 멀티형 콘센트가 적용된 코드 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코드 릴 11: 본체
12: 보빈 13: 코드
14: 플러그 15: 콘센트
16: 걸림돌부 17: 흡착빨판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인 코드 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드 릴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 코드에 멀티형 콘센트가 적용된 코드 릴의 사시도이다.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12)과, 릴에 감겨지는 코드(13)로 구성된 코드 릴(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에 릴로부터 연결되어 감겨지는코드(13)의 일단에는 전원공급지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1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11)로부터 상기 플러그(14) 측과 전기적으로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보빈(12)에 감겨지는 코드 일단에는 콘센트(15)가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코드(13)에 연결되는 콘센트(15)는 전기제품(A)의 플러그(a)를 꼽기 위한 어댑터부위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이 특징이다.
소정길이를 갖는 코드(13)을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14)는 본체(11) 측면에 대해 상기 플러그(14)측의 코드(13)를 감아 정리하기 위한 걸림돌부(16)가 원주상에 간격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의 일측면 상에는 다수개의 흡착빨판(17)이 설치되어 비교적 표면이 매끄러운 바닥장판 및 마루바닥에 본체(11)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코드 릴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드 릴(10)의 본체(11) 측에 설치된 보빈(12)에 수회 감겨진 코드(13)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지의 길이까지 충분히 풀어 준다.
그리고, 본체(11)측으로 상기 코드(13)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 플러그(14)는 본체(11)측 걸림돌부(16)로부터 코드(13)를 풀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지점(P)의 콘센트에 꽂아 준다.
이와 같은 상태는 필요로 하는 만큼 풀어진 코드(13)의 일단측 콘센트(15)에전기제품(A)의 플러그(B)를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릴(10)의 본체(11) 일측면에는 설치된 다수개의 흡착빨판(17)을 이용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실내바닥인 경우, 이를 부착하여 코드 릴(10)의 본체(11)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제품은 고정적이거나 유동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사용하는 전기제품(A)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코드 릴(10) 본체(11)를 전원이 공급되는 지점으로부터 위치시켜 놓고, 코드(13)를 보빈(12)으로부터 풀어 코드(13)측에 연결 설치된 콘센트(15)에 전기제품(A) 측의 플러그(B)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상에 있어, 특히 이동식 사용중인 전기 청소기의 경우, 청소기로부터 설치된 플러그(B)와 코드(13) 측의 콘센트(15)만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를 사용하는 공간 범위에서는 상기 코드(13)를 포함하는 상기 콘센트(15)와 청소기 측의 플러그(B)만이 움직일 뿐, 이때 코드 릴(10)의 본체(11)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적인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체(11)는 바닥으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본체로부터 인출된 코드만이 전기제품(A)의 플러그(B)측과 연결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여 종래와 같이 코드 릴 본체를 바닥으로부터 끌고 다니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는 코드(13)를 무리하게 잡아당기게 되어 발생되는 코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코드 릴측의 코드 및 청소기 측의 코드에 가해지는 장력 발생을 없애코드의 내부적인 파손을 방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제품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청소기 제품을 이동하면서 사용함에 있어, 코드 릴 본체의 전체적인 부피에 비해 플러그와 콘센트만이 소정공간에서 유동되는 정도로 청소기 제품 및 코드 릴에 무리를 가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전기제품의 사용에 있어,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고정적인 사용(판매대 등)에 의한 코드 릴일 경우는, 전압의 허용기준에서 다수의 전기제품으로부터 플러그를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제품이 사용되는 지점에서부터 전원을 끌어오고자 하는 지점과는 확연히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판매대의 경우, 좁은 공간에서 코드 릴이 차지하는 공간을 생략할 수 있어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걸림돌부로부터 소정길이의 코드를 풀고, 이 코드 일단에 연결된 플러그를 전원공급을 위한 메인 콘센트로부터 꽂아 전기가 도통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코드 릴의 본체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지점에 둠으로서 공간 활용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코드 릴에 감겨진 코드의 일단에 콘센트를 구비하여 전기제품과 연결 될 수 있도록 하고, 코드 릴의 본체 측으로부터 코드의 일단과 연결 설치되는 코드에 플러그를 설치한 구성으로, 전원공급지점에 코드 릴 본체를 비치시키고, 여기서 코드만을 풀어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전기제품 측의 플러그를 코드 측의 콘센트에 꽂아 사용함으로써, 청소기 사용에 따른 이동이 용이하고, 코드에 무리한 장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전기제품 및 코드 릴 측의 코드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12)과, 보빈(12)에 감겨지는 코드(13)로 구성된 코드 릴(1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에 보빈(12)으로부터 연결되어 감겨지는 코드(13)의 일단에는 전원공급 지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1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본체(11)로부터 상기 플러그(14) 측과 전기적으로 일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릴에 감겨지는 코드(13) 일단에 콘센트(15)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13)에 연결되는 콘센트(15)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꼽기 위한 어댑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4)가 설치되는 본체(11)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를 포함하는 코드(13)를 감아 정리하기 위한 걸림돌부(16)가 원주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측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흡착빨판(1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릴.
KR2020020027275U 2002-09-11 2002-09-11 코드 릴 KR200298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75U KR200298225Y1 (ko) 2002-09-11 2002-09-11 코드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275U KR200298225Y1 (ko) 2002-09-11 2002-09-11 코드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25Y1 true KR200298225Y1 (ko) 2002-12-16

Family

ID=7312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275U KR200298225Y1 (ko) 2002-09-11 2002-09-11 코드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2043B1 (en) Vacuum cleaner
US6253893B1 (en) Flat cable type extension wire
US6077109A (en) Extension socket
US20140238805A1 (en) Cord dispensing apparatus
KR200298225Y1 (ko) 코드 릴
JP3116689U (ja) キックスイッチを有する電源タップ
KR200258703Y1 (ko) 멀티탭
KR200281732Y1 (ko) 자동코드릴식 멀티콘센트
KR200258405Y1 (ko)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KR200330958Y1 (ko) 전기줄을 감아들이는 콘센트박스
KR200161472Y1 (ko) 확장 콘센트
KR101042267B1 (ko) 이중 콘센트
KR101502814B1 (ko) 멀티탭
KR200285301Y1 (ko) 연장선이 부착된 벽 고정용 콘센트
KR200378772Y1 (ko)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
KR200379368Y1 (ko) 코드선 정리기
JP3134070B1 (ja) ケーブルリール
KR20180000164U (ko) 전선을 필요한 만큼만 뽑아서 사용하고,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동으로 전선을 감아들이는 콘센트 박스
KR200357699Y1 (ko) 멀티 콘센트
KR200205460Y1 (ko) 전선의 여장수단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20010035708A (ko) 진공 청소기용 코드릴 장치
JP2004209184A (ja) ヘアードライヤーおよび電源コード収納回転リール
KR200170416Y1 (ko) 코드부 멀티 탭
KR200281735Y1 (ko) 릴형 전기 콘센트
KR200381117Y1 (ko) 가전 기기의 코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