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416Y1 - 코드부 멀티 탭 - Google Patents

코드부 멀티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416Y1
KR200170416Y1 KR2019990018227U KR19990018227U KR200170416Y1 KR 200170416 Y1 KR200170416 Y1 KR 200170416Y1 KR 2019990018227 U KR2019990018227 U KR 2019990018227U KR 19990018227 U KR19990018227 U KR 19990018227U KR 200170416 Y1 KR200170416 Y1 KR 200170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wiring
tap
win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선
Original Assignee
박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선 filed Critical 박경선
Priority to KR2019990018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옥내에서 교류 300V 이하의 소형 전기기구 제품의 전원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코드부 멀티 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2m-3m 혹은 그 이상의 배선코드를 감을 수 있는 코드권치구를 설치하고 배선코드가 배선거리 보다길어질 경우에는 긴 부분 만큼의 배선코드를 코드권치구에 감아 주고 배선코드가 짧을 경우에는 코드권취구에서 풀어서 사용하도륵 하여 취급 관리에 편리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에는 멀티 탭의 바같둘레와 같은 형태의 끼움공을 형성하고 그 외측에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코드수납실을형성한 코드권취구를 멀티 탭에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전원을 접속하고자 배선코드에 연결되어있는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였을 경우 배선거리 보다 긴 배선코드가 길 경우에는 코드권치구에 감아 주고 짧을 경우에는 풀어서 사용하게 되므로 인하여 사용 취급 및 관리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실내를 보다 깨끗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코드부 멀티 탭{Multi tap having cord}
본 고안은 주로 옥내에서 교류 300V 이하의 소형 전기기구 제품의 전원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코드부 멀티 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2m-3m 혹은 그 이상의 배선코드를 감을 수 있는 코드권치구를 설치하고 배선코드가 배선거리 보다길어질 경우에는 긴 부분 만큼의 배선코드를 코드권치구에 감아 주고 배선코드가 짧을 경우에는 코드권취구에서 풀어서 사용하도록 하여 취급 관리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과 같은 코드부 멀티 탭(Cord附 Multi tap)은 주로 가정 및 사무실, 산업현장 등 그 용도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멀티 탭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접속부를 가지고 있으면서 측면 일측으로 끝부분에 플러그를 일체로 연결한 배선코드 길이는 3m-5m 까지의 제품이 판매 유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2m-5m 정도의 배선코드가 연결되어 있는 제품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불필용하게 길거나 혹은 짧으므로 불편을 겪고 있으며 너절하게 배선코드가 바닥에 깔려 있으므로서 취급 관리나 사용상 불편 함이 많았고 또한 배선거리 보다 길이가 긴 배선코드를 정돈하지 아니한 상태로 두게 되면 실내에서 사람들이 걸어 다니다가 부주의로 배선코드에 걸리게 되어 넘어지는 경우가 생길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전원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에서 빠져 버리거나 배선코드가 손상되어 전원이 단전되는 경우가 있었고 특히 사무실에서는 컴퓨터로 업무를 보고 있는 중에 이런 일이 발생하면 업무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었으며 실내가 지저분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코드부 멀티 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플러그 접속부를 형성한 멀티 탭에 코드권치구를 설치하여 전원을 접속시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한 후 배선거리가 배선코드 길이 보다 짧아 배선코드가 길어질 경우에는 긴 부분 만큼의 배선코드를코드권취구에 적절히 감고 다시 배선코드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에는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취급 관리나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요부의 분해사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저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1의 A-A선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일실시예의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일시시예의 조립평면도
도 7은 본 고안 도 5의 B-B선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멀티 탭 110 : 플러그 접속부 200 : 플러그 300 : 배선코드
400 : 코드권치구 410 : 끼움공 420 : 외벽 430 : 수납실
440 : 안내홈 450 : 코드인출안내홈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멀티 탭에 코드권취구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인 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 요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저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도 1의 A-A선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멀티 탭(1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접속부(110)를 형성하고 측면 일측에는 끝부분에 플러그(200)를 연결한 배선코드(300)를 연결하여서 된 코드부 멀티 탭에 있어서, 멀티 탭(100)의 바같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끼움공(410)을 형성하고 외측 둘레에는 수납실(430)과 안내홈(440)이 형성되게 상하로 외벽(420)을 형성하여 코드권취구(400)를 형성한다.
상기의 코드권치구(400)의 끼움공(410)을 멀티 탭(100)의 상측으로 억지끼움을 하면 코드권치구(400)가 멀티 탭(100)에 설치된다.
코드권취구(400)의 전후측에 길이 방향으로 코드인출안내홈(450)을 형성하여배선코드(300)가 권취된 후 그 길이에 따라 배선코드(300)를 편리하게 뽑아 낼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 다른 일실시예의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멀티탭(100)의 바같둘레 측면에 수납실(520)과 안내홈(530)이 형성되게 상하부에 외벽(510)을 형성한 코드권치부(500)를 단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드권취부(500)의 전후측에 길이 방향으로 코드인출안내홈(450)과 같은 코드인출안내홈을 형성하여 배선코드(300)가 권취된 후 그 길이에 따라 배선코드(300)를 편리하게 뽑아 낼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 다른 일실시예의 조립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도 6의 B-B선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내측 수납실(620)의 바닥면(630)에 한쌍의 지지간(640)을 형성하고 외벽(610)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650)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고정부(660)를 형성한 코드권치부(600)를 멀티 탭(100)의 일측으로 고정수단(670)에 의하여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코드권취구(400)의 고정공(410)을 멀티 탭(100)의 바같둘레로 억지끼움을 하면 코드권취구(400)가 멀티 탭(100)에 고정된다. 코드권취구(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원을 접속하고자 플러그(200)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였을 때 배선코드가 배선거리 보다 길어질 경우에는 길어진 길이 만큼의 배선코드(300)를 안내홈(440)으로 집어 넣어 감으면 배선코드(300)가 코드권취구(400)의 내측으로 감기면서 수납실(430)에 수납되고 배선코드(300)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에는 코드권치부(100)에 감겨지는 배선코드(300)를 다시 풀어 배선거리의 길이와 맞춘 후 어느 일방의 코드인출안내홈(450)으로 배선코드(300)를 인출한다.
다음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전원을 접속하고자 플러그(200)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였을 때 배선코드가 배선거리 보다 길어질 경우에는 길이가 긴 부분 만큼의 배선코드(300)를 안내홈(530)으로 집어 넣어 감으면 배선코드(300)가 코드권취구(500)에 감기면서 수납실(520)에 수납되고 배선코드(300)의 길이가 배선거리 보다 짧을 경우에는 다시 배선코드(300)를 풀어서 배선거리와 맞춘 후 배선코드(300)의 길이에 따라 어느 일방의 코드인출안내홈으로 배선코드(300)를 인출한다.
다음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코드권취구(600)의 고정부(660)를 멀티 탭(100)의 저면에 고정수단(670)에 의하여 고정하면 코드권취구(600)가 멀티 탭(100)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코드권취구(600)가 고정된 상태의 멀티 탭(100)에 전원을 접속하고자 플러그(200)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였을 때 배선코드의 길이가 배선거리 보다 길어질 경우에는 길이가 긴 부분 만큼의 배선코드(300)를 안내홈(650)으로 집어 넣어 한쌍의 지지간(640)에 감으면 배선코드(300)가 코드권취구(600)에 감기면서 수납실(620)에 수납되고 배선코드(300)의 길이가 배선거리 보다 짧을 경우에는 코드권치부(100)에 감겨져 있는 배선코드(300)를 다시 풀어 배선거리와 맞춘 후 배선코드(300)의 길이에 따라 안내홈(650)의 어느 일방으로 배선코드(300)를 인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전원을 접속시 배선코드의 길이가 배선거리 보다 길어질 경우에는 길이가 긴 부분 만큼의 배선코드를 코드권치구에 감아주고 배선코드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에는 다시 배선코드를 풀어서 배선거리와 맞추어 사용하므로서 거추장 스러움을 보완하였고 필요에 따라 배선코드를 코드권취구에 감았다 풀었다 하여 배선코드의 길이를 배선거리와 맞추어 사용하므로서 실내를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으며 취급 관리상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3)

  1. 멀티 탭(1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접속부(110)를 형성하고 측면 일측에는 끝부분에 플러그(200)를 연결한 배선코드(300)를 연결하여서 된 코드부 멀티 탭에 있어서, 멀티 탭(100)의 바같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는 끼움공(410)을 형성하고 외측 둘레에는 수납실(430)과 안내홈(440)이 형성되게 상하로 외벽(420)을 형성하며 외벽(420)의 전후에 길이 방향으로 코드인출안내홈(450)을 형성하여서 된 코드권취구(400)를 멀티 탭(100)의 바같둘레에 끼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부 멀티 탭
  2. 제1항에 있어서, 멀티 탭(100)의 바같둘레에 수납실(520)과 안내홈(530)이 형성되게 상하부에 외벽(510)을 형성한 코드권치부(500)를 단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부 멀티 탭.
  3. 내측 수납실(620)의 바닥면(630)에는 한쌍의 지지간(640)을 형성하고 외벽(610)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650)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고정부(660)를 형성한 코드권치부(600)를 멀티 탭(100)의 일측으로 고정수단(670)에 의하여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부 멀티 탭
KR2019990018227U 1999-08-30 1999-08-30 코드부 멀티 탭 KR200170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27U KR200170416Y1 (ko) 1999-08-30 1999-08-30 코드부 멀티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227U KR200170416Y1 (ko) 1999-08-30 1999-08-30 코드부 멀티 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416Y1 true KR200170416Y1 (ko) 2000-02-15

Family

ID=1958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227U KR200170416Y1 (ko) 1999-08-30 1999-08-30 코드부 멀티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4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324A (ko) * 2022-01-28 2023-08-04 (주)라컴텍 고박장치용 라싱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324A (ko) * 2022-01-28 2023-08-04 (주)라컴텍 고박장치용 라싱바
KR102600554B1 (ko) 2022-01-28 2023-11-09 (주)라컴텍 고박장치용 라싱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20001359A1 (it) Presa multipla volante.
US20210376537A1 (en) Reel based outlet relocation/extension system
KR200170416Y1 (ko) 코드부 멀티 탭
CN104973463B (zh) 具有用于存放供电线的内部空间的家电设备
KR102418453B1 (ko) 플러그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콘센트
KR200258405Y1 (ko)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KR10086329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구 제어형 콘센트
CN209928893U (zh) 一种可组合灯箱
KR200296141Y1 (ko) 콘센트
US5412879A (en) Hair dryer handle structure
KR101261531B1 (ko) 멀티 플로어 박스
KR200298225Y1 (ko) 코드 릴
KR200357699Y1 (ko) 멀티 콘센트
KR20150025032A (ko) 멀티탭
KR101608785B1 (ko) 전선 권취장치
KR200378772Y1 (ko)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
KR102118444B1 (ko) 원통형 멀티탭
KR101791602B1 (ko) 다기능 멀티탭
KR200309648Y1 (ko) 다기능 멀티 탭
KR200343601Y1 (ko) 복수의 콘센트 소켓을 가지는 멀티탭
KR200205460Y1 (ko) 전선의 여장수단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101245103B1 (ko) 케이블 클램프 및 서포트가 구비된 멀티 플로어 박스
KR200225816Y1 (ko) 멀티탭 콘센트
KR200284465Y1 (ko) 릴형 케이블 콘센트
KR20190142812A (ko) 다양도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