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180B1 -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 Google Patents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180B1
KR101203180B1 KR1020120090944A KR20120090944A KR101203180B1 KR 101203180 B1 KR101203180 B1 KR 101203180B1 KR 1020120090944 A KR1020120090944 A KR 1020120090944A KR 20120090944 A KR20120090944 A KR 20120090944A KR 101203180 B1 KR101203180 B1 KR 10120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haft
box
cov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락
Original Assignee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9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박스 커버의 상단에서 이에 대해 회전되면서 벌어졌다 닫힐 수 있는 구조의 전선배출도어를 구비하되, 이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콘센트박스 커버의 양측에 탄성적으로 출몰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서 결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걸이용 TV와 같은 전자제품에 연결된 플러그의 모양에 상관없이 콘센트에 결합하였을 때 플러그의 케이블이 콘센트박스 커버의 전선배출도어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므로서 콘센트박스의 커버를 닫을 수 있으면서 케이블이 정결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하여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고, 전선배출도어의 파손이나 케이블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설치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LAYED TYPE OUTLET BOX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걸이용 TV와 같은 전자제품에 연결된 플러그가 'ㅡ'자형이나 'ㄱ'자형과 같은 모양과 상관없이 콘센트에 결합하였을 때 플러그의 케이블이 콘센트박스 커버의 전선배출도어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은 물론 콘센트박스 커버를 완벽하게 닫을 수 있고, 또한 케이블이 정결하게 배출되도록 한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센트박스는 외부 전선으로부터 댁내로 인입되어 벽면에 매설되는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구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전기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통상 콘센트라고 지칭된다.
이러한 콘센트박스와 관련된 선행기술들로는 등록특허 제1020575호, 등록특허 제0896809호, 등록특허 제0854340호, 등록특허 제0840947호 등을 포함한 다수의 특허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 등에 고화질의 화면인 벽걸이용 TV를 설치하여 시청하는 추세로 진행되므로 아파트나 공동주택을 지을 때 벽면에 매설하는 콘센트박스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벽면에 매설된 콘센트박스에는 고화질의 벽걸이 TV에 연결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고 안테나 연결잭에 안테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벽걸이 TV용 플러그는 각 기업에서 생산하는 모델에 따라 플러그와 케이블이 연결된 모양이 각기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즉, 일반적인 전기제품의 플러그의 모양은 'ㄱ'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다른 종류의 플러그의 모양은 'ㅡ'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 벽체 매설용 콘센트박스내의 콘센트는 주로 'ㄱ'자형의 플러그를 결합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ㄱ'자형 플러그를 꽂았을 때는 별로 문제가 없었으나 'ㅡ'자형의 플러그를 꽂을 때에는 콘센트박스 내의 높이가 낮아서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박스의 커버가 닫히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미관상 보기 싫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용신안 등록 제0354304호(2004.06.14.)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기술은 플러그의 모양과 상관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인출된 케이블들이 정결하게 정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콘센트박스 커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전선배출도어가 축과 가이드홈 결합에 의한 단순 회전형 구조를 갖추고 있어 자중에 의해 쉽게 벌어지고, 사용시 인출되는 케이블과의 간섭현상이 유발되며, 전선배출도어 결합시 힌지구조를 이루는 축이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됨은 물론 설치하기가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벽걸이용 TV에 연결된 각종 모양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했을 때 플러그의 모양에 관계없이 콘센트박스의 커버를 닫을 수 있고 케이블이 정결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되, 전원배출도어의 설치를 쉽고 편하게 하여 설치시 파손을 줄이고, 케이블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설치 작업 및 설치 상태 유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 몸체와; 상기 박스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와; 상기 커버틀 몸체 내에 결합되는 전기콘센트 어셈블리 및 안테나 연결잭 어셈블리와; 상기 커버틀 몸체의 상면을 덮어주는 콘센트박스 커버로 구성된 통상의 매설용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기콘센트 어셈블리는 콘센트 결합 케이스와 콘센트로 구성하되 상기 콘센트 결합 케이스의 양측면에 축결합 구멍과 돌기 구멍을 형성하고 콘센트의 양측에는 힌지축과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틀 몸체내에 결합된 콘센트 결합 케이스 내에서 콘센트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콘센트 결합 케이스의 배면에는 콘센트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 몸체의 전후면 상부에는 철근 체결구와 박스 몸체 결속편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의 저면 양단부에는 자석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틀 몸체의 내부 하부면에 부착된 철판에 자력으로 탈/부착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의 상단면에는 'U'형상의 도어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설치홈의 양측면에는 축설치홈이 설치되고; 상기 축설치홈에는 탄성스프링이 내장되며; 상기 축설치홈에는 회동축이 이탈되지 않게 끼워진 후 상기 탄성스프링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도어설치홈에는 전선배출도어가 끼워지되, 전선배출도어의 양측에 형성된 호형상의 가이드구멍이 상기 회동축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축의 각 끝단 직하방의 콘센트박스 커버 전면에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홈과 대응되는 상기 전선배출도어의 대응면에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 각각에는 상기 회동축에 끼워진 채 양단이 수직절곡된 토션스프링의 각 양단이 끼워져 걸림고정되고; 상기 전선배출도어의 상면은 위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과 국부적으로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걸이용 TV와 같은 전자제품에 연결된 플러그의 모양에 상관없이 콘센트에 결합하였을 때 플러그의 케이블이 콘센트박스 커버의 전선배출도어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므로서 콘센트박스의 커버를 닫을 수 있으면서 케이블이 정결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하여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고, 전선배출도어의 파손이나 케이블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설치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박스내에 조립된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콘센트에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플러그가 결합된 콘센트가 회전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박스 커버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콘센트박스내에 2구용 콘센트 어셈블리와 안테나 케이블 연결잭 겸용 전화콘센트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개량된 전선배출도어의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실용 제0354304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실용 제0354304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실용 제0354304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전선배출도어의 구조는 새롭게 개량된 구성으로서,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실용 제0354304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가"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 몸체(10)와; 상기 박스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2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내에 결합되는 전기콘센트 어셈블리(30) 및 안테나 연결잭 어셈블리(4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상면을 덮어주는 콘센트박스 커버(50)로 구성된 통상의 매설용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기콘센트 어셈블리(30)는 양측면에는 축결합 구멍(31)과 돌기구멍(32)이 형성된 콘센트 결합 케이스(33)와 양측면에 힌지축(34)과 걸림돌기(35)가 형성된 콘센트(36)가 상호 결합하여 힌지축(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콘센트 결합 케이스(33)의 배면에는 콘센트(36)가 양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37)을 형성하여 전선배출도어(51)의 방향으로 회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박스 몸체(50)의 전후면 상부에는 철근 체결구(11)와 박스 몸체 결속편(12)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저면 양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석(52)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내부 하부면에 부착된 철판(21)에 자력으로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상부 중앙부에는 전선배출도어(51)를 힌지결합하여 전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벽체에 매설된 콘센트박스(1)의 커버(50)를 열고 콘센트박스(1)의 커버틀 몸체(20)내에 결합되어 있는 콘센트(36)에 'ㅡ'자형의 플러그 (60)를 꽂는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60)의 후부에 연결된 케이블(61)로 인하여 콘센트박스 커버(50)가 닫히지 않게 되므로 콘센트(36)를 전선배출도어(5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플러그(60)도 콘센트(36)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면서 플러그 (60)의 후단부에 연결된 케이블(61)이 커버틀 몸체(20)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케이블(61)을 전선배출도어(51)로 통하여 배출한다.
나아가, 전선배출도어(51) 입구에는 외부로 부터 먼지나 이물, 또는 수분 등을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스폰지를 부착할 수도 있다.
덧붙여,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박스 몸체(10)에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20)내에 2구용 콘센트 어셈블리(70)와 안테나 케이블 연결잭 겸용 전화콘센트 어셈블리(80)를 교체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7에 개시된 구성을 기본 전제로 하고, 상기 전선배출도어(51)가 갖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예견되는 문제들까지 일소시킨 개량형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서와 같이,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상단에 형성된 'U'형상의 도어설치홈(G) 양측에 전선배출도어(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동축(100)이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측면에서 출몰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전선배출도어(51) 체결시 간섭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도어설치홈(G)의 양측벽인 콘센트박스 커버(50) 내부로 축설치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축설치홈(110)의 내부 바닥에는 탄성스프링(120)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20)의 타단은 상기 회동축(100)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100)은 상기 축설치홈(1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때문에, 상기 전선배출도어(51)를 설치할 때 회동축(100)과 전선배출도어(51)가 간섭되면, 상기 회동축(100)이 탄압되면서 눌리게 되어 회동축(100)이 축설치홈(110)으로 인입된다.
그러면, 전선배출도어(51)가 진입하기 쉬워지므로 전선배출도어(51)를 끼우기 편하며, 진입된 후에는 전선배출도어(51)의 양측에 형성된 안내구멍(130)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므로 인입되었던 회동축(100)은 탄성스프링(120)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인출되면서 안내구멍(130)에 끼워져 조립되기 때문에 회동축(100)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선배출도어(51)는 이를 항상 닫으려는 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덜렁거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동축(100)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14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양단은 각각 90°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단부가 각각 콘센트박스 커버(50)와 전선배출도어(51)에 걸림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상단면, 즉 도어설치홈(G)이 형성된 회동축(100)의 끝단 직하방의 콘센트박스 커버(50) 전면에는 일정크기, 다시 말해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크기의 제1걸림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배출도어(510)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제1걸림홈(150)과 대응되는 제2걸림홈(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140)은 그 중심이 회동축(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의 절곡단부는 상기 제1걸림홈(150)에 끼워져 걸림되고, 타단의 절곡단부는 상기 제2걸림홈(160)에 끼워져 걸림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선배출도어(51)는 상기 토션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닫히려는 방향, 즉 벌어지지 않으려는 방향으로 힘이 항상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배출도어(51)가 조립되기 전, 혹은 조립된 후에도 덜렁거리지 않기 때문에 간섭에 의한 파손을 줄이고, 인출되는 전선 혹은 케이블을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선배출도어(51)의 상면(170)은 인출되는 전선 혹은 케이블과 접촉되게 되는데, 상술한 예에서는 전체면이 접촉되기 때문에 전선배출도어(51) 유동시 전선 혹은 케이블에 압력을 과도하게 가할 경우 전선 혹은 케이블이 끊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선배출도어(51)의 상면(170)을 호형상으로 형성하여 전선 혹은 케이블과 접촉되는 면을 극소화시킴으로써 이들에 걸리는 가압력이 과하지 않도록 분산시켜 전선 혹은 케이블의 단선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가이드구멍(130)의 길이방향으로 전선배출도어(51)의 양단 외측면에 각각 일정깊이의 삽입안내홈(180)을 형성해 두면 상기 회동축(100)을 결합할 때 회동축(100)이 상기 가이드구멍(130)으로 끼워지는 것이 수월해져 작업성이 개선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량된 구조를 더 포함함으로써 더욱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콘센트박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 콘센트박스 10: 박스 몸체
11: 철근 체결구 12: 박스 몸체 결속편
20: 커버틀 몸체 21: 철판
30: 전기 콘센트 어셈블리 31: 축결합 구멍
32: 돌기구멍 33: 콘센트 결합 케이스
34: 힌지축 35: 걸림돌기
36: 콘센트 37: 걸림턱
40: 안테나 연결잭 어셈블리 50: 콘센트박스 커버
51: 전선 배출 도어 52: 자석
60: 플러그 61: 케이블
100: 힌지축 110: 축설치홈
120: 탄성스프링 130: 가이드구멍
140: 토션스프링 150: 제1걸림홈
160: 제2걸림홈 170: 상면
180: 삽입안내홈

Claims (1)

  1. 벽체에 매설되는 박스 몸체(10)와; 상기 박스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틀 몸체(2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 내에 결합되는 전기콘센트 어셈블리(30) 및 안테나 연결잭 어셈블리(40)와;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상면을 덮어주는 콘센트박스 커버(50)로 구성된 통상의 매설용 콘센트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기콘센트 어셈블리(30)는 콘센트 결합 케이스(33)와 콘센트(36)로 구성하되 상기 콘센트 결합 케이스(33)의 양측면에 축결합 구멍(31)과 돌기 구멍(32)을 형성하고 콘센트(36)의 양측에는 힌지축(34)과 걸림돌기(35)를 형성하여 상기 커버틀 몸체(20)내에 결합된 콘센트 결합 케이스(33) 내에서 콘센트(36)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콘센트 결합 케이스(33)의 배면에는 콘센트(36)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턱(37)이 형성되며;
    상기 박스 몸체(10)의 전후면 상부에는 철근 체결구(11)와 박스 몸체 결속편(12)이 형성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저면 양단부에는 자석(52)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틀 몸체(20)의 내부 하부면에 부착된 철판(21)에 자력으로 탈/부착되고;
    상기 콘센트박스 커버(50)의 상단면에는 'U'형상의 도어설치홈(G)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설치홈(G)의 양측면에는 축설치홈(110)이 설치되고;
    상기 축설치홈(110)에는 탄성스프링(120)이 내장되며;
    상기 축설치홈(110)에는 회동축(100)이 이탈되지 않게 끼워진 후 상기 탄성스프링(120)에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도어설치홈(G)에는 전선배출도어(51)가 끼워지되, 전선배출도어(51)의 양측에 형성된 호형상의 가이드구멍(130)이 상기 회동축(100)에 끼워지며;
    상기 회동축(100)의 각 끝단 직하방의 콘센트박스 커버(50) 전면에는 제1걸림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홈(150)과 대응되는 상기 전선배출도어(51)의 대응면에는 제2걸림홈(16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홈(150)과 제2걸림홈(160) 각각에는 상기 회동축(100)에 끼워진 채 양단이 수직절곡된 토션스프링(140)의 각 양단이 끼워져 걸림고정되고;
    상기 전선배출도어(51)의 상면(170)은 위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인출되는 전선 또는 케이블과 국부적으로 접촉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20120090944A 2012-08-20 2012-08-20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1203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44A KR101203180B1 (ko) 2012-08-20 2012-08-20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44A KR101203180B1 (ko) 2012-08-20 2012-08-20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180B1 true KR101203180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44A KR101203180B1 (ko) 2012-08-20 2012-08-20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1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84B1 (ko) * 2019-02-01 2019-09-02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50Y1 (ko) 2000-06-27 2000-12-01 삼성중공업주식회사 멀티플렉스 콘센트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50Y1 (ko) 2000-06-27 2000-12-01 삼성중공업주식회사 멀티플렉스 콘센트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184B1 (ko) * 2019-02-01 2019-09-02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372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WO2011150753A1 (zh) 带防护结构的插座
US7967616B1 (en) In-wall mounted receptacle device
GB2435554A (en) Watertight electric socket
JP3172236U (ja) 家具用電源コンセント
KR200443610Y1 (ko) 전선덕트
KR100960653B1 (ko) 공동주택의 전기안전사고 방지용 배전함체
KR10120318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200455528Y1 (ko) 통신 보안 시스템 박스
KR200354304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KR100946416B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1641667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1028139B1 (ko)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CN206172692U (zh) 插座收纳盒以及电源转接装置
JP2008041462A (ja) 安全扉つきコンセント
KR101561630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함 전원박스
CN210006994U (zh) 一种带保险盖的安全型插座
JP2010055837A (ja) プラグ受け装置
CN206293688U (zh) 插座与插头共用的保护套
CN215816576U (zh) 一种户外防水插座
CN213692829U (zh) 一种配电箱的面盖结构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101398447B1 (ko) 매립형 콘센트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