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92B1 -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992B1
KR102125992B1 KR1020180169980A KR20180169980A KR102125992B1 KR 102125992 B1 KR102125992 B1 KR 102125992B1 KR 1020180169980 A KR1020180169980 A KR 1020180169980A KR 20180169980 A KR20180169980 A KR 20180169980A KR 102125992 B1 KR102125992 B1 KR 102125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il
coupling
lighting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1279A (ko
Inventor
조범연
신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ublication of KR2019010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5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for several lighting devices in an end-to-end arrangement, i.e. light t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은, 바디 플레이트 및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LIGHT UNIT AND LIGHT DEVICE TYPE RAIL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 기술과 관련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장 또는 벽면 등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명을 장착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레일형 조명 장치는 레일과 조명 간에 물리적 결합이 되어야 할 뿐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상호 연결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레일 및 조명 등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0593호(2015.08.06)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일 유닛과 조명 유닛 간에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킨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은,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일 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결합부는, 하단부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밀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디부 상에서 상기 자성체 수납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단부의 종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까지의 거리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조명 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부 삽입홈을 포함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탄성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1-1 탄성 결합부 및 제1-2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에 안착되는 제1 기본 프레임, 상기 제1 기본 프레임의 일면 일측에서 돌출되는 제2 기본 프레임, 및 상기 제1 기본 프레임의 일면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3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기본 프레임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기본 프레임과 상기 제1-1 탄성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3 기본 프레임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기본 프레임과 상기 제1-2 탄성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되어 상기 바디 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기본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탄성 결합부; 및 상기 바디 결합부의 양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탄성 결합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부로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측에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양측 하단이 상기 제1-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2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레일 유닛의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자성체의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레일 유닛의 제1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레일 유닛의 제2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 상기 바디 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속부를 수납하는 제1 수납홀; 및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속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는, 상기 조명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에서 상기 제2 수납홀과 연통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3 수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수납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 연결부, 상기 돌출 연결부의 종단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접속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단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접속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은, 일면에 결합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도전 라인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레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 유닛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결합부;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서 상기 한 쌍의 바디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도전 라인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는, 설치면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 상기 장착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장착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레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로서,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장착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 유닛과 결합되는 레일 바디; 상기 레일 바디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결합 돌기부의 양 측면 및 상기 레일 바디의 일면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레일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자성체 수납부;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도전 라인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 라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명 유닛의 자성체와 레일 유닛의 도전 라인이 자기적으로 결합(1차 결합)할 뿐만 아니라, 레일 유닛의 결합 돌기부와 조명 유닛의 레일 결합부가 기계적(또는 물리적)으로 결합(2차 결합)함으로써, 레일 유닛과 조명 유닛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유닛은 각 구성 요소들이 상호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부재가 필요 없어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자체가 간단하고 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결합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결합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에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에서 레일 결합부가 바디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합부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 결합부 및 결합 돌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명 유닛의 길이가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일형 조명 장치(10)는 장착 유닛(100), 레일 유닛(200), 및 조명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유닛(100)은 레일형 조명 장치(10)가 설치되는 면(설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면은 실내 벽면 또는 천장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조물(예를 들어, 가구 등)의 표면이 될 수도 있다. 장착 유닛(100)은 설치면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장착 유닛(100)은 장착부(102),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02)는 설치면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장착부(102)는 설치면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02)는 설치면과 접촉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104)는 장착부(102)의 일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4)는 장착부(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4)는 장착부(102)의 일측에서 장착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06)는 장착부(102)의 타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06)는 장착부(102)와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부(106)는 장착부(102)의 타측에서 장착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장착 유닛(100)의 내부에는 장착부(102),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에 의해 수납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유닛(100)은 하부가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은 수납 공간(S)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의 내면에는 레일 유닛(200)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제1 결합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08)는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의 내면에서 장착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부(108)는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의 내면에 안착 돌기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일 유닛(200)이 수납 공간(S)으로 삽입될 때, 레일 유닛(200)의 양측 하면이 안착 돌기에 안착되면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08)는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의 내면에 삽입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레일 유닛(200)이 수납 공간(S)으로 삽입될 때, 레일 유닛(200)의 양 측면이 삽입 홈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착 유닛(100)과 레일 유닛(200)은 접착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은 장착 유닛(1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은 장착 유닛(100)의 내부에서 장착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은 장착 유닛(100)의 내부에서 장착 유닛(100)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은 레일 바디(202), 결합 돌기부(204),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바디(202)는 장착 유닛(100)의 내부에서 장착 유닛(100)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레일 바디(202)는 장착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바디(202)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돌기부(204)는 레일 유닛(200)이 조명 유닛(3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돌기부(204)는 레일 바디(202)의 일면(즉, 조명 유닛(300)을 향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204)는 레일 바디(202)의 일면 중앙에서 레일 바디(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204)는 제1 결합 돌기부(204-1) 및 제2 결합 돌기부(2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204-1)는 레일 바디(20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204-1)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 돌기부(204-1)의 양 측면은 제1 결합 돌기부(204-1)의 수직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부(204-2)는 제1 결합 돌기부(204-1)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부(204-2)의 상단은 제1 결합 돌기부(204-1)의 하단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부(204-2)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06)은 결합 돌기부(204)의 양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06)은 결합 돌기부(2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도전 라인(206)은 제1 결합 돌기부(204-1)의 양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06)은 제1 결합 돌기부(204-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도전 라인(206)은 전원 공급을 위한 도전 라인일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레일 바디(202)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레일 바디(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결합 돌기부(204)를 사이에 두고 레일 바디(202)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레일 바디(202)의 일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도전 라인(208)은 조명 제어(예를 들어, 디밍 제어, 색 온도 제어 등)를 위한 도전 라인일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 중 어느 하나는 전원 공급을 위한 도전 라인으로 사용되고,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 중 다른 하나는 조명 제어를 위한 도전 라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이 모두 전원 공급을 위한 도전 라인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조명 제어를 위한 도전 라인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레일 유닛(200)이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조명 유닛(300)은 레일 유닛(200)의 하부에서 레일 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측면부(104) 및 제2 측면부(106)는 조명 유닛(300)의 양측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조명 유닛(300)은 레일 유닛(200)의 하부에서 제1 측면부(104)와 제2 측면부(10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 유닛(300)은 레일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명 유닛(300)은 레일 유닛(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조명 유닛(300)은 레일 유닛(200)으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3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3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명 유닛(300)은 바디부(302), 바디 결합부(304), 조명부(306), 제1 접속부(308), 제2 접속부(310), 레일 결합부(312), 자성체 수납부(314), 및 확산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02)는 조명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부(30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302)를 통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302)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30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302)는 바디 플레이트(302a), 제1 가이드부(302b), 및 제2 가이드부(302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302a)는 조명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바디 플레이트(302a)는 평판 플레이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가이드부(302b)는 바디 플레이트(302a)의 양측 상부에 각각 돌출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02b)는 바디 플레이트(30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302b)의 내측에는 제1 가이드부(30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1 가이드 홈(302b-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부(302b)의 외측에는 제1 가이드부(30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2 가이드 홈(302b-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02c)는 바디 플레이트(302a)의 양측 하부에 각각 돌출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02c)는 바디 플레이트(30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02c)의 내측에는 제2 가이드부(302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 홈(302c-1)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디 플레이트(302a)의 양측 하부에 각각 돌출된 제2 가이드부(302c) 사이의 공간에는 조명부(306)가 수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 결합부(304)는 바디부(302)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결합부(304)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 결합부(304)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바디 결합부(304)는 베이스 플레이트(304a), 제1 측면 플레이트(304b), 제2 측면 플레이트(304c), 가이드 결합부(304d), 및 제1 접속부 지지부(304e)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4a)는 조명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04a)에는 제1 접속부(308)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수납홀(304a-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납홀(304a-1)은 베이스 플레이트(304a)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302)에는 제2 접속부(31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수납홀(30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납홀(303)은 바디부(302)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측면 플레이트(304b)는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일측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304b)는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일측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304c)는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타측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측면 플레이트(304c)는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타측에서 상부 및 하부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측면 플레이트(304b) 및 제2 측면 플레이트(304c)의 하단에는 바디 결합부(3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가이드 홈(304f)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304d)는 제1 측면 플레이트(304b) 및 제2 측면 플레이트(304c)의 상단에서 각각 바디부(302)를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304d)에는 제2 접속부(310)의 상단부가 수납되는 제3 수납홀(304d-1)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수납홀(304d-1)은 가이드 결합부(304d)를 수직하게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바디 결합부(304)가 바디부(302)와 결합되는 경우, 제3 수납홀(304d-1)은 제2 수납홀(303)과 연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10)는 제3 수납홀(304d-1)을 통해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304d)는 바디부(302)의 제1 가이드부(302b)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즉, 가이드 결합부(304d)의 내부에는 제1 가이드부(302b)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결합홈(304d-2)이 가이드 결합부(304d)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홈(304d-2)은 제1 가이드부(302b)의 형상과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결합부(304d)가 바디부(302)로 이동할 때 가이드 결합부(304d)의 내측(즉, 가이드 결합홈(304d-2)의 양측)이 제1-1 가이드 홈(302b-1) 및 제1-2 가이드 홈(302b-2)에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제1 접속부 지지부(304e)는 돌출 연결부(304e-1), 수직부(304e-2), 및 커버부(304e-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연결부(304e-1)는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내측에서 제1 수납홀(304a-1)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수직부(304e-2)는 돌출 연결부(304e-1)의 종단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직부(304e-2)는 제1 접속부(308)와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304e-3)는 수직부(304e-2)의 단부에서 제1 접속부(308)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304e-3)는 제1 접속부(308)의 상단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명부(306)는 바디부(302)의 하부에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306)는 제2 가이드부(302c) 사이의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조명부(306)는 발광 소자(미도시)가 탑재될 수 있는 기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부(306)는 조명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306)의 일면(바디 플레이트(302a)를 향하는 면)에는 제1 접속부(308) 및 제2 접속부(310)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306)의 타면(확산부(316)를 향하는 면)에는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 등)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8)는 조명부(306)의 일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8)는 조명부(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부(308)는 조명부(306)의 일면의 양 단부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부(310)는 조명부(306)의 일면에서 제1 접속부(308)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10)는 조명부(3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300)에서 제1 접속부(308) 및 제2 접속부(3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접속부(308)는 조명부(306)의 일면에서 조명부(306)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속부(308)는 제1 고정부(308a), 제1 수직 연결부(308b), 및 제1 라인 접촉부(30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08a)는 조명부(306)의 일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08a)는 조명부(306)의 타면에 형성되는 발광 소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직 연결부(308b)는 제1 고정부(308a) 및 제1 라인 접촉부(308c)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직 연결부(308b)는 제1 고정부(308a)의 단부에서 조명부(306)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라인 접촉부(308c)는 제1 수직 연결부(308b)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과 조명 유닛(300)의 결합 시, 제1 라인 접촉부(308c)는 제1 도전 라인(206)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1 접속부(308)를 통해 전원이 발광 소자(미도시)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라인 접촉부(308c)는 제1 도전 라인(206)과 접촉이 잘 되도록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 라인(206)은 제1 수직 연결부(308b)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접속부(310)는 조명부(306)의 일면에서 조명부(306)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평행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속부(310)는 바디부(302)의 제2 수납홀(303)에서 조명부(306)의 일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10)는 제2 고정부(310a), 제2 수직 연결부(310b), 및 제2 라인 접촉부(3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10a)는 조명부(306)의 일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10a)는 조명부(306)의 타면에 형성되는 발광 소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직 연결부(310b)는 제2 고정부(310a) 및 제2 라인 접촉부(310c)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직 연결부(310b)는 제2 고정부(310a)의 단부에서 조명부(306)에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라인 접촉부(310c)는 제2 수직 연결부(310b)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과 조명 유닛(300)의 결합 시, 제2 라인 접촉부(310c)는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도전 라인(208) 및 제2 접속부(310)를 통해 조명 제어 신호가 발광 소자(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라인 접촉부(310c)는 바디 결합부(304)의 제3 수납홀(304d-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라인 접촉부(310c)는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속부(310)는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제2 도전 라인(208)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라인 접촉부(310c)는 제1 절곡부(310c-1), 제2 절곡부(310c-2), 및 제3 절곡부(310c-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곡부(310c-1)는 제2 수직 연결부(310b)의 단부에서 제1 방향으로 제2 수직 연결부(310b)와 수직하게(즉, 조명부(306)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절곡부(310c-2)는 제1 절곡부(310c-1)의 단부에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의 상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절곡부(310c-3)는 제2 절곡부(310c-2)의 단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10)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자성체 수납부(314)가 바디부(302)에 용이하게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성체 수납부(314)의 슬라이드 장착 및 탈착 시 제2 접속부(310)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제2 접속부(3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접속부(310)의 상단 높이는 자성체(318)의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 제2 접속부(310)의 제2 라인 접촉부(310c)는 자성체(318) 보다 상부로 돌출(레일 유닛(200)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2 접속부(310)는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 시 제2 접속부(310)의 탄성력에 의해 전기적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레일 결합부(312)는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312)가 레일 유닛(200)의 결합 돌기부(204)와 결합됨에 따라, 레일 유닛(200)과 조명 유닛(300)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300)에서 레일 결합부(312)가 바디 결합부(304)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결합부(312)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레일 결합부(312)와 결합 돌기부(204)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레일 결합부(312)는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면서 바디 결합부(304)와 결합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312)는 기본 프레임(312a), 연결부(312b), 제1 탄성 결합부(312c), 및 제2 탄성 결합부(312d)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프레임(312a)은 제1 기본 프레임(312a-1), 제2 기본 프레임(312a-2), 및 제3 기본 프레임(312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본 프레임(312a-1)은 바디 결합부(304)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기본 프레임(312a-1)은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기본 프레임(312a-1)의 중앙에는 결합 돌기부(204)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 삽입홈(312a-4)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 삽입홈(312a-4)은 결합 돌기부(20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본 프레임(312a-2)은 제1 기본 프레임(312a-1)의 일면(제1 접속부(308)를 향하는 면) 일측에서 제1 기본 프레임(312a-1)과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3 기본 프레임(312a-3)은 제1 기본 프레임(312a-1)의 일면 타측에서 제1 기본 프레임(312a-1)과 수직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3 기본 프레임(312a-3)은 제2 기본 프레임(312a-2)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312b)는 기본 프레임(312a)과 제1 탄성 결합부(312c)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 결합부(312c)는 제1-1 탄성 결합부(312c-1) 및 제1-2 탄성 결합부(312c-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2b)는 제1 연결부(312b-1) 및 제2 연결부(312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312b-1)는 제2 기본 프레임(312a-2)과 제1-1 탄성 결합부(312c-1)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2b-1)는 제2 기본 프레임(312a-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12b-2)는 제3 기본 프레임(312a-3)과 제1-2 탄성 결합부(312c-2)를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12b-2)는 제3 기본 프레임(312a-3)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312b-1) 및 제2 연결부(312b-2)는 제2 기본 프레임(312a-2) 및 제3 기본 프레임(312a-3)의 단부 사이에서 상호 마주보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2b-1)와 제2 연결부(312b-2)의 마주보는 단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2b-1) 및 제2 연결부(312b-2)는 바디 결합부(304)의 제1 수납홀(304a-1)로 삽입되어 조명부(306)의 일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탄성 결합부(312c)는 제1-1 탄성 결합부(312c-1) 및 제1-2 탄성 결합부(312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탄성 결합부(312c-1)는 제1 연결부(312b-1)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1 탄성 결합부(312c-1)는 결합 돌기부(204)의 일측 형상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1 탄성 결합부(312c-1)는 제1 기본 프레임(312a-1) 및 제2 기본 프레임(312a-2)과 각각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1 탄성 결합부(312c-1)는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제1-2 탄성 결합부(312c-2)는 제2 연결부(312b-2)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2 탄성 결합부(312c-2)는 결합 돌기부(204)의 타측 형상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2 탄성 결합부(312c-2)는 제1 기본 프레임(312a-1) 및 제3 기본 프레임(312a-3)과 각각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2 탄성 결합부(312c-2)는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레일 유닛(200)과 조명 유닛(300)의 결합 시 결합 돌기부(204)는 제1-1 탄성 결합부(312c-1) 및 제1-2 탄성 결합부(312c-2) 사이로 삽입되면서 결합 돌기부(204)의 양측이 제1-1 탄성 결합부(312c-1) 및 제1-2 탄성 결합부(312c-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2 탄성 결합부(312d)는 제1 기본 프레임(312a-1)의 일면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결합부(312d)는 탄성 연결부(312d-1) 및 돌출부(312d-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312d-1)는 제1 기본 프레임(312a-1)의 일면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연결부(312d-1)는 제1 기본 프레임(312a-1)의 일면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312d-1)는 제2 기본 프레임(312a-2)의 측면 및 제3 기본 프레임(312a-3)의 측면과도 연결될 수 있다.
돌출부(312d-2)는 탄성 연결부(312d-1)의 하단에서 외측 및 하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12d-2)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돌출부(312d-2)는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312)가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할 때, 제2 탄성 결합부(312d)는 바디 결합부(304)의 양 측면에 형성된 걸림홀(321)에 삽입되면서 걸림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레일 결합부(312)와 바디 결합부(304)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성체 수납부(314)는 바디부(302)의 상부에서 바디부(302)와 결합될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는 한 쌍의 바디 결합부(304)의 사이에서 바디부(302)와 결합될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의 일단부는 바디부(302)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의 타단부는 바디부(302)의 타측에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는 바디부(302)의 제1 가이드부(302b)를 따라 슬라이드 되며 결합될 수 있다. 즉, 자성체 수납부(314)는 제1 가이드부(302b)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의 내부에는 제1 가이드부(302b)가 삽입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수납부(314)의 양측 하단은 제1-1 가이드 홈(302b-1) 및 제1-2 가이드 홈(302b-2)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성체 수납부(314)에는 자성체(318)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홈(314a)이 마련될 수 있다. 자성체(318)는 자성체 수납홈(314a)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자성체(318)는 자성체 수납홈(314a)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자성체(318)는 자성체 수납부(314)에 의해 금속 재질의 바디부(302)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자성체(318)는 자성체 수납부(314)의 하부에서 자성체 수납홈(314a)으로 삽입되며, 자성체(318)의 상단부가 자성체 수납홈(314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성체(318)와 자성체 수납부(314) 사이에 절연 테이프 등이 마련되어 자성체(318)를 바디부(302)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성체(318)와 바디부(302)를 절연시키는 다양한 구조 및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자성체 수납부(314)의 자성체 수납홈(314a)에 자성체(318)를 삽입하여 수납함으로써, 조명 유닛(300)에 자성체(318)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에는 별도의 기계 장치에 의해 자성체를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조립으로 자성체(318)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자성체(318)는 제2 도전 라인(208)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자성체(318)는 도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도체일 수도 있다. 자성체(318)는 레일 유닛(200)과 조명 유닛(300)의 결합 시 제2 도전 라인(208)과 자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레일 유닛(200)과 조명 유닛(300) 간의 물리적 결합은 1차적으로 레일 결합부(312)와 결합 돌기부(204)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자성체(318)와 제2 도전 라인(208)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부(316)는 바디부(3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확산부(316)는 바디부(302)의 하부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확산부(316)는 바디부(302)의 하부에서 제2 가이드부(302c)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확산부(316)의 양측 상단에는 확산부(3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슬라이드 결합부(316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결합부(316a)는 제2 가이드 홈(302c-1)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확산부(316)는 바디부(302) 보다 긴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확산부(316)는 바디부(302)와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이 바디부(30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확산부(316)의 양단에는 마감 부재(32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확산부(316)의 외측으로 돌출된 양단부에는 바디 결합부(304)의 하단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디 결합부(304)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3 가이드 홈(304f)이 확산부(316)의 제2 슬라이드 결합부(316a)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 결합부(304)의 가이드 결합부(304d)는 바디부(302)의 제1 가이드부(302b)에 슬라이드 결합되게 된다. 즉, 바디 결합부(304)는 확산부(316) 및 바디부(302)와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이중으로 슬라이드 결합되게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명 유닛(300)의 조립 순서를 간단히 살펴보면, 바디부(302)의 하부에 제1 접속부(308) 및 제2 접속부(310)가 장착된 조명부(306)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확산부(316)를 바디부(302)의 하단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즉, 확산부(316)의 제2 슬라이드 결합부(316a)를 바디부(302)의 제2 가이드 홈(302c-1)으로 삽입하면서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면, 바디부(302)의 양단에서 확산부(316)의 양단이 돌출되게 된다.
또한, 자성체(318)가 수납된 자성체 수납부(314)를 바디부(302)의 상단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즉, 자성체 수납부(314)의 양측 하단을 바디부(302)의 제1-1 가이드 홈(302b-1) 및 제1-2 가이드 홈(302b-2)으로 삽입하면서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확산부(316)와 자성체(318)의 조립 순서는 서로 바뀌어도 상관 없다.
다음으로, 바디 결합부(304)를 바디부(302)의 양단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 결합부(304)의 가이드 결합부(304d)는 바디부(302)의 제1-1 가이드 홈(302b-1) 및 제1-2 가이드 홈(302b-2)으로 삽입하면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결합부(304)의 제3 가이드 홈(304f)으로 확산부(316)의 제2 슬라이드 결합부(316a)가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디 결합부(304)의 베이스 플레이트(304a)의 전단과 바디부(302)의 일측 단부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일 결합부(312)가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 상부에서 아래로 가압되면서 바디 결합부(304)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일 결합부(312)가 바디 결합부(304)와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 결합부(304)가 바디부(302)의 양단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 유닛(300)의 조립 순서는 그 이외의 다양한 순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자성체(318)가 수납된 자성체 수납부(314)를 바디부(302)의 상단에 슬라이드 결합시킨 후, 바디 결합부(304)를 바디부(302)의 양단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일 결합부(312)를 바디 결합부(304)의 단부 상부에서 아래로 가압하여 바디 결합부(304)와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바디부(302)의 하부에 조명부(306)를 고정시킨 후, 확산부(316)를 바디부(302)의 하단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각 구성 요소들이 상호 슬라이드 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체결 부재가 필요 없어 구성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자체가 간단하고 조립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디부(302)의 중심부에는 돌출부(302-1)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02-1)는 바디부(302)의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레일 유닛(200)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302-1)는 바디부(302)의 길이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02-1)의 양단은 바디부(302)의 일면(가이드 결합부(304d)가 안착되는 면)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돌출부(302)는 조명 유닛(300)의 일면(레일 유닛(200)을 향하는 면)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바디부(302)의 일단에서 돌출부(302-1)의 일단까지의 거리를 제1 거리(L1)라고 하면, 바디 결합부(304)의 하단부가 바디부(302)의 일단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경우, 바디부(302)의 일단에서 바디 결합부(304)의 상단부의 종단까지의 거리인 제2 거리(L2)는 제1 거리(L1)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거리(L2)는 제1 거리(L1)와 같거나 제1 거리(L1)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L2)는 바디 결합부(304)의 가이드 결합부(304d)의 길이일 수 있다.
제2 거리(L2)가 제1 거리(L1) 보다 짧은 경우, 돌출부(302-1)의 일단과 바디 결합부(304)의 상단부의 종단 간에는 제2 거리(L2)와 제1 거리(L1)의 차이에 대응하는 이격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302-1)는 자성체 수납부(314)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돌출부(302-1)가 자성체 수납부(314)이고 제1 거리와 제2 거리가 동일한 실시예가 도시된 경우이다.
한편, 조명 유닛(30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유닛(300)은 길이가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조명 유닛(300)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조명 유닛(300)의 일측에 형성된 바디 결합부(304)와 밀착되어 제1 자성체 수납부(314-1)가 형성되고, 조명 유닛(300)의 타측에 형성된 바디 결합부(304)와 밀착되어 제2 자성체 수납부(3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302) 상에서 제1 자성체 수납부(314-1) 및 제2 자성체 수납부(314-2) 사이에 돌출부(302-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거리(L1)는 제2 거리(L2)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출부(302-1)의 양단과 각 바디 결합부(304)의 상단부의 종단 간에 마련되는 이격된 공간(제2 거리(L2)와 제1 거리(L1)의 차이에 대응하는 이격된 공간)에 제1 자성체 수납부(314-1) 및 제2 자성체 수납부(314-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302-1)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조명 유닛(300)에서 이격된 공간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자성체 수납부 이외에 조명 유닛(3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부재(예를 들어, 자성체 수납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이나 자성체를 구비하지 않는 부재 등)가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자성체 수납부 및 길이 조절 부재 중 하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자성체 수납부 및 길이 조절 부재가 다양한 순서로 조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거리(L2)가 제1 거리(L1)와 같거나 제1 거리(L1)보다 짧게 마련됨에 따라, 조명 유닛(300)의 길이가 다양하게 조절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거리(L2)를 제1 거리(L1)보다 짧게 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 수납부의 개수를 증가시켜 레일 유닛(200)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명 유닛(300)의 일면이 빈 공간 없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조명 유닛(30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명 유닛(400)의 바디부(402)는 자성체 수납부(414)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바디부(402)는 자성체(418)가 수용되는 자성체 수납부(414)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402) 및 자성체 수납부(414)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조명 유닛(400)은 스팟 조명 형태의 조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팟 조명 형태의 조명부(미도시)는 바디부(40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레일형 조명 장치
100 : 장착 유닛
102 : 장착부
104 : 제1 측면부
106 : 제2 측면부
108 : 제1 결합부
200 : 레일 유닛
202 : 레일 바디
204 : 결합 돌기부
204-1 : 제1 결합 돌기부
204-2 : 제2 결합 돌기부
206 : 제1 도전 라인
208 : 제2 도전 라인
300 : 조명 유닛
302, 402 : 바디부
302a : 바디 플레이트
302b : 제1 가이드부
302b-1 : 제1-1 가이드 홈
302b-2 : 제1-2 가이드 홈
302c : 제2 가이드부
302c-1 : 제2 가이드 홈
302-1 : 돌출부
303 : 제2 수납홀
304, 404 : 바디 결합부
304a : 베이스 플레이트
304a-1 : 제1 수납홀
304b : 제1 측면 플레이트
304c : 제2 측면 플레이트
304d : 가이드 결합부
304d-1 : 제3 수납홀
304d-2 : 가이드 결합홈
304e : 제1 접속부 지지부
304e-1 : 돌출 연결부
304e-2 : 수직부
304e-3 : 커버부
304f : 제3 가이드 홈
306, 406 : 조명부
308, 408 : 제1 접속부
308a : 제1 고정부
308b : 제1 수직 연결부
308c : 제1 라인 접촉부
310, 410 : 제2 접속부
310a : 제2 고정부
310b : 제2 수직 연결부
310c : 제2 라인 접촉부
310c-1 : 제1 절곡부
310c-2 : 제2 절곡부
310c-3 : 제3 절곡부
312, 412 : 레일 결합부
312a : 기본 프레임
312a-1 : 제1 기본 프레임
312a-2 : 제2 기본 프레임
312a-3 : 제3 기본 프레임
312a-4 : 돌기부 삽입홈
312b : 연결부
312b-1 : 제1 연결부
312b-2 : 제2 연결부
312c : 제1 탄성 결합부
312c-1 : 제1-1 탄성 결합부
312c-2 : 제1-2 탄성 결합부
312d : 제2 탄성 결합부
312d-1 : 탄성 연결부
312d-2 : 돌출부
314, 414 : 자성체 수납부
314a : 자성체 수납홈
316, 416 : 확산부
316a : 제2 슬라이드 결합부
318, 418 : 자성체
320 : 마감 부재
321 : 걸림홀

Claims (20)

  1.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일 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결합부는,
    하단부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밀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디부 상에서 상기 자성체 수납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단부 종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까지의 거리 이하로 마련되는, 조명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조명 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부 삽입홈을 포함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5. 조명 유닛으로서,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조명 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는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 및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는 돌기부 삽입홈을 포함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는 제1-1 탄성 결합부 및 제1-2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레임은,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에 안착되는 제1 기본 프레임, 상기 제1 기본 프레임의 일면 일측에서 돌출되는 제2 기본 프레임, 및 상기 제1 기본 프레임의 일면 타측에서 돌출되는 제3 기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기본 프레임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기본 프레임과 상기 제1-1 탄성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3 기본 프레임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기본 프레임과 상기 제1-2 탄성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 결합부의 단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되어 상기 바디 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기본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탄성 결합부; 및
    상기 바디 결합부의 양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탄성 결합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홀을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
  7.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조명 유닛.
  8.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조명 유닛.
  9.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부로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측에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측에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내부에 상기 제1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양측 하단이 상기 제1-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1-2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마련되는, 조명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레일 유닛의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의 상단부의 높이는 상기 자성체의 높이 보다 높게 마련되는, 조명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레일 유닛의 제1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레일 유닛의 제2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
  12.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레일 유닛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가 수납되는 자성체 수납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
    상기 레일 유닛의 제1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상기 레일 유닛의 제2 도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결합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속부를 수납하는 제1 수납홀; 및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속부를 수납하는 제2 수납홀을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결합부는,
    상기 조명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에서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가이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결합부는,
    상기 가이드 결합부에서 상기 제2 수납홀과 연통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속부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제3 수납홀을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바디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수납홀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출 연결부, 상기 돌출 연결부의 종단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 접속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접속부의 상단을 커버하며 마련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접속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
  1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명 유닛.
  17. 일면에 결합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도전 라인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 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레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명 유닛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조명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상기 바디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바디 결합부;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
    상기 바디부의 상단에서 상기 한 쌍의 바디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는 자성체 수납부; 및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도전 라인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일 유닛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 결합부는,
    하단부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밀착되고, 상단부가 상기 바디부 상에서 상기 자성체 수납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바디 결합부의 상단부 종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의 일단까지의 거리 이하로 마련되는, 조명 유닛.
  18. 설치면에 장착되는 장착 유닛, 상기 장착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장착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레일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레일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로서,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장착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 유닛과 결합되는 레일 바디;상기 레일 바디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 및
    상기 결합 돌기부의 양 측면 및 상기 레일 바디의 일면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레일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도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자성체 수납부;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수납되고, 상기 도전 라인과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자성체; 및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전 라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체 수납부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자성체 수납부에 의해 상기 바디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레일형 조명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바디 플레이트 및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바디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0180169980A 2018-02-22 2018-12-27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125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067 2018-02-22
KR20180021067 2018-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79A KR20190101279A (ko) 2019-08-30
KR102125992B1 true KR102125992B1 (ko) 2020-06-23

Family

ID=6768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980A KR102125992B1 (ko) 2018-02-22 2018-12-27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42982B2 (ko)
EP (1) EP3751194A4 (ko)
KR (1) KR102125992B1 (ko)
CN (1) CN111758004B (ko)
WO (1) WO2019164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828B1 (ko) * 2019-09-11 2022-04-05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CN113258383A (zh) * 2021-04-25 2021-08-13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器、磁吸导电轨道系统及照明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31B1 (ko) * 2007-11-05 2009-05-06 양경호 자석 부착식 조명등의 라인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4509A (en) * 1992-01-15 1992-10-13 291, Inc. Low voltage magnetic track light system
US7063451B2 (en) * 2004-04-21 2006-06-20 Wei Hong Shen Track light assembly and track light equipped with the same
US8348492B2 (en) * 2008-05-06 2013-0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vable LED track luminaire
ES2749392T3 (es) * 2009-02-24 2020-03-20 Signify Holding Bv Montaje magnético direccionable para emisor de luz, una fuente de luz, una base y un sistema de iluminación
US8388353B2 (en) * 2009-03-11 2013-03-05 Cercacor Laboratories, Inc. Magnetic connector
US8727586B2 (en) * 2010-11-05 2014-05-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ing device having magnetic member and magnet
WO2012082194A1 (en) * 2010-12-15 2012-06-21 Molex Incorporated Energy consuming device and assembly
US8436521B2 (en) * 2011-03-21 2013-05-07 Henry Hyunbo Shim Lamp device with magnetic socket
KR101103028B1 (ko) * 2011-04-27 2012-01-05 오토커넥터주식회사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US8858013B2 (en) * 2011-04-29 2014-10-14 Hussmann Corporation Low heat transfer magnetic shelf attachment
US8220953B1 (en) * 2011-11-08 2012-07-17 TSM Associates, Inc. Modular power grid illumination system
US9200791B2 (en) * 2012-10-19 2015-12-01 Feelux Co., Ltd. Lighting apparatus having rail unit
KR101351358B1 (ko) * 2013-03-05 2014-01-23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20150070884A1 (en) * 2013-09-11 2015-03-12 Lai-Fu Wu Multifunctional lamp
KR101573218B1 (ko) * 2014-01-20 2015-12-01 주식회사 필룩스 이동식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8562A (ko) * 2014-01-24 2015-08-03 주식회사 필룩스 커튼걸이용 조명장치
KR101572994B1 (ko) 2014-01-29 2015-11-30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일체형 전원공급용 조명레일
KR101532869B1 (ko) * 2014-03-31 2015-07-06 이승환 엘이디 조명등장치
KR101562795B1 (ko) * 2014-04-29 2015-10-23 주식회사 필룩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622022B1 (ko) * 2014-05-21 2016-05-17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CN204084003U (zh) * 2014-08-11 2015-01-07 宁波凯耀电器制造有限公司 组装式导轨橱柜灯
KR101584928B1 (ko) * 2015-01-05 2016-01-21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831B1 (ko) * 2007-11-05 2009-05-06 양경호 자석 부착식 조명등의 라인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42982B2 (en) 2022-02-08
KR20190101279A (ko) 2019-08-30
CN111758004A (zh) 2020-10-09
EP3751194A1 (en) 2020-12-16
WO2019164116A1 (ko) 2019-08-29
US20200400291A1 (en) 2020-12-24
CN111758004B (zh) 2022-10-25
EP3751194A4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4716B1 (en) Lighting apparatus
US9803807B2 (en) Wiring rail platform based LED light fixture
US20130294081A1 (en) Secure system for energy consuming device
EP2722584A2 (en) Lighting apparatus
US9200791B2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rail unit
KR102125992B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US11022288B2 (en) LED light apparatus
US11287122B1 (en) Light assembly connector for insertion into both straight and curved lighting tracks
WO2022228206A1 (zh) 一种磁吸导电轨道及照明设备
CN216980954U (zh) 轨道适配器、轨道及电气系统
US11187389B2 (en) LED track element for track lighting systems
JP3139175U (ja) 照明器具構造
JP6653447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577278B2 (ja) 発光ユニットおよび発光ユニットを備える照明装置
JP2018018579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2241534B1 (ko)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454436B1 (ko) 조명장치
CN103017013B (zh) 照明器具
KR102339398B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20210079155A (ko) 조명장치
JP7027962B2 (ja) 照明器具
JP6268644B2 (ja) 照明器具
US12000577B2 (en) Light assembly connector for insertion into a lighting track
WO2016052481A1 (ja) 光源格納部材
JP7378289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