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34B1 -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34B1
KR102241534B1 KR1020190097519A KR20190097519A KR102241534B1 KR 102241534 B1 KR102241534 B1 KR 102241534B1 KR 1020190097519 A KR1020190097519 A KR 1020190097519A KR 20190097519 A KR20190097519 A KR 20190097519A KR 102241534 B1 KR102241534 B1 KR 102241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unit
side frames
rail
rai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752A (ko
Inventor
조범연
장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9009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21V21/35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with direct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supporting element and electric conductors running along the gu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제1 레일 유닛 및 제1 레일 유닛과 일렬로 배열되는 제2 레일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에 걸쳐서 마련되고, 제1 레일 유닛과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바디부, 바디부에 마련되고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및 바디부 측으로 수직하게 가압되어 바디부와 수직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CONNECTOR UNIT AND LIGHTING DEVICE OF RAIL TYP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넥터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천장 또는 벽면 등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명을 장착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레일은 복수 개가 천장 등을 따라 배열되는데, 이때 레일 간 전력을 전달해주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0593호(2015.08.06)
개시되는 실시예는 새로운 구성의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일렬로 배열되는 제2 레일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및 상기 바디부 측으로 수직하게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 시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을 따라 마련되는 제1 결합 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결합 돌기들 사이에 마련되고 마련되는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돌기는,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길이와는 다른 길이인 제2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체결부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길이와는 다른 길이인 제2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고, 상부로 2차 절곡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바디부의 수직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광을 확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의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제1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일 유닛의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제2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과 상기 제1 레일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레일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는, 제1 레일 유닛;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일렬로 배열되는 제2 레일 유닛;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마련되는 조명부; 및 상기 바디부 측으로 수직하게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 유닛의 양단부에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홈부 및 제2 홈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커넥터 유닛을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마커부를 표시함으로써, 제1 레일 유닛과 제2 레일 유닛에 걸쳐 있는 커넥터 유닛의 무게 중심을 바르게 잡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커넥터 유닛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 간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 유닛에서 커버부와 바디부를 수직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와 바디부 간의 결합을 위해 바디부에 체결부를 전체 길이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그로 인해 바디부의 사출 성형 공정이 용이해지고 바디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커넥터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커넥터 장치에서 커넥터 유닛이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유닛이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유닛의 일단부에 제1 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와 커버부의 수직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의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커넥터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커넥터 장치에서 커넥터 유닛이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유닛이 제1 레일 유닛 및 제2 레일 유닛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레일형 커넥터 장치(10)는 레일 유닛(200) 및 커넥터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은 장착 유닛(미도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 유닛(미도시)은 레일형 커넥터 장치(10)의 설치면(예를 들어, 실내 벽면 또는 천장 또는 가구와 같은 구조물 표면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일 유닛(200)은 장착 유닛(미도시)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일 유닛(200)은 복수 개가 장착 유닛(미도시)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레일 유닛(200)에는 조명 유닛(미도시)이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레일 유닛(200)이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은 장착 유닛(미도시)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레일 유닛(200-1)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레일 유닛(200-2)은 제1 레일 유닛(200-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레일 유닛(200-1)은 레일 바디(202), 결합 돌기부(204),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바디(202)는 장착 유닛(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바디(202)는 장착 유닛(미도시)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돌기부(204)는 제1 레일 유닛(200-1)이 커넥터 유닛(3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돌기부(204)는 레일 바디(202)의 일면(즉, 커넥터 유닛(300)을 향하는 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돌기부(204)는 레일 바디(200)의 일면 중앙에서 레일 바디(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06)은 결합 돌기부(204)의 양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전 라인(206)은 결합 돌기부(2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도전 라인(206)은 결합 돌기부(204)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레일 바디(202)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레일 바디(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전 라인(208)은 결합 돌기부(204)를 사이에 두고 레일 바디(202)의 일면 양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도전 라인(208)은 레일 바디(202)의 일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전 라인(206)은 전원 공급을 위한 도전 라인이고, 제2 도전 라인(208)은 조명 제어(예를 들어, 디밍 제어, 색 온도 제어 등)를 위한 도전 라인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도전 라인(206)이 조명 제어를 위한 도전 라인이고, 제2 도전 라인(208)이 전원 공급을 위한 도전 라인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도전 라인(206) 및 제2 도전 라인(208)이 모두 전원 공급을 위한 도전 라인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조명 제어를 위한 도전 라인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 유닛(300)은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하부에서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커넥터 유닛(300)은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하부에서 제1 측면부(104)와 제2 측면부(106)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300)이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과 각각 결합됨에 따라, 커넥터 유닛(300)은 제1 레일 유닛(200-1)과 제2 레일 유닛(20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 유닛(300)은 바디부(302), 제1 접속부(304), 제2 접속부(306), 레일 결합부(308), 자성체부(310), 및 커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02)는 커넥터 유닛(3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커넥터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302)는 각각 제1 레일 유닛(200-1)과 제2 레일 유닛(200-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일측이 제1 레일 유닛(200-1)과 결합되고, 바디부(302)의 타측이 제2 레일 유닛(200-2)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302) 내에는 조명부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커넥터 유닛(300)은 내부에 별도의 조명부를 구비할 수도 있고, 조명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제1 레일 유닛(200-1)과 제2 레일 유닛(200-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마커부(321)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마커부(321)는 마커부(321)가 표시된 지점이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임을 나타내도록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마커부(321)는 바디부(302)의 외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부(321)는 바디부(302)의 외면에 바디부(302)의 높이 방향을 따라 표시될 수 있으나, 마커부(321)의 표시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눈에 보이는 형태이면 어떤 형태이든 포함될 수 있다.
즉, 커넥터 유닛(3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제1 레일 유닛(200-1) 또는 제2 레일 유닛(200-2) 측으로 치우치는 경우, 커넥터 유닛(300)의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 간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바, 마커부(321)를 통해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이 제1 레일 유닛(200-1)과 제2 레일 유닛(200-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접속부(304)는 바디부(302)의 내부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4)는 커넥터 유닛(300)이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과 결합되는 경우,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1 도전 라인(206)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4)는 결합 돌기부(20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결합 돌기부(204)가 제1 접속부(304)로 삽입되어 물리적으로 결합되면서 제1 도전 라인(206)이 제1 접속부(304)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4)는 제1-1 접속부(304-1) 및 제1-2 접속부(3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접속부(304-1)는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2 접속부(304-2)는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1 접속부(304-1) 및 제1-2 접속부(304-2)는 바디부(302)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1 접속부(304-1)는 제1 레일 유닛(200-1)의 제1 도전 라인(206)과 접촉되고, 제1-2 접속부(304-2)는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1 도전 라인(206)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1 도전 라인(206)들이 제1-1 접속부(304-1) 및 제1-2 접속부(304-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제1 레일 유닛(200-1)의 제1 도전 라인(206) → 제1-1 접속부(304-1) → 제1-2 접속부(304-2) →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1 도전 라인(206)의 순서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 접속부(306)는 바디부(302)의 내부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06)는 커넥터 유닛(300)이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과 결합되는 경우,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06)는 단부가 바디부(302)의 외부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접속부(306)는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제2 도전 라인(208)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속부(306)는 제2-1 접속부(306-1) 및 제2-2 접속부(3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접속부(306-1)는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2 접속부(306-2)는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1 접속부(306-1) 및 제2-2 접속부(306-2)는 바디부(302)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1 접속부(306-1)는 제1 레일 유닛(200-1)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되고, 제2-2 접속부(306-2)는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2 도전 라인(208)들이 제2-1 접속부(306-1) 및 제2-2 접속부(306-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제1 레일 유닛(200-1)의 제2 도전 라인(208) → 제2-1 접속부(306-1) → 제2-2 접속부(306-2) →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2 도전 라인(208)의 순서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레일 결합부(308)는 바디부(302)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레일 결합부(308)는 바디부(302)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제1 레일 결합부(308-1) 및 바디부(302)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2 레일 결합부(3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 결합부(308-1)는 제1 레일 유닛(200-1)의 결합 돌기부(204)와 결합되고, 제2 레일 결합부(308-2)는 제2 레일 유닛(200-2)의 결합 돌기부(204)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일 결합부(308-1)는 바디부(302)의 일단에서 바디부(302)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레일 결합부(308-2)는 바디부(302)의 타단에서 바디부(302)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302)의 일단과 제1 레일 결합부(308-1) 사이에 제1 홈부(323)가 마련되고, 바디부(302)의 타단과 제2 레일 결합부(308-2) 사이에 제2 홈부(325)가 마련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유닛(300)의 일단부에 제1 홈부(32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레일 결합부(308-1)가 바디부(302)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d1)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됨에 따라, 바디부(302)의 일단과 제1 레일 결합부(308-1) 사이에 제1 홈부(323)가 형성되게 된다.
제1 홈부(323) 및 제2 홈부(325)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넣고 커넥터 유닛(300)을 잡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홈부(323) 및 제2 홈부(325)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커넥터 유닛(300)을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유닛(300)은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커넥터 유닛(300)을 탈착 시키기가 쉽지 않은데, 바디부(302)의 양 단에 제1 홈부(323) 및 제2 홈부(325)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넥터 유닛(300)을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자성체부(310)는 바디부(302)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디부(302)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자성체부(310)는 절연 재질의 자성체 수납부(314)에 수납되어 바디부(302)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자성체부(310)는 제1 자성체부(310-1) 및 제2 자성체부(3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성체부(310-1)는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2 자성체부(310-2)는 바디부(302)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디부(302)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성체부(310-1)는 제1 레일 유닛(200-1)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제2 자성체부(310-2)는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커넥터 유닛(300)과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 간의 물리적 결합은 1차적으로 레일 결합부(308)와 결합 돌기부(204)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자성체부(310)와 제2 도전 라인(208)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3차적으로 제1 접속부(304)와 결합 돌기부(204)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유닛(300)과 제1 레일 유닛(200-1) 및 제2 레일 유닛(200-2) 간에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자성체부(310)가 제1 자성체부(310-1) 및 제2 자성체부(310-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성체부(310)의 개수는 그 이외에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부(310)는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경우, 자성체부(310)는 자성체부(3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이 제1 레일 유닛(200-1)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타측이 제2 레일 유닛(200-2)의 제2 도전 라인(208)과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부(310)의 길이 방향의 중심은 마커부(321)와 대응되어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312)는 바디부(3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312)는 바디부(302)와 수직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결합은 커버부(312)와 바디부(302)가 상하 관계에 위치하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결합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바디부(302) 내에 조명부가 구비되는 경우, 커버부(312)는 바디부(302) 내의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 유닛(300)은 바디부(302) 내에 조명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레일 유닛(200-1)과 제2 레일 유닛(200-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도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31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312)는 베이스 프레임(331),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 및 마감 프레임(33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31)은 커넥터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31)은 평판 플레이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프레임(331)은 바디부(302)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 측에서 베이스 프레임(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은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333-1) 및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333-1)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333-1)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측에서 베이스 프레임(33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은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333-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고, 상부로 2차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 간의 간격(폭)은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333-1) 간의 간격(폭) 보다 좁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부(302)의 양 측 단부가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에는 결합 돌기(337)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337)는 커버부(312)와 바디부(302) 간 수직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337)는 제1 결합 돌기(337-1) 및 제2 결합 돌기(3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337-1)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의 양 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337-1)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의 외면에서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을 따라 제1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337-2)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에서 제1 결합 돌기(337-1)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337-2)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제1 결합 돌기(337-1)들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337-2)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을 따라 제2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길이는 제1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즉, 제2 결합 돌기(337-2)는 제1 결합 돌기(337-1) 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길이가 제1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돌기(337-2)는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3개의 제2 결합 돌기(337-2)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결합 돌기(337-2)는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 프레임(335)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마감 프레임(335)은 커버부(312)의 양 단부를 마감하며 마련될 수 있다. 마감 프레임(335)은 베이스 프레임(331)의 양 단부에서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333)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302)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302)는 바디 프레임(341),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34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41)은 커넥터 유닛(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341)은 평판 플레이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343)은 바디 프레임(341)의 양측에서 바디 프레임(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343)은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 및 한 쌍의 제2-2 측면 프레임(34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은 바디 프레임(341)의 양측에서 하부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은 바디 프레임(341)의 양측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의 단부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333-2)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에는 체결부(347)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347)는 커버부(312)와 바디부(302) 간 수직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347)는 제1 체결부(347-1) 및 제2 체결부(34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347-1)는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의 양단부에서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을 따라 제1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347-1)는 제1 결합 돌기(337-1)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47-1)는 제1 결합 돌기(337-1)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312)와 바디부(302)가 수직 결합하는 경우, 제1 결합 돌기(337-1)와 제1 체결부(347-1)가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7-1)는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의 내면이 절개되어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을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체결부(347-2)는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에서 제1 체결부(347-1)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47-2)는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제1 체결부(347-1)들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47-2)는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을 따라 제2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347-2)는 제2 결합 돌기(337-2)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347-2)는 제2 결합 돌기(337-2)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체결부(347-2)는 제2 결합 돌기(337-2)와 체결될 수 있다.
커버부(312)와 바디부(302)가 수직 결합하는 경우, 제2 결합 돌기(337-2)와 제2 체결부(347-2)가 체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체결부(347-2)는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3-1)을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34-1)의 내면이 절개되어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2-2 측면 프레임(343-2)은 바디 프레임(341)의 양측에서 상부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2-2 측면 프레임(343-2)은 바디 프레임(341)의 양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302)와 커버부(312)의 수직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디부(302)는 커버부(3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디부(302)가 커버부(3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커버부(312)가 바디부(302)의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커버부(312)를 바디부(302) 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결합 돌기(337-1)가 제1 체결부(347-1)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제2 결합 돌기(337-2)가 제2 체결부(347-2)에 삽입되어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부(312)와 바디부(302)를 수직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312)와 바디부(302) 간의 결합을 위해 바디부(302)에 체결부(347)를 전체 길이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그로 인해 바디부(302)의 사출 성형 공정이 용이해지고 바디부(30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조명 장치의 바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부(302)는 조명부(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345)는 바디 프레임(341)의 일면(도 8에서는 바디 프레임(341)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345)는 LED 또는 OLED 등과 같은 발광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345)는 바디 프레임(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접속부(304) 및 제2 접속부(306)는 조명부(3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커넥터 유닛(300)이 조명부(345)를 포함하는 경우, 커버부(312)는 조명부(345)에서 발생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레일형 커넥터 장치
200 : 레일 유닛
200-1 : 제1 레일 유닛
200-2 : 제2 레일 유닛
202 : 레일 바디
204 : 결합 돌기부
206 : 제1 도전 라인
208 : 제2 도전 라인
300 : 커넥터 유닛
302 : 바디부
304 : 제1 접속부
304-1 : 제1-1 접속부
304-2 : 제1-2 접속부
306 : 제2 접속부
306-1 : 제2-1 접속부
306-2 : 제2-2 접속부
308 : 레일 결합부
308-1 : 제1 레일 결합부
308-2 : 제2 레일 결합부
310 : 자성체부
310-1 : 제1 자성체부
310-2 : 제2 자성체부
312 : 커버부
314 : 자성체 수납부
321 : 마커부
323 : 제1 홈부
325 : 제2 홈부
331 : 베이스 프레임
333 :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
333-1 :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
333-2 :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
335 : 마감 프레임
337 : 결합 돌기
337-1 : 제1 결합 돌기
337-2 : 제2 결합 돌기
341 : 바디 프레임
343 :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
343-1 : 한 쌍의 제2-1 측면 프레임
343-2 : 한 쌍의 제2-2 측면 프레임
345 : 조명부
347 : 체결부
347-1 : 제1 체결부
347-2 : 제2 체결부

Claims (18)

  1.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일렬로 배열되는 제2 레일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및
    상기 바디부 측으로 수직하게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을 따라 제1 결합 돌기;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에서 상기 제1 결합 돌기들 사이에 마련되는 제2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는,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는, 상기 제1 길이와는 다른 길이인 제2 길이로 마련되는, 커넥터 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 시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체결부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제1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1 길이와는 다른 길이인 제2 길이로 마련되는, 커넥터 유닛.
  8.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일렬로 배열되는 제2 레일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및
    상기 바디부 측으로 수직하게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고, 상부로 2차 절곡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 시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바디부의 수직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단이 상기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에 안착되는, 커넥터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성체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하는 광을 확산시키도록 마련되는, 커넥터 유닛.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의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제1 레일 결합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레일 유닛의 결합 돌기부와 결합되는 제2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일단과 상기 제1 레일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홈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레일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2 홈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14. 제1 레일 유닛;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일렬로 배열되는 제2 레일 유닛;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걸쳐서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 유닛과 상기 제2 레일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결합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레일 유닛 및 상기 제2 레일 유닛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 마련되는 조명부; 및
    상기 바디부 측으로 수직하게 가압되어 상기 바디부와 수직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1-1 측면 프레임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고, 상부로 2차 절곡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제1-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을 따라 마련되고 제1 길이로 마련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체결부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길이와 다른 길이인 제2 길이로 마련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의 양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을 따라 마련되고 제1 길이로 마련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에서 상기 제1 체결부들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길이와 다른 길이인 제2 길이로 마련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0190097519A 2019-08-09 2019-08-09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2241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519A KR102241534B1 (ko) 2019-08-09 2019-08-09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519A KR102241534B1 (ko) 2019-08-09 2019-08-09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752A KR20210017752A (ko) 2021-02-17
KR102241534B1 true KR102241534B1 (ko) 2021-04-16

Family

ID=7473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519A KR102241534B1 (ko) 2019-08-09 2019-08-09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232B1 (ko) * 2021-06-21 2023-08-30 최진태 전원 공급 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187B1 (ko) * 2016-06-10 2018-04-30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924B1 (ko) * 2007-03-30 2009-06-15 (주)온앤오프 조명장치
KR101477671B1 (ko) * 2012-09-21 2014-12-30 주식회사 네패스이앤씨 엘이디 조명장치
KR101572994B1 (ko) 2014-01-29 2015-11-30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일체형 전원공급용 조명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187B1 (ko) * 2016-06-10 2018-04-30 주식회사 린노 라인 타입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752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599B1 (en) Line type lighting apparatus
US10113718B2 (en) Retrofit system and method for replacing linear fluorescent lamp with LED modules
AU2006241303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power cente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US9618194B2 (en) LED lighting system
KR101713054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US20130107501A1 (en) Suspension Device For Presenting Goods, Having A Profile Rail And A Primary Support That Can Be Hung Therein
CN109681821B (zh) 吸顶灯及其灯体、安装座
US10079459B2 (en) Detached power supply apparatus and shelving system having same
EP3018437A1 (en) Refrigerator
KR102241534B1 (ko)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KR101695696B1 (ko) 냉장고
KR101595955B1 (ko) 등기구용 광원 모듈 체결 장치
EP3391782A1 (en) A shelf electrical supply and shelf electrical supply system having same
KR20180092059A (ko) Led 조명장치
US11242982B2 (en) Lighting unit and rail type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US7393223B1 (en) Electrical mounting connector for a bi-pin fluorescent bulb
KR102059342B1 (ko) 조명 장치
ES2719547T3 (es) Sistema para suministrar y distribuir electricidad y configurado para equipar un dispositivo de estantería
US11545798B2 (en) Power supply rail system
KR102339398B1 (ko) 조명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CN102777810A (zh) 发光装置和背光源灯条
US9863618B2 (en) Configurable planar lighting system
US11986093B2 (en) Shelf holding structur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power supply
CN109672040B (zh) 吸顶灯
KR101660511B1 (ko) 평판형 광원 모듈 경사각 체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