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232B1 - 전원 공급 키트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3232B1 KR102573232B1 KR1020210080253A KR20210080253A KR102573232B1 KR 102573232 B1 KR102573232 B1 KR 102573232B1 KR 1020210080253 A KR1020210080253 A KR 1020210080253A KR 20210080253 A KR20210080253 A KR 20210080253A KR 102573232 B1 KR102573232 B1 KR 102573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power
- terminals
- module
- electro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키트에 관한 것이다. 급전 레일은 절연성을 갖는 전극 지지대, 및 전극 지지대의 앞면에 장착되며 도전성 자성체로 형성된 한 쌍의 급전 전극들을 구비한다. 입력 모듈은 절연성을 갖는 입력 모듈 하우징과, 입력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급전 전극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입력 모듈 단자들, 및 입력 모듈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전원 어댑터와 접속되는 전원 입력부를 구비한다. 급전 모듈은 절연성을 갖는 급전 모듈 하우징과, 급전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급전 전극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급전 모듈 단자들, 및 급전 모듈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원 공급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건축물에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전원 공급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의 건축물에는 옥내배선이 시설되고, 콘센트가 옥내배선에 연결되어 벽체 속에 매입되거나 벽체 밖으로 노출됨으로써, 옥내의 전기기기에 전기를 공급한다.
옥내배선과 콘센트는 건축물이 지어질 때 전기 사용 장소에 맞춰 시설되므로, 전등과 같은 조명기구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조명기구를 원하는 곳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하고자 할 경우, 별도로 배선작업을 해야 하거나, 이동식 콘센트인 멀티 탭을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주변 콘센트와 접속시켜야 한다. 그런데, 벽체 속에 배선작업을 하기는 어렵고, 벽체 밖으로 배선작업을 하거나 멀티 탭을 이용하는 경우 노출되는 배선 또는 전원 케이블로 인해 미관상 좋지 못하다.
근래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콘센트에 접속해서 충전할 수 있는데, 콘센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콘센트 주변에서만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곳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충전하기 위해 멀티 탭을 이용할 수 있으나, 멀티 탭과 그 전원 케이블의 노출로 인해 미관상 좋지 못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미관을 해치지 않고 전기기기에 편리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전원 공급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급전 레일과, 전원 어댑터와, 입력 모듈, 및 급전 모듈을 포함한다. 급전 레일은 절연성을 갖고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연장된 전극 지지대, 및 전극 지지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극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전극 지지대의 앞면에 장착되며 도전성 자성체로 형성된 한 쌍의 급전 전극들을 구비한다.
전원 어댑터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입력 모듈은 절연성을 갖는 입력 모듈 하우징과, 입력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급전 전극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입력 모듈 단자들, 및 입력 모듈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전원 어댑터와 접속되는 전원 입력부를 구비한다.
급전 모듈은 절연성을 갖는 급전 모듈 하우징과, 급전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급전 전극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급전 모듈 단자들, 및 급전 모듈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키트는 벽체 밖으로 배선 작업을 하거나 멀티 탭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관을 해치지 않고도, 사용자가 조명기구를 원하는 곳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키트는 급전 모듈에 LED 광원을 내장시켜 조명을 만들어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키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입력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급전 모듈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급전 모듈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급전 모듈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중계 모듈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중계 모듈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입력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급전 모듈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급전 모듈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급전 모듈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중계 모듈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중계 모듈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키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입력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급전 모듈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키트(100)는 적어도 하나의 급전 레일(110)과, 전원 어댑터(120)와, 입력 모듈(130), 및 급전 모듈(140)을 포함한다.
급전 레일(110)은 전극 지지대(111), 및 한 쌍의 급전 전극(116)들을 구비한다. 전극 지지대(111)는 절연성을 갖고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연장된다. 전극 지지대(111)는 절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지지대(111)는 압출 공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극 지지대(111)는 앞면에 급전 전극(116)들을 장착한다. 전극 지지대(111)는 앞면에 한 쌍의 장착홈(112)들이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홈(112)들은 중간에 격벽(113)으로 구획된다. 격벽(113)은 장착홈(112)들에 장착된 급전 전극(116)들 사이에 끼워져 급전 전극(116)들을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112)은 입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턱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홈(112)들은 각 입구가 걸림턱들에 의해 좁게 형성됨으로써,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내부에 장착된 급전 전극(116)들의 전방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극 지지대(111)는 뒷면에 고정홈(114)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4)은 입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턱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지지대(111)가 벽체 등에 체결된 핀 또는 볼트의 헤드를 고정홈에 끼워서 걸림 처리함으로써, 벽체 등에 지지될 수 있다. 전극 지지대(111)는 뒷면이 양면 테이프에 의해 벽체 등에 부착될 수도 있다.
한 쌍의 급전 전극(116)들은 전극 지지대(111)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전극 지지대(111)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전극 지지대(111)의 앞면에 장착되며 도전성 자성체로 형성된다. 급전 전극(116)들은 각각 사각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져 전극 지지대(111)의 장착홈(112)들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급전 전극(116)들은 도전성을 가지므로, 입력 모듈(130)을 통해 전원 어댑터(120)의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이 각각 접속되면, 급전 전극(116)들을 따라 직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급전 전극(116)들은 자성체로 각각 형성되므로, 입력 모듈 단자(136)들과 급전 모듈 단자(146)들에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급전 전극(116)들은 전극 지지대(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입력 모듈 단자(136)들과 급전 모듈 단자(146)들은 급전 레일(11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되어 급전 전극(116)들에 부착될 수 있다. 급전 전극(116)은 SUS 404와 같이 영구자석에 붙을 수 있는 스테인리스 강 또는 규소 강 등의 도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어댑터(120)는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LED 조명기구(10)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12V 직류 전원이 공급될 경우, 전원 어댑터(120)는 220V 교류 전원의 상용 전원을 12V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원 어댑터(120)는 공지의 다양한 전원 어댑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모듈(130)은 입력 모듈 하우징(131)과, 한 쌍의 입력 모듈 단자(136)들, 및 전원 입력부(137)를 구비한다. 입력 모듈 하우징(131)은 절연성을 가짐으로써, 입력 모듈 단자(136)들 간에 절연시킨다. 입력 모듈 하우징(131)은 하우징 본체(132)와 하우징 커버(133)가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입력 모듈 단자(136)들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급전 전극(116)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성 구조물(134)을 관통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절연성 구조물(134)은 하우징 본체(132)의 내부공간에 위치 유지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32)는 내부공간을 갖고, 한쪽 부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입력 모듈 단자(136)들을 각각 인출시킬 수 있는 홀들을 갖는다. 하우징 본체(132)는 절연성 구조물(134)에 조립된 입력 모듈 단자(136)들을 개구 부위를 통해 수용하여 바닥의 홀들을 통해 인출시킨 후, 개구 부위가 하우징 커버(133)로 덮일 수 있다. 하우징 커버(133)는 하우징 본체(132)에 볼트 체결 또는 걸림 체결 등과 같은 기계적 체결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입력 모듈 하우징(131)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급전 전극(116)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다.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전원 어댑터(120)와 접속된 전원 입력부(137)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급전 전극(116)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자력에 의해 급전 전극(116)들에 부착되어 접속되므로, 반복적인 접속시에도 급전 전극(116)들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급전 전극(116)들에 면 접촉된 상태로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다. 각각의 입력 모듈 단자(136)는 전극 지지대(111)의 장착홈(112)에 삽입되어 급전 전극(116)에 부착될 수 있는 두께로 이루어진다.
입력 모듈 단자(136)들은 철, 알루미늄, 니켈 등을 주성분으로 형성되어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입력 모듈 단자(136)는 절연성을 갖는 경우, 입력 모듈 단자(136)의 표면이 도전성 금속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전원 입력부(137)는 입력 모듈 단자(13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전원 어댑터(120)와 접속된다. 전원 입력부(137)는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어댑터(120)와 접속되어 입력 모듈 단자(136)들에 직류 전원을 전달한다.
전원 입력부(137)는 내부에 접속 핀이 돌출되어 전원 어댑터(120)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입력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전원 입력부(137)는 입력 포트가 노출되게 입력 모듈 하우징(131)에 수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37)는 전원 어댑터(120)의 플러그 형태에 맞게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급전 모듈(140)은 급전 모듈 하우징(141)과, 한 쌍의 급전 모듈 단자(146)들, 및 전원 출력부(147)를 구비한다. 급전 모듈 하우징(141)은 절연성을 가짐으로써, 급전 모듈 단자(146)들 간에 절연시킨다. 급전 모듈 하우징(141)은 하우징 본체(142)와 하우징 커버(143)가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급전 모듈 단자(146)들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급전 모듈 단자(146)들은 급전 전극(116)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성 구조물을 관통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절연성 구조물은 전술한 입력 모듈(130)의 절연성 구조물(134)과 유사하게 구성되어, 하우징 본체(142)의 내부공간에 위치 유지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42)는 내부공간을 갖고, 한쪽 부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급전 모듈 단자(146)들을 각각 인출시킬 수 있는 홀들을 갖는다. 하우징 본체(142)는 절연성 구조물에 조립된 급전 모듈 단자(146)들을 개구 부위를 통해 수용하여 바닥의 홀들을 통해 인출시킨 후, 개구 부위가 하우징 커버(143)로 덮일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3)는 하우징 본체(142)에 기계적 체결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급전 모듈 단자(146)들은 급전 모듈 하우징(141)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급전 전극(116)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다. 급전 모듈 단자(146)들은 급전 전극(116)들에 부착된 상태로 급전 전극(116)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 출력부(147)를 통해 출력한다. 급전 모듈 단자(146)들은 입력 모듈 단자(136)들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출력부(147)는 급전 모듈 단자(14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로, 전원 출력부(147)는 출력 단자를 갖는 급전 케이블일 수 있다. 급전 케이블은 케이블(147a)의 한쪽 단이 급전 모듈 하우징(141)을 관통해 급전 모듈 단자(146)들에 납땜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급전 모듈 하우징(141) 밖에 위치한 케이블(147a)의 다른 쪽 단에 출력 단자(147b)를 가질 수 있다.
출력 단자(147b)는 LED 조명기구(10)의 전원입력 포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LED 조명기구(10)는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이 공급 전원의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과 일치해야 구동하는 경우, 급전 모듈(140)은 출력 단자(147b)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이 LED 조명기구(10)의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과 일치하도록 급전 모듈 단자(146)들을 손쉽게 위치 변경해서 급전 레일(110)에 부착함으로써, LED 조명기구(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전원 출력부(147)는 출력 단자(147b)가 케이블(147a) 없이 급전 모듈 단자(14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급전 모듈 하우징(141)에 노출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모듈(240)의 전원 출력부(247)는 USB 포트일 수 있다. USB 포트는 USB 단자들이 급전 모듈 단자(14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접속 부위가 급전 모듈 하우징(141)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USB 포트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모듈(340)은 전원 출력부(347), 예컨대 도선에 의해 급전 모듈 단자(146)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급전 모듈 하우징(341)에 수용된 상태로 광섬유(349)와 접속되는 LED 광원(34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전 모듈 하우징(341)은 하우징 본체(342)와 하우징 커버(343)가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급전 모듈 단자(146)들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급전 모듈 단자(146)들은 급전 전극(116)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성 구조물(344)을 관통해서 지지될 수 있다.
LED 광원(348)은 LED 단자들에 의해 전원 출력부(347)로 급전 모듈 단자(146)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광섬유 접속 포트(348a)가 급전 모듈 하우징(341)에 노출되게 장착된다.
LED 광원(348)은 광섬유(349)와 접속된 상태로 광섬유(349)에 광을 공급하여 광섬유(349)를 발광시킴으로써,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급전 모듈(34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기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LED 광원(348)을 내장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만들어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다.
한편, 급전 레일(110)은 복수 개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키트(100)는 중계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모듈(150)은 중계 모듈 하우징(151), 및 한 쌍의 중계 모듈 단자(156)들을 구비한다.
중계 모듈 하우징(151)은 절연성을 가짐으로써, 중계 모듈 단자(156)들 간에 절연시킨다. 중계 모듈 하우징(151)은 하우징 본체(152)와 하우징 커버(153)가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하게 됨으로써, 중계 모듈 단자(156)들의 조립 또는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계 모듈 단자(156)들은 급전 전극(116)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절연성 구조물을 관통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절연성 구조물은 전술한 입력 모듈(130)의 절연성 구조물(134)과 유시하게 구성되어, 하우징 본체(152)의 내부공간에 위치 유지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52)는 내부공간을 갖고, 한쪽 부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중계 모듈 단자(156)들을 각각 인출시킬 수 있는 홀들을 갖는다. 하우징 본체(152)는 절연성 구조물에 조립된 중계 모듈 단자(156)들을 개구 부위를 통해 수용하여 바닥의 홀들을 통해 인출시킨 후, 개구 부위가 하우징 커버(153)로 덮일 수 있다. 하우징 커버(153)는 하우징 본체(152)에 기계적 체결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계 모듈 단자(156)들은 중계 모듈 하우징(151)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상호 인접한 급전 레일(110)들의 급전 전극(116)들에 걸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다.
중계 모듈 단자(156)들은 한쪽 부위가 한쪽 급전 레일(110)의 급전 전극(116)들에 부착되고, 다른 쪽 부위가 다른 쪽 급전 레일(110)의 급전 전극(116)들에 부착됨으로써, 급전 레일(116)들 간에 통전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전원 어댑터(120)가 입력 모듈(130)을 통해 급전 레일(110)들 중 어느 한쪽에만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다른 쪽 급전 레일(110)에도 중계 모듈(150)에 의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급전 레일(11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끝 부위끼리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모듈(150)의 중계 모듈 단자(156)들은 각각 일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전 레일(110)들이 직교 방향으로 끝 부위끼리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모듈(150)의 중계 모듈 단자(156')들은 각각 90도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 공급 키트(100)에 의하면, 콘센트로부터 전기 사용 장소까지 급전 레일(110)들을 중계 모듈(150)들로 연결시켜가며 적절히 배치한 후, 입력 모듈(130)과 급전 모듈(140, 240, 340)을 급전 레일(11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시킴으로써, 전기 사용 장소의 조명기구(10)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원 공급 키트(100)는 벽체 밖으로 배선 작업을 하거나 멀티 탭을 이용하는 것보다 미관을 해치지 않고도, 사용자가 조명기구(10)를 원하는 곳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조명기구 100..전원 공급 키트
110..급전 레일 111..전극 지지대
116..급전 전극 120..전원 어댑터
130..입력 모듈 136..입력 모듈 단자
137..전원 입력부 140, 240, 340..급전 모듈
146..급전 모듈 단자 147..전원 출력부
150..중계 모듈 156..중계 모듈 단자
348..LED 광원 349..광섬유
110..급전 레일 111..전극 지지대
116..급전 전극 120..전원 어댑터
130..입력 모듈 136..입력 모듈 단자
137..전원 입력부 140, 240, 340..급전 모듈
146..급전 모듈 단자 147..전원 출력부
150..중계 모듈 156..중계 모듈 단자
348..LED 광원 349..광섬유
Claims (5)
- 절연성을 갖고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연장된 전극 지지대, 및 상기 전극 지지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전극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전극 지지대의 앞면에 장착되며 도전성 자성체로 형성된 한 쌍의 급전 전극들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전 레일;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어댑터;
절연성을 갖는 입력 모듈 하우징과, 상기 입력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급전 전극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입력 모듈 단자들, 및 상기 입력 모듈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원 어댑터와 접속되는 전원 입력부를 구비하는 입력 모듈; 및
절연성을 갖는 급전 모듈 하우징과, 상기 급전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급전 전극들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급전 모듈 단자들, 및 상기 급전 모듈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부를 구비하는 급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지지대는 앞면에 폭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중간에 격벽으로 구획되는 한 쌍의 장착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홈들은 사각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진 급전 전극들을 각각 장착하되 각각의 입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턱들을 갖고 상기 걸림턱들에 의해 급전 전극들의 전방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장착홈들에 장착된 급전 전극들 사이에 끼워져 급전 전극들을 지지하며;
상기 전극 지지대는 뒷면에 고정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입구 양쪽 주변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턱들을 가지며;
상기 입력 모듈 단자들은 각각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 지지대의 장착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급전 전극들에 부착되며;
상기 급전 모듈 단자들은 각각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 지지대의 장착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급전 전극들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듈의 전원 출력부는 출력 단자를 갖는 급전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듈의 전원 출력부는 USB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모듈은,
상기 전원 출력부에 의해 상기 급전 모듈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급전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 광섬유와 접속되는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레일은 복수 개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며;
절연성을 갖는 중계 모듈 하우징, 및 상기 중계 모듈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로부터 인출되어 상호 인접한 급전 레일들의 급전 전극들에 걸쳐 자력에 의해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통전되도록 도전성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한 쌍의 중계 모듈 단자들을 구비하는 중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253A KR102573232B1 (ko) | 2021-06-21 | 2021-06-21 | 전원 공급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0253A KR102573232B1 (ko) | 2021-06-21 | 2021-06-21 | 전원 공급 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9763A KR20220169763A (ko) | 2022-12-28 |
KR102573232B1 true KR102573232B1 (ko) | 2023-08-30 |
Family
ID=8453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0253A KR102573232B1 (ko) | 2021-06-21 | 2021-06-21 | 전원 공급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323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51502A (ja) * | 2007-03-30 | 2008-10-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配線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4593B1 (ko) * | 2014-11-21 | 2016-11-09 | 서동진 |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
KR20170010642A (ko) * | 2015-07-20 | 2017-02-01 | 김행민 | 조명기구의 전원공급 커넥터 |
KR102241534B1 (ko) * | 2019-08-09 | 2021-04-16 | 주식회사 필룩스 | 커넥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일형 조명 장치 |
-
2021
- 2021-06-21 KR KR1020210080253A patent/KR1025732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51502A (ja) * | 2007-03-30 | 2008-10-1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配線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9763A (ko) | 2022-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32921B2 (en) | Multiple functions wall cover plate has built-in USB and light means | |
US9739460B2 (en) | Interchangeable lighting fixtures for track and wall lighting system | |
JP2017520101A (ja) | 可動ソケット対応の電源用レールのための装置 | |
US9537274B1 (en) | Modular power and connector system for lighting elements | |
RU2018128868A (ru) | Модульные соединители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сборе | |
KR101713054B1 (ko) | 라인 타입 조명장치 | |
JP2018527696A (ja) | 家具システムの3次元支持管構造の管に挿入するための負荷モジュール | |
US6597129B2 (en) | Lighting fixture and system | |
KR102573232B1 (ko) | 전원 공급 키트 | |
JP7033743B2 (ja) | 照明器具、照明装置並びに照明システム | |
CN211694535U (zh) | 灯具 | |
WO2021088961A1 (zh) | 磁吸导电轨道、转接器、电气装置及电气系统 | |
CN210724110U (zh) | 角线结构、插头、用电器及插线板 | |
US11047553B2 (en) | Low profile large area luminaire | |
JP2010129232A (ja) | 防水コンセント | |
JP6745472B2 (ja) | 照明システム | |
CN112254112A (zh) | 一种互联式导线槽以及空间照明系统 | |
CN111029800A (zh) | 一种电连接模组及电气系统 | |
KR101195845B1 (ko) | 엘이디 형광등용 소켓 | |
CN217978522U (zh) | 便于接线的橱柜灯及照明系统 | |
CN217589657U (zh) | 嵌入式插座及具有其的家居设备 | |
JP6414879B2 (ja) | Led照明器具用取り付け具、led照明ユニット、及びled照明器具 | |
CN214580953U (zh) | 连接开关及灯具 | |
JP2020004676A (ja) | 吊下装置 | |
CN212777237U (zh) | Led灯电源及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