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634A -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 Google Patents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634A
KR20030027634A KR1020010061005A KR20010061005A KR20030027634A KR 20030027634 A KR20030027634 A KR 20030027634A KR 1020010061005 A KR1020010061005 A KR 1020010061005A KR 20010061005 A KR20010061005 A KR 20010061005A KR 20030027634 A KR20030027634 A KR 2003002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utton
block
connection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2153B1 (ko
Inventor
성신웅
Original Assignee
성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웅 filed Critical 성신웅
Priority to KR10-2001-006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1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투입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행위가 버튼을 누르고 떼는 간단한 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의 연결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전기, 전자소자가 끼워진 연결블록이 결합되어 배치되는 회로구성판에 결합되어 전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 연결블록에 있어서,
하측에 회로구성판과 결합되기 위한 블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양측의 삽입구멍과 근접되게 양단부의 접속부가 위치되도록 결합된 금속재의 연결단자와; 상기 몸체의 양측 상면에서 몸체와 연결단자를 관통하여 상, 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부측 하단부에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버튼과; 상기 버튼과 몸체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버튼이 상측에서 눌려질 때 복원력을 내재하도록 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Wire coupling block device of electronic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전선을 투입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행위가 버튼을 누르고 떼는 간단한 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의 연결이 보다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전자회로 조립블록은 본 출원인이 1999년 8월 21일자로 출원하여 실용신안 기술평가 등록유지결정된 제 169744 호(이하, 등록실용신안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의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전기 소자가 결합되는 1 내지 3 접점 또는 그 이상의 연결블록을 회로 구성판에 결합시키고 연결블록을 통해 각각의 소자를 전선으로 연결시켜 목적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은 주로 초, 중생들에게 전기, 전자의 원리 및 응용을 실험하여 체험하게 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어 지며, 이러한 장치는 초, 중생들이 사용할 때 납땜등의 위험한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실험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등록실용신안에서 각각의 소자와 결합되는 블록이나 전선등은 제품화하기 위해 규격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이 규격화된 전선은 회로 구성판이 대형화될 수록 그 길이가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규격화된 각 전선을 결선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요구되며, 이 연결수단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블록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선 연결블록은 하측에 블록과 연결되기 위한 블록연결부(2)를 갖는 몸체(1)의 양측에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구멍(3)이 형성되고, 이 양측의 삽입구멍(3)에 양 단이 위치되어 양측에서 삽입된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금속관 형태의 연결부재(4)가 장착되며, 몸체(1)와 연결부재(4)의 내측까지 관통된 고정부재 역할의 볼트(5)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전선 연결블록은 양측에 전선을 삽입시킨 후, 볼트(5)을 조여 볼트(5) 끝단과 연결부재(4)의 내면에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양측의 전선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된 것과 같은 종래의 전선 연결블록은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볼트가 제공되기 때문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요구되며, 전선의 연결시 마다 볼트를 풀거나 죄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수행해야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등의 공구는 호기심 많고 장난이 심한 초, 중생들이 소지하기에는 많은 위험성이 내제되어 이러한 공구의 사용이 없이도 양측의 전선을 보다 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블록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전선을 연결하는 행위가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공구의 사용을 배제시켜 안전성을 고려한전선 연결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선 연결블록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블록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블록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삽입구멍
12: 테스트창 30: 연결단자
31: 접속부 32: 접속홈
40: 버튼 41: 삽입구멍
50: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각의 전기, 전자소자가 끼워진 연결블록이 결합되어 배치되는 회로구성판에 결합되어 전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 연결블록에 있어서,
하측에 회로구성판과 결합되기 위한 블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양측에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양측의 삽입구멍과 근접되게 양단부의 접속부가 위치되도록 결합된 금속재의 연결단자와; 상기 몸체의 양측 상면에서 몸체와 연결단자를 관통하여 상, 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부측 하단부에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버튼과; 상기 버튼과 몸체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버튼이 상측에서 눌려질 때 복원력을 내재하도록 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블록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전선 연결블록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블록은 각 구성부가 설치되는 몸체(10), 양측의 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30), 전선(L)을 연결단자(30)에 접촉 및 고정시키는 버튼(40), 버튼(40)의 복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전술된 등록실용신안에서의 회로구성판과 결합되기 위한 블록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양측에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결합부(13)는 회로구성판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경우라면 그 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것이고,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태라면 돌기에 끼워지는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30)는 몸체(10) 내부에서 양측의 삽입구멍(11)과 근접되게 양단부의 접속부(31)가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접속부(31)는 양단부가 하향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삽입구멍(11) 근처에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30)는 양측의 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금속재로 형성됨이 당연하며, 상기 접속부(11)에는 도 1의 원내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측으로 반원형태의 접속홈(32)이 형성되어, 후술될 다수의 전선(L)이 삽입되는 경우에 각각의 전선이 상측으로 모아지며 이들이 각각 접속홈(32)과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40)은 몸체(10)의 양측 상면에서 몸체(10)와 연결단자(30)를 관통하여 상, 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부(41)측 하단부에 전선(L)이 삽입되는 삽입구멍(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40)의 삽입구멍(41)은 평시(눌려지지 않았을 경우)에 몸체(10)의 삽입구멍(11)과는 축선(구멍의 중심이 되는 가상선)이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어야 하며, 이 때, 상기 접속홈(32)의 최 상단부와 버튼(40) 삽입구멍(41)의 최 하측 바닥면이 거의 일치되는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 상태에서는 전선(L)이 버튼(40)의 삽입구멍(41)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50)은 버튼(40)과 몸체(10)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버튼(40)이 상측에서 눌려질 때 복원력을 내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된 몸체(10)의 상면에는 테스트창(12)이 형성되며, 상기 테스트창(12)은 연결단자(3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여 테스트창(12)을 통해 여러 테스트 기기를 삽입하여 전선(L)이 올바로 연결되었는지의 여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연결블록에 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전선이 연결되기 전인 평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전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에서와 같이 양측의 전선(L)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버튼(40)을 눌러 도 4b와 같이 버튼(40)의 삽입구멍(41)과 몸체(10)의 삽입구멍(11)의 축선이 일치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버튼(40)과 몸체(10)의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50)이 압축되어탄성력이 내재된 상태가 된다.
그 후에 상기 전선(L)을 삽입하면, 전선(L)의 피복이 벗겨진 금속부분이 몸체(10)의 삽입구멍(11)과 접속홈(32)을 통해 버튼(40)의 삽입구멍(41)으로 삽입되어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40)에 가하던 힘을 해재하면 버튼(40)이 상승되어 전선(L)은 버튼(40)의 삽입구멍(41)과 연결단자(30)의 접속홈(32)의 면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전선(L)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40)의 상승은 위에 기술된 탄성력, 즉 복원력이 내재된 스프링(50)이 인장되며 수행되는 작용이며, 상기 버튼(40)의 상승에 따라 버튼(40)의 삽입구멍(41)이 따라서 상승되기 때문에 결국 전선(L)은 접속홈(32)의 면과 삽입구멍(41)의 최 하측 바닥면 사이에 물려져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L)은 1이사 다수개가 삽입될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접속홈(32)이 반원의 형태로 라운드 처리되어 여러가닥의 전선(L)은 삽입구멍(41)에 의해 밀려 올라 접속홈(32)의 최상측면에서 수합되고, 각각 라운드된 면에 의해 상호간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양측의 전선을 연결하는 행위가 보다 손쉽게 수행되고 공구의 사용이 배제되어 안정성이 보장됨에 의해, 초, 중생의 학과 실험교재로의 채택에서 보다 유리한 선점 가능성을 가질 수 있으며, 전선이 연결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 가능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각각의 전기, 전자소자가 끼워진 연결블록이 결합되어 배치되는 회로구성판에 결합되어 전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선 연결블록에 있어서,
    하측에 회로구성판과 결합되기 위한 블록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양측에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11)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서 양측의 삽입구멍(11)과 근접되게 양단부의 접속부(31)가 위치되도록 결합된 금속재의 연결단자(30)와;
    상기 몸체(10)의 양측 상면에서 몸체(10)와 연결단자(30)를 관통하여 상, 하 유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부(31)측 하단부에 전선(L)이 삽입되는 삽입구멍(41)이 형성된 버튼(40)과;
    상기 버튼(40)과 몸체(10)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버튼(40)이 상측에서 눌려질 때 복원력을 내재하도록 한 탄성부재(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31)에는 버튼(40)을 눌러 몸체(10)의 삽입구멍(11)과 버튼(40)의 삽입구멍(41)의 축선이 일치되어 전선(L)이 삽입된 후, 버튼(40)이 복귀되어 전선(L)이 상승될 때 전선(L)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연결 및 고정력을 제공하게 되는 접속홈(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홈(32)은 다수의 전선(L)이 삽입되어 접촉될 때, 다수의 전선(L)이 수합되며 접촉되는 면적이 극대화되도록 하기 위해 상측면이 반원형태로 라운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단자(30)의 일측부를 노출시켜 전선(L)의 연결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창(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KR10-2001-0061005A 2001-09-29 2001-09-29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KR10043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005A KR100432153B1 (ko) 2001-09-29 2001-09-29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005A KR100432153B1 (ko) 2001-09-29 2001-09-29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36U Division KR200261721Y1 (ko) 2001-09-29 2001-09-29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34A true KR20030027634A (ko) 2003-04-07
KR100432153B1 KR100432153B1 (ko) 2004-05-24

Family

ID=2956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005A KR100432153B1 (ko) 2001-09-29 2001-09-29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9010A (zh) * 2013-08-13 2015-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夹持装置
KR102003965B1 (ko) * 2019-02-27 2019-07-25 고전주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070B2 (ja) * 1978-03-31 1985-07-13 松下電工株式会社 ネジ無し端子装置
JPH07326399A (ja) * 1994-05-30 1995-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速結端子台
KR970047262U (ko) * 1995-12-23 1997-07-31 차량의 배터리 단자 체결장치
KR19990012879U (ko) * 1997-09-18 1999-04-15 임상택 전선접속구
JP2000048874A (ja) * 1998-07-30 2000-02-18 Osada:Kk 端子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9010A (zh) * 2013-08-13 2015-02-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夹持装置
KR102003965B1 (ko) * 2019-02-27 2019-07-25 고전주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성 연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2153B1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66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01187B1 (en) Rotatable electrical connector
US7780460B2 (en) Connecting terminal
US20080045053A1 (en) Contact element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US6163460A (en) Housing for electronic assemblies including board-mounted components and separate discrete components
US9466897B1 (en) Double-wire terminal block structure
US6017222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flexible connecting strips of a film circuitry and a main circuit board
ATE250285T1 (de) Umwandleranschlussbuchse
EP3273157B1 (en) Led lamp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US4252390A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retainer
JP2004146400A (ja) プリント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CN104508910A (zh) 带有用于操作弹簧件的按压件的连接端子或接线端子
US6508664B2 (en)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configured with foil on both sides
US4957453A (en) Electrical socket
KR100432153B1 (ko)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KR200261721Y1 (ko)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전선 연결블록
US6589084B1 (en) Device for plug-connecting electric lines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US20050020101A1 (en) Contact and socket using with the contact
KR100853345B1 (ko)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CN217691720U (zh) 一种大电流90度笼式弹簧连接器
KR200169744Y1 (ko) 납땜이 필요없는 전자회로 조립블록
KR200223476Y1 (ko) 전선접속구
KR200255126Y1 (ko) 휴즈장치
JP2556938Y2 (ja) 差込み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