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3476Y1 - 전선접속구 - Google Patents

전선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3476Y1
KR200223476Y1 KR2020000033596U KR20000033596U KR200223476Y1 KR 200223476 Y1 KR200223476 Y1 KR 200223476Y1 KR 2020000033596 U KR2020000033596 U KR 2020000033596U KR 20000033596 U KR20000033596 U KR 20000033596U KR 200223476 Y1 KR200223476 Y1 KR 200223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ion
clamp
hol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양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우석 filed Critical 양우석
Priority to KR2020000033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476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전선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전선 상호간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접속 상태에서의 감전이나 누전의 우려가 없는 전선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하부에 결합판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평행하게 접속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접속공간부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의 상측으로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구본체와, 일측 측부가 개방되고 중공형인 금속재의 사각 관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의 상측으로는 접속구본체의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구본체의 접속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1쌍의 클램프하우징과, 금속재의 판 형상임과 함께 각 길이방향 선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예각의 접속판부가 형성되어 이 접속판부가 클램프하우징의 관통구멍 하부에 위치되도록 클램프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1쌍의 클램프와, 2개의 렉부를 구비한 H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렉부의 길이방향 양 선단측 하부에는 압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돌기 사이에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은 접속구본체의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압압돌기는 접속구본체와 클램프하우징의 관통구멍을 통하도록 된 접속해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의 각 접속판부와 클램프하우징 사이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접속할 수 있고 접속해제부재의 렉부를 압압한 상태에서 전선을 접속구본체의 외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접속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접속구{Wire conneting tool}
본 고안은 전선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전선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 또는 통신기기는 전선에 의해 기기 상호간을 연결하거나 또는 기기와 전원입력단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전선에 의해 기기 상호간이나 기기와 전원입력단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이 전선 상호간을 접속시키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접속하고자 하는 각 전선의 일측 선단부를 꼬아 일체화하고 그 일체화된 부분에 절열테이프를 접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거나 또는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전선 상호간을 접속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선 상호간을 접속하였을 경우에는 감전이나 누전의 우려가 있음은 물론이고 일체화된 상태의 견고성을 신뢰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전선 상호간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접속 상태에서의 감전이나 누전의 우려가 없는 전선접속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해 전선을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전선을 분리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L. 전선접속구
1.접속구본체 ----- 11. 결합판부 12. 접속공간부
13. 관통구멍 14. 결합돌기
14a. 결합구멍
2. 클램프하우징 ----- 21. 관통구멍 22. 결합구멍
23. 걸림편
3. 클램프 ----- 31. 접속판부 31a. 슬릿
32. 결합판부 33. 결합구멍
4. 접속해제부재 ----- 41. 렉부 4 2. 압압돌기
43. 결합핀
ET. 전기기구 L1, L2. 전선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전선접속구는, 하부에 결합판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평행하게 접속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접속공간부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의 상측으로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구본체와, 일측 측부가 개방되고 중공형인 금속재의 사각 관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의 상측으로는 접속구본체의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구본체의 접속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1쌍의 클램프하우징과, 금속재의 판 형상임과 함께 각 길이방향 선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예각의 접속판부가 형성되어 이 접속판부가 클램프하우징의 관통구멍 하부에 위치되도록 클램프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1쌍의 클램프와, 2개의 렉부를 구비한 H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렉부의 길이방향 양 선단측 하부에는 압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돌기 사이에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은 접속구본체의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압압돌기는 접속구본체와 클램프하우징의 관통구멍을 통하도록 된 접속해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는, 클램프의 각 접속판부와 클램프하우징사이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접속할 수 있고 접속해제부재의 렉부를 압압한 상태에서 전선을 접속구본체의 외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접속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접속구본체(1)는 하부에 결합판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사각 단면형으로 된 1쌍의 접속공간부(12,12)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접속공간부(12)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에는 상측으로 관통되게 관통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방향의 관통구멍(13)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14) 내에는 상기 접속공간부(12)와 통하도록 결합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구본체(1)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한 방법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접속구본체(1)의 각 접속공간부(12) 내에는 뒤에 설명하는 클램프(3)를 감싸기 위한 클램프하우징(2)이 결합되어 있다.
클램프하우징(2)은 일측 측부가 개방되고 중공형인 금속재의 사각 관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의 각 선단부 가까이의 상부에는 접속구본체(1)의 관통구멍(13)과 대응하는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부의 길이방향 중앙에는 상기 결합구멍(14a)와 대응하는 결합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편(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클램프하우징(2)은 관통구멍(21)과 결합구멍(22)이 각각 접속구본체(1)의 관통구멍(13)과 결합구멍(14a)에 통하도록 접속구본체(1)의 접속공간부(12)에 결합되어 있다.
클램프하우징(2) 내에는 전선을 홀딩하기 위한 클램프(3)가 결합되어 있다.
클램프(3)는 금속재의 판 형상임과 함께 각 길이방향 선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예각의 접속판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길이방향 중앙에는 결합판부(3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결합판부(32)의 중앙에는 결합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판부(31)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릿(31a)을 형성하여 이 슬릿(31a)을 경계로 좌우측에 굵기가 다른 2개의 전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클램프(3)는 접속판부(31)와 결합구멍(33)이 각각 클램프하우징(2)의 관통구멍(21)과 결합구멍(2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클램프하우징(2) 내에 결합되어 있다.
접속구본체(1)의 상부에는 접속해제부재(4)가 결합되어 있다.
접속해제부재(4)는 2개의 렉부(41)를 구비한 H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렉부(41)의 길이방향 양 선단측 하부에는 압압돌기(42)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돌기(42) 사이의 중앙에는 결합핀(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해제부재(4)는 결합핀(43)이 접속구본체(1)의 결합돌기(14) 내에 형성된 결합구멍(14a)을 통하여 클램프하우징(2)과 클램프(3)의 결합구멍(22,33)에 결합되고 상기 압압돌기(42)는 접속구본체(1)와 클램프하우징(2)의 관통구멍(13,2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접속해제부재(4)의 결합핀(43)은 접속구본체(1)의 결합구멍(14a)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음과 함께 결합핀(43)의 하부는 클램프하우징(2)과 클램프(3)의 결합구멍(22,33)에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접속구본체(1)와 클램프하우징(2)과 클램프(3)와 접속해제부재(4)의 결합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접속구(EL)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의 각 접속판부(31)와 클램프하우징(2) 사이에 접속하고자 하는 전선(L1,L2)의 일측 선단부를 삽입하면 상기 접속판부(31)의 탄성력에 의해 전선(L1,L2)의 선단부가 클램프(3)의 각 접속판부(31)와 클램프하우징(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 의해 각 전선(L1,L2)은 전도성인 클램핑하우징(2)과 클램프(3)에 의해 접속된다. 이 경우 접속구본체(1)의 외측(도 3의 화살표 A, B 방향)으로 전선(L1,L2)에 외력이 가하여지면 클램프(3)의 접속판부(31)는 클램프하우징(2)에 더욱 밀착됨으로 접속된 전선(L1,L2)이 의도하지 않게 전선접속구(EL)에서 분리될 우려는 없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접속해제부재(4)의 렉부(41) 선단을 압압하면 렉부(41)의 하부에 형성된 압압돌기(42)가 클램프(3)의 접속판부(31)를 압압하여 접속판부(31)에 의한 전선(L1,L2)의 밀착상태를 해제함으로 이 상태에서 전선(L1,L2)을 접속구본체(1)의 외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접속된 전선(L1,L2)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접속구(EL)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구본체(1)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판부(11)를 전기기구(ET)에 구비된 결합브라겟에 결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앞의 방법에 의해 전선 상호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기기구(ET) 상호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선접속구(EL)를 매입조명등에 결합하여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선접속구는, 클램프의 각 접속판부와 클램프하우징사이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접속할 수 있고 접속해제부재의 렉부를 압압한 상태에서 전선을 접속구본체의 외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접속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기구 상호간이나 통신기구 상호간을 본 고안의 전선접속구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접속이 요구되는 전선 상호간을 감전이나 누전의 우려 없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하부에 결합판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평행하게 접속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접속공간부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의 상측으로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 사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구본체와, 일측 측부가 개방되고 중공형인 금속재의 사각 관 형상임과 함께 길이방향 선단부 가까이의 상측으로는 접속구본체의 관통구멍과 대응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구본체의 접속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1쌍의 클램프하우징과, 금속재의 판 형상임과 함께 각 길이방향 선단부에는 절곡에 의해 예각의 접속판부가 형성되어 이 접속판부가 클램프하우징의 관통구멍 하부에 위치되도록 클램프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1쌍의 클램프와, 2개의 렉부를 구비한 H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함께 각 렉부의 길이방향 양 선단측 하부에는 압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압압돌기 사이에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핀은 접속구본체의 결합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압압돌기는 접속구본체와 클램프하우징의 관통구멍을 통하도록 된 접속해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의 각 접속판부와 클램프하우징 사이에 전선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접속할 수 있고 접속해제부재의 렉부를 압압한 상태에서 전선을 접속구본체의 외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접속된 전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클램프하우징(2)의 길이방향 중앙에 결합구멍(22)이 형성되고 클램프(3)의 길이방향 중앙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접속해제부재(4)의 결합핀(43)은 접속구본체(1)의 결합돌기(14)를 통하여 클램프하우징(2)과 클램프(3)의 결합구멍(22,33)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3. 제 1항에 있어서, 클램프(3)의 접속판부(31)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슬릿(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접속구.
KR2020000033596U 2000-11-30 2000-11-30 전선접속구 KR200223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96U KR200223476Y1 (ko) 2000-11-30 2000-11-30 전선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596U KR200223476Y1 (ko) 2000-11-30 2000-11-30 전선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476Y1 true KR200223476Y1 (ko) 2001-05-15

Family

ID=7309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596U KR200223476Y1 (ko) 2000-11-30 2000-11-30 전선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4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69B1 (ko) * 2010-04-30 2010-09-10 주식회사 헤럴드 화재발생시 공동구내의 소방감지선 체결장치
KR101498858B1 (ko) * 2014-07-15 2015-03-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중 연결 설치가 용이한 전등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169B1 (ko) * 2010-04-30 2010-09-10 주식회사 헤럴드 화재발생시 공동구내의 소방감지선 체결장치
KR101498858B1 (ko) * 2014-07-15 2015-03-0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다중 연결 설치가 용이한 전등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4600B2 (en) Hermaphroditic contact part
JP6657400B2 (ja) 電気接続端子
EP3376598A1 (en) A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ready-made cable
US10665970B2 (en) Plug-in contact
CA2497488A1 (en) A dual function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 power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2031835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3047988U (ja) 電気コネクタ
KR200223476Y1 (ko) 전선접속구
US9666960B2 (en) Power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ductive wire to a circuit board
TWM550491U (zh) 適用於電源轉接器之纜線連接器組件
CN101454944B (zh) 带有端子盒的电路接线端子
JP3215384U (ja) 保護接地端子付きピンソケットコネクタ部材
KR200444710Y1 (ko) 스플라이스 조인트 터미널의 구조
WO2002023235A3 (de) Lichtwellenleiterbuchse und lichtwellenleiterstecker sowie lichtwellenleiterbuchsen-anordnung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JP4076183B2 (ja) スイッチ装置−プリント配線板−組合せ
JP2001357944A (ja) プラグコネクタ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KR101000253B1 (ko) 다선식 커넥터
CN220368185U (zh) 直头线端连接器
CN216773702U (zh) 连接器组件
CN217522257U (zh) 一种储能连接器
GB2083715A (en) An electrical connector
CN220368193U (zh) 直通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