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345B1 -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345B1
KR100853345B1 KR1020060101672A KR20060101672A KR100853345B1 KR 100853345 B1 KR100853345 B1 KR 100853345B1 KR 1020060101672 A KR1020060101672 A KR 1020060101672A KR 20060101672 A KR20060101672 A KR 20060101672A KR 100853345 B1 KR100853345 B1 KR 10085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n
leaf spring
groo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249A (ko
Inventor
윤흥식
Original Assignee
윤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식 filed Critical 윤흥식
Priority to KR1020060101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3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대의 요홈에 단자와 접지되어지게 판 스프링을 장착하여 단자핀이 단자와 판 스프링 사이에 장착되도록 하므로 단자핀의 탈장착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발명은 본체(11)의 후면에 요홈(12)이 형성되어 요홈(12)에 금속재 단자(13)와, 상기 단자(13)와 접촉되는 압지편(14)과, 압지편(1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13)와 접촉되게 하는 압축스프링(15)이 끼워지며, 상기 압지편(1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6)이 장착되고, 압지편(14)과 단자(1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17)이 형성되어진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요홈(12)과 관통되어지게 단자핀(20)이 장착되어지는 핀 홀(18)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핀 홀(18)과 연통되어진 단자대(10)에 형성된 요홈(12)에는 단자(13)와 접지되어지게 판 스프링(30)이 장착되어 단자핀(20)이 단자(13)와 판 스프링(30) 사이에 끼워지되 단자핀(20)이 단자대(10)에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단자(13)와 판 스프링(30)의 접지면을 라운딩(13a,30a) 처리하여 점상으로 접지되어지며,, 상기 판 스프링(30)과 단자(13)의 안쪽면에는 판 스프링(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편(40)이 구성되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와 압지편과 압축스프링이 장착되어지는 단자대의 요홈에 단자와 점상으로 접촉되어지게 판 스프링을 지지편으로 지지되도록 장착하므로 상기 단자와 판 스프링 사이에 핀 홀을 통해 삽입되는 단자핀이 결합되어지게 하여 단자와 판 스프링의 압착력에 의해 단자핀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단자핀만 사용하여 탈착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자대, 단자, 판 스프링, 단자핀, 지지편

Description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Terminal pin combination structure of terminal block module}
도 1은 종래에 따른 단자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단자대에 단자핀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를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에 단자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대 11 : 본체
12 : 요홈 13 : 단자
13a, 30a : 라운딩 14 : 압지편
15 : 압축스프링 16 : 버튼
17 : 전선 삽입공 18 : 핀 홀
20 : 단자핀 30 : 판 스프링
40 : 지지편 40a : 요입부
본 발명은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와 접지되어지게 판 스프링을 장착하여 단자핀이 단자와 판 스프링 사이에 장착되도록 하므로 단자핀의 탈장착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단자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자대 모듈이라 함은 케이블 등 도선의 상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단자를 인쇄회로기판(PCB)에 납땜으로 집중 고정시킨 배선 부품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자동 제어기기나 전기ㆍ통신기기 등 산업용 기기 등에서 기기 상호간 또는 기기와 외부 회로기판의 배선 접속, 정리 등의 목적에 사용된다.
종래의 단자대 모듈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핀(20)이 결합되어지는 단자대(10)를 형성한 것으로, 이러한 단자대(10)의 내부 구조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11)의 후면에 요홈(12)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12)에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금속재 단자(13)와, 상기 단자(13)와 접촉되는 압지편(14)과, 압지편(1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13)와 압지편(14)이 접촉될 수 있게 하는 압축스프링(15)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압지편(1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6)이 장착되고, 또 압지편(14)과 단자(1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17)이 형성되어 버튼(16)을 눌러 압지편(14)을 단자(13)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피복이 벗겨진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전선 삽입 공(17)을 통해 삽입하고 버튼(16)을 놓아주면 압지편(14)과 단자(13)의 사이에 피복이 벗겨진 전선이 물리게 되며, 단자(13)로부터 핀(13b)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어 이를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그대로 꽂아 전기를 기판에 인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단자핀(20)은 전선 삽입공(17)을 통해 전선과 함께 삽입되어 단자(13)와 압지편(14) 사이에 물려서 장착되어진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단자대가 여러 개 구비할 때에는 각각의 단자대를 끼움 방식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단자대(10)의 전선 삽입공(17)에 단자핀(20)이 장착된 단자핀(20)을 끼우거나 빼내고자 할 경우 단자핀(20)이 전선과 함께 삽입되고 상기와 같이 단자핀(20)이 단자(13)와 압지편(14) 사이에 물려 있어 버튼(16)을 누른 상태에서 단자핀(20)을 끼우고 빼내야 하며, 여러 개가 연결된 단자대(10)에서는 각 단자대(10)에 장착된 버튼(16)을 한 번에 모두 눌러야 단자핀(20)을 탈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며, 단자핀(20)과 전선 삽입공(17)에 연결되는 전선의 간격이 협소하게 되어 작업성 및 결속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자핀이 결합되는 핀 홀과 연통되어지는 요홈에 판 스프링을 단자와 접지되게 장착하여 단자핀이 단자와 판 스프링 사이로 장착되게 함으로 버튼을 누르지 않고 단자핀을 탈장착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를 도시한 측면예시도이고,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에 단자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자대(10)는 합성수지재로 된 본체(11)의 후면에 요홈(12)이 형성되어 요홈(12)에 금속재 단자(13)와, 단자(13)와 접촉되는 압지편(14)과, 압지편(1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13)와 접촉되게 하는 압축스프링(15)이 끼워지며, 상기 압지편(1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6)이 장착되고, 압지편(14)과 단자(1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17)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요홈(12)과 연통되어지게 단자핀(20)이 장착되어지는 핀 홀(18)이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단자대(10)에서 상기 요홈(12)에는 단자(13)와 접지되어지게 판 스프링(30)이 장착되어지며, 상기 판 스프링(30)과 단자의 안쪽면에는 판 스프링(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편(40)이 구성되어진다.
상기 판 스프링(30)은 단자(13)와 접지되는 끝단면을 핀 홀(18)로 장착되는 단자핀(20)이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라운딩(30a)되게 형성되어진 다.
또한 상기 단자(13)의 끝단면, 즉 판 스프링(30)과 접지되는 면을 상기와 같이 단자핀(20)이 원활하게 장착되도록 판 스프링(30)과 점상으로 접촉되어지게 안쪽면이 라운딩(13a) 처리되어진다.
상기 지지편(40) 안쪽면에는 핀 홀(18)로 끼워지는 단자핀(20)의 핀부(20a)가 요홈(12)내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부(40a)가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0)를 필요에 따라 하나로 형성하거나 끼움 방식으로 여러 개 연결 조립한 다음 각각의 버튼(16)을 눌러 압지편(14)을 단자(13)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전선 삽입공(17)을 통해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단자(13)와 압지편(14) 사이에 접지되도록 끼우게 되며, 상기 단자대(10)의 핀 홀(18)에 단자핀(20)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에서 단자핀(20)의 결합은 핀 홀(18)을 통해 삽입되어지는데 단자(13)와 판 스프링(30)의 접지면을 벌리면서 단자(13)와 판 스프링(30) 사이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자(13)와 판 스프링(30)의 접지면이 라운딩(13a,30a) 처리되어 점상으로 접촉되어지므로 단자핀(20)의 결합이 원활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단자핀(20)은 판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단자(13)와 판 스프링(30) 사이에서 강하게 결속되어 있으므로 단자대(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자대(10)에 결합된 단자핀(20)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종래에서와 같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단자핀을 빼낼 필요 없이 단자핀(20)만 잡아 당겨도 단자(13)와 판 스프링(30) 사이로부터 단자핀(20)이 쉽게 빠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자핀(20)을 빼낼 때에도 단자(13)와 판 스프링(30)의 접지면이 라운딩(13a,30a) 처리되어져 상기에서 단자대(10)에 장착되어질 때와 마찬가지로 걸림이나 마찰력없이 부드럽게 이탈되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와 압지편과 압축스프링이 장착되어지는 단자대의 요홈에 단자와 점상으로 접촉되어지게 판스프링을 지지편으로 지지되도록 장착하므로 상기 단자와 판스프링 사이에 핀홀을 통해 삽입되는 단자핀이 결합되어지게 하여 단자와 판스프링의 압착력에 의해 단자핀의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버튼을 누를 필요없이 단자핀만 사용하여 탈착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본체(11)의 후면에 요홈(12)이 형성되어 요홈(12)에 금속재 단자(13)와, 상기 단자(13)와 접촉되는 압지편(14)과, 압지편(14)에 척력을 제공하여 상시 단자(13)와 접촉되게 하는 압축스프링(15)이 끼워지며, 상기 압지편(14)의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버튼(16)이 장착되고, 압지편(14)과 단자(13)의 접촉부위 상부에는 외부와 통하는 전선 삽입공(17)이 형성되어진 단자대에 있어서,
    상기 요홈(12)과 연통되어지게 단자핀(20)이 장착되어지는 핀 홀(18)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핀 홀(18)과 연통되어진 단자대(10)에 형성된 요홈(12)에는 단자(13)와 접지되어지게 판 스프링(30)이 장착되어 단자핀(20)이 단자(13)와 판 스프링(30)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판 스프링(30)과 단자(13)의 안쪽면에는 판 스프링(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편(40)이 구성되어지며,
    상기 단자(13)와 판 스프링(30)의 접지면은 핀 홀(18)로 단자핀(20)이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라운딩(13a,30a) 처리되어 점상으로 접지되어지고,
    상기 지지편(40) 안쪽면에는 핀 홀(18)로 끼워지는 단자핀(20)의 핀부(20a)가 요홈(12)내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부(40a)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KR1020060101672A 2006-10-19 2006-10-19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KR100853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672A KR100853345B1 (ko) 2006-10-19 2006-10-19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672A KR100853345B1 (ko) 2006-10-19 2006-10-19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49A KR20080035249A (ko) 2008-04-23
KR100853345B1 true KR100853345B1 (ko) 2008-08-21

Family

ID=3957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672A KR100853345B1 (ko) 2006-10-19 2006-10-19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30B1 (ko) 2016-07-22 2016-10-1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88B1 (ko) * 2011-02-07 2017-0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용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4317A (ja) * 1994-08-18 1996-03-08 Kawaguchi:Kk 圧接形電線コネクタ
JP2000306617A (ja) 1999-04-23 2000-11-02 Kawamura Electric Inc 住宅用分電盤の中継用アース端子
KR200345633Y1 (ko) * 2003-12-10 2004-03-19 윤흥식 접속 단자대의 도선 결속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4317A (ja) * 1994-08-18 1996-03-08 Kawaguchi:Kk 圧接形電線コネクタ
JP2000306617A (ja) 1999-04-23 2000-11-02 Kawamura Electric Inc 住宅用分電盤の中継用アース端子
KR200345633Y1 (ko) * 2003-12-10 2004-03-19 윤흥식 접속 단자대의 도선 결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230B1 (ko) 2016-07-22 2016-10-1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49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2390B (zh) 具有护套支座的插接连接器
US2013017807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EP1188193A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EP1180817A3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icro co-axial conductors
MX2012001910A (es) Bloque de terminal y ensamble de tarjeta para un conector electrico.
CN105591220B (zh) 电路板接线端子和包括电路板接线端子的连接插座
JP2015015112A (ja) 電気接続用端子
CN101394048A (zh) 电连接器
EP1120870A3 (en) Termination adapter for PCB
KR100853345B1 (ko) 단자대 모듈의 단자핀 결합구조
JP4117888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876088B1 (ko) 섬유용 전기 커넥터
US669906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389064B1 (ko) 커넥터용 단자 장치
US10630012B2 (en) Semi-automatic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KR100608830B1 (ko)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WM340585U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5001414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US8808022B2 (en) Connector structure
JP4572140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構造
JP2001176588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20210024933A (ko)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CN214505949U (zh) 连接器总成及其连接器
JP3714889B2 (ja) 移動体通信機器用システムコネクタ
CN218632501U (zh) Fpc线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