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146B1 -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146B1
KR102141146B1 KR1020190168963A KR20190168963A KR102141146B1 KR 102141146 B1 KR102141146 B1 KR 102141146B1 KR 1020190168963 A KR1020190168963 A KR 1020190168963A KR 20190168963 A KR20190168963 A KR 20190168963A KR 102141146 B1 KR102141146 B1 KR 102141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derground
bar
fixtur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대
Original Assignee
이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대 filed Critical 이승대
Priority to KR102019016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배전선 고정구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배전선 고정구를 절연체에 결속하여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가 절연체로부터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Connection Syetem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 배전선로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배전선 고정구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배전선 고정구를 절연체에 결속하여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가 절연체로부터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차 변전소 또는 2차 변전소로부터 배전된 전기는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하여 각수용가의 수전설비로 송전 또는 배전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 에까지 송배전되어 산업용, 가정용 등으로 사용된다.
이 중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송배전계통을 통한 지중을 이용하는 송배전 방식은 지중배전선이 인입되는 지중 배전체에 지중 관로 어댑터를 마련하고, 지중배전선로의 끝단에 플러그를 결합하여 이 플러그를 지중 관로 어댑터에 체결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에는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절연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배전선 고정구에 각각 고정된 지중 배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가 절연체로부터 이탈되면서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상태 해제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8143호(2014.10.08.)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지중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배전선 고정구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배전선 고정구를 절연체에 결속하여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가 절연체로부터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양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바디부와, 상기 개구부에 수용되는 고정부가 구성된 금속재질의 연결부재를 갖춘 절연체와, 지중배전선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안내부가 구비된 고정구바디와, 상기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봉과, 상기 고정구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구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편과, 상기 절연체의 양단에 배치되는 배전선 고정구와, 상기 가이드부를 외향으로 미는 탄발수단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바디부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금속판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와 대향되도록 배전선 고정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금속판재에 일체로 연결되는 이동바; 상기 고정바를 통과하고 단부가 이동바에 고정되며,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된 랙바; 상기 랙바에 형성된 랙기어에 기어 결합되게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면서 랙바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겨지는 권취휠과, 상기 와이어를 탄력 지지하도록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이 끼워지고 바디부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끼워진 나사봉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탄성수단; 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배전선 고정구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배전선 고정구를 절연체에 결속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가 절연체로부터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서 결속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서 결속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448143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448143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448143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는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으로 대체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448143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은 절연체(10)와 한 쌍의 배전선 고정구(20,20') 및 탄발수단(30)으로 구성되어 지중배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체(10)는 바디부(11)와 연결부재(1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단으로 접속되는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디부(11)는 직육면체형상의 절연재로서, 양단에는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가이드공(11b)이 일체로 형성되며, 개구부(11a)를 기준으로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된 삽입부(11c)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외면에는 삽입부(11c)의 선단부 및 후단부와 각각 상호 연통되는 제1,2결합공(11d,11e)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결합공(11d,11e)에는 배전선 고정구(20)의 후크편(24)이 각각 결합되는데, 예를 들어 제1결합공(11d)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 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에 밀착되어 지중배전선(L)이 연결부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반대로 제2결합공(11e)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 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연결부재(12)로부터 지중배전선(L)이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특히, 상기 후크편(24)이 제2결합공(11e)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바디부(11)로부터 배전선 고정구(20,2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 고정구(20,20')의 분실률을 그만큼 낮출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연결부재(12)는 금속재질의 이음부(12a)와 한 쌍의 고정부(12b)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음부(12a)는 바디부(11)에 인서트 성형되어 내설되고, 이음부(12a)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부(12b)는 개구부(11a)에 수용된다.
상기 고정부(12b)는 전체적으로'U'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내측으로 삽입되는 금속봉(22)을 손쉽게 파지해 고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전선 고정구(20,20')는 절연체(10)를 기준으로 양단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중배전선(L)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전선 고정구(20,20')는 고정구바디(21)와 금속봉(22), 가이드부(23), 후크편(24) 및 가압구(25)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봉(22)과 가이드부(23) 및 후크편(24)은 고정구바디(21)의 일면에 형성되고, 가압구(25)만 고정구바디(21)의 타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바디(21)는 절연재질의 사각형상의 블록으로서, 중앙에는 지중배전선(L)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전선삽입공(21a)이 개구부(11a)를 향해 관통되어 있으며, 전선삽입공(21a)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나란하게 안내부(2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봉(22)은 안내부(21b)가 형성된 반대편 전선삽입공(21a)에 결합되며, 특히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고정테(22a)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봉(22)은 연결부재(12)의 고정부(12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23)는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공(1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23)가 가이드공(1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구바디(21)가 가이드부(23)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특히 고정구바디(21)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이드부(23)와 가이드공(11b)이 상호 결합되어 있어 고정구바디(21)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후크편(24)은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부(11c)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후크편(24)의 선단에는 삼각형상의 돌기가 있어 제1,2결합공(11d,11e)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1결합공(11d)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 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에 밀착되어 금속봉(22)이 연결부재(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대로 제2결합공(11e)에 후크편(24)이 삽입되면 배전선 고정구(20,20')는 바디부(1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연결부재(12)로부터 금속봉(22)이 이탈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된다.
나아가, 상기 후크편(24)이 제2결합공(11e)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바디부(11)로부터 배전선 고정구(20,20')가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전선 고정구(20,20')의 분실률을 그만큼 낮출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가압구(25)는 반원형의 부재가 한 쌍을 이루어 지중배전선(L)를 가압해 고정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경우 이동부(25a)를 매개로 안내부(21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삽입공(21a)으로 삽입된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가압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압구(25)는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반원형의 부재를 상호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지중배전선(L)에 외력(인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지중배전선(L)을 금속봉(22)과 가압구(25)가 동시에 고정하므로 지중배전선(L)의 이탈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탄발수단(3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공(11b)에 삽입되어 가이드공(11b)에 삽입되는 가이드부(23)를 일 방향을 미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후크편(24)이 제1결합공(11d)에 고정되면 가이드공(11b)에 가이드부(23)가 완전히 삽입되면서 탄발수단(30)을 양쪽에서 가압하게 되고, 후크편(24)이 제2결합공(11e)에 고정되면 탄발수단(3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부(23)가 양쪽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금속봉(22)을 고정부(12b)로부터 쉽게 이격시켜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지중배전선(L)을 배전선 고정구(20,20')의 전선삽입공(21a)으로 삽입하게 되면, 지중배전선(L)의 금속선은 금속봉(22)에 삽입되어 고정테(22a)에 의해 압입고정된다.
상기 지중배전선(L)을 금속봉(22)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구(25)를 이용하여 지중배전선(L)의 피복을 감싼 다음 나사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가압고정한다.
지중배전선(L)을 배전선 고정구(20,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절연체(10)의 고정부(12b)를 향해 밀어주게 되면, 배전선 고정구(20)의 가이드부(23)와 후크편(24)이 각각 절연체(10)의 가이드공(11b)과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가이드공(11b)에 삽입된 탄발수단(30)은 가이드부(23)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후크편(24)은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제1결합공(11d)에 위치되면,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던 후크편(24)이 복원되면서 제1결합공(11d)과 결합되고, 금속봉(22)은 연결부재(12)의 고정부(12b)에 가압 고정되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지중배전선(L)을 연결하고 있는 과정에 지중배전선(L)이 손상되어 [0051] 교체하고자 할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후크편(24)을 가압하게 되면, 후크편(24)이 제1결합공(11d)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압축되어 있던 탄발수단(30)이 복원되면서 가이드부(23)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해 배전선 고정구(20,20')의 가이드부(23)와 후크편(24)은 각각 가이드공(11b)과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크편(24)이 삽입부(11c)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제2결합공(11e)에 위치되면 휘어져 있던 후크편(24)이 복원되면서 제2결합공(11e)에 결합되고, 이로 인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배전선 고정구(20,20')는 멈추게되며, 금속봉(22)은 고정부(12b)로부터 이탈되어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배전선 고정구(20,20')를 절연체(1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1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결속부(100)는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 등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20,20')가 절연체(10)로부터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지중배전선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 해제를 방지한다.
결속부(100)는 바디부(1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110),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배전선 고정구(20,2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바(120), 일단부가 이동바(1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고정바(110)를 통과하며, 일측면에 랙기어(131)가 형성된 랙바(130) 및 랙기어(131)에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140)를 포함한다.
고정바(110)는 하부가 바디부(11)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의 바디부(11)는 상부에 금속판(미도시)이 구비되면서 고정바(1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금속판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바디부(11)의 상부 내측에 매립될 수 있으며, 고정바(110)는 하부가 금속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120)는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하부가 배전선 고정구(20,20')의 상부에 연결된다.
이때의, 배전선고정구(20,20')는 상부에 금속판재(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이동바(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금속판재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20,20')의 상부 내측에 매립될 수 있으며, 이동바(120)는 하부가 금속판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랙바(130)는 일단부가 이동바(120)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바(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랙바(130)는 일단부가 바디부(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랙기어(131)가 형성된다.
고정바(110)에는 랙바(130)의 일단부가 통과하는 통공(111)이 형성되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의 이동에 따라 배전선 고정구(20,20')와 함께 랙바(1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랙기어(131)에는 피니언기어(140)가 기어 결합되어 있고, 피니언기어(140)는 바디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기어(140)는 랙바(130)에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배전선 고정구(20,20')가 바디부(11)의 양단에 접하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면, 회동에 따라 이동바(120)를 이동시키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를 절연체(10)에 결속한다.
배전선 고정구(20,20')는 피니언기어(140)가 랙바(130)에 기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인위적인 가압에 따라 바디부(1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피니언기어(140)는 배전선 고정구(20,20')가 바디부(11)의 양단에 접하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이동에 따라 랙바(130)에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랙바(130)는 일단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바(120)는 고정바(110)에 밀착되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가 절연체(10)에 결속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배전선 고정구(20,20')가 절연체(10)에 결속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이동에 따라 랙바(130)에 기어 결합된 피니언기어(140)가 회전되는 한편, 이동바(120)는 고정바(110)와 밀착해제됨으로써 배전선 고정구(20,20')가 절연체(10)로부터 결속해제되도록 한다.
결속부(100)는 피니언 기어(140)를 회전시켜 랙바(130)가 설치된 이동바(120)를 고정바(110)에 밀착되게 가압하기 위한 탄성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수단(150)은 이동바(120)를 고정바(110)에 밀착되게 가압하므로 인해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해제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로(L)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배전선고정구(20,20')가 절연체(10)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성수단(150)은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바(1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탄성수단(150)은 피니언기어(1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와이어(152)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겨지는 권취휠(151), 와이어(152)를 탄력 지지하도록 와이어(152)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프링(153), 스프링(153)의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154), 나사봉(154)이 끼워지고 바디부(11)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편(156), 및 지지편(156)에 끼워진 나사봉(15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157)를 포함한다.
귄취휠(151)은 피니언기어(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니언기어(140)와 함께 회전되어 와이어(152)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것이다.
스프링(153)의 일단은 와이어(15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나사봉(154)이 연결되는 것이다.
나사봉(154)의 단부는 바디부(11)의 표면에 설치된 지지편(156)에 끼워지고, 지지편(156)에 끼워진 나사봉(15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된 조절너트(157)에 의해서 스프링(153)의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와이어(153)는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제된 상태에서 배전선고정구(20,20')의 가압에 의해 풀려진 상태를 유지하다 지중배전선(L) 간의 전기적 연결시, 배전선 고정구(20,20')의 이동에 따라 감겨지면서 배전선 고정구(20,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153)은 배전선 고정구(20,20')의 이동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속부(100)는 배전선 고정구(20,20')에 각각 고정된 지중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L) 등으로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배전선 고정구(20,20')가 절연체(10)로부터 이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지중배전선(L) 간의 전기적인 연결상태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10: 절연체 11: 바디부
12: 연결부재 20,20': 배전선 고정구
21: 고정구바디 22: 금속봉
23: 가이드부 25: 가압구
30: 탄발수단 100: 잠금부
110: 고정바 111 : 통공
120: 이동바 130: 랙바
140 : 피니언기어 150 : 탄성수단
151 : 권취휠 152 : 와이어
153 : 스프링 154 : 나사봉

Claims (1)

  1. 양단에 개구부(11a)가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바디부(11)와, 상기 개구부(11a)에 수용되는 고정부(12b)가 구성된 금속재질의 연결부재(12)를 갖춘 절연체(10)와, 지중배전선(L)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안내부(21b)가 구비된 고정구바디(21)와, 상기 고정부(12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봉(22)과, 상기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23)와, 상기 고정구바디(21)에 일체로 형성된 후크편(24)과, 상기 절연체(10)의 양단에 배치되는 배전선 고정구(20,20')와, 상기 가이드부(23)를 외향으로 미는 탄발수단(30)을 포함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에 있어서,
    바디부(1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금속판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바(110);
    상기 고정바(110)와 대향되도록 배전선 고정구(20,2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금속판재에 일체로 연결되는 이동바(120);
    상기 고정바(110)를 통과하고 단부가 이동바(120)에 고정되며, 일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랙기어(131)가 형성된 랙바(130);
    상기 랙바(130)에 형성된 랙기어(131)에 기어 결합되게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면서 랙바(13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피니언기어(140); 및
    상기 피니언 기어(140)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와이어(152)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겨지는 권취휠(151)과, 상기 와이어(152)를 탄력 지지하도록 와이어(152)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프링(153)과, 상기 스프링(153)의 단부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154)과, 상기 나사봉(154)이 끼워지고 바디부(11)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편(156)과, 상기 지지편(156)에 끼워진 나사봉(15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157)로 이루어진 탄성수단(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KR1020190168963A 2019-12-17 2019-12-17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KR102141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63A KR102141146B1 (ko) 2019-12-17 2019-12-17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63A KR102141146B1 (ko) 2019-12-17 2019-12-17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146B1 true KR102141146B1 (ko) 2020-08-04

Family

ID=7204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63A KR102141146B1 (ko) 2019-12-17 2019-12-17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05B1 (ko) * 2022-03-02 2023-03-02 주식회사 하이원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교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3B1 (ko)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6580B1 (ko) * 2018-01-25 2018-10-11 (주)중앙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43B1 (ko) 2014-06-05 2014-10-08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06580B1 (ko) * 2018-01-25 2018-10-11 (주)중앙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05B1 (ko) * 2022-03-02 2023-03-02 주식회사 하이원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 교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447208B1 (ko)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JP6014894B2 (ja) 電磁電気接続装置の改良構造
KR101979416B1 (ko)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CA2931561C (en) Splice restraint
KR101323607B1 (ko) 변류기
US10390449B2 (en) Electrical device for rail mounting
KR10214114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KR101835841B1 (ko) 배전용 케이블 단락 보강장치
US8398428B2 (en) Reel for minimizing unreeled cable length
US8092240B2 (en) Watertight electric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wo conjugated connection members
WO2018048524A1 (en) Splice with tap clamp
CN201937027U (zh) 磁性电力线连接头
KR200470078Y1 (ko) 전기 플러그와 콘센트
CN201199510Y (zh) 漏电脱扣器
JP6342475B2 (ja) 取り付けやすい照明器具
CN208478682U (zh) 一种小功率快捷电气连接器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877026B1 (ko) 가공전선 고정과 배전용 애자를 갖춘 전주
CN202612295U (zh) 一种固定装置及具有该固定装置的设备
KR10209830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AU1279000A (en) Connection terminal for loop powering of electrical appliances
US3739318A (en) Connector cap assembly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