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17B1 - 강관지주 매립장치 - Google Patents

강관지주 매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17B1
KR102019917B1 KR1020170175549A KR20170175549A KR102019917B1 KR 102019917 B1 KR102019917 B1 KR 102019917B1 KR 1020170175549 A KR1020170175549 A KR 1020170175549A KR 20170175549 A KR20170175549 A KR 20170175549A KR 102019917 B1 KR102019917 B1 KR 10201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upport
partial support
partia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142A (ko
Inventor
류성열
한주희
권순석
신명수
Original Assignee
(주)우정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정넷 filed Critical (주)우정넷
Priority to KR102017017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강관지주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공과,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삽입공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강관지주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관지주 매립장치{APPARATUS FOR EMBEDDING PIPE SUPPORT}
본 발명은 강관지주 매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전이나 통신회사 등이 다양한 전력 설비나 통신 설비 등을 설치할 때 공가 문제(강도부적합)으로 인하여 강관지주에 대한 건식작업이 많고 추후에도 강관지주에 대한 건식작업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소지가 있다.
건식 작업시 근가 작업을 하지 않아 강관지주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첫째, 근가 작업시 터파기 작업량이 많아 작업자가 꺼리고, 둘째, 근가 자체의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며, 셋째, 지선이나 근가작업을 하기에 현장 여건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강관지주의 매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강관지주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08-0002652 (공개일 : 2008년 07월 16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강관지주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강관지주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공과,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삽입공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강관지주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서 양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공의 둘레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서 이격된 확장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확장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둘레에서 양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연결부들 사이는 빈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의 개수는 3개 이상 8개 이하이며, 상기 관통홀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분리가능한 제1 부분 지지부와 제2 부분 지지부를 포함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제1 부분 지지부와 상기 제2 부분 지지부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때 상기 제1 부분 지지부와 상기 제2 부분 지지부는 강관지주가 제1 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의 내경은 상기 강관지주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강관지주의 하부에 지지부가 결합되어 지지부와 강관지주의 하부가 지중에 매설됨으로써 강관지주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미립장치에 강관지주가 결합된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에 강관지주(10)가 결합된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지지부(100) 및 돌출부(200)를 포함한다.
지지부(100)에는 삽입공(110)과 관통홀(130)이 형성된다. 삽입공(110)에는 강관지주(10)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고, 지지부(100)를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00)가 제1 방향으로 관통홀(130)에 삽입된다. 이 때 지지부는 지표면에서 수십 센티미터 거리에 매립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200)는 삽입공(110)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며, 강관지주(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10)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공(210)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210)은 4개 형성될 수 있으나, 강관지주(1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라면 체결공(210)의 개수는 도 1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결부재(310)는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관지주(10)에도 체결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미도시)이 있으며, 강관지주(10)의 체결공은 강관지주(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가 강관지주(10)의 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200)는 삽입된 강관지주(10)와의 체결과 더불어 강관지주(10)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강관지주(10)의 바깥면과 돌출부(200)의 일측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강관지주(10)의 직경이 길이 방향으로 서서히 줄어들거나 증가할 때 강관지주(10)의 바깥면과 접촉하는 돌출부(200)의 내경 역시 서서히 줄어들거나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강관지주(10)에는 다양한 설비(예를 들어, 통신설비, 전력설비 또는 조명설비 등)가 설치되거나 다른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 강관지주(10)의 재질은 금속, 합금, 목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부재(300)는 핑거팩(finger-pac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는 고정부재(300)를 땅에 박음으로써 지지부(100)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지주(10)는 삽입공(110)에 삽입된 후 체결수단이 돌출부(200)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강관지주(10)에 삽입됨으로써 강관지주(10)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부 매립장치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지중에 매립되고 지지부(100)의 관통홀(130)에 삽입된 고정부재(300)가 지중에 박히므로 지상 영역의 강관지주(10)에 설치된 설비나 강관지주(10)가 지지하는 구조물 또는 바람에 의하여 강관지주(10)가 전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00)가 지중에 매립된다는 것은 흙,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등에 의하여 지지부(100)가 덮히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부(100)가 지중에 매립되는 깊이는 설치 조건이나 설치 환경에 지표면에서 가깝거나 멀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지지부(100)의 둘레에서 양방향으로 지지부(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테두리부(150)는 지지부(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200)는 테두리부(150)와 다르게 양측이 아닌 일측으로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50)의 폭(W1)은 돌출부(200)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테두리부(150)가 지중에 매립되므로 테두리부(150)의 사방으로 견고한 지지력이 발생되어 강관지주(10)의 기울어짐이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50)의 일부가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설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테두리부(150)에는 확인용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용 표식은 특정 컬러를 지닌 페인트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다양한 재질의 쉬트(sheet)가 돌출된 테두리부(150)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형성되거나 문자, 숫자 또는 기호가 돌출된 테두리부(150)의 표면에 씌여질 수 있다. 이러한 확인용 표식은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확인용 표식이 돌출된 테두리부(150)에 형성됨으로써 보행자나 작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는 지지판(171), 확장 지지판(173) 및 연결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71)은 삽입공(110)의 둘레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확장 지지판(173)은 지지판(171)에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75)는 지지판(171)과 확장 지지판(173)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연결부(175) 사이는 빈 공간이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무게가 감소되어 강관지주 매립장치 및 강관지주(10)의 매립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연결부(175)의 둘레에서 양방향으로 연결부(175)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테두리부(177)의 폭은 돌출부(20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테두리부(177)는 지중에 매립되어 테두리부(177)의 사방으로 견고한 지지력이 발생되어 강관지주(10)의 기울어짐이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30)의 개수는 3개 이상 8개 이하이며, 관통홀(130)들 사이의 간격(d)은 동일할 수 있다. 관통홀(130)의 개수가 3개보다 작으면 지지부(100)의 지중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관통홀(130)의 개수가 8개보다 크면 고정부재(300)의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질 수 있다. 또한 관통홀(130)들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관통홀(13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0)들 각각에 가해지는 부담이 유사하므로 강관지주(10)에 대한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관지주 매립장치는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는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의 제거에 의하여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때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는 강관지주가 제1 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삽입공(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삽입공(1000)의 내경(r)은 강관지주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공(1000)의 내경(r)이 강관지주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가 체결될 때 강관지주가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 사이에 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지주가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지주의 외측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는 삽입 둘레부(810, 9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가 체결될 때 제1 부분 지지부(800) 및 제2 부분 지지부(900)의 삽입 둘레부들(810, 910)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삽입 둘레부들(810, 910)이 삽입공(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 둘레부(810, 910)는 강관 지주의 길이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 각각은 삽입 둘레부(810, 910)와 연결된 연결부(830, 930)와, 연결부(830, 930)에 의하여 삽입 둘레부(810, 910)와 연결되는 테두리부(850, 9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연결부들(830, 930)이 이루는 각도는 90도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연결부들(830, 930) 사이에는 흙이나 시멘트와 같은 충진재가 메꿀 수 있는 충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850, 950)와 연결부(830, 930) 역시 강관지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두리부(850, 950)의 일부 역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본 발명의 강관지주 매립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테두리부에는 확인용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확인용 표식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에는 체결수단이 삽입가능한 체결공(10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 지지부(800)의 체결공(1010)과 제2 부분 지지부(900)의 체결공(1010)은 제1 부분 지지부(800)와 제2 부분 지지부(900)의 체결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둘레부(810, 910)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연결부(830, 930) 및 테두리부(850, 950)의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라 강관지주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강관지주(10)
지지부(100)
삽입공(110, 1000)
관통홀(130)
테두리부(150, 177)
지지판(171)
확장 지지판(173)
연결부(175)
돌출부(200)
체결공(210, 1010)
고정부재(300)
체결부재(310)
제1 부분 지지부(800)
제2 부분 지지부(900)
삽입 둘레부(810, 910)
연결부(830, 930)
테두리부(850, 950)

Claims (7)

  1. 강관지주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공과, 지중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삽입공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강관지주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서 양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가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설치 위치가 확인되도록 상기 돌출된 테두리부에 확인용 표식이 형성되고,
    상기 강관지주의 직경이 길이 방향으로 서서히 줄어들거나 증가할 때 상기 강관지주의 바깥면과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의 내경 역시 서서히 줄어들거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입공의 둘레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서 이격된 확장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확장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연결부 사이는 빈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개수는 3개 이상 8개 이하이며,
    상기 관통홀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
  7. 서로 분리가능한 제1 부분 지지부와 제2 부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지지부와 상기 제2 부분 지지부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될 때 상기 제1 부분 지지부와 상기 제2 부분 지지부는 강관지주가 제1 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의 내경은 상기 강관지주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강관지주의 외측면과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제1 부분 지지부와 상기 제2 부분 지지부는 삽입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지지부와 상기 제2 부분 지지부 각각은 상기 삽입 둘레부와 연결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삽입 둘레부와 연결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일부는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설치 위치가 확인되도록 상기 돌출된 테두리부에 확인용 표식이 형성되고,
    상기 강관지주의 직경이 길이 방향으로 서서히 줄어들거나 증가할 때 상기 강관지주의 바깥면과 접촉하는 상기 삽입 둘레부의 내경 역시 서서히 줄어들거나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지주 매립장치.
KR1020170175549A 2017-12-19 2017-12-19 강관지주 매립장치 KR10201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49A KR102019917B1 (ko) 2017-12-19 2017-12-19 강관지주 매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49A KR102019917B1 (ko) 2017-12-19 2017-12-19 강관지주 매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42A KR20190074142A (ko) 2019-06-27
KR102019917B1 true KR102019917B1 (ko) 2019-09-11

Family

ID=6705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49A KR102019917B1 (ko) 2017-12-19 2017-12-19 강관지주 매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201B1 (ko) * 2020-12-23 2021-07-14 박준서 말뚝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819Y1 (ko) * 2008-10-21 2009-03-13 크리너코리아 (주)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KR101707170B1 (ko) * 2016-04-27 2017-02-15 (주)지케이우드 지주 연결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801Y2 (ko) * 1986-03-04 1992-04-09
KR20080002652U (ko) 2007-01-12 2008-07-16 김상태 강관주기초대
KR20090032406A (ko) * 2007-09-27 2009-04-01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전주의 조립식 기초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819Y1 (ko) * 2008-10-21 2009-03-13 크리너코리아 (주) 시설물 지주의 설치구조
KR101707170B1 (ko) * 2016-04-27 2017-02-15 (주)지케이우드 지주 연결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42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7957A1 (en) Secondary containment
KR20170089357A (ko)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CN111727293A (zh) 安全围栏组件
US20100001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trength of a Utility Pole
KR102019917B1 (ko) 강관지주 매립장치
KR20010053212A (ko) 향상된 구조상의 지지구
KR101199514B1 (ko) 터널 붕락 방지구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JP6301742B2 (ja) 鋼管ポールおよびその設置方法
US20140224751A1 (en) Solar panel mounting stand
KR101670472B1 (ko) 지주용 기초석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공방법
JP6223874B2 (ja) 揚重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ポールの取付および取外方法
JP3208865U (ja) 基礎工事用足場
JP3132001U (ja) 工事現場用、建築現場用の防護柵等の固定装置
JP2015017385A (ja) 鋼管ポール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386883Y1 (ko) 타워크레인용 체결부재 보관구
KR101596245B1 (ko) 부력앵커의 시공방법
JP2014031714A (ja) 木柱支持装置
JP2007146528A (ja) 廃タイヤ連結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保護方法
CN213774626U (zh) 基坑马道支撑架固定工具
JP6714241B1 (ja) 杭の打設方法
KR100801007B1 (ko) 침하방지용 상수도관 설치구조
KR100464929B1 (ko) 어스앵커
JP3200722U (ja) 足場を形成する特定の材料間に形成された孔を塞ぐ孔塞ぎ部材
JP2007218033A (ja) 連続状屋根受け具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