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929B1 - 어스앵커 - Google Patents

어스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929B1
KR100464929B1 KR10-2001-0079599A KR20010079599A KR100464929B1 KR 100464929 B1 KR100464929 B1 KR 100464929B1 KR 20010079599 A KR20010079599 A KR 20010079599A KR 100464929 B1 KR100464929 B1 KR 10046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nchor
support structure
adapter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404A (ko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01-007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9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앵커에 관한 것이다.
이는특히, 인장재가 연결되는 원추형상의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를 지지토록 원추형상의 지지홀을 갖는 앵커너트로서 구성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가 그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수단을 통하여 지지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며 벽체에 고정되는 인장재 지지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고가의 지지구조물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어스앵커{An Earth anchor}
본 발명은 굴착지반의 보강에 사용되는 어스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인장재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앵커볼트및 앵커너트로서 구성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가 그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을 통하여 지지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며 벽체에 고정되는 인장재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지지구조물의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는 어스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하 굴착공사에 있어서는 굴착을 원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세로빔을 박은후 각각의 세로빔 사이에 흙막이 판넬을 삽입하여 토압에 대응토록 하였다.
그러나, 기초가 깊거나 공사환경의 필요에 의해 급경사로 흙파기를 할경우 흙막이판넬에 작용하는 토압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상기 토압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세로빔 상단부에 가로빔을 연결하거나, 지중에 삽입되는 인장재와 세로빔에 고정되는 앵커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힘을 갖도록 하는 어스앵커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어스앵커 방식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132206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그 구성은 도1및 도2에서와 같이, 땅속에 뚫은 앵커구멍(1)에 인장재(5)을 삽입한후 콘트리트(4)를 타설하고, 상기 인장재(5)는 흙막이용 판넬(2)에 고정되면서 앵커와 지지구조물이 단일물로 이루어지는 인장재 지지구조물(3)에 일정 응력을 유지토록 연결되며, 상기 앵커구멍(1)에 여러개의 정착재(6)가 깊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각 정착제(6)에는 인장재(5)가 U자 형으로 감아 걸리며, 그 끝부분이 상기 앵커구멍(1)의 바깥에서 당겨져 정착되고, 상기 정착제(6) 사이에 철근등으로 이루어진 조강재(7)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어스앵커는, 토압에 의한 응력을 흙막이용 판넬(2)에 의해 받도록 할때 상기 인장재(5)와 인장재 지지구조물(3)에 의해 그 응력을 흡수토록 함으로써 지하공사의 완료후 한번 사용되는 어스앵커는 안전상의 이유에 의해 폐기토록하며, 이때 상기 흙막이용 판넬(2)에 연결되는 인장재 지지구조물(3) 역시 일체로 형성되어 변형이 없는 부분도 전체적으로 폐기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어스앵커는, 인장재(5)를 일정 응력을 갖도록 지지하는 인장재 지지구조물(3)이 앵커와 지지구조물이 용접되는 일체형 구성으로 이루어져 어스앵커의 철거시 지지구조물(3)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여야 함으로써 변형이 없는 지지구조물의 폐기에 따른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하며, 인장재(5)와 일체로 연결되는 인장재 지지구조물(3)에 의해 철거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스앵커의 설치및 철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장재 지지구조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스앵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어스앵커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는 종래의 어스앵커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a,b,c,d,e,f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세로빔 130..흙막이 판넬
200...어댑터 300...지지구조물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굴착공간의 벽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벽면의 토압에 대응토록 다수의 흙막이 판넬이 삽입되는 세로빔;
벽면에 뚫은 앵커구멍에 삽입된후 그 내측에 타설되는 콘트리트로서 지지되는 인장재;
상기 세로빔에 연결되는 가로빔을 개재하여 각각 연결되며, 인장재가 각각 연결되는 앵커볼트및 상기 앵커볼트를 지지토록 지지홀을 갖는 앵커너트로서 구성되고, 저면에 지지수단이 설치되는 어댑터;및,
상기 어댑터가 고정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스앵커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하굴착공간(미도시)의 벽면(12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며, 벽면(120)의 토압에 대응토록 다수의 흙막이 판넬(130)이 삽입되는 세로빔(1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벽면(120)에 일정구경과 깊이를 갖도록 앵커구멍(150)을 천공한후 그 내측에 인장재(160)가 삽입되며, 상기 앵커구멍(150)에 삽입되는 인장재(160)의 둘레에 콘트리트(170)가 타설되어 인장재(160)가 벽면(120)에 고정된다.
상기 세로빔(100)에는 가로방향의 가로빔(100b)이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어댑터(200)가 연결된다.
상기 어댑터(200)는, 인장재(16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원주형상의 앵커볼트(210)및 상기 앵커볼트(210)를 지지토록 동일 형상의 지지홀(220a)을 갖는 사각 형상의 앵커너트(220)로서 구성되고, 저면에 지지구조물(300)에 지지되는 지지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 모서리부에 각각 돌출되는 지지돌턱(220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 모서리부에 네곳에서 상호 교차되는 고정요홀(220d)로 이루어져도 좋다.
더하여,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에 설치되는 ㄷ자 형상의 지지판(220f)으로 이루어져도 좋으며, 상기 지지판(220f)은 지지구조물(300)의 사면이 지지토록 형성된다.
상기 인장재(160)가 연결되는 어댑터(200)를 고정및 분리토록 설치되는 지지구조물(300)은, 수직방향의 제1부재(310)및 그 내측에 일정경사를 각각 갖도록 연결되는 제2부재(320)및 상기 제1부재(310)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3부재(330)로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300)은, 제3부재(330)를 가로빔(100b)에 각각 용접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300)은, 제3부재(330)와 가로빔(100b)에 각각 볼트공을 형성하여 볼트결합(350)에 의해 고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310)의 상부에 어댑터(200)의 요동을 방지토록 평탄면인 어댑터지지면(31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310)를 연결토록 연결판(310b)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5에서와 같이, 지하굴착공간(미도시)의 벽면(12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세로빔(100)을 설치하고, 상기 세로빔(100) 사이에는 흙막이 판넬(130)을 삽입하여 벽면(120)으로 부터의 토압에 대응토록 한다.
이때, 상기 벽면(120)에 작용하는 일정 이상의 토압이 상기 세로빔(100)의 직교토록 연결되는 가로빔(100b)에 어댑터(200)를 통하여 인장재(160)를 고정함으로써 대응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인장재(160)는, 벽면(120)에 일정구경과 깊이를 갖도록 앵커구멍(150)을 천공한후 그 내측에 삽입될때 인장재(160)의 둘레에 타설되는 콘트리트(170)에 의해 벽면(120)에 고정됨으로써 토압에 대응되는 지지력을 어댑터(200)에 작용시킨다.
또한, 상기 가로빔(100b)에 지지되는 지지구조물(300)은, 가로빔(100b)에 일체로 용접되어 고정되어도 좋으며, 바람직하게로는 결합볼트(350)에 의해 가로빔(100b)에 고정되어 분해및 결합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계속하여, 지지구조물(300)에 지지및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는 어댑터(200)는, 저면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을 통하여 지지구조물에 고정되어 어댑터(200)의 폐기시 전체를 폐기할 필요없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어댑터(200) 만을 폐기하면 된다.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구조물(300)의 상측에 분리 가능토록 설치되는 어댑터(200)의 지지수단은, 어댑터의 저면 모서리부에 다수의 지지돌턱(220c)이 일체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지지돌턱(220c)이 지지구조물(300)의 제1부재(310)와 제2부재(320)의 내측에 각각 밀착 지지될때 이동이 방지토록 되면서 지지구조물(300)에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한다.
또한, 도5a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 모서리부에 네곳에서 상호 교차되는 고정요홀(220d)로서 이루어져 지지구조물(300)중 제1,2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어댑터의 이동이 방지토록 되면서 지지구조물(300)의 압력을 분산시킨다.
더하여,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부에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지지판(220f)으로 구성되어 지지구조물(300)의 상부면에 각각 지지되어 어댑터의 이동이 방지토록 되면서 지지구조물(300)에 압력을 분산토록 하고, 상기 지지판(220f)은 절곡부에 형성되는 볼트공을 통하여 지지구조물에 결합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지지판(220f)은, 절곡되는 양면이 제2부재(320)의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고 돌출되는 타측면이 제1부재(310)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어댑터의 이동이 방지토록 되면서 지지구조물(300)에 압력을 분산토록 한다.그리고,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판(220f)은, 절곡되는 양면이 제2부재(320)의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고 돌출되는 타측면이 제1부재(310)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어댑터의 이동이 방지토록 되면서 지지구조물(300)에 압력을 분산토록 한다.또한, 도5c 내지 도5e에서와 같이, 상기 어댑터(200)의 저면에 지지돌턱(220c)이 돌출되어 제1,2부재의 내측면에 삽입될때 이동이 방지토록 되고, 상기 지지돌턱(220c)은 이격되거나 연장형성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되는 어댑터는, 공사의 완료시 폐기되는 어댑터(200)가 지지구조물(300)에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발생되는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토록 하고, 상기 어댑터(200)를 지지구조물(300)에서 용이하게 분리토록 하는 구성에 의해 지지구조물의 재활용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지지수단은, 금형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부재를 용접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어댑터를 지지구조물의 상측에서 분리및 고정하는 구성에 의해 인장재가 연결되는 어스앵커의 설치및 철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변형이 없는 지지구조물을 재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며, 어스앵커의 설치및 철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6)

  1. 지하굴착공간의 벽면(12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면서 벽면(120)의 토압에 대응토록 다수의 흙막이 판넬(130)이 삽입되는 세로빔(100)과 상기 세로빔(100)에 연결되는 가로빔(100b)에 지지구조물(300)를 개재하여 연결되면서 앵커볼트와 앵커너트로서 구성되는 어댑터(200)를 포함하는 어스앵커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100b)에 분리가능하도록 볼트(350)로서 지지되는 지지구조물(300);과,
    상기 지지구조물(300)의 상부면에 그 일면이 삽입되록 형성되는 지지수단을 통하여 지지및 분리 가능토록 연결되는 어댑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구조물(300)은,
    a)수직방향에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1부재(310)및,
    b)상기 제1부재의 내측에 일정경사를 각각 갖도록 이격되어 연결되는 제2부재(320)및,
    c)상기 제1부재(310)의 저면에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3부재(330)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1부재(310)의 상부에 어댑터(200)의 요동을 방지토록 평탄면인 어댑터지지면(31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310)를 연결토록 연결판(310b)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에 돌출되는 지지돌턱(220c)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 모서리부에 지지구조물의 사면이 지지토록 네곳에서 교차되는 복수의 고정요홀(220d)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앵커너트(220)의 저면에 설치되면서 지지구조물의 사면이 지지토록 형성되는 ㄷ자 형상의 지지판(220f)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스앵커
  6. 삭제
KR10-2001-0079599A 2001-12-14 2001-12-14 어스앵커 KR10046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99A KR100464929B1 (ko) 2001-12-14 2001-12-14 어스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599A KR100464929B1 (ko) 2001-12-14 2001-12-14 어스앵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787U Division KR200270098Y1 (ko) 2001-12-15 2001-12-15 어스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04A KR20030049404A (ko) 2003-06-25
KR100464929B1 true KR100464929B1 (ko) 2005-01-05

Family

ID=2957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599A KR100464929B1 (ko) 2001-12-14 2001-12-14 어스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1B1 (ko) 2007-02-01 2008-05-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242B (zh) * 2022-05-23 2023-06-23 中国水利水电建设工程咨询西北有限公司 一种智能化锚索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972U (ja) * 1997-03-31 1997-10-03 株式会社間組 アンカーの台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972U (ja) * 1997-03-31 1997-10-03 株式会社間組 アンカーの台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1B1 (ko) 2007-02-01 2008-05-29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04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440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20090035061A1 (en) Removable Bollard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642341B1 (ko) 흙막이 토류벽 보강용 파일부재
JP6650257B2 (ja) 山留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KR20220063797A (ko) 인장 응력이 적용된 h형강을 이용한 지하옹벽 철거 공법
KR100464929B1 (ko) 어스앵커
KR200270098Y1 (ko) 어스앵커
JP2000265574A (ja) 高床式鉄骨基礎梁工法
KR101127475B1 (ko) 띠장 연결장치
JP2001132268A (ja) 基礎免震構造物の構築方法
KR102307510B1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20210119935A (ko) 버팀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44972B1 (ko) 건축용 조립식 흙막이 구조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KR101431009B1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KR200258949Y1 (ko) 흙막이벽 구축용 트러스식 지보구조체
KR20200122029A (ko) 지중수직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04871B1 (ko)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JP2649682B2 (ja) 地下構造体
KR100683862B1 (ko) 건축물 흙막이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