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7629B1 - 케이블 트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7629B1
KR102317629B1 KR1020210018251A KR20210018251A KR102317629B1 KR 102317629 B1 KR102317629 B1 KR 102317629B1 KR 1020210018251 A KR1020210018251 A KR 1020210018251A KR 20210018251 A KR20210018251 A KR 20210018251A KR 102317629 B1 KR102317629 B1 KR 10231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seated
arcuat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명수
Original Assignee
현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명수 filed Critical 현명수
Priority to KR102021001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정리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을 따라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1016459417-pat00004
"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트레이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상기 트레이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절곡 프레임과, 상기 절곡 프레임의 수직면을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절곡 프레임의 수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로 이루어지는 체결부;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상기 케이블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후단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방향에 대응한 안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부위의 일측 또는 따른 일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장치{CABLE TRAY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정리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케이블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크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과 상기 사이드 레일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헹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적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내지는 정리된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이드 레일과 헹거가 전반적으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식 구조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하여 적재, 보관 및 운송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즉 많은 적재 및 보관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송이 불편하다는 점과,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생산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205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2044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정리정돈 상태로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는, 내측을 따라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1016459417-pat00001
"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트레이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상기 트레이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절곡 프레임과, 상기 절곡 프레임의 수직면을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절곡 프레임의 수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로 이루어지는 체결부;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상기 케이블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후단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방향에 대응한 안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부위의 일측 또는 따른 일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는, 상기 트레이부의 후단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부위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일 수직 롤러부와 다른 수직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 지지대; 및 상기 절곡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면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 지지대의 전단 및 후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절곡 지지대를 지지하는 코너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 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절곡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절곡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절곡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는, 다수 개의 상기 케이블들을 서로 분리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블 정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 정리부는, 다수 개의 상기 케이블들이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안착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기 케이블들이 서로 분리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분리 격벽; 일측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에서 일측이 상기 커버 프레임과 함께 상기 안착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을 덮음에 따라 함께 회동되어 상기 분리 격벽 마다 안착되어 있는 상기 케이블의 상측을 가압시켜 주는 가압 스폰지; 및 상기 가압 스폰지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조절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 프레임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조절부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케이블 트레이가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분리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정리 정돈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코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 케이블 정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의 가압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은 도 15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3의 가압 조절부의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가압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9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9의 가압 조절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10)는, 트레이부(11), 체결부(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1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14-1, 14-2)를 포함한다.
트레이부(11)는, 내측을 따라 케이블(C)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1016459417-pat00002
"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부(11)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방향에 따라 일측 방향(11a)으로 절곡되거나, 양측 방향(11a, 11b)으로 갈라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부(11)는, 수평 롤러부(13) 일측 또는 다른 일측, 수직 롤러부(14)의 하측이 삽입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홀(H1, H2, H3, H4)들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12)는, 트레이부(1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트레이부(11)를 체결할 수 있도록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트레이부(11)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절곡 프레임(12a)과, 절곡 프레임(12a)의 수직면을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트레이부(11)와 절곡 프레임(12a)의 수직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12b)로 이루어진다.
수평 롤러부(13)는, 트레이부(11)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케이블(C)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 배치되어 트레이부(11)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수직 롤러부(14-1, 14-2)는, 트레이부(11)의 후단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트레이부(11)에 안착되어 있는 케이블(C)이 트레이부(11)의 절곡 방향에 대응한 안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트레이부(11)의 절곡 부위의 일측 또는 따른 일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롤러부(14)는, 트레이부(11)의 연장 형태에 대응하여 트레이부(11)의 절곡 부위를 따라 다수 개(14-1, 14-2, 14-3, 14-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10)는, 트레이부(11), 케이블 트레이가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다가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분리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정리 정돈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10)는, 트레이부(11), 체결부(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14), 절곡 지지대(15) 및 코너 지지부(16-1, 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레이부(11), 체결부(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13)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14)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절곡 지지대(15)는, 트레이부(11)의 후단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트레이부(11)의 절곡 부위(B1, B2)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일 수직 롤러부(14)와 다른 수직 롤러부(14) 사이에 배치되어 코너 지지부(16-1, 16-2)에 의해 지지된다.
코너 지지부(16-1, 16-2)는, 절곡 지지대(15)와 대향하는 트레이부(11)의 절곡면의 내측면과 절곡 지지대(15)의 전단 및 후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절곡 지지대(15)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10)는, 케이블 트레이가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도 케이블(C)이 곡선을 그리면서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케이블(C)의 거치 용이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케이블(C)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케이블(C)의 파손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코너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너 지지부(100)는, 받침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및 회동형 완충부(1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코너 지지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뉘인 형태로 배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받침 플레이트(110)가 상측에 위치하고 회동형 완충부(130)가 하측에 위치하여 직립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 플레이트(1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지지대(15)를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절곡 지지대(15)와 대향하는 트레이부(11)의 절곡면의 내 측면(도 3의 B1 또는 B2)에 설치되며, 회동형 완충부(1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1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130)는, 받침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절곡 지지대(15)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1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1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1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 제2 아치형 지지대(132), 제3 아치형 지지대(1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1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1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절곡 지지대(15)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1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1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1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1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코너 지지부(100)는, 트레이부(11)로부터 절곡 지지대(15)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케이블(C)의 파손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1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140)은, 단부 안착 공간(1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1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1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135)는, 단부 안착 공간(1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1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1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1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1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1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7은 도 5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1 고정 블록(1341), 제2 고정 블록(1342) 및 슬라이딩 블록(1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1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1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1342)은, 제1 고정 블록(1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1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1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1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131)가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1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1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1341)과 제2 고정 블록(1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1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1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1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1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1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1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1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1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1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1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1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134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절곡 지지대(15)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1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1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1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1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30)는, 트레이부(11), 체결부(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14), 절곡 지지대(15), 코너 지지부(16) 및 케이블 정리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레이부(11), 체결부(12),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14), 절곡 지지대(15) 및 코너 지지부(16)는,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블 정리부(400)는, 다수 개의 케이블(C)들을 서로 분리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트레이부(11)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장치(30)는, 다수 개의 케이블(C)이 안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C)들을 한 가닥씩 분리하여 거치시킴으로써, 케이블(C)이 서로 헝클어짐에 따라 정리가 힘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 케이블 정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리부(400)는, 안착 프레임(410), 다수 개의 분리 격벽(420), 커버 프레임(430), 가압 스폰지(440) 및 가압 조절부(450)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410)은, 다수 개의 케이블(C)들이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부(11)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측이 커버 프레임(430)에 의해 덮인다.
분리 격벽(420)은, 안착 프레임(410)에 안착되는 케이블(C)들이 서로 분리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안착 프레임(410)의 상측을 따라 설치된다.
커버 프레임(430)은, 일측이 안착 프레임(4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410)의 상측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프레임(430)은, 안착 프레임(410)의 상측을 덮은 상태에서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체결 볼트(431)에 의해 안착 프레임(410)을 덮은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가압 스폰지(440)는, 커버 프레임(430)의 하측에서 일측이 커버 프레임(430)과 함께 안착 프레임(4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커버 프레임(430)이 안착 프레임(410)의 상측을 덮음에 따라 함께 회동되어 분리 격벽(420) 마다 안착되어 있는 케이블(C)의 상측을 가압시켜 케이블(C)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가압 조절부(450)는, 가압 스폰지(440)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441)과 커버 프레임(430)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441)과 커버 프레임(43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 프레임(430)은, 하측을 따라 가압 조절부(450)의 상부가 안착되기 위한 하부 안착홈(432)이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정리부(400)는, 다수 개의 케이블(C)이 안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케이블(C)들을 한 가닥씩 분리하여 거치시킴으로써, 케이블(C)이 서로 헝클어짐에 따라 정리가 힘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3의 가압 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다른 가압 조절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커버 프레임(430)의 하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면서 지지 프레임(441)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면서 지지 프레임(441)의 상측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가압 조절부(300)는, 커버 프레임(430)과 지지 프레임(441) 사이에 발생되는 수직 및 경사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케이블(C)에 항상 일정한 힘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5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 프레임(430)이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8은 도 15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 프레임(441)의 상측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가압 조절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가압 조절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3의 가압 조절부의 따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 조절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1), 제2 격벽(212) 및 제3 격벽(213)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커버 프레임(230)과 지지 프레임(241) 사이에 설치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14)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커버 프레임(23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15)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241)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16)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커버 프레임(23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1), 제2 격벽(212) 및 제3 격벽(213)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1), 제2 격벽(212) 및 제3 격벽(213)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압 조절부(2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커버 프레임(230)과 지지 프레임(241)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커버 프레임(430)과 지지 프레임(441) 사이에 발생되는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케이블(C)에 항상 일정한 힘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케이블 트레이 장치
11: 트레이부
12: 체결부
13: 수평 롤러부
14: 수직 롤러부
15: 절곡 지지대
16: 코너 지지부

Claims (12)

  1. 내측을 따라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
    Figure 112021089438694-pat00003
    "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트레이부;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상기 트레이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ㄱ"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절곡 프레임과, 상기 절곡 프레임의 수직면을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절곡 프레임의 수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로 이루어지는 체결부;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안착되는 상기 케이블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롤러부; 및
    상기 트레이부의 후단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부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방향에 대응한 안착이 유도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부위의 일측 또는 따른 일측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부의 후단이 일측 또는 다른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 부위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일 수직 롤러부와 다른 수직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 지지대; 및
    상기 절곡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면의 내측면과 상기 절곡 지지대의 전단 및 후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절곡 지지대를 지지하는 코너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곡 지지대를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절곡 지지대와 대향하는 상기 트레이부의 절곡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절곡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절곡 지지대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케이블들을 서로 분리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블 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정리부는,
    다수 개의 상기 케이블들이 상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부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안착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기 케이블들이 서로 분리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분리 격벽;
    일측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을 덮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에서 일측이 상기 커버 프레임과 함께 상기 안착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이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을 덮음에 따라 함께 회동되어 상기 분리 격벽 마다 안착되어 있는 상기 케이블의 상측을 가압시켜 주는 가압 스폰지; 및
    상기 가압 스폰지의 상측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가압 조절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조절부는,
    상기 커버 프레임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0210018251A 2021-02-09 2021-02-09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31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51A KR102317629B1 (ko) 2021-02-09 2021-02-09 케이블 트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251A KR102317629B1 (ko) 2021-02-09 2021-02-09 케이블 트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629B1 true KR102317629B1 (ko) 2021-10-25

Family

ID=7825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251A KR102317629B1 (ko) 2021-02-09 2021-02-09 케이블 트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07620A (zh) * 2022-11-18 2023-06-02 国网四川省电力公司达州供电公司 一种电缆终端头横向撑拉束型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14B1 (ko) * 2005-03-09 2005-09-13 윤재흥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KR20120083753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KR101242050B1 (ko) 2012-07-18 2013-03-11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트레이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20170133586A (ko) * 2016-05-26 2017-12-06 양희성 전선 가이드 롤러
KR101815970B1 (ko) * 2017-06-14 2018-01-08 이승현 공동주택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20447B1 (ko) 2015-12-29 2018-01-22 아인텍(주)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2063477B1 (ko) * 2019-05-28 2020-01-08 이주철 천장 전선 정리 구조
KR200492811Y1 (ko) * 2020-06-05 2020-12-14 이은상 케이블 이송용 가이드 엘보우
KR200493049Y1 (ko) * 2020-05-11 2021-01-21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714B1 (ko) * 2005-03-09 2005-09-13 윤재흥 케이블 견인 가이드 장치
KR20120083753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KR101242050B1 (ko) 2012-07-18 2013-03-11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트레이
KR101594161B1 (ko) * 2015-09-30 2016-02-15 (주)아현건설 지중 송전 및 배전 케이블 보호장치
KR101820447B1 (ko) 2015-12-29 2018-01-22 아인텍(주)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20170133586A (ko) * 2016-05-26 2017-12-06 양희성 전선 가이드 롤러
KR101815970B1 (ko) * 2017-06-14 2018-01-08 이승현 공동주택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2063477B1 (ko) * 2019-05-28 2020-01-08 이주철 천장 전선 정리 구조
KR200493049Y1 (ko) * 2020-05-11 2021-01-21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KR200492811Y1 (ko) * 2020-06-05 2020-12-14 이은상 케이블 이송용 가이드 엘보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07620A (zh) * 2022-11-18 2023-06-02 国网四川省电力公司达州供电公司 一种电缆终端头横向撑拉束型装置
CN116207620B (zh) * 2022-11-18 2023-11-14 国网四川省电力公司达州供电公司 一种电缆终端头横向撑拉束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629B1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CA2745744A1 (en) Suspension-type storage unit
CN109790733A (zh) 磁悬浮门
JP4349649B2 (ja) 対象物設置機構
KR102441164B1 (ko) 의류 재고 관리를 위한 의류 이송 장치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KR20220084943A (ko) 다기능 가로등 거치대
US2909802A (en) Sliding door closure
KR102287278B1 (ko) 다중 내진 구조를 구비한 방수 이중 천정
KR102585669B1 (ko) 통신 배선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516286B1 (ko) 절첩식 랩탑 컴퓨터 스탠드
KR102255942B1 (ko)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598552B1 (ko) 스틸 그레이팅 고정 장치
KR102385187B1 (ko) 앨범 이송 장치
JP2010035935A (ja) カウンター装置
JPH0344950Y2 (ko)
JP5132767B2 (ja) 縦型ルーバー
KR102287276B1 (ko) 옥상 방수 구조
CN218907218U (zh) 吊挂式轨道车及轨道系统
KR102420471B1 (ko) 냉동차용 컨테이너의 충격 완화 장치
JP2005047672A (ja) 搬送手段におけるキャリアおよび建具キャリア
JP2021520459A (ja) 引き戸を動かすための弾性補償要素を備えたキャリッジ
JP2013213320A (ja) 屋根構造体
JP2013123613A (ja) 支持体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壁付収納装置
JP2000170833A (ja) 免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