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942B1 - Led 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 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942B1
KR102255942B1 KR1020200160758A KR20200160758A KR102255942B1 KR 102255942 B1 KR102255942 B1 KR 102255942B1 KR 1020200160758 A KR1020200160758 A KR 1020200160758A KR 20200160758 A KR20200160758 A KR 20200160758A KR 102255942 B1 KR102255942 B1 KR 10225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late
spac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홍정
Original Assignee
(주)하나시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시티에스 filed Critical (주)하나시티에스
Priority to KR102020016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접점에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시켜 릴레이 접점의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구현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ㄴ' 자인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는 장홈이 형성되고 수직부 외측에는 천장에 설치되기 위한 조명틀 설치부가 형성되는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과, 상기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액자 형태의 몸체; 상기 조명틀 프레임의 내측 장홈에 연결 설치되는 LED모듈; 상기 조명틀 프레임의 바닥부 상면에 안착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 가공층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간격 지지대; 상기 간격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되는 사각판 형태의 후판;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의 각 모서리 마다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간격 지지대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를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LED모듈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고, 상기 LED모듈로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조명 제어 시스템{LED LIGHTING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 접점에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시켜 릴레이 접점의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구현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 조명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엘이디 광원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엘이디 조명장치는 엘이디 광원장치와 제어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구조가 많으며, 전원 공급장치가 분리되거나 전원 공급장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엘이디 조명장치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케이스로 구성된 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나 플렉시블 엘이디 조명은 기구가 필요 없는 장점을 가진다.
AC 220V의 전등 부하를 개폐하는 경우 특별한 고려 없이 임의의 시간에 개폐 제어를 시행하게 되어, 제어 시 과도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릴레이의 접점에 전기적 충격에 의하여 접점의 물성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이 쌓이게 되어 릴레이의 기능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634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7523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압이 규칙적으로 순환 및 변화하는 교류의 특성을 활용하여, 전압이 '0' 이 되는 순간에, 릴레이의 개폐 제어를 하게 되어, 릴레이 접점에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릴레이 제어 이전에,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전자 릴레이를 먼저 제어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릴레이 접점의 수명을 늘릴 수 있도록 구현한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은, 단면이 'ㄴ' 자인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는 장홈이 형성되고 수직부 외측에는 천장에 설치되기 위한 조명틀 설치부가 형성되는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과, 상기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액자 형태의 몸체; 상기 조명틀 프레임의 내측 장홈에 연결 설치되는 LED모듈; 상기 조명틀 프레임의 바닥부 상면에 안착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 가공층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간격 지지대; 상기 간격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되는 사각판 형태의 후판;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의 각 모서리 마다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간격 지지대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를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LED모듈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고, 상기 LED모듈로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모듈의 전압이 OV(Zero Cross)가 되는 순간을 감지하며, 기계적인 접점인 릴레이의 접점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릴레이를 제어하기 바로 직전에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TRIAC(트라이악)을 먼저 제어하여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인 써지(Surge)를 미리 흡수한 뒤(즉, 접점 환경을 Soft하게 만들고 난 이후), 릴레이의 접점을 스위치 온(Switch On)으로 제어하여 상기 LED모듈로 전류가 흘러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 지지대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후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후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틀 설치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 상기 상부 안착홈 마다 안착되어 상기 기본 프레임과 천장과의 간격을 지지하는 조명틀 지지부; 상기 기본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관통 체결홀; 및 상기 관통 체결홀을 통하여 삽입된 뒤 천장에 체결되어 상기 기본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틀 지지부는, 천장면에 안착되는 상부 지지대;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상부 안착홈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틀 지지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면의 하측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기본 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기본 프레임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압이 규칙적으로 순환 및 변화하는 교류의 특성을 활용하여, 전압이 '0' 이 되는 순간에, 릴레이의 개폐 제어를 하게 되어, 릴레이 접점에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릴레이 제어 이전에,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전자 릴레이를 먼저 제어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릴레이 접점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도 1의 간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간격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간격 지지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조명틀 설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조명틀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8의 조명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6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제어 시스템(10)은, 몸체(100), LED모듈(200), 도광판(300), 간격 지지대(400), 후판(500), 간격 지지 스프링(700) 및 제어부(75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단면이 'ㄴ' 자인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111)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는 장홈(112)이 형성되고 수직부(111) 외측에는 천장에 설치되기 위한 조명틀 설치부(114)(도 8 참조)가 형성되는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110)과,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110)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지는 액자 형태로 형성된다.
LED모듈(200)은, 조명틀 프레임(110)의 내측 장홈(112)에 연결 설치되 제어부(75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광되어 빛을 도광판(300)으로 조사한다.
즉, LED모듈(200)은, 도광판(30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여 도광판(300)이 해당 조사된 빛에 의해 발광하여 빛을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광판(300)은, 조명틀 프레임(110)의 바닥부 상면(113)에 안착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LED모듈(200)로부터 조사된 빛의 광확산을 위한 표면 가공층이 형성된다.
간격 지지대(400)는, 도광판(30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된다.
후판(500)은, 간격 지지대(400)의 상측에 안착되어 도광판(30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간격 지지 스프링(700)은, 도광판(300)과 후판(500)의 각 모서리 마다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간격 지지대(400)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도광판(300)과 후판(500) 사이를 잡아당겨 준다.
제어부(750)는, 도광판(300)과 후판(5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되, LED모듈(200)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고, LED모듈(200)로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50)는, LED모듈(200)의 전압이 OV(Zero Cross)가 되는 순간을 감지하며, 기계적인 접점인 릴레이의 접점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릴레이를 제어하기 바로 직전에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TRIAC(트라이악)을 먼저 제어하여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인 써지(Surge)를 미리 흡수한 뒤(즉, 접점 환경을 Soft하게 만들고 난 이후), 릴레이의 접점을 스위치 온(Switch On)으로 제어하여 LED모듈(200)로 전류가 흘러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제어 시스템(10)은, 전압이 규칙적으로 순환 및 변화하는 교류의 특성을 활용하여, 전압이 '0' 이 되는 순간에, 릴레이의 개폐 제어를 하게 되어, 릴레이 접점에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릴레이 제어 이전에,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진 전자 릴레이를 먼저 제어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릴레이 접점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1의 간격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간격 지지대(400)는, 박스형 케이스(410),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제3 지지부(440) 및 간격조절볼트(4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4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도광판(300)과 후판(5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4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4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2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후판(5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4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4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43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도광판(30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3 지지부(4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4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4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441)이 박스형 케이스(4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후판(500)의 하측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450)는,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4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450)는, 볼트 본체(4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4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4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451)는, 박스형 케이스(4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410), 제2 격벽(420) 및 제3 격벽(4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4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452-1, 452-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4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453-1, 453-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4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454-1, 454-2)은, 볼트 본체(4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4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4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력 조절체(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4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420), 제2 지지부(430) 및 제3 지지부(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도광판(300)과 후판(500)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도광판(300)에 의해 확산되는 빛의 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750)의 설치 공간을 제어부(750)의 형태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1의 조명틀 설치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틀 설치부(114a)는, 기본 프레임(1141), 상부 안착홈(1142), 조명틀 지지부(1143), 관통 체결홀(1144) 및 체결 수단(1145)을 포함한다.
기본 프레임(1141)은, 수직부(111)의 외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다수 개의 상부 안착홈(1142)이 형성된다.
상부 안착홈(1142)은, 기본 프레임(1141)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조명틀 지지부(1143)가 안착된다.
조명틀 지지부(1143)는, 상부 안착홈(1142) 마다 안착되어 기본 프레임(1141)과 천장(F)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관통 체결홀(1144)은, 체결 수단(1145)이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기본 프레임(114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체결 수단(1145)은, 관통 체결홀(1144)을 통하여 삽입된 뒤 천장에 체결되어 기본 프레임(1141)을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틀 설치부(114a)는,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0)를 천장(F)에 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 프레임(1141)과 천장(F) 사이를 지지하는 조명틀 지지부(1143)를 이용하여 천장(F)으로부터 또는 천장(F)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조명틀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틀 지지부(600)는, 상부 지지대(610), 하부 지지대(6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610)는,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천장면(F)의 하측에 안착된다.
하부 지지대(620)는, 상측에 상부 지지대(6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하면서 상부 안착홈(1142)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6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6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620)를 지지하면서 상부 안착홈(1142)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틀 지지부(6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뿐만 아니라 일정 거리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경사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역시 감쇄시켜 줌으로써, 천장(F)으로부터 또는 천장(F)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610)는, 지지 플레이트(611), 하부홈(612), 간격 지지 탄성체(613), 제1 제동 프레임(614) 및 제2 제동 프레임(6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6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면(F)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613)에 의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612)은, 간격 지지 탄성체(6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613)는, 지지 플레이트(611)와 하부 지지대(6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6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6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614)은,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615)은, 제1 제동 프레임(6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6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620)는, 지지 본체(621), 제1 상하 관통홈(622), 제2 상하 관통홀(623),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6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6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624) 및 제2 설치 공간(6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622)은, 제1 제동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623)은, 제2 제동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6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6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6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6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6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3은 도 10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제3 스프라켓(633), 구동 벨트(634), 제동 플레이트(635) 및 제동 스프링(6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6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631)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632)은,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633)은, 제1 설치 공간(6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6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6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634)는, 제1 스프라켓(631),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632) 및 제2 스프라켓(6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6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6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부 안착홈(1142)의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632)와 제3 스프라켓(633)은, 구동 벨트(634)의 하측이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6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6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63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면(6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6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6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6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6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6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636)은,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6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6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630)는,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6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조명틀 지지부(600)가 제동 스프링(6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6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6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6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6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조명틀 지지부(6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도 8의 조명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틀 지지부(800)는, 받침 플레이트(810), 하부 플레이트(820) 및 회동형 완충부(8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받침 플레이트(8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면(F)의 하측을 지지하며, 회동형 완충부(8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8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회동형 완충부(8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8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 안착홈(1142)에 안착된다.
회동형 완충부(830)는, 받침 플레이트(810)와 하부 플레이트(8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8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기본 프레임(1141)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8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8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8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831), 제2 아치형 지지대(832), 제3 아치형 지지대(8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8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8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8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8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8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810)의 상측에 안착되어 있는 기본 프레임(1141)의 움직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8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8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8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8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8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8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8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8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8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8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8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8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명틀 지지부(800)는, 받침 플레이트(810)와 하부 플레이트(820) 사이에 설치되는 회동형 완충부(830)를 이용하여 천장(F)으로부터 또는 천장(F)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8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8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8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8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840)은, 단부 안착 공간(8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8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8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8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835)는, 단부 안착 공간(8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8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8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8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8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8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8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8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6는 도 14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834)는, 제1 고정 블록(8341), 제2 고정 블록(8342) 및 슬라이딩 블록(8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8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8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8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8342)은, 제1 고정 블록(8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8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8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8343)은, 제1 고정 블록(8341)과 제2 고정 블록(8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8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8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8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831)가 받침 플레이트(8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8341)과 제2 고정 블록(8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8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8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8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8341)과 제2 고정 블록(8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8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6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8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8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8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8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8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8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8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8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8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8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8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8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8343)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810)의 상측에 안착되는 기본 프레임(1141)의 움직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8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8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8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8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LED 조명 제어 시스템
100: 몸체
200: LED모듈
300: 도광판
400: 간격 지지대
500: 후판
600, 800: 조명틀 지지부
700: 간격 지지 스프링
750: 제어부

Claims (9)

  1. 단면이 'ㄴ' 자인 앵글의 형태로 형성되되 수직부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는 장홈이 형성되고 수직부 외측에는 천장에 설치되기 위한 조명틀 설치부가 형성되는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과, 상기 네 개의 조명틀 프레임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연결 설치하여 사각틀 형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는 액자 형태의 몸체;
    상기 조명틀 프레임의 내측 장홈에 연결 설치되는 LED모듈;
    상기 조명틀 프레임의 바닥부 상면에 안착되도록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배면에 광확산을 위한 표면 가공층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되는 간격 지지대;
    상기 간격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되는 사각판 형태의 후판;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의 각 모서리 마다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간격 지지대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를 잡아당겨 주는 간격 지지 스프링;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LED모듈로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연결하고, 상기 LED모듈로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모듈의 전압이 OV(Zero Cross)가 되는 순간을 감지하며, 기계적인 접점인 릴레이의 접점에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릴레이를 제어하기 바로 직전에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TRIAC(트라이악)을 먼저 제어하여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전기적 충격인 써지(Surge)를 미리 흡수한 뒤(즉, 접점 환경을 Soft하게 만들고 난 이후), 릴레이의 접점을 스위치 온(Switch On)으로 제어하여 상기 LED모듈로 전류가 흘러가도록 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지지대는,
    상기 도광판과 상기 후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후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을 지지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후판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틀 설치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
    상기 상부 안착홈 마다 안착되어 상기 기본 프레임과 천장과의 간격을 지지하는 조명틀 지지부;
    상기 기본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관통 체결홀; 및
    상기 관통 체결홀을 통하여 삽입된 뒤 천장에 체결되어 상기 기본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틀 지지부는,
    천장면에 안착되는 상부 지지대;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안착홈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천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200160758A 2020-11-26 2020-11-26 Led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25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58A KR102255942B1 (ko) 2020-11-26 2020-11-26 Led 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758A KR102255942B1 (ko) 2020-11-26 2020-11-26 Led 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942B1 true KR102255942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758A KR102255942B1 (ko) 2020-11-26 2020-11-26 Led 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94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103B1 (ko) * 2000-10-02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트라이액을 이용한 릴레이 보호방법
KR200445690Y1 (ko) * 2008-03-10 2009-08-26 (주)이프리시스템 Led감성조명장치
KR200475505Y1 (ko) * 2013-05-15 2014-12-05 정승문 천장매입형 조명장치
KR101751510B1 (ko) * 2017-04-28 2017-06-27 주식회사 아우디조명 Led 평판조명장치용 하우징
KR101816348B1 (ko) 2015-08-06 2018-0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철도차량 객실의 led 조명등 설치시 배선을 최소화하는 전기회로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조명제어 시스템
KR101942327B1 (ko) * 2018-03-09 2019-01-25 박병기 조명등기구
KR102105583B1 (ko) * 2019-03-18 2020-04-28 이경철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의 천장 결합구조
KR20200075233A (ko) 2018-12-18 2020-06-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 엘이디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103B1 (ko) * 2000-10-02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트라이액을 이용한 릴레이 보호방법
KR200445690Y1 (ko) * 2008-03-10 2009-08-26 (주)이프리시스템 Led감성조명장치
KR200475505Y1 (ko) * 2013-05-15 2014-12-05 정승문 천장매입형 조명장치
KR101816348B1 (ko) 2015-08-06 2018-01-08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철도차량 객실의 led 조명등 설치시 배선을 최소화하는 전기회로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조명제어 시스템
KR101751510B1 (ko) * 2017-04-28 2017-06-27 주식회사 아우디조명 Led 평판조명장치용 하우징
KR101942327B1 (ko) * 2018-03-09 2019-01-25 박병기 조명등기구
KR20200075233A (ko) 2018-12-18 2020-06-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성 엘이디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시스템
KR102105583B1 (ko) * 2019-03-18 2020-04-28 이경철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의 천장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314B1 (ko) 모니터 스탠드
JP5303739B2 (ja) パネルディスプレイ懸架システム及びパネルディスプレイ懸架システムを備えたパネルディスプレイ
US5611412A (en) Elevator car hitch
KR102255942B1 (ko) Led 조명 제어 시스템
US20080202860A1 (en) Controlling Elevator Door Orientation During Door Movement
GB2359413A (en) Disc drive anti-shock suspension cushions
JP2010133239A (ja) 手摺のための保持装置
JP4475667B2 (ja) 振止め構造を備えている吊戸
KR20130027159A (ko) 엘씨디 글라스용 카세트의 서포트바 및 그 서포트바 조립 지그
CN105401490B (zh) 用于调整道岔尖轨的滚子装置
JP5862115B2 (ja) 野縁固定金具の耐震補強部材
KR102467541B1 (ko) 가로등 거치대
KR102317629B1 (ko)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102462533B1 (ko) 앨범 포장 장치
KR102231823B1 (ko) 가스 실린더 운반 장치
JPH08140782A (ja) 磁気浮上式クッション体
JP2005225243A (ja) 移動装置
JPH04372503A (ja) 磁気浮上搬送車のマグネット懸架構造
WO2024121883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2000014472A (ja) 収納什器等の免震装置
CN211952524U (zh) 一种防晃减震的投射灯
JP2016169472A (ja) 天井構造
KR102516286B1 (ko) 절첩식 랩탑 컴퓨터 스탠드
JP2020171401A (ja) 折りたたみ式ベッド
KR102445692B1 (ko) 발열 골프장갑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