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586A - 전선 가이드 롤러 - Google Patents

전선 가이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586A
KR20170133586A KR1020160064482A KR20160064482A KR20170133586A KR 20170133586 A KR20170133586 A KR 20170133586A KR 1020160064482 A KR1020160064482 A KR 1020160064482A KR 20160064482 A KR20160064482 A KR 20160064482A KR 20170133586 A KR20170133586 A KR 20170133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ller
wire
hol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862B1 (ko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16006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86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철(완금)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전선 가이드 롤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를 완철에 취부하기 위한 홀더부로 이루어진 전선 가이드 롤러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완철에 취부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단부에 체결공이 천공된 도어편과, 하부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체결공에 교차 상태로 걸쳐지는 걸이홈이 형성된 잠금편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완철을 가압하고 반작용으로 상기 걸이홈이 상기 체결공에 더욱 밀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홀더부는 상기 완철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모서리부분을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측 틀 내측면과 상기 잠금편 상면에 계단식으로 단차진 파지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롤러부가 상기 홀더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각을 소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 상면에 회전 방지턱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선 가이드 롤러를 완철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완철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홀더부에서 완철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선 방향에 따라 롤러부가 소정각 회전함으로써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을 안정적으로 거치, 안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선 가이드 롤러{Wire guide roller}
본 발명은 전선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철(완금)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전선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 가이드 롤러를 사용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9701호(2004. 5. 12. 공개)는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전주의 완금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일측에 장착하면서 수지재에 의해 디귿자형으로 형성한 완금지지홀더부와, 완금지지홀더부에 일정 높이로 수지재에 의해 형성한 지주로드부와, 지주로드부의 상단에 전선의 거치와 장력 조정시 안내를 도모하게 사면에 롤러를 구비한 수지재의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한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26669호(2012. 3. 29. 공고)는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전주의 완금에 고정시키는 "ㄷ"자 형상의 고정단부; 고정단부의 상부로 일정 높이 연장되는 지주; 및 지주에 이중관 형태로 삽입되어 길이 조절되며, 그 상부에 전선 가이드부를 설치하도록 된 슬라이드 아암;을 포함하는 전주 결합부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전선 가이드 롤러는 완철(완금)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디귿자형의 완금지지홀더부(고정단부)와 완금지지홀더부 하단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고정볼트(체결부재)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완철의 규격이 일정하지 않아 완금지지홀더부가 보다 크게 제작되고, 완철에 거치된 상태에서 완금지지홀더부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핀 방식에 의해 완금지지홀더부 하단에 고정볼트가 끼워진다는 점에서, 종래의 전선 가이드 롤러는 구조적으로 완철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완철과의 유격으로 전선의 롤링 또는 풍압 작용시 전선 가이드 롤러의 방향이 연선의 방향과 틀어져 전선이 굵거나 펴는 구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과부하가 걸려 전선 펴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완철(완금)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을 안정적으로 안내함으로써 전선 펴기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선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를 완철에 취부하기 위한 홀더부로 이루어진 전선 가이드 롤러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완철에 취부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단부에 체결공이 천공된 도어편과, 하부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체결공에 교차 상태로 걸쳐지는 걸이홈이 형성된 잠금편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완철을 가압하고 반작용으로 상기 걸이홈이 상기 체결공에 더욱 밀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홀더부는 상기 완철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모서리부분을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측 틀 내측면에 계단식으로 단차진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조임부재는 하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봉이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봉 상단에 상기 완철을 가압하기 위한 원형 가압편이 헛돌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조임부재는 하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봉이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봉 상단에 상기 완철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이 헛돌게 결합되며, 상기 홀더부 타측과 상기 도어편에 상기 가압편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가 상기 홀더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각을 소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 상면에 회전 방지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가이드 롤러를 완철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고, 완철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홀더부에서 완철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선 방향에 따라 롤러부가 소정각 회전함으로써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을 안정적으로 거치,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전선 펴기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를 완철에 취부하는 과정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의 잠금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가 완철을 파지한 상태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에 적용된 조임부재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에 적용된 조임부재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의 롤러부와 홀더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가이드 롤러는 크게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10)와, 롤러부(10)를 완철(1)에 취부하기 위한 홀더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홀더부(100)는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되, 완철(1)에 취부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단부에 체결공(21)이 천공된 도어편(20)과, 하부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체결공(21)에 교차 상태로 걸쳐지는 걸이홈(31)이 형성된 잠금편(30)이 구비되고, 잠금편(30)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완철(1)을 가압하고 반작용으로 걸이홈(31)이 체결공(21)에 더욱 밀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롤러부(10)는 송배전 가선 공사시 전선을 거치시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사면에 롤러가 취부되고 상방 롤러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홀더부(100)는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되, 완철(1)에 취부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도어편(20)과, 하부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잠금편(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어편(20)은 그 단부에 체결공(21)이 천공되고, 잠금편(30)은 체결공에 대응하여 걸이홈(3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편(20)을 외측으로 벌려 홀더부(100)를 완철(1)에 취부한 상태에서 잠금편(30)을 상방향으로 소정각 회전시킨 다음 잠금편(30)의 단부가 체결공(21)에 삽입되도록 도어편(20)을 닫고 잠금편(30)을 놓게 되면 걸이홈(31)이 체결공(21)에 교차 상태로 걸쳐지게 되어 체결상태가 된다.
조임부재(40)는 잠금편(30)에 나사결합되는데, 조임에 따라 상방향으로 신장되어 완철(1)을 가압하고 이때 반작용으로 잠금편(30)이 하측으로 밀리게 되어 걸이홈(31)이 체결공(21)에 더욱 밀착됨으로써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전선 가이드 롤러를 완철(1)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홀더부(100)는 완철(1)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모서리부분을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측 틀(101) 내측면에 계단식으로 단차진 파지부(50)가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제조사에 따라 완철 규격에 차이가 있고, 특정 완철의 경우 윗면이 볼록하게 구배진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 경우 계단식으로 단차진 파지부(50)에 의해 홀더부(100)의 폭이 가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어느 완철이든 모서리부분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 가이드 롤러가 완철(1)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의 조임부재(40)는 하단에 손잡이(41)가 형성된 나사봉(42)이 잠금편(30)에 나사결합되고, 나사봉(42) 상단에 완철을 가압하기 위한 원형 가압편(43)이 헛돌게 결합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나사봉(42)이 잠금편(30)에 나사결합되고, 나사봉(42) 상단에 완철(1)을 가압하기 위한 원형 가압판(43)이 헛돌게 결합됨으로써 손잡이(41)를 잡고 나사봉(42)을 조이게 되면 원형 가압판(43)이 완철(1)에 맞닿게 되고, 나사봉(42) 상단에 원형 가압판(43)이 헛돌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나사봉(42)을 더욱 조임으로써 완철(1)에 전선 가이드 롤러를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조임부재(40)는 하단에 손잡이(41)가 형성된 나사봉(42)이 잠금편(30)에 나사결합되고, 나사봉(42) 상단에 완철(1)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43')이 헛돌게 결합되며, 홀더부(100) 타측과 도어편(20)에 가압편(43')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레일(60)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2는 완철(1)에 취부되는 핀 애자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가압편(43')이 가이드 레일(6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나사봉(42)을 조이게 되면 홀더부(100)의 폭 넓이 그대로 완철(1)을 가압할 수 있어 가압상태에서 완철(1)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가압판(43')은 그 상면에 홀더부(100)의 상측 틀 내측면에 형성된 파지부(50)에 대응하여 파지홈부(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 가이드 롤러가 완철(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모두 좌우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의 롤러부(10)가 홀더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롤러부(10)의 회전각을 소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도록 홀더부(100) 상면에 회전 방지턱(7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롤러부(10)가 홀더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됨에 따라 롤러부(10)는 홀더부(100)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롤러부(10)의 회전 범위 내에 회전 방지턱(70)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롤러부(10)는 이 회전 방지턱(7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주가 일렬로 나란하게 설치되지 않더라도 롤러부(10)가 연선 방향으로 소정각 회전한 상태에서 전선을 거치, 안내함으로써 완철에 고정 설치된 홀더부(100)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전선이 롤러부(10)의 외부 틀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완철
2 : 핀 애자
10: 롤러부
20: 도어편
21: 체결공
30: 잠금편
31: 걸이홈
40: 조임부재
41: 손잡이
42: 나사봉
43: 원형 가압판
43': 가압판
50: 파지부
50': 파지홈부
60: 가이드 레일
70: 회전 방지턱
100: 홀더부

Claims (5)

  1. 전선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를 완철에 취부하기 위한 홀더부로 이루어진 전선 가이드 롤러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사각형상의 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완철에 취부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단부에 체결공이 천공된 도어편과, 하부에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체결공에 교차 상태로 걸쳐지는 걸이홈이 형성된 잠금편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어 조임에 따라 상기 완철을 가압하고 반작용으로 상기 걸이홈이 상기 체결공에 더욱 밀착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조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가이드 롤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완철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모서리부분을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그 상측 틀 내측면에 계단식으로 단차진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가이드 롤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하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봉이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봉 상단에 상기 완철을 가압하기 위한 원형 가압편이 헛돌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가이드 롤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하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나사봉이 상기 잠금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나사봉 상단에 상기 완철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편이 헛돌게 결합되며, 상기 홀더부 타측과 상기 도어편에 상기 가압편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가이드 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가 상기 홀더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의 회전각을 소정 범위로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부 상면에 회전 방지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가이드 롤러.
KR1020160064482A 2016-05-26 2016-05-26 전선 가이드 롤러 KR10197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482A KR101974862B1 (ko) 2016-05-26 2016-05-26 전선 가이드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482A KR101974862B1 (ko) 2016-05-26 2016-05-26 전선 가이드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586A true KR20170133586A (ko) 2017-12-06
KR101974862B1 KR101974862B1 (ko) 2019-05-03

Family

ID=6092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482A KR101974862B1 (ko) 2016-05-26 2016-05-26 전선 가이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8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1113A (zh) * 2018-04-04 2018-09-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亳州供电公司 三相多用滑轮
CN110459987A (zh) * 2019-09-23 2019-11-15 中铁二十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接触网施工用自动紧线装置及方法
KR102079472B1 (ko)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20200000748U (ko) 2018-10-04 2020-04-14 양희원 전선 연선롤러 구조
KR20200137610A (ko) *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20210016895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KR102317629B1 (ko) * 2021-02-09 2021-10-25 현명수 케이블 트레이 장치
KR20210134149A (ko) 2020-04-29 2021-11-09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06B1 (ko) * 2020-05-24 2021-03-03 송승길 케이블 포설 및 풀링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KR20090017728A (ko) * 2007-08-16 2009-02-19 양희성 이선용 롤러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KR20090017728A (ko) * 2007-08-16 2009-02-19 양희성 이선용 롤러 기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1113A (zh) * 2018-04-04 2018-09-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亳州供电公司 三相多用滑轮
KR20200000748U (ko) 2018-10-04 2020-04-14 양희원 전선 연선롤러 구조
KR20200137610A (ko) * 2019-05-31 2020-1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079472B1 (ko)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20210016895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CN110459987A (zh) * 2019-09-23 2019-11-15 中铁二十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接触网施工用自动紧线装置及方法
CN110459987B (zh) * 2019-09-23 2024-04-16 中铁二十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接触网施工用自动紧线装置及方法
KR20210134149A (ko) 2020-04-29 2021-11-09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2317629B1 (ko) * 2021-02-09 2021-10-25 현명수 케이블 트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862B1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862B1 (ko) 전선 가이드 롤러
KR102079472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20070038070A (ko) 애자용 전력케이블 고정장치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US11652344B2 (en) Cable spacer comprising a ratchet spacer clamp
US10148076B2 (en) High volatage power line stringing traveler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KR101709677B1 (ko)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N209896289U (zh) 带电作业用引流线夹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JP2002176901A (ja) 鳥害防止装置
CN207098544U (zh) 一种防振锤用卡销式锁紧线夹
US3220677A (en) Hard wire clevis for deadend
CN216162377U (zh) 一种拉线金具用夹持装置
CN207470546U (zh) 可变径抱箍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CN206602327U (zh) 电缆固定夹
JP2010233420A (ja) 絶縁カバ−用取付け工具
KR20200081997A (ko) 와이어 하네스용 조절형 밴드케이블
KR100846198B1 (ko) 케이블 단자탭용 행거
KR102070481B1 (ko) 컷아웃스위치 장착 브라켓
US3562875A (en) Dead end clamp
JP2015186430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JP6892651B2 (ja) 防鳥用索条の張架方法
US2532427A (en) Electric junction box and the like and cable clamp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