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728A - 이선용 롤러 기구 - Google Patents

이선용 롤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728A
KR20090017728A KR1020070082086A KR20070082086A KR20090017728A KR 20090017728 A KR20090017728 A KR 20090017728A KR 1020070082086 A KR1020070082086 A KR 1020070082086A KR 20070082086 A KR20070082086 A KR 20070082086A KR 20090017728 A KR20090017728 A KR 2009001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late
power line
mounting port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9521B1 (ko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07008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5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금 또는 가완목에 견고히 취부시켜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고,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마찰로 인한 전력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선용 롤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장착부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 및 양 측판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은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판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하판의 일측단 체결부에 체결되며, 하판은 양 측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장착부의 상판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된다.
전선 이선, 이선 기구, 가압판, 핸들, 공용 사용

Description

이선용 롤러 기구{ELECTRIC WIRE REMOVING ROLLER}
본 발명은 이선용 롤러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금 또는 가완목에 견고히 취부시켜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고,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마찰로 인한 전력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선용 롤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의 개보수시 이선용 롤러 기구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켜 기존 선로로부터 전력선을 이선 시키게 되고, 선로의 신설 및 철거시 전력선이 롤러를 경유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종래 이선용 롤러 기구는 장착력이 떨어져 완금 또는 가완목으로부터 쉽게 벗겨지고, 작업현장에 따라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를 경우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이선용 롤러 기구는 롤러가 전력선의 가설방향과 관계없이 일정방향을 향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전력선과 롤러 간의 마찰로 인하여 전력선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완금 또는 가완목에 견고히 취부시켜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고,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마찰로 인한 전력선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작업현장에 따라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선용 롤러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장착부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 및 양 측판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은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판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하판의 일측단 체결부에 체결되며, 하판은 양 측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장착부의 상판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롤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절연봉 및,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절연봉 하단에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 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장착부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 및 양 측판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은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판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하판의 일측단 체결부에 체결되며, 하판은 양 측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절연봉 상단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롤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절연봉 및,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절연봉 하단에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절연봉 상단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되고, 장착부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양 측벽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양 측벽 하방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체결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가압판은 그 양단에 측판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장착부는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그 내측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가압판의 가압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판 내측면에 단차를 갖는 삽입홈이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을 이선시켜 두기 위한 롤러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전선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으로 롤러부가 회동하여 마찰력을 줄이고, 그에 따라 전력선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판이 장착부의 양 측판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가압판을 진퇴시켜 그 내측에 수용된 완금 또는 가완목을 구속시키기 위한 핸들이 구비됨으로써, 핸들에 큰 힘을 가하더라도 가압판 이탈됨이 없어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판과 가압판에 단차를 갖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어느 하나의 수용홈에 수용되어 구속됨으로써,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롤러부의 회전 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롤러부의 회전 구조 단면도,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는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11)가 장착된 롤러부(10)와, 롤러부(10)를 완금 또는 가완목(미도시)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0)로 이루어진다.
롤러부(10)는 개폐가능한 덮개(12)가 마련된다.
덮개(12)는 그 일측단이 일측벽(13)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단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걸쇠(14)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걸쇠(14)를 후방으로 당기면 핀(미도시)이 타측벽(15)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방상태에 놓이고, 걸쇠(14)를 놓으면 핀이 타측벽(15)내로 전진하여 잠금 상태가 된다.
장착부(20)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21)과 하판(22) 및 양 측판(23,24)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23)은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판 일측단(21)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하판(22)의 일측단 체결부(25)에 체결되며, 하판(22)은 양 측판(23,2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30)을 가압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26)이 구비된다.
체결부(25)는 하판(22) 일측단에 일측판(23) 하단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공(미도시)이 천공된 돌출편(25a)과, 돌출편(25a)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하판(22) 외측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잠금핀(25b)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잠금핀(25b)을 당기면 돌출편(25a)의 체결공과의 핀 결합이 해제 되어 일측판(23)은 개방상태에 놓이고, 잠금핀(25b)을 놓으면 돌출편(25a)의 체결공과 핀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핸들(26)은 그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돌리면 가압판(30)이 조여지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가압판(30)이 풀리도록 구성된다. 즉, 가압판(30)은 핸들(26)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가압판(30)은 그 양단에 측판(23,24)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26)을 강하게 돌려 조이더라도 가압판(30)의 양단이 측판(23,24)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이탈되지 않는다.
장착부(20)는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그 내측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가압판(30)의 가압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판 내측면에 단차를 갖는 삽입홈(32)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현장에 따라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가압판(30)의 가압면과 상판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2)에 삽입됨으로써, 가압판(30)에 의한 가압시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부(10)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장착부(20)의 상판(21)과 결속된 회전축(16)이 축설된다.
이에 따라, 전력선에 힘이 가해질 시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롤러부(10)가 회동하여 그 내측면에 장착된 롤러(11)와 전력선이 양호하게 맞닿아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장착부(20)의 일측판(23)을 개방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에 거치시키고, 일측판(23)을 닫아 기구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한다.
핸들(26)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가압판(30)이 전진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을 가압함으로써, 기구는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된다.
덮개(12)의 걸쇠(14)를 후방으로 당겨 롤러부(10)를 개방시키고, 이선시키고자 하는 전력선 또는 가설하고자 하는 전력선 또는 철거하고자 하는 전력선을 롤러부(10) 내측으로 이선시키고, 덮개부(12)를 닫아 전력선의 이선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전력선은 완금 또는 가완목으로부터 이격되고, 가설 또는 철거시 이탈됨이 없이 쉽게 당겨지게 된다.
다음,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선용 롤러 기구는 그 내측에 전력선(1)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11)가 장착된 롤러부(10)와, 롤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절연봉(40) 및, 롤러부(10)를 완금 또는 가완목(2)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절연봉(40) 하단에 장착부(20)가 구비된다.
롤러부(30)는 개폐가능한 덮개(12)가 마련된다.
덮개(12)는 그 일측단이 일측벽(13)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그 타측단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걸쇠(14)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걸쇠(14)를 후방으로 당기면 핀(미도시)이 타측벽(15)으로부터 분리되어 개방상태에 놓이고, 걸쇠(14)를 놓으면 핀이 타측벽(15)내로 전진하여 잠 금 상태가 된다.
절연봉(40)은 완금 또는 가완목(2)으로부터 전력선(1)을 일정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길이는 다양하게 제작되며 전기적 안정성을 위하여 절연 특성을 지닌다.
장착부(20)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2)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21)과 하판(22) 및 양 측판(23,24)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23)은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판(21)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하판(22)의 일측단 체결부(25)에 체결되며, 하판(22)은 양 측판(23,2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30)을 가압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2)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26)이 구비된다.
체결부(25)는 하판(22) 일측단에 일측판 하단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공(미도시)이 천공된 돌출편(25a)과, 돌출편(25a)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하판(22) 외측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잠금핀(25b)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잠금핀(25b)을 당기면 돌출편(25a)의 체결공과의 핀 결합이 해제되어 일측판(23)은 개방상태에 놓이고, 잠금핀(25b)을 놓으면 돌출편(25a)의 체결공과 핀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핸들(26)은 그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돌리면 가압판(30)이 조여지고,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가압판(30)이 풀리도록 구성된다.
가압판(30)은 그 양단에 측판(23,24)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26)을 강하게 돌려 조이더라도 가압판(30)의 양단이 측판(23,24)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이탈되지 않는다.
장착부(20)는 완금 또는 가완목(2)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그 내측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가압판(30)의 가압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판(21) 내측면에 단차를 갖는 삽입홈(32)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현장에 따라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가압판(30)의 가압면과 상판(21)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32)에 삽입됨으로써, 가압판(30)에 의한 가압시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롤러부(10)는 전력선(1)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절연봉(40)의 상단과 결속된 회전축(16)이 축설된다.
이에 따라, 전력선(1)에 힘이 가해질 시 전력선(1)의 가설방향으로 롤러부(10)가 회동하여 그 내측면에 장착된 롤러(11)와 전력선(1)이 양호하게 맞닿아 마찰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장착부(20)의 일측판(23)을 개방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2)에 거치시키고, 일측판(23)을 닫아 기구를 완금 또는 가완목(2)에 장착한다.
핸들(26)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가압판(30)이 전진하여 완금 또는 가완목(2)을 가압함으로써, 기구는 완금 또는 가완목(2)에 체결된다.
덮개(12)의 걸쇠(14)를 후방으로 당겨 롤러부(10)를 개방시키고, 이선시키고자 하는 전력선 또는 가설하고자 하는 전력선 또는 철거하고자 하는 전력선을 롤러 부(10) 내측으로 이선시키고, 덮개부(12)를 닫아 전력선(1)의 이선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전력선(1)은 절연봉(40)의 길이만큼 완금 또는 가완목(2)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선되고, 엘피애자(3) 등을 교체하거나 새로운 전력선을 가설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선용 롤러 기구는 그 내측에 전력선(미도시)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11)가 장착된 롤러부(10)와, 롤러부(10)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절연봉(40) 및, 롤러부(10)를 완금 또는 가완목(미도시)에 장착할 수 있도록 절연봉(40) 하단에 장착부(20)가 구비된다.
롤러부(10) 및 절연봉(40)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장착부(20)는 그 내측에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양 측벽(51)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양 측벽 하방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체결핀(52)이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53는 체결홀이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장착부(20)의 개방된 면을 완금 또는 가완목 상에 끼워 기구를 거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양 측벽(51) 하방을 관통하도록 체결핀(52)을 핀 결합시켜 기구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킨다.
덮개(12)의 걸쇠(14)를 후방으로 당겨 롤러부(10)를 개방시키고, 이선시키고자 하는 전력선을 롤러부(10) 내측으로 이선시키고, 덮개부(12)를 닫아 전력선의 이선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전력선은 절연봉(40)의 길이만큼 완금 또는 가완목으로부터 이격되어 이선되고, 엘피애자 등을 교체하거나 새로운 전력선을 가설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롤러부의 회전 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도 3에 개시된 롤러부의 회전 구조 단면도,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선용 롤러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롤러부
20: 장착부
30: 가압판
40: 절연봉

Claims (7)

  1.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그 내측에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 및 양 측판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기 상판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상기 하판의 일측단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하판은 상기 양 측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상기 장착부의 상판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3.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절연봉 및, 상기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봉 하단에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그 내측에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 및 양 측판으로 이루어져 수용부를 형성하되, 일측판은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 상단이 상기 상판 일측단과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이 상기 하판의 일측단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하판은 상기 양 측판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하여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 핸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상기 절연봉 상단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5. 그 내측에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개폐가능하고 그 내측면에 롤러가 장착된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절연봉 및, 상기 롤러부를 완금 또는 가완목에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절연봉 하단에 장착부가 구비된 이선용 롤러 기구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전력선의 가설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그 저면에 상기 절연봉 상단과 결속된 회전축이 축설되고,
    상기 장착부는 그 내측에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양 측벽이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 측벽 하방을 관통하여서 체결되는 체결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6.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그 양단에 상기 측판을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7.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완금 또는 가완목의 규격이 다르더라도 그 내측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의 가압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상판 내측면에 단차를 갖는 삽입홈이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선용 롤러 기구.
KR1020070082086A 2007-08-16 2007-08-16 이선용 롤러 기구 KR10091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086A KR100919521B1 (ko) 2007-08-16 2007-08-16 이선용 롤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086A KR100919521B1 (ko) 2007-08-16 2007-08-16 이선용 롤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728A true KR20090017728A (ko) 2009-02-19
KR100919521B1 KR100919521B1 (ko) 2009-10-01

Family

ID=4068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086A KR100919521B1 (ko) 2007-08-16 2007-08-16 이선용 롤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5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7053A (zh) * 2015-07-10 2015-10-07 国家电网公司 电力抢修中破除锈蚀螺母的装置及方法
KR20170133586A (ko) * 2016-05-26 2017-12-06 양희성 전선 가이드 롤러
KR20180004339A (ko) * 2016-06-22 2018-01-11 양희성 컷아웃스위치 장착 브라켓
KR20180078872A (ko) * 2016-12-30 2018-07-10 김우진 씨오에스 브라켓 개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7857B (zh) * 2016-08-27 2018-07-1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招远市供电公司 一种电力智能巡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86Y1 (ko) * 2001-06-12 2001-11-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200298567Y1 (ko) * 2002-09-12 2002-12-18 주식회사 동해 전선용 롤러
KR20040039701A (ko) * 2002-11-04 2004-05-12 장근선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KR200381079Y1 (ko) * 2005-01-12 2005-04-11 대원전기 주식회사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67053A (zh) * 2015-07-10 2015-10-07 国家电网公司 电力抢修中破除锈蚀螺母的装置及方法
KR20170133586A (ko) * 2016-05-26 2017-12-06 양희성 전선 가이드 롤러
KR20180004339A (ko) * 2016-06-22 2018-01-11 양희성 컷아웃스위치 장착 브라켓
KR20180078872A (ko) * 2016-12-30 2018-07-10 김우진 씨오에스 브라켓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521B1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521B1 (ko) 이선용 롤러 기구
US20100072198A1 (en) Floor-mount service container and lid
CN210430829U (zh) 一种建筑电气使用的接线盒
KR20090122816A (ko) 전선 정리함
JPS6321904Y2 (ko)
CN107482491B (zh) 一种配电变压器综合配电柜
JP4254150B2 (ja) 分電盤
KR20190116603A (ko) 사용이 편리한 배선기구용 지지대
CN209858621U (zh) 端钮盒接线螺钉防脱落装置
FR2839818A1 (fr) Boitier a brides pour cloisons creuses
CN112240539A (zh) 一种柔性轨道
KR100919522B1 (ko) 전선 이선용 밴드
JPS6312538Y2 (ko)
KR100974101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설치용 콘센트 박스
CN201036253Y (zh) 一种新型麦克风手柄
CN215259037U (zh) 一种智能变电站监控装置
JP3724380B2 (ja) 配線器具用のフラッシュプレート
CN204520968U (zh) 轻量化吊塔层板
KR200492152Y1 (ko) 건물 벽체의 매입 박스용 고정 시스템
CN209384953U (zh) 一种实木门
JPS60134714A (ja) フロアコンセント
CN213577360U (zh) 一种新型柔性轨道
CN219394403U (zh) 一种便于安装的电缆
CN218623857U (zh) 一种组合门窗套
CN204774998U (zh) 一种车顶箱的快速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