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079Y1 -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 Google Patents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079Y1
KR200381079Y1 KR20-2005-0000873U KR20050000873U KR200381079Y1 KR 200381079 Y1 KR200381079 Y1 KR 200381079Y1 KR 20050000873 U KR20050000873 U KR 20050000873U KR 200381079 Y1 KR200381079 Y1 KR 200381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hole
wir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0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전선 가선작업시 사용되는 절연 연선롤러에 관한 것으로, 절연체의 전후 롤러를 갖는 상하 몸체와, 상하 몸체를 이격 지지하는 절연체의 좌우 지지롤러의 일측 지지롤러를 상부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게 하고, 타측지지롤러를 상부몸체의 타측에 체결되게하며, 상부 몸체를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되, 상기 각각의 롤러를 합성수지재와 같은 절연체로 구성하므로서, 전기가 활선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상부몸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절연체의 롤러에 의해 누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연선 롤러의 제작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상의 간편함과 이로 인한 원가 또한 절감 할 수 있게 한 활선개폐용 절연 연선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Insulating wire-stranding roller for switching live wire}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전선 가선작업시 사용되는 절연 연선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선키위한 전선이 수용되는 절연체의 연선롤러를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여 전기가 활선 상태에서 전선 가선작업시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선 가선작업을 할수 있게 한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 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선을 이선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이선구의 연선롤러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전선을 이선하기 위한 연선롤러는 특허등록 제 355492호 와 같이 무정전 배전공법에 사용되는 전선을 이선하기 위한 전선 이선기구의 상부에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폐 가능하게 한 전선 이선용 연선롤러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등록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선롤러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롤러를 개폐시 작업시간의 지연을 가져올 수 있고, 그 롤러가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시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가 일어날수 있으며, 연선롤러 제작시 제작상의 난해함과 이로인한 제작 원가의 상승도 가져올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 절연체의 전후 롤러를 갖는 상하 몸체와, 상하 몸체를 이격 지지하는 절연체의 좌우 지지롤러의 일측 지지롤러를 상부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게 하고, 타측지지롤러를 상부몸체의 타측에 체결되게하며, 상부 몸체를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하되, 상기 각각의 롤러를 합성수지재와 같은 절연체로 구성하므로서,
전기가 활선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상부몸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절연체의 롤러에 의해 누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연선 롤러의 제작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상의 간편함과 이로 인한 원가 또한 절감 할 수 있어 활선개폐용 절연 연선롤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부 몸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개폐레버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부 몸체의 개폐 상태를 보인 단면 설명도이다.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고, 상부가 개폐가능하게 한 전선 가선용 연선롤러에 있어서,
연선롤러(10)를 전후 롤러(2)(2')를 갖는 상하 몸체(1)(1')와, 상하 몸체(1)(1')를 이격 지지하는 수직상의 좌우 지지롤러(11)(11')로 구성하되,
상부몸체(1)의 내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홈(3)을 갖는 삽입공(4)을 형성하며, 그 삽입홈(4)에는 일측단에 걸림구(6)를 갖는 관체상의 이동구(5)를 삽입하고, 그 이동구(5)내에는 일단이 삽입공(4)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구(5)내에 스프링(7) 탄설하며, 상기 걸림구(6)에는 가이드홈(3)으로 노출되는 개폐레버(9)를 결합하며,
상기한 각각의 좌우 지지롤러(11)(11')는 그 하단이 하부몸체(1')의 양측에 고정축(12)(12')에 의해 고정하되,
일측 지지롤러(11)의 상부는, 연장형성된 고정축(12)에 의해 상부몸체(1)의 일측에 힌지(13) 결합하여 상부몸체(1)가 회동되게 하며,
타측 지지롤러(11')의 상부는, 연장형성된 고정축(12')의 상부에 경사면(14)과 삽탈공(15)를 형성하며, 그 삽탈공(15)에는 전기한 걸림구(6)가 삽탈고정되게 하며,
상기한 하부몸체(1')의 저면에는 관체상의 아암체 결합구(21)가 볼트(22)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30은 아암체, 31은 완금, 32는 완금고정수단, 33은 전선이다.
이하, 상기 구성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절연 연선 롤러를 사용시에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먼저 연선롤러(10)를 아암체(30)의 상단에 하부몸체(1')에 결합된 아암체 결합구(31)에 의해 삽입 결합하여 연선롤러(10)를 결합하고, 이를 별도의 완금고정수단(32)에 의해 전주의 완금(31) 선단에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선롤러(10)가 아암체(30)에 의해 완금(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선(33)을 가선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연선롤러(10)를 완금고정수단(32)에 형성된 회전수단(34)에 의해 이선하고자 하는 전선(33)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연선롤러(10)가 이선하고자 하는 전선(33)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부몸체(1)에 노출된 개폐레버(9)를 도 3a 도시와 같이 당기게 되면 개폐레버(9)는 가이드홈(3)을 따라 후진하는 것이며, 이때 도 3b의 도시와 같이 이동구(5)가 삽입공(4)내에서 가이더(8)를 따라 후진되어 걸림구(6)는 지지롤러(11')에 결합된 고정축(12')의 삽탈공(15)으로 부터 이탈되어 상부몸체(1)는 지지롤러(11)의 고정축(12)에 형성된 힌지(13)를 축으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개방되어 전후롤러(2)(2')가 결합된 상하몸체(1)(1')와 지지롤러(11)(11')의 사이 공간에 이선하고자 하는 전선(33)을 수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이동구(5)는 가이더(8)와 스프링(7) 탄설되어 삽입공(4)에서 좌우 이동되는 것으로, 개폐레버(9)를 미 사용시에는 항상 도 3a 의 도시와 같이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구(5)가 전진 상태이므로, 전선(33)을 수용후 상부몸체(1)를 닫게 되면 고정축(12')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14)에 걸림구(6)가 닿게 되어 경사면(14)을 따라 이동구(5)는 후진되며 걸림구(6)가 삽탈공(15)에 이르게되면 다시 스프링(7)의 탄발력에 의해 삽탈공(15)에 삽입 고정되어 전선은 상하몸체(1)(1')와 지지롤러(11)(11') 사이에서 이탈없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용된 이선 전선(33)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완금고정수단(32)에 형성된 회전수단(34)에 의해 연선롤러(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이동되는 것이며, 이선 전선(33) 자리에 새로이 설치 하고자 하는 전선의 가선작업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가 활선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으로 상부몸체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절연체의 롤러에 의해 누전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연선 롤러의 제작시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상의 간편함과 이로 인한 원가 또한 절감 할 수 있어 활선개폐용 절연 연선롤러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닫은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개폐레버의 작동설명도로서,
3a 는 닫힌 상태의 단면설명도.
3b 는 열린 상태의 단면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상,하부몸체 2,2' : 전후롤러
3 : 가이드홈 4 : 삽입공
5 : 이동구 6 : 걸림구
7 : 스프링 8 : 가이더
9 : 개폐레버 10 : 연선롤러
11,11' : 지지롤러 12,12' : 고정축
13 : 힌지 14 : 경사면
15 : 삽탈공
21 : 아암체 결합구 23 : 볼트
30 : 아암체 31 : 완금
32 : 완금고정수단 33 : 전선

Claims (1)

  1. 다수의 롤러가 장착되고, 상부가 개폐가능하게 한 전선 가선용 연선롤러에 있어서,
    연선롤러(10)를 전후 롤러(2)(2')를 갖는 상하 몸체(1)(1')와, 상하 몸체(1)(1')를 이격 지지하는 수직상의 좌우 지지롤러(11)(11')로 구성하되,
    상부몸체(1)의 내측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가이드홈(3)을 갖는 삽입공(4)을 형성하며, 그 삽입홈(4)에는 일측단에 걸림구(6)를 갖는 관체상의 이동구(5)를 삽입하고, 그 이동구(5)내에는 일단이 삽입공(4)내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구(5)내에 스프링(7) 탄설하며, 상기 걸림구(6)에는 가이드홈(3)으로 노출되는 개폐레버(9)를 결합하며,
    상기한 각각의 좌우 지지롤러(11)(11')는 그 하단이 하부몸체(1')의 양측에 고정축(12)(12')에 의해 고정하되,
    일측 지지롤러(11)의 상부는, 연장형성된 고정축(12)에 의해 상부몸체(1)의 일측에 힌지(13) 결합하여 상부몸체(1)가 회동되게 하며,
    타측 지지롤러(11')의 상부는, 연장형성된 고정축(12')의 상부에 경사면(14)과 삽탈공(15)를 형성하며, 그 삽탈공(15)에는 전기한 걸림구(6)가 삽탈고정되게 하며,
    상기한 하부몸체(1')의 저면에는 관체상의 아암체 결합구(21)가 결합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롤러.
KR20-2005-0000873U 2005-01-12 2005-01-12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KR200381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73U KR200381079Y1 (ko) 2005-01-12 2005-01-12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873U KR200381079Y1 (ko) 2005-01-12 2005-01-12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079Y1 true KR200381079Y1 (ko) 2005-04-11

Family

ID=4368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873U KR200381079Y1 (ko) 2005-01-12 2005-01-12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07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521B1 (ko) * 2007-08-16 2009-10-01 양희성 이선용 롤러 기구
KR101126668B1 (ko) 2011-10-06 2012-03-29 이재걸 곡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KR101126669B1 (ko) 2011-10-05 2012-03-29 이재걸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KR101168061B1 (ko) 2011-06-24 2012-07-24 한국전력공사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KR101311453B1 (ko) 2013-06-20 2013-09-25 (주) 창흥전력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2079472B1 (ko) *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20210016895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WO2022093038A1 (en) * 2020-10-29 2022-05-05 Produktpartner Pulley block for installation of overhead cables or wi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cables or wir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521B1 (ko) * 2007-08-16 2009-10-01 양희성 이선용 롤러 기구
KR101168061B1 (ko) 2011-06-24 2012-07-24 한국전력공사 지중 전력구 3상 동시 케이블 견인 포설장치
KR101126669B1 (ko) 2011-10-05 2012-03-29 이재걸 직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KR101126668B1 (ko) 2011-10-06 2012-03-29 이재걸 곡선부용 전선 가이드롤러
KR101311453B1 (ko) 2013-06-20 2013-09-25 (주) 창흥전력 가선용 활차 및 이를 이용하는 전선교체방법
KR102079472B1 (ko) *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20210016895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KR102372310B1 (ko) * 2019-08-06 2022-03-10 한국전력공사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WO2022093038A1 (en) * 2020-10-29 2022-05-05 Produktpartner Pulley block for installation of overhead cables or wi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cables or wi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1079Y1 (ko)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
CN100367589C (zh) 电力线绞线辊子及其操作方法
US10686285B2 (en) Travel adapter with integrated plugs meeting different plug standards
CN104953342B (zh) 电插塞连接器
CN105720424A (zh) 将插件连接到母线通道的凹入式活动颚
CN110265923B (zh) 一种防弧线夹绝缘护罩安装工具
CN205428759U (zh) 一种开关柜后门联锁装置
CN207074720U (zh) 一种高压线路个人保安线
KR100721852B1 (ko) 배전형 변압기를 갖춘 전신주
CN113012864A (zh) 一种可防止通讯电芯受损的抗弯曲剥皮智能制造装置
CN105119096B (zh) 一种电连接器及其活动连接端
CN101521315B (zh) 接线器
CN107293426B (zh) 一种环网柜柜门联锁装置
CN110890694A (zh) 一种具有电线梳理机构的高压配电柜
KR20040039701A (ko) 전기선로 교체용 전선가이드 롤러
CN213782287U (zh) 高压配电网绝缘接地装置
JP2008208637A (ja) 建具及びその建具の配線方法
CN109244684B (zh) 一种市政用电力电缆的分支连接机构
CN104577844B (zh) 一种联锁机构及具有该联锁机构的抽屉式开关柜
KR100558607B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선로공법 및 그전선이선기구
KR102304409B1 (ko) 배전용 전기 케이블 접속부 누수 방지 장치
KR100887419B1 (ko) 송·배전선용 클램프
CN206059265U (zh) 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的防误操作联锁机构及装置
CN110518460A (zh) 带负荷刀闸的快速供电取电连接装置
CN210575680U (zh) 一种刀闸绝缘套及具有该刀闸绝缘套的刀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