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714A -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714A
KR20170023714A KR1020160098600A KR20160098600A KR20170023714A KR 20170023714 A KR20170023714 A KR 20170023714A KR 1020160098600 A KR1020160098600 A KR 1020160098600A KR 20160098600 A KR20160098600 A KR 20160098600A KR 20170023714 A KR20170023714 A KR 20170023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aft
frame
hol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540B1 (ko
Inventor
최민수
안희정
박동환
이승희
김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서광전기통신공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서광전기통신공사(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ublication of KR2017002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전선로 전선 공사시 전선을 안전하게 전주에 설치된 클램프의 인장롤러를 이용하여 인장한 후 각 전주로 이송할 때, 피복의 손상 없이 견고하게 인장하여 고정시키므로 전선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클램프내에서 전선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고정걸이홈(311)이 형성되고 고정걸이홈(311)을 기준으로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된 측벽(312)에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공(314)에 끼워서 지지된 롤러고정축핀(3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인장롤러(313)와 상기 프레임(310)의 양단부측에 축공(316)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316)에 내삽되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선고정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CLAMPS FOR FIXING CABLES}
본 발명은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전선로 전선 공사시 전주에 설치된 클램프의 인장롤러를 이용하여 전선을 피복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인장하여 고정시키므로 전선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해 전선이 전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클램프내에서 전선이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선 고정용 인장 클램프는 가공 배전 선로의 내장 개소나 상하, 좌우로 기준 이상의 각도가 형성된 곳에는 데드 앤드 클램프(dead-end-clamp)로 불리워지는 인장 클램프를 사용하여 장력을 받는 가공 전선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인장 클램프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88535호(고안의 명칭: 배선용 인장 클램프, 이하 '인용고안'이라 한다)가 출원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선걸기용 구멍(101)과 전선홈(103)이 형성되는 본체(100)에 조임덮개(200)를 이용하여 가설 전선을 고정하는 배선용 인장 클램프를 형성함에 있어서, 고정축(300)과, 상기 고정축(300)이 삽입되는 고정단부(106,107,108)와, 제1,2암나사부(112,113)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고정단부(106,107,108)에 축방향으로 일치하게 놓여져서 상기 고정축(300)이 삽입되는 고정단부(204,205)가 형성되어 한쪽 단부는 상기 고정축(3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상기 본체(100)를 향하여 선회하는 조임덮개(200)와, 상기 조임덮개(200)의 회전단부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되어 나사부가 상기 본체(100)의 제1,2암나사부(112,113)를 향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제1,2고정볼트(400,500)를 구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용고안은 본체(100)의 고정단부(106,107,108)와 조임덮개(200)의 고정단부(204,205)가 고정축(30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어 상부 전선홈(201)과 하부 전선홈(103)에 전선을 끼운 상태에서 볼트 지지물(208)의 볼트(400,500)를 암나사부(112,113)에 체결함으로써 클램프의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지는 효과가 있으나, 볼트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아울러 회동되는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쪽에서만 볼트를 체결하므로 전선에 가하여 지는 체부력(締付力, 고정되는 힘, 붙어있는 힘)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전선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연선롤러를 이용하여 가설전선을 전주로 인입하여 클램프에 고정하기 때문에 가설전선에 피복에 손상이 생겨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전선의 무거운 하중 때문에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경첩형 인장클램프로서는 한국 실용신안공보의 공고번호 제75-335호(공공일 ; 1975년 4월 27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실용신안공보의 공고번호 제75-335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공선로용 인장클램프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체(1) 선단에 도시하지 않은 고압애자와의 연결부(A)를 형성하고, 이 반대쪽에 전선 인입 요홈(2)을 W자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한 후, 이 전선 인입 요홈(2)의 전선 압접면에 다수의 돌조(7')를 돌설하고, 이에 U자형 볼트(3)(3')를 압편(4)의 상면 전후에 패착하여 전선 인입 요홈(2) 좌우의 삽통공(5)(5')에 삽통해서 너트(6)(6')와 나합하고, 압편(4)의 저면에도 불규칙한 다수개의 돌조(7)를 돌설하여 클램프체(1)의 전선 인입 요홈(2)에 압접되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8은 활선작업공이고, 9는 보강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공선로용 인장클램프는 상기 너트(6)(6')를 풀러서 클램프체(1)의 삽통공(5)(5')에 삽통된 압편(4)의 볼트(3)(3')를 제거함과 동시에, 알루미늄 전선(B)을 전선 인입 요홈(2)에 삽통한 다음, 그 상면에 앞편(4)이 당접되게 상기 압편(4)의 볼트(3)(3')를 다시 클램프체(1)의 삽통공(5)(5')에 삽통하여 너트(6)(6')로 나합하면, 클램프체(1)에 삽통되어 인장되는 알루미늄 전선(B)이 전선 인입 요홈(2)과 압편(4)의 저면에 압압된다.
이 때, 상기 압편(4)의 저면과 전선 인입 요홈(2)의 상면에는 수개의 돌조(7)(7')가 돌설되어 있어 알루미늄 전선(B)을 누르므로, 알루미늄 전선(B)이 미끌어짐이 없이 견고히 삽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공전선용 인장클램프는 클램프체(1)와 한 쌍의 U자형 볼트(3)(3') 및 압편(4)이 각각 분리되어 있어, 가공선로용 케이블을 인장시키는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음과 동시에, 가공선로용 케이블을 인장시키는 작업에 많은 맨 파워가 소요되어 작업 비용을 절감시킬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KR) 실용신안등록 제20-288535호 (KR)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75-335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전주에 전선을 인장하여 클램프에 고정할 때 연선롤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전주의 취부금구에 장착되는 클램프 내부의 인장롤러를 통해 직접 인장하여 유도함으로써, 피복의 손상 없이 클램프에 형성된 전선고정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에 고정되는 전선이 날씨변화 및 진동이나 바람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클램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에 고정되는 전선이 날씨변화 및 진동이나 바람의 흔들림에 의해서 전선이 전주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한정함으로써 접지사고를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함은 물론, 클램프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 지지대에 장착되는 취부금구 양단에 전선 고정용 클램프를 결합하여 전선로를 고정함으로써 곡선 전선로에도 적용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는 고정걸이홈(311)이 형성되고 고정걸이홈(311)을 기준으로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된 측벽(312)에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공(314)에 끼워서 지지된 롤러고정축핀(3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인장롤러(313)와 상기 프레임(310)의 양단부측에 축공(316)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316)에 내삽되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고정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걸이홈(311)은 전주(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의 지지대 축(210)에 결합되어 전선로 방향 및 전선로 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동되는 XY축회동구(4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XY축회동구(400)는, 상기 지지대 축(210)에 외삽되는 관통공(412)이 형성된 회동부(411)와 상기 회동부(411)의 일단에 "ㄷ" 형의 회동축내삽부(413)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내삽부(413)에 관통 내삽된 힌지축(414)으로 이루어진 Y축 회동구(410)와 상기 Y축 회동구(410)의 힌지축(414)에 외삽되는 관통공(422)이 형성된 회동부(421)와 상기 회동부(421)의 일단에는 마름모 형상의 두 개의 판이 이격 형성된 회동축내삽부(423)와 상기 회동축내삽부(423)에 관통 내삽되되 프레임 고정걸이홈(311)이 외삽되는 힌지축(424)으로 이루어진 X축회동구(4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에는 지지대축(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411)가 전주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2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내삽부(423)의 마름모 형상의 판은 하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힌지축(424)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300)이 전주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한다.
아울러 상기 전선고정구(320)는, 전선 안착부인 원호부(322)가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요홈(324)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고정핀 관통공(323)이 형성된 본체(321)와 원호부(322)에 안착된 전선을 압지하는 커버(325)와 요홈(324)을 관통하여 커버(325)와 본체(321)을 결합하는 U자형고정구(327)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는 전주(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에 결합되되, 상기 클램프(300)는 지지대(200)의 지지대축(210)에 U자형 체결구(523)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 하변 양단에 형성된 각 프레임 결합부(121, 122)에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300)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21, 122)에 외삽 되는 고정걸이홈(311)이 형성되고 고정걸이홈(311)을 기준으로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된 측벽(312)에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공(314)에 끼워서 지지된 롤러고정축핀(3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인장롤러(313)와 상기 프레임(310)의 일단부측에 축공(316)이 형성되되 상기 축공(316)은 클램프(300)가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 하변 양단에 형성된 각 프레임 결합부(121, 122)에 결합되었을 시 각 클램프(300) 프레임(310)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10)의 축공(316))에 내삽되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고정구(320)로 이루어 진다.
아울러 상기 전선고정구(320)는 전선 안착부인 원호부(322)가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요홈(324)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고정핀 관통공(323)이 형성된 본체(321)와 원호부(322)에 안착된 전선을 압지하는 커버(325)와 요홈(324)을 관통하여 커버(325)와 본체(321)을 결합하는 U자형고정구(32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선고정구(320)의 원호부(322)에 안착되는 전선은 전선보호패드(330)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보호패드(330)는 전선 삽입용 절결부(331)가 형성되고, 내부면은 삼각형상의 스크류압착면(3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10)의 양 측벽(312)에 형성된 가이드공(314)은 수직형상의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10)의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양 측벽(312) 부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10)의 축공(316)은 프레임(310) 중앙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걸이홈(311)은 전주(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에 고정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 하변 양단에 형성된 각 프레임 결합부(121, 1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전선로 포설용 연선롤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접 전선을 프레임 내부에 지지되는 인장롤러를 통해 직접 인장하여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된 전선고정구로 고정함으로써, 전선의 피복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므로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에 고정되는 전선이 날씨변화 및 진동이나 바람의 흔들림에 의해서도 클램프에서 분리되지 않고, 전선이 전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지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 포설을 클램프내 인장롤러를 사용함으로써 포설작업의 능률의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주 지지대에 장착되는 취부금구 양단에 전선 고정용 클램프를 결합하여 전선로를 고정함으로써 곡선 전선로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전선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XY축 회동구와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의 전선고정구 분해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하여 전선을 포설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로 포설시 프레임과 전선고정구 본체의 결합 상태도.
도 8은 본발명의 클램프를 XY축 회동구에 연결하여 전선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제1 실시예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고정구에 전선보호패가 내삽 결합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클램프에 고정된 전선이 바람에 흔들려 진동하는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전주 지지대에 장착되는 삼각형상의 취부금구에 연결하여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제2 실시예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선로에 전선포설 또는 전선교체시 전선(11)을 인장하여 고정하기 위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전주(100)의 지지대(200)에 연결된 XY축회동구에 고정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300)의 구성은, 전주(100)의 지지대(200)에 XY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XY축 회동구와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전선(11)을 인장하여 유도하기 위한 인장롤러(313)와, 상기 프레임(310)으로 인입되는 전선(11)을 고정하기 위하여 프레임(310)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여 장착하는 전선고정구(3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배전선로는 배전선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송전선로도 포함되고, 전선(11)은 단상, 3상등 모든 전선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교체시 전선(11)을 전주(100)의 상측으로 유도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와 같이, 연선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선(11)을 인장 및 고정할 수 있게 전주(100)에 장착되는 지지대(200)에 XY축 회동구(400)를 결합하고 상기 XY축 회동구(400)에 클램프(300)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XY축 회동구(4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4 내지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ㄷ" 형상 지지대(200)의 단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지지대 축(210)에 외삽되는 관통공(412)이 형성된 회동부(411)와 회동부(411)의 일단에는 "ㄷ" 형의 회동축 내삽부(413)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내삽부(413)에 관통 내삽된 힌지축(414)으로 이루어진 Y축 회동구(410)와
Y축 회동구의 힌지축(414)에 외삽되는 관통공(422)이 형성된 회동부(421)와 회동부(421)의 일단에는 마름모 형상의 두 개의 판이 이격 형성된 회동축 내삽부(423)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내삽부(423)에 관통 내삽된 힌지축(424)으로 이루어진 X축 회동구(420)로 형성된다.
상기 XY축 회동구(4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전주(100)의 지지대(200)의 지지대 축(210)에는 Y축 회동구(410)의 관통공(412)이 회동 가능하게 외삽됨으로써 Y축 회동구(410)는 전주(100) 방향 즉, 전선로 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Y축 회동구의 힌지축(414)에는 X축 회동구(420)의 관통공(422)이 회동 가능하게 외삽됨으로써 X축 회동구(420)는 전선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200)를 거쳐 Y축 회동구(410)에 연결된 X축 회동구(420)는 전주(100) 방향 및 전선로 방향(전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X축 회동구(420)의 힌지축(424)에는 클램프(300)가 전주(100)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200)의 지지대 축(210)의 전주 측에는 스토퍼(22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 내삽부(423)의 마름모 형상의 판은 하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X축 회동구(420)의 힌지축(424)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300)이 전주방향으로 회동하는 각도을 제한한다.
즉 X축 회동구(420)의 힌지축(424)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300)이 바람 등에 의해 회동시 프레임(300)의 상부 라운드 부분이 상방향으로 경사진 회동축 내삽부(423)의 마름모 형상의 판과 접촉(충돌)하여 프레임(300)이 전주(100)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θ₁)는 제한되고 전주(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θ₂)는 제한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전선로에 바람이 불 경우 전선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전선이 전주방향 또는 전선로 방향으로 회동(진동) 가능하게 되지만 전주(100) 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 함으로서 전선이 전주에 접촉되어 접지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주(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에 결합된 XY축 회동구(400)의 X축 회동구 힌지축(424)에 외삽되어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측에는 고정걸이홈(311)이 형성되고 고정걸이홈(311)을 기준으로 전후로 측벽(312)이 대칭되게 형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의 양측벽(312) 사이 내부에는 포설하는 전선(11)을 인장하여 유도하기 위한 인장롤러(313)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310)의 길이방향 좌우 양측으로는 전선고정구(320)가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축공(316)이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30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310) 내에 구비된 인장롤러(313)는 프레임(310)의 양 측벽(312)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314)에 끼워진 롤러고정축핀(31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공(314)은 전선(11)의 굵기에 맞추어 인장롤러(313)를 상하로 이동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된다.
즉 인장하는 전선이 굵을 경우에는 가이드공(314)에 끼워지는 롤러고정축핀(315)을 하부로 이동 시킨후 너트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프레임 양측벽(312)에 결합되는 인장롤러(313)의 위치를 전선의 굵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의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양측벽(312) 부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게 형성되어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양 측벽 외벽면간의 거리(S₁, S₂)가 멀어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장공 가이드공(314)의 적정 위치에 인장롤러(313)를 결합할 경우 롤러고정축핀(315)과 롤러고정축핀너트(141a)의 가압력에 의해 롤러고정축핀(315)이 장공의 가이드공 중 특정위치에 고정결합되나, 인장하는 전선의 하중이 클 경우 전선의 하중에 해 가이드공(314) 중 특정위치에 고정결합된 롤러고정축핀(315)이 하부로 미끌어져 내려올 수 있는데 반해,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양 측벽(312) 외벽면 간의 거리(S₁, S₂)가 멀어지게 형성됨으로써 특정위치에서 롤러고정축핀(315)과 롤러고정축핀너트(141a)에 의해 결합고정된 인장롤러(313)는 하부로 미끌어져 내려오지 못한다.
또한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양 측벽(312) 중 롤러고정축핀(315)에 결합되는 롤러고정축핀너트(141a)가 접하는 일측벽(312)면에는 홈이나 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대응되게 홈이나 돌기가 형성된 일측벽(312)에 결합되는 롤러고정축핀너트(141a)의 측벽(312)접촉면에는 돌기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 생략).
이는 장공 가이드공(314)의 적정 위치에 인장롤러(313)를 결합할 경우 양 측벽(312) 외부측에 면접촉하는 롤러고정축핀(315)의 볼트머리부와 롤러고정축핀(315)의 볼트머리부 타단에 체결되는 롤러고정축핀너트(141a)의 가압력에 의해 롤러고정축핀(315)이 장공의 가이드공 중 특정위치에 고정결합되나, 인장하는 전선의 하중이 클경우 전선의 하중에 의해 장공의 가이드공(314) 중 특정위치에 고정결합된 롤러고정축핀(315)이 하부로 미끌어져 내려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롤러고정축핀(315)에 결합되는 롤러고정축핀너트(141a)가 접하는 일측벽(312)면에는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롤러고정축핀너트(141a)의 측벽(312)접촉면에는 돌기나 홈을 형성한다.
즉 상기 상태에서는 인장롤러(313)의 결합구조 중 롤러고정축핀너트(141a)가 접하는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프레임 측벽(312)에 형성된 홈이나 돌기가 이에 접하는 롤러고정축핀너트(141a)에 형성된 돌기나 홈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인장전선의 큰하중에도 불구하고 인장롤러(313)의 롤러고정축핀(315)이 가이드공 하부로 미끌어져 내려오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프레임(310)의 양단부측에는 축공(316)이 천공되고 천공된 축공(316)에 끼워서 지지된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전선고정구(3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선고정구(320)는 인장롤러(313)에 의해 인장된 전선(11)을 클램프(300)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전선고정구(320)의 구조는 전선(11)을 내부에 안착하기 위한 본체(321)와, 전선이 내삽된 전선보호용 전선보호패드(330)를 본체(321)에 안착한 후 상부에서 압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커버(325)와, 상기 커버(325)를 압지하여 본체(321)와 결합하기 위한 U자형고정구(327)와, 상기 전선을 고정한 전선고정구(320)를 프레임(300)에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 관통공(323)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전선고정구(3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321)는 철 등의 금속을 주조하여 성형하되 상부측은 개방부를 형성하고, 내부면은 원호부(322)으로 형성하여 전선이 길이방향으로 안착하여 통과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부의 원호부(322)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전선보호 패드(330) 즉 케이블(90)이 내삽되는 전선보호 패드(330)을 안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321)의 내부면과 외부면 그리고 전, 후방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321)의 내측면 양측에는 U자형고정구(327)가 본체(321)에 결합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요홈(324)이 형성되고, 요홈(324)의 외측에도 다수개의 돌기부(329)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의(321) 일단 하부측에는 고정핀 관통공(3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 관통공(323)에는 프레임(300)의 축공(316)을 전선고정구용 축핀(317)으로 관통 체결함으로써 프레임(300)에 전선고정구(3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본체(10)의 내부에 안착된 전선이 내삽된 전선보호패드(330)를 상부측에서 덮어 고정하는 커버(325)는 U자형고정구(327)가 커버(325)의 상부측에서 유동되지 않고 고정하여 압지할 수 있도록 상부면측에는 다수개의 삽입홈(326)이 형성된다.
또한, 전선고정구(320)에 내삽되는 전선보호 패드(330)는 전선고정구(320)의 본체(321) 내부에 안착되는 전선의 외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선보호 패드(330)은 상기 전선을 삽입하여 감쌀 수 있도록 상부측에 절결부(3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절결부(331)를 통하여 전선을 전선보호 패드(330)의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전선보호 패드(330)을 본체(321)의 내부측에 안착하여 커버(325)를 덮어서 U자형고정구(327)로 압지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전선보호 패드(330)의 내부면은 전선의 단면과 대응되는 구조로서 통상 단면이 3상 케이블의 단면형상과 같은 삼각형상의 단면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삼각형상의 스크류압착면(332)으로 형성된다(도 9의 전선보호패드 내면 참조). 상기 삼각형상의 스크류압착면(332)은 전선 또는 케이블의 외피가 치합되어 압착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전선 또는 케이블의 하중에 의한 큰 인장력에도 불구하고 전선 또는 케이블이 전선보호 패드(330)에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선보호 패드(330)의 내부에서 전선 또는 케이블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전선보호 패드(330)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링(333)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커버(325)가 결합된 전선고정구(320)의 양단부에 돌출링(333)이 걸리게 되므로, 전선보호 패드(330)가 전선고정구(320) 양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클램프(3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고정된다.
즉, 상기 전선보호 패드(330)을 이용하여 전선고정구(320)에 전선/케이블을 결합고정할 경우 3상 케이블은 8 ~ 9 톤의 인장하중이 작용 되더라도 케이블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클램프(300)에 전선을 포설 고정하는 과정을 보면, 클램프 프레임(310)의 인장롤러(313)를 프레임 상부로 이동 고정하고[인장롤러(313)의 롤러고정축핀(315)을 가이드공(314)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고정하여 인장롤러를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시킴], 프레임(310)의 양단에는 전선고정구 본체(321)만을 결합한 상태에서 인장롤러(313)를 통해 전선을 인장하여 포설한 후, 프레임의 인장롤러(313)를 프레임 하단부로 이동[인장롤러(313)의 롤러고정축핀(315)을 가이드공(314)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인장롤러를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시킴] 한 다음 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된 전선고정구(320)에 전선을 고정시킨다.
상기 전선고정구(320)에 전선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전선을 전선보호패드(330)에 내삽시킨 후 전선이 내삽된 전선보호패드(330) 방향으로 프레임(310)에 힌지 결합된 전선고정구 본체(321)를 회전시켜 전선고정구 본체(321)의 요홈(324)에 전선이 내삽된 전선보호패드(330)를 안착시킨 후, 커버(325)로 3상 전선 또는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전선보호 패드(330)의 상부측을 덮는다.
그리고 나서 본체(321)의 내측 양측에 형성된 요홈(324)으로 U자형고정구(327)를 삽입해서 관통시킨 후 체결구(328)로 U자형고정구(327)의 단부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U자형고정구(327)는 요홈(324)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커버(325)의 상부측에 형성된 삽입홈(326)에 위치되게 안착시켜 커버(325)를 압지하게 함으로써 3상 전선 또는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즉, U자형고정구(327)는 본체(321)의 요홈(324)을 관통하여 체결되되, 커버(325)의 삽입홈(326)에 안착되게하여 커버(325)를 압지할 때, 본체(321)와 커버(325)는 유동되지 않고 일체적으로 전선을 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프레임의 축공(316)은 프레임(310) 중앙쪽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00)에 전선을 포설하여 고정시 전선을 고정하기전 즉, 전선을 포설시는 프레임(310)과 전선고정구 본체(321)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전선(11) 포설시에는 프레임 축공(316)과 전선고정구의 고정핀 관통공(323) 간에 삽입된 전선고정구용축핀(317)을 통하여 힌지 결합된 전선고정구 본체(321)는 본체(321)의 자중에 의해 프레임 타단이 아래로 회전되며 이 경우 전선고정구 본체(321)의 프레임측 단부가 프레임(310) 양단부 상부로 돌출하게 되어 프레임(310)내에 전선을 가설하기 어려우나, 전선고정구용축핀(317)을 하향 경사진 축공(316)의 최하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전선고정구 본체(321)가 자중에 의해 본체(321)의 프레임 타단이 아래로 회전되더라도 전선고정구용축핀(317)이 경사진 축공(316)의 최하단으로 내려온 만큼 전선고정구 본체(321)의 프레임측 단부가 프레임 양단부 아래로 내려오므로 프레임(310)내 전선을 가설하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축공(316)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인장롤러(313)를 통해 견인한 전선을 전선고정구(320)로 고정시 전선로에 포설되는 전선의 딥에 따라 전선(11)을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전선고정구(320)와 클램프(300)의 프레임(310) 간을 결합하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이 하향 경사진 축공(316)에 유동적으로 위치됨에 따라 전선로의 전선(11)을 가변적으로 결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전전선로 신설 전선공사나 전선교체시 종래와 같이 연선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전주(100)에 설치된 지지대(200)에 결합된 XY 축회동구(400)에 연결된 클램프(300)로 전선(11)을 견인한 후 프레임(310)의 내부에 구비된 인장롤러(313)를 통해서 직접 전선(11)을 인장하여 유도한 후, 클램프(300)의 프레임(310) 양측 단부에 각각 장착된 전선고정구(320)에 전선(11)을 안착시켜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전선고정구(320)에 내삽결합되는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해 전선고정구(320)에는 전선보호 패드(330)을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선롤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클램프(300)의 프레임(310) 내부에 장착된 인장롤러(313)를 통해 인장하여 유도하기 때문에, 전선(11)의 피복에 손상이나 파손 없이 전선을 포설하게 됨에 따라 전선로의 절연특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전선(11)을 인장하여 유도하는 인장롤러(313)는 전선(11)의 굵기에 따라 프레임의 양측면에 천공된 가이드공(314)를 따라 상하이동하여 특정 위치에서 롤러고정축핀(315)으로 고정하면 된다.
그뿐만 아니라 프레임(310)의 좌우 양단부측에는 인장롤러(313)에 의해 인장된 전선(11)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구(320)가 전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인장롤러(313)를 통해 인장하여 유도된 전선(11)을 전선보호패드(330)에 내삽하여 전선고정구(320)의 본체(321)의 원호부(322) 홈에 안착하여 지지한 다음, 본체(321)의 상부측에 커버(325)를 덮어서 U자형고정구(327)로 견고하게 고정하면 된다. 이때 U자형고정구(327)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체결하면 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직선 전선로가 아닌 곡선 전선로에 적용되는 실시예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전선로에 전선포설 또는 전선교체시 전선(11)을 인장하여 전주 지지대(200)에 결합되는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의 하변 양단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521, 522)에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300)를 각각 결합한다,
단, 여기서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의 하변 양단에 결합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300)에는 전선고정구(320)을 설치하되 각 클램프(300)의 외측단부에 전선고정구(320)의 본체(321)를 결합한다, 즉, 각형상의 취부금구(500)의 하변 양단에 각각 결합된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300)에 양단부에 전선고정구(320)의 본체(321)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고 외측단부에만 결합한다.
따라서 실시예 1에서는 클램프(300)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전선고정구(320) 결합용 축공(316)이 프레임(310)의 양단부측에 형성되지만, 실시예 2에서는 클램프(300) 프레임(310)에 형성되는 축공(316)은 클램프(300)가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의 양단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521, 522)에 결합되었을 시 클램프(300) 프레임(310)의 양단부측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클램프(300) 프레임(310)의 외측단에만 형성할 수 도 있다. 그 외 클램프(300)의 구조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이므로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는 전주(100)에 고정된 지지대(200)의 지지대 축(210)에 U자형 체결구(523)으로 결합하되, U자형 체결구(523)는 지지대(200)의 지지대 축(210)에는 전주(100)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U자형 체결구(523)에 결합된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는 전선로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전선로가 일직선 상태가 아닌 각진(휘어지는) 전선로에서는 이와 같이 전주(100)의 지지대(200)에 U자형 체결구(523)로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를 결합하고 ,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의 양단에 형성된 프레임 결합부(521, 522)에 각각 클램프(300)를 결합하되 각 클램프(300)의 외측단부에서만 전선고정구(320)를 통해 전선(11)을 고정함으로써 곡선 전선로에서도 클램프(300)의 전선고정구(320)에 결속된 전선은 굴곡진 상태의 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을 포설하고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에 결합된 클램프(300)을 통해 전선을 결합 고정하는 방법은 클램프(300)의 인장롤러(313)를 가이드공(314)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롤러를 통해 전선을 인장 견인한 후, 인장롤러(313)를 가이드공(314)의 하부로 내리고 각 클램프(300)의 외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전선고정구(320)의 본체(321)를 회동시켜 전선보호 패드(330)를 외삽한 전선(11)에 안착시킨 후 전선고정구(320) 본체(321)에 커버(325)를 덮어 U자형고정구(327)로 체결하여 전선(11)을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전주 11 : 3상 전선
200 : 지지대 210 : 지지대 축
220 : 스토퍼 300 : 클램프
310 : 프레임 311 : 고정걸이홈
312 : 측벽 313 : 인장롤러
314 : 가이드공 315 : 롤러고정축핀
316 : 축공 317 : 전선고정구용축핀
320 : 전선고정구 321 : 본체
322 : 원호부 323 : 고정핀관통공
324 : 요홈 325 : 커버
326 : 삽입홈 327 : U자형고정구
328 : 체결구 329 : 돌기부
330 : 전선보호 패드 331 : 절결부
332 : 스크류 압착면 333 : 돌출링
400 : XY축 회동구 410 : Y축 회동구
411 : 회동구 412 : 관통공
413 : 회동축 내삽부 414 : 힌지축
420 : X축회동구 421 : 회동부
422 : 관통공 423 : 회동축내삽부
424 : 힌지축 425 : 경사부
500 : 삼각형상의 취부금구 512, 522 : 프레임 결합부
523 : U자형 체결구

Claims (12)

  1. 고정걸이홈(311)이 형성되고 고정걸이홈(311)을 기준으로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된 측벽(312)에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공(314)에 끼워서 지지된 롤러고정축핀(3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인장롤러(313)와
    상기 프레임(310)의 양단부측에 축공(316)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316)에 내삽되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고정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홈(311)은 전주(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의 지지대 축(210)에 결합되어 전선로 방향 및 전선로 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회동되는 XY축회동구(4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Y축회동구(400)는,
    상기 지지대 축(210)에 외삽되는 관통공(412)이 형성된 회동부(411)와 상기 회동부(411)의 일단에 "ㄷ" 형의 회동축내삽부(413)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내삽부(413)에 관통 내삽된 힌지축(414)으로 이루어진 Y축 회동구(410)와
    상기 Y축 회동구(410)의 힌지축(414)에 외삽되는 관통공(422)이 형성된 회동부(421)와
    상기 회동부(421)의 일단에는 마름모 형상의 두 개의 판이 이격 형성된 회동축내삽부(423)와
    상기 회동축내삽부(423)에 관통 내삽되되 프레임 고정걸이홈(311)이 외삽되는 힌지축(424)으로 이루어진 X축회동구(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에는 지지대축(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부(411)가 전주 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20)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축내삽부(423)의 마름모 형상의 판은 하부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힌지축(424)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300)이 전주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구(320)는,
    전선 안착부인 원호부(322)가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요홈(324)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고정핀 관통공(323)이 형성된 본체(321)와
    원호부(322)에 안착된 전선을 압지하는 커버(325)와
    요홈(324)을 관통하여 커버(325)와 본체(321)을 결합하는 U자형고정구(3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6.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클램프(300)은 전주(100)에 결합된 지지대(200)에 결합되되, 상기 클램프(300)는 지지대(200)의 지지대축(210)에 U자형 체결구(523)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 하변 양단에 형성된 각 프레임 결합부(521, 522)에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300)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21, 122)에 외삽 되는 고정걸이홈(311)이 형성되고 고정걸이홈(311)을 기준으로 전후로 대칭되게 형성된 측벽(312)에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상기 가이드공(314)에 끼워서 지지된 롤러고정축핀(3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인장롤러(313)와
    상기 프레임(310)의 일단부측에 축공(316)이 형성되되 상기 축공(316)은 클램프(300)가 삼각형상의 취부금구(500) 하변 양단에 형성된 각 프레임 결합부(121, 122)에 결합되었을 시 각 클램프(300) 프레임(310)의 외측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310)의 축공(316))에 내삽되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고정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구(320)는,
    전선 안착부인 원호부(322)가 형성되고 상하부로는 요홈(324)가 형성되며 일단에는 전선고정구용축핀(317)에 의해 프레임(310)에 결합되는 고정핀 관통공(323)이 형성된 본체(321)와
    원호부(322)에 안착된 전선을 압지하는 커버(325)와
    요홈(324)을 관통하여 커버(325)와 본체(321)을 결합하는 U자형고정구(3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8. 제5항 또는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구(320)의 원호부(322)에 안착되는 전선은 전선보호패드(330)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보호패드(330)는 전선 삽입용 절결부(331)가 형성되고, 내부면은 삼각형상의 스크류압착면(3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10. 제 1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0)의 양 측벽(312)에 형성된 가이드공(314)은 수직형상의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0)의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양 측벽(312) 부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12. 제1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0)의 축공(316)은 프레임(310) 중앙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20160098600A 2015-08-24 2016-08-01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1721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9043 2015-08-24
KR1020150119043 2015-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14A true KR20170023714A (ko) 2017-03-06
KR101721540B1 KR101721540B1 (ko) 2017-04-10

Family

ID=5839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600A KR101721540B1 (ko) 2015-08-24 2016-08-01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80A (ko) * 2019-05-31 2020-12-09 조덕승 스마트 압축기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12B1 (ko) 2019-10-29 2020-05-15 주식회사 유원감리 가공배전라인 설치용 지지기구
CN110635433B (zh) * 2019-11-04 2020-08-25 山东恒东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用耐张线夹设备
KR102645326B1 (ko) 2021-06-22 2024-03-11 한국전력공사 전선 인장기의 클램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35Y1 (ko) 2002-06-19 2002-09-11 김명래 배선용 인장크램프
KR200296551Y1 (ko) * 2002-08-20 2002-11-29 최종석 전선이송용 안내롤러
KR20090001271U (ko) * 2007-08-01 2009-02-05 정기한 작업선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35Y1 (ko) 2002-06-19 2002-09-11 김명래 배선용 인장크램프
KR200296551Y1 (ko) * 2002-08-20 2002-11-29 최종석 전선이송용 안내롤러
KR20090001271U (ko) * 2007-08-01 2009-02-05 정기한 작업선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R)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75-335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80A (ko) * 2019-05-31 2020-12-09 조덕승 스마트 압축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40B1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CN205578907U (zh) 一种固定电缆的夹具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CN106300164A (zh) 线束固线夹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101070510B1 (ko)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20090075962A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지지용 행거
CN209948624U (zh) 耐张线夹
CN210397334U (zh) 电气设备的固定装置
CN214255592U (zh) 一种电缆安装用固定装置
US9093827B2 (en) Wire pulling device
RU124066U1 (ru)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зажим
RU213300U1 (ru)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3125492U (zh) 一种电力工程安装用线缆固定夹具
JP5090186B2 (ja) 電柱用ケーブル共架金具
KR200339037Y1 (ko) 차폐각 확보 가공지선지지대
CN211598751U (zh) 一种用于隧道的钢缆固定装置及巡检装置
JP6387141B1 (ja) 係止金具
KR20210147761A (ko) 전주용 완금 밴드
JP5535001B2 (ja) プラグイン器具の固定金具
KR200451322Y1 (ko) 조가선용 클램프
JP2001078326A (ja) ケーブル布設装置
JP2021148127A (ja) 取付具
JP5351854B2 (ja) 引込み用ケーブルの支持具
JP2009118566A (ja) 低圧ラック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低圧ラック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